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125B1 -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125B1
KR0185125B1 KR1019960039746A KR19960039746A KR0185125B1 KR 0185125 B1 KR0185125 B1 KR 0185125B1 KR 1019960039746 A KR1019960039746 A KR 1019960039746A KR 19960039746 A KR19960039746 A KR 19960039746A KR 0185125 B1 KR0185125 B1 KR 018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derivative
difluorobenzoylureido
benzoyl
chl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022A (ko
Inventor
김중호
신용우
허정녕
김의덕
박준서
Original Assignee
김용구
주식회사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구, 주식회사한화 filed Critical 김용구
Priority to KR101996003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1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력한 살충작용을 갖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신규한(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I)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Description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조성물
본 발명은 강력한 살충작용을 갖는 하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 신규한(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I)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몇 몇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살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992,533호 및 제4,041,177호에서는 살충작용을 가지는 벤조일 우레이도-디페닐 에테르를 게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4,148,902호에서는 치환된((페닐이미노)카보닐)피리딘 카복사미드를 게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과 더불어 곤충을 억제시키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이밖에 벤조일 우레아가 기술된 선행특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166,124호, 제4,083,977호 및 제4,123,449호, 및 독일 공개 특허 제2,901,334호(유럽특허 제013-414호) 및 제3,104,407호(유럽특허 제57-588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종래의 특허들에서 제시한 화합물들에 비하여 월등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며, 분자구조상 우레아기를 2개 가짐으로서 동일 공정으로 신규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어 경제적인 개발이 가능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다른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환경 친화성이 높은 신규의 살충제이다. 이러한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살충제로 유효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충작용을 나타내는 신규한(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농약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하기 구조식(I)로 표시된다.
상기 식(I)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와 하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희석제 또는 용매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및 X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약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 상기(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를 농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함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희석제 또는 용매존재하에서 하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와 하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1 : 1의 반응몰비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및 X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는 공업적으로 제공되는 화합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IV)로 표시되는 치환된 벤자미드를 공지의 방법 또는 관련 문헌[J. Org. Chem. 27, 3742(1962), J. Pesticide, Sci., 17, 7(1992) 참조]에 기술된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하기 구조식(IV)로 표시되는 치환된 벤자미드 유도체를 옥살릴클로라이드나 포스겐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구조식(IV)로 표시되는 치환된 벤자미드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V)로 표시되는 벤자미드 화합물과 하기 구조식(VI)으로 표시되는 치환된 아민을 상기 식(I)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하기 구조식(V)로 표시되는 벤자미드 유도체를 옥살릴클로라이드나 포스겐을 이용하여 벤조일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로 제조하고, 여기에 하기 구조식(VI)으로 표시되는 치환된 아민 유도체와 반응시켜 상기 구조식(IV)의 치환된 벤자미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상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는 예를 들어,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 메틸 아닐린, 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 메틸아닐린, 2-브로모-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3-클로로-4-시아노 아닐린, 3-트리플루오로메틸-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 4-클로로 아닐린, 또는 3,4-디클로로 아닐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제조시 출발물질로 사용된 상기 구조식(V)로 표시되는 벤자미드류는 예를 들어, 2-클로로, 2,4-디클로로, 2,6-디클로로, 2,3,4,5,6-펜타플루오로, 2,6-디플루오로, 2-플루오로, 2-브로모, 2-요오드 또는 2,3,6-트리클로로 벤자미드류 등이 있다. 또다른 출발물질로 사용된 상기 구조식(VI)으로 표시되는 4-아미노벤자미드 화합물은 예를 들어, 4-아미노-3-브로모 벤자미드, 4-아미노-3,5-디브로모 벤자미드, 4-아미노-3-클로로 벤자미드, 4-아미노-2-클로로 벤자미드, 4-아미노-2,6-디플루오로 벤자미드, 4-아미노-3,5-디클로로 벤자미드, 또는 4-아미노-2,6-디클로로 벤자미드류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 또는 용매는 대부분의 불활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또는 임의로 염소화된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또는 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또는 아세토 니트릴 또는 프로피오 니트릴류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은 일반적으로 0℃에서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며 압력은 정상압력이다. 상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과 상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비는 몰비로 1 : 1이 바람직하나, 한 성분을 과량 사용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영향 받지않는다. 단, 한 성분을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공업적 또는 실험실적인 면에서 경제적으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반응은 상기 불활성 용매를 사용하며, 상기 온도범위에서 2시간 또는 그 이상동안 수행되며, 생성물은 진공여과시킨다. 여과된 고체는 반응에 사용한 용매 또는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재결정시켜 순수한 벤조일 우레아 화합물을 제조한다. 생성물은 모두 결정형태로 존재하며 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I)은 농약조성물에 농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첨가시켜 살충제 및 살균제로 사용되며, 특히 살충제로서 키틴합성을 저해함으로서 탈피를 방해아여 박멸하는 기작을 가지며, 이에 따라 포유류에게는 독성이 낮다. 농경지, 산림지, 저장물의 보호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민감종 및 내성종 뿐만 아니라 모든 성장단계의 해충에 대해서도 활성을 갖는다.
