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267B1 -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 Google Patents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267B1
KR0185267B1 KR1019960006774A KR19960006774A KR0185267B1 KR 0185267 B1 KR0185267 B1 KR 0185267B1 KR 1019960006774 A KR1019960006774 A KR 1019960006774A KR 19960006774 A KR19960006774 A KR 19960006774A KR 0185267 B1 KR0185267 B1 KR 018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kaitosan
fish
oligo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611A (ko
Inventor
김희경
Original Assignee
김선규
주식회사충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규, 주식회사충무산업 filed Critical 김선규
Priority to KR101996000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267B1/ko
Publication of KR97006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목적] 어병류를 항생제를 쓰지 않고 치료하기 위한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를 제공한다.
[구성] 해산어병류에 감염된 조피볼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 등을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이들의 혼합물을 약욕투여 또는 경구투여 또는 약욕투여와 경구투여를 겸하여 어병류를 치료한다.

Description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표 1은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의 GPC조성표이다.
표 2는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로 치료 할 수 있는 어병명이다.
표 3-1은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를 약욕으로 사용했을때 어병치료제로서의 효과 실험에 대한 실시예1 ∼ 실시예5의 결과이다.
표 3-2는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를 일반먹이에 혼합 경구투여시의 어병치료제로서의 효과 실험에 대한 실시예6 ∼ 실시예10의 결과이다.
표 3-3-가는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를 약욕 및 경구투여시의 어병치료제로서의 효과 실험에 대한 실시예11 ∼ 실시예15의 결과이다.
표 3-3-나는 본원 발명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의 약욕 및 경구투여시의 어병치료제로서의 효과 실험에 대한 실시예16∼ 실시예 20의 결과이다.
[발명의 분야]
본원 발명은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해산어에서의 어병균(표 2 참조)의 출현종은 많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활주세균인 플렉시박터(Flexibacter maritiums)는 수온이 15 ∼ 20℃이상, 냉수대에 의한 수온차, 선별과 운반등에 의한 상처, 고수온과 풍부한 용존산소를 좋아하는 병원균으로서 꼬리, 등지느러미부식, 아가미결손부식, 비브리오 및 슈도모나스의 2차 오염을 유발하는 균으로서 치료제로서는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염산염, 썰파디메복신 소듐의 약욕, 옥소린산 나트륨등의 경구투여등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이들은 화학적인 약제이므로 과량을 투여 할 수 없으며, 장기간 투여시 먹이사슬을 경유 결론적으로 인간에게 피해를 야기한다 할 수 있고, 또한, 스쿠치카(Scuticocilate Sp.)은 타원형의 섬모충인 스쿠치카충이 아가미, 표피, 뇌에 기생하여, 5∼6㎝크기의 치어에 주로 기생하여, 고기를 대량 폐사시키는 병원균이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포르말린에 의해 약욕투여 이외에는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는 실정이고 그리고, 에드워드병(Edwardsiella tarda)은 수온이 25℃이상의 경우, 300∼400g의 큰어체에 감염하는 균으로서, 채색이 흑화되고, 복부팽창과 탈장, 신장이 퇴색되는등의 증상과 이는 연쇄구균증, 백점병등의 합병으로 대량폐사되며, 이에 대한 치료제로서는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염산염, 옥소린산 나트륨, 푸퀸메킨용액등의 마이신계통의 항생제가 대부분이 쓰이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본원 발명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과제 조피블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에 기생하는 어병 즉, (1)슈도모나스(Pscudomonas fluorescens), (2)슈도모나스(Pscudomonas angguilliseptica) (3)사프롤레기니아(Saproleginia Spp.), (4)비브리오(Vidrio spp.), (5)비브리오(Vibrio