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386B1 -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386B1
KR0184386B1 KR1019960070452A KR19960070452A KR0184386B1 KR 0184386 B1 KR0184386 B1 KR 0184386B1 KR 1019960070452 A KR1019960070452 A KR 1019960070452A KR 19960070452 A KR19960070452 A KR 19960070452A KR 0184386 B1 KR0184386 B1 KR 018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user
washing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546A (ko
Inventor
변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3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4Operation tim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3Operation mode, e.g. delicate washing, economy washing, reduced time, sterilizing, water softener regenerating, odor eliminating or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47L2501/265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about the number of remaining operation cycles or the remaining opera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4Change machine operation from normal operational mode into special mode, e.g. service mode, resin regeneration mode, sterilizing mode, steam mode, odour eliminating mode or special cleaning mode to clean the hydraulic circuit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식기의 세척 코스를 실행 중 전원이 오프될 경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전원이 다시 공급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하기를 원하면 상기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 세척 시간 및 세척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의 세척 코스를 실행 중 전원이 오프될 경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전원이 다시 공급되어 사용자에 의해 특별 코스가 선택될 경우 상기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의 단계S50부터 단계S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전원을 넣고 코스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세척코스를 선택한다. 다음에 동작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세척코스를 진행한 후, 급수 펌프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전원이 오프될 경우 처음부터 다시 세척을 진행해야 하므로, 세척시간을 중복하여 사용하여서 시간의 낭비가 있었고, 물, 전력 및 인력의 낭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 및 시간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는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급수회로 및 배수펌프 구동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코스의 진행중 상기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진행 중이던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전압이 다시 공급될 경우, 진행중이던 상기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진행하라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받아서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회로 및 배수펌프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식기의 세척 코스를 실행 중 전원이 오프될 경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기억하는 잔여 세척 코스 기억단계와, 전원이 다시 공급될 경우 상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하는 잔여 세척 코스 실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외관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키입력수단의 확대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키입력수단 122 : 동작버튼
124 : 특별버튼 126 : 일반버튼
128 : 불림코스 선택버튼 130 : 강력코스 선택버튼
132 : 표준코스 선택버튼 134 : 절약코스 선택버튼
136 : 제어수단 138 : 전원공급수단
139 : 교류전원 142 : 메모리
155 : 배수펌프 구동회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2)에는 후술하는 세척조의 밑부분을 가리는 하부패널(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2)에는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06)에는 상기 도어(106)를 개폐하도록 손잡이(1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2)에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고 조작하는 조작 패널(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110)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112)과, 사용자의 조작 명령 및 식기세척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작 패널(110)에는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2) 내의 전기 회로에 전압을 공급/차단하는 전원스위치(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2)의 상측에는 상기 조작 패널(110)에 접속된 상기 하우징(102) 내의 전기회로의 상부를 덮도록 상측 패널(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2)에는 상기 하우징(102) 내의 전기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전원 코드(120) 및 전원 플러그(121)가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112)은 사용자의 동작개시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버튼(122)과, 사용자의 특별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특별버튼(124)과, 사용자의 일반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일반버튼(126)과, 불림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불림코스 선택버튼(128)과, 강력 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강력코스 선택버튼(130)과, 표준 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표준코스 선택버튼(132)과, 절약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절약코스 선택버튼(134)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136)은 세척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전원공급수단(138)은 외부의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을 받아서 상기 제어수단(136)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전원(140)은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전압을 받아서 충전되어서, 교류 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수단 및 후술하는 메모리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예를 들면 24시간이다.
메모리(142)는 세척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타를 기억함과 동시에, 진행되던 세척코스의 나머지 부분을 기억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2)은 사용자의 조갖 명령을 상기 제어수단(136)에 입력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온도 검출수단(144)은 세척조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된 서미스터이다.
도어개폐 검출수단(145)은 상기 도어(106)가 개방/폐쇄된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수위센서(147)는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회로(146)는 상기 제어수단(13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148) 및 급수펌프(150)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가열회로(152)는 상기 세척조 내의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13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히터(154)를 발열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136) 및 전원스위치(116)에 접속된 스위칭회로이다.