특히,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 N-(2-브로모-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N-(4, 5-디플루오로-2-니트로페닐)-[4-(2, 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N-(4-브로모플루오레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N-(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또는 N-(3,4-디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와 같은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소량으로 농약조성물에 첨가되어도 민감종 및 내성종 뿐만 아니라 모든 성장단계의 해충에 대해서도 활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제조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 출발물질을 합성하기 위하여 2,6-디플루오로벤자미드 15.71그램(100밀리몰)과 150밀리리터의 건조한 디클로로에탄을 250밀리리터 플라스크에 넣은 후, 옥살릴 클로리이드 9.2밀리리터(105밀리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시킨다. 이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후, 4-아미노 벤자미드 13.62그램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와 메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24.08그램(이론치의 79%)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3-트리플루오로메틸-4-클로로아닐린 0.59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0.58그램(이론치의 37%)을 얻었다. 이는 연갈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8.2(m,10H), 10.9(s,2H), 11.4(s,2H)
[실시예 2]
N-(2-브로모-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브로모-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9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03그램(이론치의 53%)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3(m,9H), 10.5(s,2H), 11.1(s,2H)
[실시예 3]
N-(3-클로로-4-시아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 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아미노-2-클로로벤조니트릴 0.46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을 0.69그램(이론치의 46%)을 얻었다. 이는 연갈색분말로서 핵자기 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4(m,10H), 10.7(s,2H), 11.4(s,2H)
[실시예 4]
N-(2,5-디클로로-4-시아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5-디클로로-4-시아노아닐린 0.57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6그램(이론치의 6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8.1(m,9H), 10.6(s,2H), 11.2(s,2H)
[실시예 5]
N-(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놀)-[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아미노-2,6-디클로로페놀 0.5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9그램(이론치의 82%)을 얻었다. 이는 갈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3.9(m,1H), 6.9-80.(m,9H), 10.7(s,2H), 11.0(s,2H)
[실시예 6]
N-(3-클로로피리딘-6-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클로로피리딘 0.3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0그램(이론치의 63%)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8-7.9(m,10H), 10.4(s,2H), 11.0(s,2H)
[실시예 7]
N-(2,5-(디브로모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5-디브로모아닐린 0.7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1그램(이론치의 6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2(m,10H), 10.6(s,2H), 11.1(s,2H)
[실시예 8]
N-(2-브로모-4,5,6-트리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브로모-4,5,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6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43그램(이론치의 8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1(m,8H), 10.9(s,2H), 11.4(s,2H)
[실시예 9]
N-(4,5-디플루오로-2-니트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5-디플루오로-2-니트로아닐린 0.5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5그램(이론치의 80%)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1(m,9H), 11.3(s,2H), 12.5(s,2H)
[실시예 10]
N-(4-브로모-2,6-디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브로모-2,6-디플루오로아닐린 0.6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19그램(이론치의 72%)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9H), 11.0(s,2H), 12.1(s,2H)
[실시예 11]
N-(2-클로로피리딘-5-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5-아미노-2-클로로피리딘 0.3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9그램(이론치의 91%)을 얻었다. 이는 갈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0(m,10H), 10.9(s,2H), 11.8(s,2H)
[실시예 12]
N-(2-클로로피리딘-3-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9-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3-아미노-2-클로로피리딘 0.3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8그램(이론치의 9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1(m,10H), 10.8(s,2H), 11.6(s,2H)
[실시예 13]
N-(3-브로모피리딘-6-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브로모피리딘 0.5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6그램(이론치의 87%)을 얻었다. 이는 갈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10H), 11.0(s,2H), 12.1(s,2H)
[실시예 14]
N-(2,4-디브로모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4-디브로모아닐린 0.7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0그램(이론치의 73%)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3(m,10H), 11.1(s,2H), 12.3(s,2H)
[실시예 15]
N-(2-(피리딘-2-일)에틸)-[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2-아미노메틸)피리딘 0.37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11그램(이론치의 79%)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2.7(m,2H), 3.6(m,2H), 7.1-8.0(m,11H), 10.6(s,2H), 12.5(s,2H)
[실시예 16]
N-(5,6-디메틸벤조티아졸-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6-디메틸벤조티아졸 0.5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19그램(이론치의 75%)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2.6(s,6H), 6.9-7.6(m,9H), 10.7(s,2H), 12.8(s,2H)
[실시예 17]
N-(4-트리플루오로메틸-2-니트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아미노-3-니트로벤조트리플루오로리드 0.6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55그램(이론치의 94%)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9-7.8(m,10H), 11.0(s,2H), 12.1(s,2H)
[실시예 18]
N-(4-클로로-6-메틸피리미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로로)벤조일우레이도페닐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0.4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8그램(이론치의 67%)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3.4(s,3H), 7.0-8.1(m,8H), 10.3(s,2H), 11.1(s,2H)
[실시예 19]
