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388B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88B1
KR0183388B1 KR1019900003528A KR900003528A KR0183388B1 KR 0183388 B1 KR0183388 B1 KR 0183388B1 KR 1019900003528 A KR1019900003528 A KR 1019900003528A KR 900003528 A KR900003528 A KR 900003528A KR 0183388 B1 KR0183388 B1 KR 018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pair
elastic arms
accommod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264A (ko
Inventor
미끼오 신도
마사나오 요시다
유끼하사 후지따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1001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암·수 코넥터 하우징을 갖춘 전기 코넥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콘텍트수용실내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태브 콘텍트의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숫 코넥터 하우징을 위한 플러그통체의 종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기 제4도의 5-5선 및 6-6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코넥터의 암·수 코넥터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암·수 코넥터가 서로 취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숫 코넥터의 다수의 플러그통체중 한 플러그통체를 상세하게 예시하는 종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기 제9도의 10-10선 및 11-11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전기 코넥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50 : 콘텍트 21, 54 : 걸림돌기
23 : 수직 꼬리날개 30, 60 : 코텍터 하우징
31a, 62 : 콘텍트수용실 37 : 탄성아암(콘텍트 지지수단)
38 : 자유단부 39 : 터이퍼, 리브
39a : 돌기 55 : 공간부
56 : 절결부
본 발명은 전기 코넥터에 관해, 특히 코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콘텍트수용실에 콘택트가 삽입된 경우에, 이 콘택트가 확실히 정위치에 지지·고정되는 한쌍의 탄성아암을 갖춘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2도는, 일본 특허공보 제30270/76호에 가리킨 전기 코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중앙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전기 절연재료로 형성된 코넥터 하우징(1)은 의면이 거의 4각통상(角筒狀)으로 형성되고, 그 상벽(2)의 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1의 걸림돌기(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6)와 대향하여 저벽(3)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2의 걸림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상벽(2)의 내부표면(11)에서 경사아래쪽으로 향하여 뻗고, 그 선단부가 수평으로 되는 아암(10)이 설치되고, 이 아암(10)의 선단부에는 곡면부(12)와 연결되는 단부(段部)(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코넥터 하우징(1)에 대하여, 도체(17)를 접속한 콘택트(18)가 도면의 좌측방향에서 삽입된다. 즉, 콘택트(18)를 곡면부(12)의 외면에 따라 슬라이드시켜, 아암(10)자체의 탄성에 대항하여 삽입하면, 콘택트(18)의 상면(19)의 후단이 아암(10)의 곡면부(12)가 빠진 위치에서 아암(10)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원하고, 콘택트(18)의 후단은, 아암(10)의 단부(13)와 걸어맞추어진다. 한편, 콘택트(18)의 부분(14)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제1의 걸림돌기(6)와 아암(10)의 단부(13)와의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등하게 형성하여 있다. 따라서, 이 걸림돌기(6)와 아암(10)의 단부(13)와의 사이에 콘택트(18)의 부분(14)이 메워지고,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에의 콘택트(18)의 이동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의 제2의 걸림돌기(7)는 콘택트(18)의 선단하부의 연결돌부(15)에 맞닿고, 콘택트(18)의 아래방향부분의 전방에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종래의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의 코넥터 하우징(1)에 대한 코택트(18)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의 지지·고정수단은, 상기와 같이, 코넥터 하우징의 상벽(2)의 내부표면에서 뻗는 아암(10)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아암(10)에 적당한 탄성력을 갖게하기 위해서는, 이 아암(10)의 선단부와 내부표면(11)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 때문에, 코넥터 하우징(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되어 버리고, 이 종류의 전기 코넥터의 소형화가 실현하기 어려운 것을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콘택트가 코넥터 하우징의 콘택트수용실의 정위치에 확실히 지지·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넥터 하우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소형화의 요청에 합치할 수 있는 전기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 코넥터는, 대향하는 한상의 상하벽 및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택트수용실을 가지는 코넥터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수용실내에 삽입되는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상기 수용실의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콘택트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 전기 코넥터에 관련된다. 상기 코넥터의 특징은 콘택트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 유지수단이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서 안쪽으로 뻗고, 또한,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상벽에 근접하여 뻗는 한쌍의 탄성아암을 포함하고 있다. 