KR0185878B1 -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78B1
KR0185878B1 KR1019950049837A KR19950049837A KR0185878B1 KR 0185878 B1 KR0185878 B1 KR 0185878B1 KR 1019950049837 A KR1019950049837 A KR 1019950049837A KR 19950049837 A KR19950049837 A KR 19950049837A KR 0185878 B1 KR0185878 B1 KR 018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r
main power
power suppl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055A (ko
Inventor
이진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78B1/ko
Publication of KR97005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밧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밧데리(10)를 충전시켜주기 위한 주전원(22)과 소정의 제어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보조전원(24)이 구비된 충전기(20)로 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주전원단자에 접속되는 주전원연결단자(32)와, 상기 충전기(20)로 부터 제어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보조전원(24)에 연결되는 보조전원연결단자(34) 및, 상기 충전기(20)의 보조전원(24)으로 부터 인가된 제어전류에 의해 상기 주전원(22)의 연결을 개폐하도록 된 릴레이(36)로 구성되어, 밧데리의 충전시 충전기이외의 다른 외부장치가 인가되지 못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A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밧데리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 12 : 내부전극
20 : 충전기 22 : 주전원프레임
24 : 보조전원 30 : 커넥터
32 : 주전원연결단자 34 : 보조전원연결단자
36 : 릴레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밧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자동차의 밧데리 충전시 외부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커넥터가 개선된 전기자동차 밧데리의 충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그 운행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전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의 공급을 위한 밧데리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이나 현실적으로 밧데리가 장기적으로 사용될 수 없고,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충전을 시켜주어야만 하게 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밧데리충전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밧데리(100)의 내부전극(102)에서 뻗어나온 단자와 충전기(110)로 부터 뻗어나온 단자를 커넥터(120)로 단순히 서로 결합시키게 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외부 충전기이외의 다른 것이 연결되는 것이 오히려 밧데리를 방전시키게 되거나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연결단자가 외부의 다른 단자와 연결시 소정의 충전기와 연결되었을 때만 연결되도록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연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밧데리를 충전시켜주기 위한 주전원단자와 소정의 제어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보조전원단자가 구비된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로 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주전원단자에 접속되는 주전원연결단자와, 상기 충전기로 부터 제어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보조전원에 연결되는 보조전원연결단자 및, 상기 충전기의 보조전원으로 부터 인가된 제어전류에 의해 상기 주전원의 연결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도록 된 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주전원단자가 충전기의 전원단자와 제데로 연결됨과 더불어 보조전원연결단자가 상기 충전기에 구비된 보조전원에 연결되어야만이 상기 릴레이가 동작되어 비로서 주전원연결단자가 밧데리의 내부 전극과 연결되어 밧데리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충전기 이외의 장치를 연결하게 되는 경우에는 밧데리의 내부전극이 커넥터에 의해 외부와 연결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커넥터의 잘못연결에 의한 방전 또는 쇼트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밧데리(10)를 충전시켜주기 위한 주전원(22)과 소정의 제어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보조전원(24)이 구비된 충전기(20)와; 상기 충전기(20)로 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주전원단자에 접속되는 주전원연결단자(32)와, 상기 충전기(20)로 부터 제어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보조전원(24)에 연결되는 보조전원연결단자(34) 및, 상기 충전기(20)의 보조전원(24)으로 부터 인가된 제어전류에 의해 상기 주전원(22)의 연결을 개폐하도록 된 릴레이(3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36)는 외부에 연결된 커넥터가 정확한 충전기로 부터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보조전원(24)의 인가여부에 의해 확인하게 되는 바, 상기 보조전원(24)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전원의 연결단자는 밧데리(10)와 연결이 단락되므로써 밧데리의 내부전극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전원연결단자(32)가 수평하게 배열되고, 보조전원단자(34)가 주전원연결단자(32)에 직교되는 한편, 연결구멍도 크기가 서로 다르게 하므로써 상호 혼동되지 않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밧데리의 커넥터를 충전기의 커넥터에 맞추어 삽입하게 되면, 충전기의 보조전원으로 부터 인가된 전류가 커넥터의 릴레이에 인가되어 릴레이가 동작하므로써 주전원연결단자가 밧데리와 연결되고, 이어서 충전기의 주전원단자에 의해 밧데리가 충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밧데리(10)를 충전시켜주기 위한 주전원(22)과 소정의 제어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보조전원(24)이 구비된 충전기(20)로 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주전원단자에 접속되는 주전원연결단자(32)가 상호 소정간격으로 수평하게 배열되고, 상기 충전기(20)로 부터 제어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보조전원(24)에 연결되는 보조전원연결단자(34)가 상기 주전원연결단자(32)와 직교배열되어지되, 상기 주전원연결단자(32)와 보조전원연결단자(34)간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호 혼동됨이 없이 제위치에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충전기(20)의 보조전원(24)으로 부터 인가된 제어전류에 의해 동작되는 릴레이(36)에 의해 주전원(22)의 연결을 단속하게 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KR1019950049837A 1995-12-14 1995-12-14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KR018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37A KR0185878B1 (ko) 1995-12-14 1995-12-14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37A KR0185878B1 (ko) 1995-12-14 1995-12-14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55A KR970055055A (ko) 1997-07-31
KR0185878B1 true KR0185878B1 (ko) 1999-05-15

Family

ID=1944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837A KR0185878B1 (ko) 1995-12-14 1995-12-14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55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588B2 (ja) 電池パックとその検査装置
CO4840553A1 (es) Bateria que tiene un controlador incorporado para extender el tiempo de funcionamiento de la misma
SE9604248L (sv) Batteripaket för en portabel elektrisk apparat samt sätt vid uppladdning av detsamma
EP1083619A3 (en) Battery pack
JPH04153096A (ja) 携帯用記憶装置
SE516507C2 (sv) Uppladdningsbart batteri med inbyggd säkerhetskrets för en portabel elektrisk apparat
CN106208225A (zh) 充电电池的充电激活电路
JPH09163615A (ja) 直列に接続された複数のセル、特にリチウムイオンセルを備えたバッテリ
KR0185878B1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US10964990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combination
CN108767946A (zh) 一种唤醒电路及电池管理系统
EP0666630A1 (en) Overcurrent preventing circuit
US6646417B2 (en) Charger and electrical apparatus
JP4342662B2 (ja) 二次電池装置
JP3341227B2 (ja) 電池パックの充電端子短絡防止装置
CN115173534B (zh) 户外电源装置、扩容电池装置和户外电源组件
CN210454523U (zh) 一种电动汽车充放电控制电路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CN216761466U (zh) 电动车的充电装置以及电动车
CN220368482U (zh) 一种电池充放电保护电路
CN216956194U (zh) 供电设备的负载插入检测电路、电动自行车
KR100204272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누전차단장치
KR200170358Y1 (ko) 안전장치를 내장한 충전용 플러그
KR19990050735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커넥터
JPH09259934A (ja) 二次電池パックおよび二次電池の充電電圧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