N-(2-퀴놀릴)-[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1-아미노퀴놀린 0.4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그램(이론치의 89%)을 얻었다. 이는 갈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8-8.0(m,12H), 10.8(s,2H), 11.2(s,2H)
[실시예 20]
N-(5-브로모-6-메틸-4-히드록시피리미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브로모-6-메틸-4-피리미디놀 0.61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2그램(이론치의 56%)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2.4(s,3H), 5.5(s,1H), 7.2-8.0(m,7H), 10.6(s,2H), 11.4(s,2H)
[실시예 21]
N-(2-플루오로설포닐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자미드 0.96 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벤젠설포닐 플루오리드 0.5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7그램(이론치의 93%)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7.8(m,11H), 10.6(s,2H), 11.2(s,2H)
[실시예 22]
N-(2-브로모플루오렌-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7-브로모플루오렌 0.7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73그램(이론치의 95%)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3(m,15H), 10.6(s,2H), 11.2(s,2H)
[실시예 23]
N-(5-에틸-1,3,4-티아디졸-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에틸-1,3,4-티아디아졸 0.3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3그램(이론치의 86%)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1.4(s,3H), 2.8(m,2H), 6.9-7.9(m,7H), 10.9(s,2H), 11.2(s,2H)
[실시예 24]
N-(4-이오도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이오도아닐린 0.66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09그램(이론치의 64%)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9-7.8(m,11H), 10.7(s,2H), 11.6(s,2H)
[실시예 25]
N-(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80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41그램(이론치의 77%)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9H), 10.8(s,2H), 11.4(s,2H)
[실시예 26]
N-(5-니트로-피리미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5-니트로피리미딘 0.4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10그램(이론치의 75%)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3(m,9H), 10.3(s,2H), 11.5(s,2H)
[실시예 27]
N-(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 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4-클로로아닐린 0.3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5그램(이론치의 95%)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7(s,11H), 10.6(s,2H), 11.9(s,2H)
[실시예 28]
N-(3,4-디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0.96그램(3밀리몰)과 3,4-디클로로아닐린 0.4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8그램(이론치의 91%)을 얻었다. 이는 황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9-8.0(m,10H), 10.9(s,2H), 11.8(s,2H)
[실시예 29]
N-(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클로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 출발물질을 합성하기 위하여 2,6-디클로로벤자미드 19.0그램(100밀리몰)과 150밀리리터의 건조한 디클로로에탄을 250밀리리터 플라스크에 넣은 후, 옥살릴 클로리이드 9.2밀리리터(105밀리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시킨다. 이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2.6-디클로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오일상태의 2,6-디클로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 벤자미드 13.62그램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와 메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클로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28.7그램(이론치의 81%)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클로로벤조일우레이도)벤자미드 1.05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80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1.11그램(이론치의 5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4-8.2(m,9H), 11.0(s,2H), 12.0(s,2H)
[실시예 30]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3,5-디브로모 벤자미드 29.4그램(100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와 에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29.1그램(이론치의 61%)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1.43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며 오일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3-트리플루오로메틸 4-클로로아닐린 0.59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1.07그램(이론치의 51%)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8(m,8H), 10.8(s,2H), 11.2(s,2H)
[실시예 31]
N-(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 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1.43그램(3밀리몰)과 4-클로로아닐린 0.3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72그램(이론치의 3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6.9-7.7(m,9H), 10.8(s,2H), 11.7(s,2H)
[실시예 32]
N-(3,4-디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 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1.43그램(3밀리몰)과 3,4-디클로로아닐린 0.4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4그램(이론치의 62%)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7(m,8H), 10.9(s,2H), 15(s,2H)
[실시예 33]
N-(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1.43그램(3밀리몰)과 4-플루오로아닐린 0.3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83그램(이론치의 45%)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9H), 10.8(s,2H), 11.6(s,2H)
[실시예 34]
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자미드 1.43그램(3밀리몰)과 4-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 0.5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82그램(이론치의 4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9H), 10.6(s,2H), 11.5(s,2H)
[실시예 35]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3-브로모벤자미드 21.5그램(100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와 에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28.7그램(이론치의 72%)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1.19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 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 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3-트리플루오로메틸-4-클로로아닐린 0.59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0.97그램(이론치의 6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9H), 10.8(s,2H), 11.4(s,2H)
[실시예 36]