이 한쌍의 탄성아암은 자신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콘택트의 걸림돌기와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는, 콘텍트를 콘텍트수용실의 단부에서 각 코넥터 하우징의 콘택트수용실로 삽입하면, 상기 콘택트의 상면에 설치한 걸림돌기가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아암을 안쪽에서 수평방향으로 각 코넥터 하우징의 측벽내 표면을 향하여 눌러 넓혀지게 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의 통과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가 탄성아암의 자유단부를 통과한 곳에서, 탄성아암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수평면내에서 초기위치로 복원한다. 즉 탄성아암의 자유단부에 형성한 단부와 콘택트의 걸림돌기의 후단이 걸어맞추어지고, 걸림돌기를 싸는 것과 같이 지지·고장하고, 콘택트의 후방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콘택트의 전방에의 이동의 규제는, 콘택트수용실의 전단내벽표면에 콘텍트의 전단부가 맞닿음으로서 행하여 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코넥터는, 좌우방향으로 휘어지는 한쌍의 탄성아암을 채용함과 동시에, 콘택트와 하우징사이에 소정의 돌림멈춤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이 전기 코넥터는 콘택트수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기 수용실내에 삽입되고, 이 수용실내의 소정위치에 유지된 콘택트를 갖추고 있다. 이것의 특징은 상기 콘택트의 상면부에는 상방에 돌출하는 걸림돌기가 설치되고, 또한, 이 걸림돌기에는 상기 콘택트의 삽입방향으로 뻗는 연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실내벽에는, 이 수용실내에 삽입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연직홈와 맞추어지는 리브와, 상기 콘택트삽입시 상기 걸림턱에 눌려서 좌우양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또한 삽입후는 이 걸림돌기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콘택트의 삽입방향 후방측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쌍의 탄성아암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콘택트의 상면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가 설치되는 한편, 하우징의 콘택트수용실 내벽에는, 콘택트삽입시 그 걸림돌기에 눌려서 좌우양측으로 휘어지고 또한 삽입후는 이 걸림돌기와 걸어맞춤하여 콘택트의 삽입방향 후방측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쌍의 탄성아암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서아암에 의한 콘택트 유지기능(콘택트의 삽입방향 후방측에의 이동규제기능)을 하우징을 높게 하는 일이 없이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콘택트의 걸림돌기에는 그 삽입방향으로 뻗는 연직홈부가 형성되는 한편,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내벽에는, 이 수용실내에 삽입된 콘택트의 연직홈부와 맞춤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콘택트에 뒤틀리는 모멘트 하중이 작용하여도, 이것에 의한 콘택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콘넥터의 하우징높이를 억제할 수가 있는 데다가, 콘텍트를 하우징의 콘텍트 수용실내의 소정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전기 코넥터의 소형화 및 신뢰성 확보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에 설치된 리브는, 콘택트의 연직홈부와 걸어맞추어짐에 의하여, 콘택트삽입시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각 탄성아암과 콘택트의 걸림돌기와의 맞물림에 치우침이 일어나지 않도록 콘택트를 셋트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유지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리셉터클 콘택트(20)를 삽입하는 외형이 거의 4각형으로 형성된 숫 코넥터 하우징(30)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플러그통체(31)가 소정의 극수(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9극)에 따라 소정의 종횡배열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플러그통체(31)내에는 콘택트수용실(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숫 코넥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록장치(40)을 가진다. 이 록장치(40)는, 숫 코넥터 하우징(30)의 상면에서 플러그통체(31)의 돌출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또한 수평으로 뻗는 한쌍의 플러그(42,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42,42)의 선단의 양측에 한쌍의 안내날개(42a,42a)(한쪽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러그(42,42)의 전방에 위치하는 플러그통체(31)의 상면에 플러그(42,42)의 선단과 플러그통체(31)의 상면과의 간격을 폐쇄하는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43)는 플러그통체(31)의 후술하는 암 코넥터 하우징에 역으로의 취합을 방지하고, 혹은 상기 플러그(42)의 선단에 플러그통체(31)의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리셉터클 콘택트(20)에 접속되는 전선이 부주의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상기 숫 코넥터 하우징(30)과 조합되는 것으로, 암 코넥터 하우징(60)이 있다. 이 암 코넥터 하우징(60)에는, 제2도에 가리키는 바 같이, 상기 플러그통체(31)를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통체수용실(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수용실(61)은,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길이의 거의 반정도의 길이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형성되고, 나머지 거의 반에는 삽입된 태브 콘택트(5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콘택트수용실(6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것들의 통체수용실(61)과 콘택트수용실(62)은 내부에서 연통하고 있다.