ordalii), (6)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7)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biogroup2), (8)파스튜렐라(Pasteurella piscicida), (9)노카르디아(Nocardia kampachi), (10)노카르디아(Nocardia seriolae), (11)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sp), (12)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epidermidis), (13)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iniae), (14)셉템캡슐라(Septemcapsula yasunagai), (15)마이크로코틸리(Microcotyle sebastisci), (16)에로모나스(Aeromonas hydrophyra), (17)푸사리윰(Fusaririum solani), (18)할리피토로스(Haliphthoros milfordensis), (19)펙테노필러스(Pectenophilus ornatus), (20)에드워드(Edwardsiella trada), (21)활주박테리아(Gliding bacteria), (22)크립토카리온(Cryptocaryon irritans), (23)아노필로디스커스(Anoplodisus spari), (24)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sp.), (25)랍도바이러스(Rhabdovirus olivaceus), (26)이치오보도(Ichthyobodo sp.), (27)트리코디나(Trichodina), (28)헤테로보티리윰(Heterobothrium tetrodonis), (29)플렉시박터(Flexibacter maritiums), (30)비바기나(Bivagina tai), (31)필로메타(Philometa lateolabracis), (32)론지콜럼(Longicollum pagrosomi), (33)렉사넬라(Rhexanella verrucosa), (34)스타프릴로코커스(Staprylococcus sp.), (35)베네데니아(Benedenia hoshinai), (36)스쿠치카(Scuticocilate sp.) 등의 어병을 항생제를 쓰지 않고서 어병을 치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은 조피볼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의 어병 즉, (1)슈도모나스(Pscudomonas fluorescens), (2)슈도모나스(Pscudomonas angguilliseptica) (3)사프롤레기니아(Saproleginia Spp.), (4)비브리오(Vidrio spp.), (5)비브리오(Vibrio ordalii), (6)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7)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biogroup2), (8)파스튜렐라(Pasteurella piscicida), (9)노카르디아(Nocardia kampachi), (10)노카르디아(Nocardia seriolae), (11)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sp), (12)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epidermidis), (13)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iniae), (14)셉템캡슐라(Septemcapsula yasunagai), (15)마이크로코틸리(Microcotyle sebastisci), (16)에로모나스(Aeromonas hydrophyra), (17)푸사리윰(Fusaririum solani), (18)할리피토로스(Haliphthoros milfordensis), (19)펙테노필러스(Pectenophilus ornatus), (20)에드워드(Edwardsiella trada), (21)활주박테리아(Gliding bacteria), (22)크립토카리온(Cryptocaryon irritans), (23)아노필로디스커스(Anoplodisus spari), (24)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sp.), (25)랍도바이러스(Rhabdovirus olivaceus), (26)이치오보도(Ichthyobodo sp.), (27)트리코디나(Trichodina), (28)헤테로보티리윰(Heterobothrium tetrodonis), (29)플렉시박터(Flexibacter maritiums), (30)비바기나(Bivagina tai), (31)필로메타(Philometa lateolabracis), (32)론지콜럼(Longicollum pagrosomi), (33)렉사넬라(Rhexanella verrucosa), (34)스타프릴로코커스(Staprylococcus sp.), (35)베네데니아(Benedenia hoshinai), (36)스쿠치카(Scuticocilate sp.)등의 어병의 치료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 어병류의 어병에 감염된 전기 조피볼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의 어류에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약욕투여하든가 또는 경구투여하든가 또는 약욕 투여와 경구투여를 겸하여 투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올리고머는 1.61×102∼1.402×103의 분자량 범위에 것이 좋고,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투여량은 0.001∼100wt%을 약욕투여하거나 먹이에 혼합하거나 또는 먹이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표 1은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실시예1 ∼ 실시예20의 GPC조성은 다음과 같이 조성했다.