배수펌프 구동회로(155)는 상기 제어수단(13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배수펌프(156)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 및 전원스위치(116)에 접속된 스위칭회로이다.
상기 표시수단(114)은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표시신호를 받아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 및 세척동작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36)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5에 있어서, S는 단계(STEP)를 표시한다.
먼저 동작 설명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도어 내측의 세척조에는 식기가 놓여져 있고, 도어(106)가 폐쇄되어 있으며, 전원 플러그(121)는 아직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단계S1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상기 전원플러그(121)를 콘센트에 삽입하였으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메모리(142)에 미리 설정된 설정 레벨이상이어서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2로 진행한다.
다음에 단계S2에서 사용자는 도3에 도시된 특별버튼(124), 일반버튼(126), 불림코스 선택버튼(128), 강력코스 선택버튼(130), 표준코스 선택버튼(132), 절약코스 선택버튼(13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척코스의 버튼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키입력수단(112)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으로 세척코스가 출력된다.
다음에 단계S3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일반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일반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키입력수단(112)의 동작버튼(122)이 눌려졌는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동작버튼(122)이 눌려졌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불림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불림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6으로 진행한다.
단계S6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급수회로(146)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급수회로(146)로부터 상기 급수밸브(148)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급수밸브(148)가 개방되어 외부의 급수관으로부터 세탁조 내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세탁조 내로 공급된 물은 섬프(도시생략)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급수회로(148)로부터 상기 급수펌프(150)에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급수펌프(1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섬프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노즐가이드를 통하여 세탁조 내의 시기에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식기 표면의 이물질이 물에 불려진다. 다음에는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배수펌프 구동회로(155)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배수펌프 구동회로(155)로부터 상기 배수펌프(156)에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배수펌프(156)가 동작한다. 그러면 상기 세척조 내의 물이 상기 배수펌프(15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단계S6에서의 불림코스의 동작 중 상기 제어수단(136)은 단계S7에서 외부의 교류 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계속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의 설정 레벨 이상이어서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계속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8로 진행한다.
단계S8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세척 코스의 동작시간이 상기 메모리(142)에 설정된 설정시간을 초과였는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세척 코스의 진행이 끝났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상기 세척 코스의 진행이 끝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9로 진행한다.
단계S9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최소전력모드로 진입하여 제품 내부의 필요한 곳에만 전압을 공급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로 유지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의 별도의 세척 코스에 관한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단계S7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의 설정 레벨 미만이어서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10으로 진행한다. 단계S10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진행 중인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메모리(142)에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142)는 상기 진행 중인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기억한다. 동시에 상기 교류전원(139)으로부터 급수회로(146)와 상기 가열회로(152), 상기 배수펌프 구동회로(155)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급수 밸브(148)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150)의 동작이 정지된다. 동시에 상기 히터(154)가 발열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상기 단계S1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 220V의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1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메모리(142)에 미리 설정된 설정 레벨 미만이어서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1에서 계속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은 상기 교류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일반코스가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11으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특별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특별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12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상기 메모리(142)에 기억되어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상기 메모리(142)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13으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급수회로(146)와 상기 가열회로(152), 상기 배수펌프 구동회로(155)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실행된다.
상기 단계S13에서의 세척 코스의 나머지 부분의 동작 중 상기 제어수단(136)은 단계S14에서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계속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전압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의 설정 레벨 이상이어서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계속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상기 세척 코스의 나머지 부분의 동작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세척 코스의 나머지부분의 진행이 끝났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상기 세척 코스의 나머지부분의 진행이 끝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16으로 진행한다.