상기의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상면의 전단부에, 상기 숫 코넥터 하우징(30)에 설치한 록장치(40)의 플러그(42,42)를 받아딜이는 절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절결부(63)의 아래쪽에 상기 돌기부(43)를 받아들이는 단부개구의 슬릿(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숫 코넥터 하우징(30)과 암 코넥터 하우징(60)는 제2도에 가리키는 바같이 조합하게 된다.
즉, 숫 코넥터 하우징(30)측의 플러그통체(31)가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통체 수용실(61)에 삽입될 때, 록장치(40)의 선단에 설치한 돌기부(43)가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슬릿(64)내를 슬라이드하여 전진하고, 플러그(42)를 절결부(63)에 인도하는 가이드 역활을 완수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42,42)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날개(42a,42a)가 절결부(63)의 개구단(63a)의 폭에 규제되고, 서로 안쪽방향으로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 안내날개(42a,42a)가 개구단(63a)의 내부에 들어가면, 안내날개(42a,42a)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절결부(63)의 후단형상에 따라서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 때문에, 숫 코넥터 하우징(30)과 암 코넥터 하우징(60)이 굳게 결합하게 된다.
또, 플러그(42,42)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안내날개(42a, 42a)의 후단과 절결부(63)의 후단과의 결합이 빠지고, 숫 코넥터 하우징(30)을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서 록 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숫 코넥터 하우징(30) 및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내부구조의 상세를 제2도와 함께,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4도 내지 제6도는 리셉터를 콘택트(20)이 삽입되는 1개의 플러그통체(31)만을 가리키고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구조의 플러그통체(31)가 종횡으로 복수개배열 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플러그통체(31)는, 예를 들면 나이론과 같은 전기절연재료에 의하여 거의 4각통상으로 형성되고, 상벽(32), 저벽(33) 및 좌우의 양측벽(34,35)를 가진다. 이 상벽(32) 및 양측벽(34,35)에서 플러그통체(31)의 안쪽으로 뻗는 기부(36,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기부(36,36)의 대향면(36a,36a)의 일부에서 플러그통체(31)의 내부의 콘택트수용실(31a)의 전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또는 저벽(33)에 대하여 수평으로 뻗는 한쌍의 탄성아암(37,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아암(37,37)은 그 선단의 자유단부(38,38)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39,39)가 형성되어 있다(제6도 참조). 또, 상기 자유단부(38,38)에는, 리셉터클 콘택트수용실(31a)에의 삽입 방향과 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단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탄성아암(37,37)은, 그 기부(36,36)에 붙어있는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서로 넓게 열리도록 휘는 것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플러그통체(31)내의 콘택트수용실(31a)는, 리셉터클 콘택트(20)이 수용된 때에는, 그 전방 및 폭방향으로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필요에 따라 충분한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를 콘택트(20)의 전단부(22)가 콘택트수용실(31a)의 단부표면(31b)에 맞닿음에 의하여 삽입방향과 역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콘택트수용실(31a)는 상벽(32)의 내면과 연결하는 미끄러운 곡면의 내면(31e)를 가지며, 이내면(31e)은 리셉터클 콘택트(20)의 전단부(22)의 삽입시의 가이드로 된다.
상기의 콘택트수용실(31a)은 통로(31c)와 연통하고, 이 통로(31c)는 플러그통체(31)의 일단을 향하여 테이퍼상으로 열려 있다. 또, 콘택트수용실(31a)의 타단은, 제2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20)가 삽입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넓이로 열려 있다.