[실시예 2-2-1]
표 2의 어병균(어병균은 Bergey's 메뉴얼(1984)에 근거 일반적인 어병세균 생물학적, 생화학적 실험법으로 동정 및 확인)에 감염된 조피볼락, 넙치, 돔류,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을 크기별로 실험 개체수를 총 200개체(2㎝이하: 50개체, 5㎝이하:50개체, 8㎝이하:50개체, 12㎝이하:5개체)를 선정하여 0.5통 수조에 투입하고 5시간 동안 거치시킨 후, 치사체는 제거하고 이를 0.5톤의 수조에 옮기고, 이에 해수 0.4톤을 넣었다. 그리고, 한편으로 카이토산 1을 해수 0.4톤에 대해 0.001 되게 계량한 후 이를 각각 1∼2N HCℓ용액으로 녹인 후, 이를 5%의 NaOH용액으로 pH를 5.5 ∼ 7으로 조절하고, 이를 전기 0.5톤 수조에 1회에 전량 투여한후, 4시간 간격으로 수조에 투여한 약욕수를 1/10식 해수로 교체하여 10회에 전량 해수로 교체하고 일정별 생존률을 3일후, 7일후, 10일후, 30일후, 45일후에 확인했다. 그리고, 카이토산 1만 투여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비교한 것을 비교예로 하였다.
[실시예 2-1-2]
실시예 2-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육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02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1-3]
실시예 2-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1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1-4]
실시예 2-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2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1-5]
실시예 2-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3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1-6]
실시예 2-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2-1]
실시예 2-2-1에서 카이토산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5 로 하고, 또한 1회 전량투여한 후, 4시간 간격으로 수조에 투여한 약욕수를 1/10식 해수로 교체하여 10회에 약욕해수전량 해수로 교체한 대신에, 4시간 간격으로 10회에 걸쳐 분활투여하고, 36시간 경과후 새로운 해수로 약욕해전량을 교체한 이외에는 실시예 2-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2-2]
실시예 2-2-1에서 카이토산의 약욕투여농도 0.5 대신에 이를 0.8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2-3]
실시예 2-2-1에서 카이토산의 약욕투여농도 0.5 대신에 이를 1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3-1 ∼ 실시예 2-3-6, 실시예 2-5-1 ∼ 실시예 2-5-6, 실시예 3-1-1 ∼ 실시예 3-1-6, 실시예 3-3-1 ∼ 실시예 3-3-6, 실시예 3-5-1 ∼ 실시예 3-5-6, 실시예 4-1-1 ∼ 실시예 4-1-6, 실시예 4-3-1 ∼ 실시예 4-3-6, 실시예 5-1-1 ∼ 실시예 5-1-6, 실시예 5-3-1 ∼ 실시예 5-3-6, 실시예 5-5-1∼ 실시예 5-5-6, 실시예 5-7-1 ∼ 실시예 5-7-6, 실시예 5-9-1 ∼실시예 5-9-6, 실시예 5-11-1 ∼ 실시예 5-11-6]
실시예 2-2-1 ∼ 실시예 2-1-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2, 카이토산3, 카이토산4, 카이토산5, 카이토산6, 카이토산7, 카이토산8, 카이토산9, 카이토산10, 카이토산11, 카이토산12, 카이토산13, 카이토산14로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2-2-1 ∼ 2-1-6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4-1 ∼ 실시예 2-4-3, 실시예 2-6-1 ∼ 실시예 2-6-3, 실시예 3-2-1 ∼ 실시예 3-2-3, 실시예 3-4-1 ∼ 실시예 3-4-3, 실시예 3-6-1 ∼ 실시예 3-6-3, 실시예 4-2-1 ∼ 실시예 4-2-3, 실시예 4-4-1 ∼ 실시예 4-4-3, 실시예 5-2-1 ∼ 실시예 5-2-3, 실시예 5-4-1 ∼ 실시예 5-4-3, 실시예 5-6-1 ∼ 실시예 5-6-3, 실시예 5-8-1 ∼ 실시예 5-8-3, 실시예 5-10-1 ∼ 실시예 5-10-6, 실시예 5-12-1 ∼ 실시예 5-12-3]
실시예 2-2-1 ∼ 실시예 2-2-3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2, 카이토산3, 카이토산4, 카이토산5, 카이토산6, 카이토산7, 카이토산8, 카이토산9, 카이토산10, 카이토산11, 카이토산12, 카이토산13, 카이토산14로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2-2-1 ∼ 2-2-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1-1]
표 2의 어병균(어병균은 Bergey's 메뉴얼(1984)에 근거 일반적인 어병세균 생물학적, 생화학적 실험법으로 동정 및 확인)에 감염된 조피볼락, 넙치, 돔류,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을 크기별로 실험 개체수를 총 200개체(2㎝이하: 50개체, 5㎝이하:50개체, 8㎝이하:50개체, 12㎝이하:5개체)를 선정하여 0.5톤 수조에 투입하고 5시간 동안 거치시킨 후, 치사체는 제거하고 이를 0.5톤의 수조에 옮기고, 이에 해수 0.4톤을 넣었다. 그리고, 한편으로 임겸산업사제(일본)치어1호에 카이토산1 사료에 카이토산1 0.001 되게 계랑, 혼합하여 이를 1회에 10g씩 1일에 3회, 3일간 손으로 뿌려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투여후 1일 경과후 수조의 해수를 새로운 해수로 교체하고 일정별 생존률을 3일후, 7일후, 10일후, 30일후, 45일후에 확인했다. 그리고 카이토산 1만 투여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비교한 것을 비교예로 하였다.