N-(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1.19그램(3밀리몰)과 4-클로로아닐린 0.3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5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6그램(이론치의 5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10H), 11.1(s,2H), 12.0(s,2H)
[실시예 37]
N-(3,4-디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1.19그램(3밀리몰)과 3,4-디클로로아닐린 0.4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5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07그램(이론치의 61%)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7.9(m,9H), 10.8(s,2H), 11.6(s,2H)
[실시예 38]
N-(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1.19그램(3밀리몰)과 4-플루오로아닐린 0.3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5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98그램(이론치의 61%)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10H), 11.0(s,2H), 12.1(s,2H)
[실시예 39]
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자미드 1.19그램(3밀리몰)과 4-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 0.53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35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28그램(이론치의 71%)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0]
N-(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3-클로로 벤자미드 17.1그램(100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 에탄 10밀리리터와 에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32.2그램(이론치의 91%)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1.06(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 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5-아미노-2-플루오로 벤조트리플루오로 벤조트리플루오리이드 0.54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 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1.39그램(이론치의 83%)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7.9(m,9H), 11.0(s,2H), 11.9(s,2H)
[실시예 41]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 벤자미드 1.06그램(3밀리몰)과 5-아미노-2-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리이드 0.5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31그램(이론치의 76%)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9H), 10.9(s,2H), 12.0(s,2H)
[실시예 42]
N-=(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1.06그램(3밀리몰)과 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7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82그램(이론치의 42%)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3-8.1(m,8H), 10.8(s,2H), 12.2(s,2H)
[실시예 43]
N-(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1.0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0.5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0그램(이론치의 5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7.9(m,8H), 10.9(s,2H), 12.2(s,2H)
[실시예 44]
N-(3,5-디클로로-피리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1.06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3,5-디클로로 피리딘 0.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59그램(이론치의 3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4-8.1(m,8H), 10.6(s,2H), 12.0(s,2H)
[실시예 45]
N-(2-클로로-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자미드 1.06그램(3밀리몰)과 2-클로로-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아닐린 0.6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0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40그램(이론치의 7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1(m,8H), 11.0(s,2H), 11.8(s,2H)
[실시예 46]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2-클로로 벤자미드 17.1그램(100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와 에탄올 10밀리리터로 각각 세척한 후 건조하여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29.4그램(이론치의 83%)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5-아미노-2-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리이드 0.59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0.6그램(이론치의 34%)를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1(m,9H), 10.9(s,2H), 11.8(s,2H)
[실시예 47]
N-(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2-클로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0.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6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62그램(이론치의 32%)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3-8.2(m,8H), 10.8(s,2H), 11.5(s,2H)
[실시예 48]
N-(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0.58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6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84그램(이론치의 49%)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0(m,8H), 11.8(s,2H), 12.7(s,2H)
[실시예 49]
N-(3,5-디클로로피리딘-2-일)-[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2-아미노-3,5-디클로로피리딘 0.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6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62그램(이론치의 38%)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8H), 11.9(s,2H), 12.8(s,2H)
[실시예 50]
N-(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0.64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6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42그램(이론치의 8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2-8.1(m,8H), 11.4(s,2H), 12.5(s,2H)
[실시예 51]
N-(3-트리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자미드 1.1그램(3밀리몰)과 3-트리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0.5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46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1.4그램(이론치의 82%)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3(m,9H), 11.2(s,2H), 12.4(s,2H)
[실시예 52]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제1단계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오일상태의 2,6-디플루오로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4-아미노-3,5-디클로로 벤자미드 20.5그램(100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 5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한다. 교반 후 여과하고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자미드 25.2그램(이론치의 65%)을 얻었다.