상기의 콘택트수용실(31a)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콘택트(20)에는 걸림돌기(21)의 후방에 수직꼬리날개(23)를 가진다. 이 수직꼬리날개(23)는 상기 탄성아암(37,37)간에 게재되고, 리셉터클 콘택트(20)의 삽입후에 제6도의 화살표 방향에의 잡아당기는 힘이 리셉터클 콘택트(20)에 가해진 경우에, 탄성아암(37,37)의 화살표 Y방향의 분력의 발생에 수반하는 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즉, 이 수직고리날개(23)의 게재에 의하여 탄성아암(37,37)의 좌굴강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탄성아암(37,37)은 각 콘택트수용실(31a)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암 코넥터 하우징(60)내의 콘택트수용실(62)에도 각각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탄성아암(37,37)이 형성된다.
다음, 제3도에, 상기 콘택트수용실(31) 및 (62)내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콘택트(20)와, 태브 콘택트(50)를 가리킨다. 제3도에 있어서, 리셉터클 콘택트(20)는, 판재를 사용하여 단면이 거의 각형으로 프레스형성되고, 쇄선으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단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점차 하강하는 판스프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부(24)는, 다른쪽의 태브 콘택트(50)의 선단의 접촉핀부(51)를 받아들일때에, 그 접촉판부(51)의 상면에 압착하고, 리셉터클 콘택트(20)와 태브 콘택트(50)과의 전기적 접속을 완전하게 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상기의 리셉터클 콘택트(20) 및 태브 콘택트(50)의 후단에는, 각각 U자형의 2련의 압착부(25,26) 및 (52,53)에 전선(70)의 도체(72) 및 절연피복층(71)이 각각 압착·고정된다.
다음에, 다시 제6도를 참조하여, 탄성아암(37,37)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플러그통체(31)의 좌단을 향하여, 제6도에서는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향하여 콘택트수용실(31a)에 리셉터를 콘택트(20)가 삽입되면, 리셉터클 콘택트(20)는 플러그통체(31)의 저벽(33)의 안표면을 슬라이드하여 전진한다. 그러면, 리셉터클 콘택트(20)의 걸림돌기(21)가, 대향하는 기부(36,36)의 간격을 통과하여, 탄성아암(37,37)에 이른다. 그리고, 이 탄성아암(37,37)의 테이퍼(39,39)에 안내되면서, 다시 전방으로 나아가고, 탄성아암(37,37)의 자유단부(38,38)를 서로 바깥쪽으로 눌러 넓히며, 테이퍼(39,39)를 통과한 곳에서, 걸림돌기(21)의 후단이 단부(38a,38a)에 떨어진다. 즉, 바깥쪽에 눌러 넓혀진 탄성아암(37,37)이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원하고, 걸림돌기(21)의 후단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셉터클 콘택트(20)의 전단부(22)는, 콘택트수용실(31a)의 단부표면(31b)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남기로 위치가 규제된다. 이상에 의하여, 리셉터클 콘택트(20)는 콘택트수용실(31a)내의 정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암 코넥터 하우징(60)의 콘택트수용실(62)에 대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태브 콘택트(50)가 콘택트수용실(62)내에 지지·고정되고,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남기로 태브 콘택트(50)의 좌우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 리셉터클 콘택트(20) 및 태브 콘택트(50)에 대하여 삽입방향과 반대방향, 즉, 빠지는 방향의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 각각 걸림돌기(21)에 인접하여 설치한 수직꼬리날개(23)가 탄성아암(37,37)사이에 게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6도의 화살표(Y)로 가리킨 방향에의 탄성아암(37,37)의 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걸림돌기(21)의 후단과 탄성아암(37,37)의 단부(38a,38a)와의 결합이 빠짐이 없이, 리셉터클 콘택트(20) 및 태브 콘택트(50)의 이동이 완전히 저지되고, 정위치에서의 고정이 확실히 된다.