[실시예 6-1-2]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0.1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1-3]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0.3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1]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0.6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2]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2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3]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4]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1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5]
실시예 6-1-1에서 카이토산 1의 혼합비율을 0.001 대신에 이를 5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2-6]
실시예 6-1-1에서 임겸산업사제취어1호를 혼합하지 않고 카이토산1 단독으로 취어사료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3-1 ∼ 실시예 6-3-4]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 2로 대치한 이외에는 각각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4-1 ∼ 실시예 6-4-6]
실시예 6-2-1 ∼ 실시예 6-2-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 2로 대치한 이외에는 각각 실시예 6-2-1 ∼ 실시예 6-2-6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5-1 ∼ 실시예 6-5-4]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 3로 대치한 이외에는 각각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6-1 ∼ 실시예 6-6-6]
실시예 6-2-1 ∼ 실시예 6-2-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 3로 대치한 이외에는 각각 실시예 6-2-1 ∼ 실시예 6-2-6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6에서 3일경과후의 비교예는 17∼37% 인데비해 카이토산의 경구투여시는 38∼50%의 각각의 생존율을 45일경과후의 비교예는 0∼1%인데비해 카이토산의 투여시는 23∼35%의 생존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7-1-1 ∼ 실시예 7-1-4, 실시예 7-3-1 ∼ 실시예 7-3-4, 실시예 7-5-1 ∼ 실시예 7-5-4, 실시예 8-1-1 ∼ 실시예 8-1-4, 실시예 8-3-1 ∼ 실시예 8-3-4, 실시예 8-5-1 ∼ 실시예 8-5-4, 실시예 9-1-1 ∼ 실시예 9-1-4, 실시예 9-3-1 ∼ 실시예 9-3-4, 실시예 9-5-1 ∼ 실시예 9-5-4, 실시예 9-7-1 ∼ 실시예 9-7-4, 실시예 10-1-1 ∼ 실시예 10-1-4]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4, 카이토산5, 카이토산6, 카이토산7, 카이토산8, 카이토산9, 카이토산10, 카이토산11, 카이토산12, 카이토산13, 카이토산14로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6-1-1 ∼ 실시예 6-1-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1-1]
표 2의 어병균(어병균은 Bergey's 메뉴얼(1984)에 근거 일반적인 어병세균 생물학적, 생화학적 실험법으로 동정 및 확인)에 감염된 조피볼락, 넙치, 돔류, 방어, 농어, 우럭, 가두리등을 크기별로 실험 개체수를 총 200개체(2㎝이하: 50개체, 5㎝이하:50개체, 8㎝이하:50개체, 12㎝이하:5개체)를 선정하여 0.5톤 수조에 투입하고 5시간 동안 거치시킨 후, 치사체는 제거하고 이를 0.5톤의 수조에 옮기고, 이에 해수 0.4톤을 넣었다. 그리고, 한편으로 카이토산 1을 해수 0.4톤에 대해 0.001 되게 계량한 후 이를 각각 1∼2N HCℓ용액으로 녹인 후, 이를 5%의 NaOH용액으로 pH를 5.5 ∼ 7으로 조절하고, 이를 전기 0.5톤 수조에 1회에 전량 투여하는 한편 임경산업사제(일본)치어1호사료에 카이토산1 0.6 되게 계량하여 혼합하고 이를 1회에 10g씩 1일에 3회, 3일간 손으로 뿌려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투여후 1일 경과하고나서 수조의 해수를 새로운 해수로 전부 교체하고 일정별 생존률을 3일후, 7일후, 10일후, 30일후, 45일후에 확인했다. 그리고 카이토산 1을 약욕 및 경구로 투여하지 않은 이외에는 동일하게 실시한 것을 비교예로 하였다.