제2단계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합성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자미드 1.16그램(3밀리몰)과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를 50밀리리터 1구 플라스크에 넣어 교반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리이드 0.3밀리리터를 상온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출발원료를 합성할 때와 동일하게 염산가스가 발생하면서 발열한다. 반응물을 8시간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매와 과량의 옥살릴 클로리이드를 진공하에 제거시키면 오일상태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얻게 된다.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1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면서 5-아미노-2-클로로 벤조트리플루오리이드 0.59그램(3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에탄 5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적가한다. 적가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디클로로에탄과 메탄올로 세척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 0.66그램(이론치의 36%)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1(m,8H), 11.2(s,2H), 12.4(s,2H)
[실시예 53]
N-(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5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자미드 1.16그램(3밀리몰)과 4-클로로 아닐린 0.36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52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51그램(이론치의 5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0-8.2(m,9H), 11.0(s,2H), 11.9(s, 2H)
[실시예 54]
N-(4-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5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드)-3,5-디클로로벤자미드 1.16그램(3밀리몰)과 4-플루오로 아닐린 0.32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52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52그램(이론치의 50%)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2(m,9H), 10.8(s,2H), 12.0(s, 2H)
[실시예 55]
N-(3,4-디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5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자미드 1.16그램(3밀리몰)과 3,4-디클로로 아닐린 0.49그램(3밀리몰)을 실시예 52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목적화합물 0.46그램(이론치의 27%)을 얻었다. 이는 백색분말로서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DMSO-d6) : δ=7.1-8.0(m,7H), 10.9(s,2H), 11.8(s,2H)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5에 따른 최종 생성물과 이에 대한 수율을 기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가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해 어느 정도의 방해효과가 있는 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살충활성시험
신선한 양배추잎을 직경 5센미터의 둥근 디스크의 형태로 자른다. 500피피엠 농도의 시험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화합물 25밀리그램을 아세톤과 트리톤 엑스 100의 100피피엠 수용액(일본 약리화학사 제품)이 1 : 9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 50밀리리터에 녹인다. 양배추잎디스크를 상기 약액에 30초간 침적한 뒤 후드내에서 건조시킨다. 깨긋이 건조된 디스크를 직경 5센티미터의 1회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미세한 붓으로 20마리의 배추좀나방 3령유충을 접종한 후 뚜껑으로 밀폐시켜 탈출을 방지한다. 접종 후 25℃, 60% 습도조건에 보관하면서 120시간후의 비정상적인 발육 및 살충률을 조사한다.