단계S16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메모리(142)에 기억되어 있던 상기 세척코스의 나머지 부분을 지운다.이어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단계S9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 전력 모드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S1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특별코스가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2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세척 코스를 선택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단계S12에서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상기 메모리(142)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0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2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세척 코스를 선택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단계S14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36)의 입력단자(I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의 설정 레벨 미만이어서 외부의 교류 전원(139)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1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진행 중인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메모리(142)에 기억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15에서 상기 세척 코스의 나머지부분의 진행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13으로 진행하여 세척 코스중 진행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계속 실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S4에서 동작버튼(122)이 눌려지지 않았다고 상기 제어수단(136)이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4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동작 버튼(122)이 눌려졌는가를 계속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5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불림코스가 아니라고 상기 제어수단(136)이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18로 진행한다.
단계S18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강력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강력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급수회로(146)와 배수펌프 구동회로(155) 및 상기 가열회로(152)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강력코스가 실행된다. 다음에는 상기 단계S7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18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척코스가 강력코스가 아니라고 상기 제어수단(136)이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20으로 진행한다.
단계S20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표준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표준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급수회로(146)와 배수펌프 구동회로(155) 및 상기 가열회로(152)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표준코스가 실행된다. 다음에는 상기 단계S7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2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표준코스가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22로 진행한다.
단계S22에서 상기 제어수단(136)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절약코스인가를 판별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가 절약코스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36)으로부터 상기 급수회로(146)와 배수펌프 구동회로(155) 및 상기 가열회로(152)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절약코스가 실행된다. 다음에는 상기 단계S7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단계S22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척코스가 절약코스가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단계S5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세척 코스를 선택하기를 기다린다.
한편, 상기 단계S8에서 상기 세척 코스의 진행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S7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6)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3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함과 동시에 세척 코스를 계속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식기의 세척 코스를 실행 중 전원이 오프될 경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전원이 다시 공급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하기를 원하면 상기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 세척 시간 및 세척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급수회로 및 배수펌프 구동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코스의 진행중 상기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진행 중이던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전압이 다시 공급될 경우, 진행중이던 상기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진행하라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받아서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회로 및 배수펌프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키입력수단은 사용자의 동작개시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 버튼과, 식기세척코스의 나머지부분을 진행하라는 사용자의 특별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특별버튼과, 정상적인 세척코스를 진행하라는 사용자의 일반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일반 버튼과, 불림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불림코스 선택 버튼과, 강력 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강력코스 선택 버튼과, 표준 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표준코스 선택버튼 및 절약코스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절약코스 선택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3. 식기의 세척 코스를 실행 중 전원이 오프될 경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기억하는 잔여 세척 코스 기억단계와, 전원이 다시 공급될 경우 상기 마무리하지 못한 잔여 세척 코스를 실행하는 잔여 세척 코스 실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9960070452A 1996-12-23 1996-12-23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452A KR0184386B1 (ko) 1996-12-23 1996-12-23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452A KR0184386B1 (ko) 1996-12-23 1996-12-23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46A KR19980051546A (ko) 1998-09-15
KR0184386B1 true KR0184386B1 (ko) 1999-05-01

Family

ID=1949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452A KR0184386B1 (ko) 1996-12-23 1996-12-23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3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46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7650B1 (en) Washing machine
KR0184386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7963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91107B1 (ko)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102426582B1 (ko) 세탁기
KR100723766B1 (ko)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KR100628926B1 (ko) 식기 세척기의 헹굼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84387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02102137A (ja) 食器洗浄機
KR19990002847A (ko) 식기세척기의 일시정지 알림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09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 방법
KR0159555B1 (ko)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19990011057A (ko) 전자동 세탁기의 잔여세탁행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112093A (ja) 洗濯機
KR970011959B1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JP3063323B2 (ja) 食器洗い機
KR100198579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보관장치 및 그 방법
JPH06335591A (ja) 洗濯機
JP2789410B2 (ja) 食器洗浄機
JPH06154465A (ja) 洗濯機
KR19990008570A (ko)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포 구겨짐방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02005A (ja) 新たに動作設定が可能な制御手段を有する電気機器
KR960013868B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온/냉풍 건조제어방법
KR20028856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JPH0822354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