[실시예 11-1-2]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025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2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1-3]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1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1-4]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025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1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1-5]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3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5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1-6]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5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10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1]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2]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5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2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3]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8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5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4]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0.8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1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5]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1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5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2-6]
실시예 11-1-1에서 카이토산 1의 약욕투여농도 0.001 대신에 이를 1 로 하고, 취어사료1호에 카이토산1 0.6 대신에 이를 100 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3-1 ∼ 실시예 11-3-6, 실시예 11-5-1 ∼ 실시예 11-5-6, 실시예 12-1-1 ∼ 실시예 12-1-6, 실시예 12-3-1 ∼ 실시예 12-3-6, 실시예 12-5-1 ∼ 실시예 12-5-6, 실시예 13-1-1 ∼ 실시예 13-1-6, 실시예 13-3-1 ∼ 실시예 13-3-6, 실시예 13-5-1 ∼ 실시예 13-5-6, 실시예 14-1-1 ∼ 실시예 14-1-6, 실시예 14-3-1 ∼ 실시예 14-3-6, 실시예 14-5-1 ∼ 실시예 14-5-6, 실시예 14-7-1 ∼ 실시예 14-7-6, 실시예 15-1-1 ∼ 실시예 15-1-6]
실시예 11-1-1 ∼ 실시예 11-1-6에서 카이토산1대신에 이를 카이토산2, 카이토산3, 카이토산4, 카이토산5, 카이토산6, 카이토산7, 카이토산8, 카이토산9, 카이토산10, 카이토산11, 카이토산12, 카이토산13, 카이토산14로 각각 대처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 ∼ 11-1-6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1-4-1 ∼ 실시예 11-4-6, 실시예 11-6-1 ∼ 실시예 11-6-6, 실시예 12-2-1 ∼ 실시예 12-2-6, 실시예 12-4-1 ∼ 실시예 12-4-6, 실시예 12-6-1 ∼ 실시예 12-6-6, 실시예 13-2-1 ∼ 실시예 13-2-6, 실시예 13-4-1 ∼ 실시예 13-4-6, 실시예 13-6-1 ∼ 실시예 13-6-6, 실시예 14-2-1 ∼ 실시예 14-2-6, 실시예 14-4-1 ∼ 실시예 14-4-6, 실시예 14-6-1 ∼ 실시예 14-6-6, 실시예 14-8-1 ∼ 실시예 14-8-6, 실시예 15-2-1 ∼ 실시예 15-2-2]
실시예 11-2-1 ∼ 실시예 11-2-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2, 카이토산3, 카이토산4, 카이토산5, 카이토산6, 카이토산7, 카이토산8, 카이토산9, 카이토산10, 카이토산11, 카이토산12, 카이토산13, 카이토산14로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11-2-1 ∼ 실시예 11-2-6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6-1-1 ∼ 실시예 16-1-6, 실시예 16-3-1 ∼ 실시예 16-3-6, 실시예 16-5-1 ∼ 실시예 16-5-6, 실시예 16-7-1 ∼ 실시예 16-7-6, 실시예 17-1-1 ∼ 실시예 17-1-6, 실시예 17-3-1 ∼ 실시예 17-3-6, 실시예 18-1-1 ∼ 실시예 18-1-6, 실시예 18-3-1 ∼ 실시예 18-3-6, 실시예 18-5-1 ∼ 실시예 18-5-6, 실시예 18-7-1 ∼ 실시예 18-7-6, 실시예 19-2-1 ∼ 실시예 19-2-6, 실시예 19-4-1 ∼ 실시예 19-4-6, 실시예 19-5-1 ∼ 실시예 19-5-6, 실시예 20-1-1 ∼ 실시예 20-1-6]