250피피엠 농도의 용액 제조는 500피피엠의 용액을 2배 희석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약효평가기준은 다음과 같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5 : 방제가 95%이상에서 100%
4 : 방제가 80%이상에서 95%미만
3 : 방제가 50%이상에서 80%미만
2 : 방제가 30%이상에서 50%미만
1 : 방제가 10%이상에서 30%미만
0 : 방제가 10%미만
[시험예 2]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에 대한 살충활성시험
신선한 양배추잎을 직경 5센티미터의 둥근 디스크의 형태로 자른다. 500피피엠 농도의 시험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화합물 25밀리그램을 아세톤과 트리톤 엑스 100의 100피피엠 수용액(일본 약리화학사 제품)이 1 : 9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 50밀리리터에 녹인다. 양배추잎디스크를 상기 약액에 30초간 침적한 뒤 후드내에서 건조시킨다. 깨끗이 건조된 디스크를 직경 5센티미터의 1회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미세한 붓으로 20마리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유층을 접종한 후 뚜껑으로 밀폐시켜 탈출을 방지한다. 접종 후 25℃, 60% 습도조건에 보관하면서 120시간후의 비정상적인 발육 및 살충률을 조사하였다. 250피피엠 농도의 용액제조는 500피피엠의 용액을 2배 희석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약효평가기준은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며 방제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살충시험 결과, 활성이 우수한 2종류의 화합물에 대해 약액의 농도를 조정하며 활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대조약제로 듀퍼(Duphar)사에서 상품화시킨 디밀린(Dimilin)과 활성도(치사율, %)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는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해서 기존의 키틴합성저해제인 디밀린보다 100배이상의 월등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우레아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추 : 배추좀나방, 담배 : 담배거세미나방

Claims (13)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상기 식(I)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브로모]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브로모]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 우레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5-디클로로]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2-클로로-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2-클로로]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의 유도체가 N-(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이도)-3-클로로]벤조일 우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9. 하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와 하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를 희석제 또는 용매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유도체와(4-벤조일 우레이도)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몰비가 1 : 1임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 또는 용매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손,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또는 임의로 염소화된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티르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또는 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또는 아세토 니트릴 또는 프로피오 니트릴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유도체가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 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 메틸아닐린, 2-브로모-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3-클로로-4-시아노 아닐린, 3-트리플루오로메틸-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 4-클로로 아닐린, 또는 3,4-디클로로 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4-벤조일우레이도)벤조일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활성성분으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4-벤조일 우레이도) 벤조일 우레아 유도체를 유효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조성물.
    상기 식(I)에서 R1, R2,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고, R6, R7, R8및 R9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및 브롬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플로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아세트니트릴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 할로겐 및 탄소수가 1∼3인 알킬기,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딘 유도체,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미노 피리미딘 유도체, 탄소수가 1∼3인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 벤조티아졸 유도체, 피리미딜 에틸 유도체, 퀴놀릴 유도체, 플루오로설포닐 유도체, 플루오레닐 유도체, 또는 티아디아졸릴 유도체이다.
KR1019960039746A 1996-09-13 1996-09-13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KR018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746A KR0185125B1 (ko) 1996-09-13 1996-09-13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746A KR0185125B1 (ko) 1996-09-13 1996-09-13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22A KR19980021022A (ko) 1998-06-25
KR0185125B1 true KR0185125B1 (ko) 1999-05-15

Family

ID=1947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746A KR0185125B1 (ko) 1996-09-13 1996-09-13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1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22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15792B1 (en) Insecticide
KR900006130B1 (ko) 살충성 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JPH04290805A (ja) 除草性カルボキシアミド誘導体
KR910008137B1 (ko) 벤조일우레아 화합물의 제조방법
NZ241526A (en) N-((hetero) aromatically substituted) phenyl carbamate derivatives and biocidal compositions
US6051737A (en) Aryl benzoyl urea derivative and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S216223B2 (en) Insecticide mea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4225965A (ja) 殺虫活性を有するバルビツール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バルビツール酸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剤組成物
KR0185125B1 (ko) (4-벤조일 우레이도)벤조일우레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CA1283662C (en) Benzoyl-ureas exerting an insecticide activity
NZ199256A (en) N-(4-(prop-2-ynylamino)-phenyl)-n'-benzoylureas
EP0140590B1 (en) Benzoylurea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JPH034543B2 (ko)
EP0008881A1 (en) 1-Benzoyl-3-pyridinyl ureas, their use as insecticides, their preparation and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PL116675B1 (en) Insectici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ew urea derivatives
CS231991B2 (en) Herbceous ag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ctive substances
HU194704B (en) Insecticide composition containing benzoyl-urea derivatives as active ag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agents
US4659724A (en) Certain 1-[4-(5-cyano-2-pyridyloxy)phenyl-benzoyl ureas having pesticidal properties
CA1131232A (en) 1-benzoyl-3-(aryloxy-or arylthiopyridinyl) ureas compounds
JPS5835174A (ja) ベンゾイルウレア系化合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殺虫剤
KR0131009B1 (ko) 1-피리도티아졸릴-3-벤조일 우레아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63649A (ja) ベンゾイル尿素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殺虫剤組成物
JPH06263738A (ja) 殺虫および殺ダニ活性を示す新規なピラゾールカルボキサミド
KR830002348B1 (ko) 1-벤조일-3-피리디닐 우레아화합물의 제조방법
JPS61106551A (ja) ジフエニルエ−テ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