제7 내지 11도의 코넥터는 제1 내지 6도의 코넥터의 동일부품에 대해 부호를 동일하게 표기한 대안적인 실시예이다. 제7 내지 11도의 리셉터클 콘택트(20)와 태브 콘택트(50)는, 이들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U-형 걸림돌기(54)를 가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6도의 것과 같다. 걸림돌기(54)의 전방절반부는 1쌍의 플랜지(54a,54b)가 사이에 공간부(55)를 두고 절결·형성되어 있다. 콘택트(20)의 상면전단부의 양측 및 접촉핀부(51)의 후단부에도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제7도 내지 11도의 하우징(30) 및 (60)의 콘택트수용실(31a) 및 (62)은, 제7도 내지 11도의 수용실(31a) 및 (62)이 수용실의 내부단에 수용실의 상벽 및 내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기하는 연직리브(39)를 가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6도의 것과 같다. 이들 연직리브(39)는 양 플랜지(54a,54b) 사이에 있는 걸림돌기(54)의 공간부(55)에 배치될 수 있게끔 공간부(55)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하여서, 콘택트(20,50)가 수용실(31a,62)에 삽입되었을때, 콘택트(20,50)를 안내하고 또한 회전력이 전선(70)으로부터 전달될 때 콘택트가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탄성아암937)은 콘택트(20,50)의 걸림돌기(54)와 일률적인 결합을 유지하게 되어 콘택트(20,50)가 콘택트수용실(31a,62)의 정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진다.
양 돌기(39a,39a)는 수용실(31a,62)의 양측벽의 내면 및 리브(39)의 저단에 인접한 내부단으로부터 서로 돌출하여 수용실(31a,62)에 삽입된 콘택트(20,50)의 절결부와 맞추어지도록 한다. 양 돌기(39a,39a)는 수용실(31a,62)내에서의 콘택트(20,50)의 회전운동을 한층 더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 리셉터클 콘택트에 삽입되는 태브 콘택트가 각각의 콘택트수용실내에 탄성아암의 작용에 의하여 확실히 지지·고정할 수 있고, 또한, 그 탄성 아암은 종래와 같이 수직방향이 아니고, 수평방향으로 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코넥터·하우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이 종류의 전기 코넥터의 수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콘택트수용실의 내부단에 있는 연직리브와 돌기들은 콘택트의 비틀림을 억제시켜 수용실에서 콘택트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한다.

Claims (4)

  1. 대향하는 한쌍의 상하벽 및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1이상의 콘택트수용실을 가지는 코넥터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수용실내에 1이상의 삽입되는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상기 수용실의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콘택트유지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이 콘택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유지수단이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서 안쪽으로 뻗고, 또한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상벽에 근접하여 뻗는 한쌍의 탄성아암을 포함하고, 이 한쌍의 탄성아암이 상기 콘택트의 걸림돌기와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자유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면에, 상기 한쌍의 탄성 아암의 사이에 게재하는 수직 꼬리날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벽내부에는 상기 공간부안에 배치되는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돌기부가 상기 콘택트수용실의 양측벽내면으로부터 서로 마주하여 돌기하여서 상기 콘택트의 절결부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KR1019900003528A 1989-03-17 1990-03-16 전기 코넥터 KR0183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3563 1989-03-17
JP1063563A JP2631549B2 (ja) 1989-03-17 1989-03-17 電気コネクタ
US488,0809 1990-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264A KR910016264A (ko) 1991-11-05
KR0183388B1 true KR0183388B1 (ko) 1999-05-15

Family

ID=13232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28A KR0183388B1 (ko) 1989-03-17 1990-03-16 전기 코넥터
KR1019900003528Q KR900015392A (ko) 1989-03-17 1990-03-16 전기 코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28Q KR900015392A (ko) 1989-03-17 1990-03-16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31549B2 (ko)
KR (2) KR0183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133B2 (ja) * 1991-06-19 1996-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116A (en) * 1977-07-25 1979-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inting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264A (ko) 1991-11-05
JPH02244577A (ja) 1990-09-28
JP2631549B2 (ja) 1997-07-16
KR900015392A (ko) 199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141A (en) Connectors with primary and secondary lock structure
US4984998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3995174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616807B (zh) 具有高保持力的电连接器
KR970004146B1 (ko) 단자 위치 보증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5833486A (en) Press-contact connector
US4979912A (en) Electrical connector
US4891021A (en) High density socket contact receptacle
US5118306A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20180034185A1 (en) Connector
EP0425130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secondary lock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US6056582A (en) Lever fitting connector
US5470258A (en) Electrical connector
US3789343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292632B1 (ko) 편평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시스템
GB2262664A (en)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KR100198409B1 (ko)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US632240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KR0183388B1 (ko) 전기 코넥터
US47267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s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US4992063A (en) Electrical connector
US6328606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9455527B2 (en) Connecto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