실시예 11-1-1 ∼ 실시예 11-1-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1+14, 카이토산3+12, 카이토산4+11, 카이토산5+10, 카이토산6+9, 카이토산7+8, 카이토산8+7, 카이토산9+6, 카이토산10+5, 카이토산11+4, 카이토산12+3, 카이토산13+2, 카이토산14+1을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11-1-1 ∼ 실시예 11-1-6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16-2-1 ∼ 실시예 16-2-6, 실시예 16-4-1 ∼ 실시예 16-4-6, 실시예 16-6-1 ∼ 실시예 16-6-6, 실시예 16-8-1 ∼ 실시예 16-8-6, 실시예 17-2-1 ∼ 실시예 17-2-6, 실시예 17-4-1 ∼ 실시예 17-4-6, 실시예 18-2-1 ∼ 실시예 18-2-6, 실시예 18-4-1 ∼ 실시예 18-4-6, 실시예 18-6-1 ∼ 실시예 18-6-6, 실시예 19-1-1 ∼ 실시예 19-1-6, 실시예 19-3-1 ∼ 실시예 19-3-6, 실시예 19-5-1 ∼ 실시예 19-5-6, 실시예 19-7-1 ∼ 실시예 19-7-6, 실시예 20-2-1 ∼ 실시예 20-2-6]
실시예 11-2-1 ∼ 실시예 11-2-6에서 카이토산1 대신에 이를 카이토산1+14, 카이토산3+12, 카이토산4+11, 카이토산5+10, 카이토산6+9, 카이토산7+8, 카이토산8+7, 카이토산9+6, 카이토산10+5, 카이토산11+4, 카이토산12+3, 카이토산13+2, 카이토산14+1을 각각 대치한 이외에는 실시예 11-2-1 ∼ 실시예 11-2-6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의 어병치료제를 약욕 또는 경구 또는 약욕겸 경구 투여함으로서 조피볼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및 가두리에 기생하는 슈도므나스외 35종의 어병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카이토산과 카이토산올리고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는 1.61×102∼1.402×103의 분자량 범위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0.001∼1wt%의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카이토산과 카이토산올리고머의 혼합물의 0.001∼1wt%를 약욕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4. 제1항에 있어서,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카이토산과 카이토산올리고머의 혼합물의 0.001∼100wt%를 먹이에 혼합하거나 또는 먹이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카이토산과 카이토산올리고머의 혼합물의 0.001∼1wt%의 약욕투여도 하고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카이토산과 카이토산올리고머의 혼합물의 0.001∼100wt%의 경구투여도 겸하여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6. 제1항에 있어서, 치료하는 어류로 바다에서 서식하는 어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7. 제6항에 있어서, 바다에서 서식하는 어류로서 조피볼락, 넙치, 돔 방어, 농어, 우럭 및 가두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8. 제1항에 있어서, 어병으로서 (1)슈도모나스(Pscudomonas fluorescens), (2)슈도모나스(Pscudomonas angguilliseptica) (3)사프롤레기니아(Saproleginia Spp.), (4)비브리오(Vidrio spp.), (5)비브리오(Vibrio ordalii), (6)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7)비브리오(Vibrio vulnificus biogroup2), (8)파스튜렐라(Pasteurella piscicida), (9)노카르디아(Nocardia kampachi), (10)노카르디아(Nocardia seriolae), (11)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sp), (12)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epidermidis), (13)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 iniae), (14)셉템캡슐라(Septemcapsula yasunagai), (15)마이크로코틸리(Microcotyle sebastisci), (16)에로모나스(Aeromonas hydrophyra), (17)푸사리윰(Fusaririum solani), (18)할리피토로스(Haliphthoros milfordensis), (19)펙테노필러스(Pectenophilus ornatus), (20)에드워드(Edwardsiella trada), (21)활주박테리아(Gliding bacteria), (22)크립토카리온(Cryptocaryon irritans), (23)아노필로디스커스(Anoplodisus spari), (24)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sp.), (25)랍도바이러스(Rhabdovirus olivaceus), (26)이치오보도(Ichthyobodo sp.), (27)트리코디나(Trichodina), (28)헤테로보티리윰(Heterobothrium tetrodonis), (29)플렉시박터(Flexibacter maritiums), (30)비바기나(Bivagina tai), (31)필로메타(Philometa lateolabracis), (32)론지콜럼(Longicollum pagrosomi), (33)렉사넬라(Rhexanella verrucosa), (34)스타프릴로코커스(Staprylococcus sp.), (35)베네데니아(Benedenia hoshinai), (36)스쿠치카(Scuticocilate sp.)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KR1019960006774A 1996-03-14 1996-03-14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KR018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774A KR0185267B1 (ko) 1996-03-14 1996-03-14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774A KR0185267B1 (ko) 1996-03-14 1996-03-14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611A KR970064611A (ko) 1997-10-13
KR0185267B1 true KR0185267B1 (ko) 1999-05-01

Family

ID=1945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774A KR0185267B1 (ko) 1996-03-14 1996-03-14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06B1 (ko) * 2000-03-30 2004-10-08 세원화성 주식회사 키토산 올리고당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양식장에서 어병의 림포바이러스증 예방제
US20150297632A1 (en) * 2012-12-14 2015-10-22 Lesaffre Et Compagnie Chitin or derivatives thereof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arasitos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06B1 (ko) * 2000-03-30 2004-10-08 세원화성 주식회사 키토산 올리고당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양식장에서 어병의 림포바이러스증 예방제
US20150297632A1 (en) * 2012-12-14 2015-10-22 Lesaffre Et Compagnie Chitin or derivatives thereof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arasitoses
US9717751B2 (en) * 2012-12-14 2017-08-01 Lesaffre Et Compagnie Chitin or derivatives thereof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arasito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611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4322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rowth promotion
Waterstrat Induction and recovery from anesthesia in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fingerlings exposed to clove oil
KR0185267B1 (ko) 카이토산 또는 카이토산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병치료제
US5719189A (en) Medicinal feed for the systemic treatment of ectoparasitic and ectobacterial diseases of fish
KR100251428B1 (ko) 양식 물고기용 구충제
Rahkonen et al. Post malachite green: Alternative strategies for fungal infections and white spot disease
RU2729193C1 (ru) Гигиен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пыт
JP4154326B2 (ja) 養殖魚の寄生虫駆除剤
EP1477181B1 (en) Method of stimulating growth and resistance to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Tokumura et al. Contractile effect of 1-O-hexadecyl-2-O-acetyl-sn-glycero-3-phosphocholine on strips of isolated rat intestine
Lijinsky et al. Carcinogenic effects in rats of nitrosopiperazines administered intravesically: possibl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piperazine
CA2178722C (en) Methods for sedating and anaesthetising aquatic organisms
DE2448564C3 (de) Verwendung von heterocyclischen Carbonsäuren
DE1417441A1 (de) Mittel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leichqualitaet
JPH11266733A (ja) 水産生物感染症の予防治療方法
AU708107B2 (en) Method for treating animals
RU2687745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в виде раствор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прея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RU201918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дкожной фибросарком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Madani et al. Ligation of the bile duct and acute chloroform toxicity in the donkey
Mahamud Efficacy test of antibiotics on naturally diseased Climbing perch Anabas testudineus
RU1819612C (ru) Способ лечени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бартонеллеза тел т
DE2813814A1 (de) Hochwirksame, enteral resorbierbare pharmazeutische praeparate
JPS62221624A (ja) 魚類のウイルス病予防.治療方法
JP4198230B2 (ja) 水産生物に寄生する寄生虫および水生菌の駆除方法及び防除剤
Stephenson et al. Selenium residues in sheep m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