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183B1 -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 Google Patents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183B1
KR0183183B1 KR1019950019850A KR19950019850A KR0183183B1 KR 0183183 B1 KR0183183 B1 KR 0183183B1 KR 1019950019850 A KR1019950019850 A KR 1019950019850A KR 19950019850 A KR19950019850 A KR 19950019850A KR 0183183 B1 KR0183183 B1 KR 018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oxamer
gum
herbal
medicinal ingredients
solub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290A (ko
Inventor
양태선
탁희천
김학형
Original Assignee
박해룡
고려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룡, 고려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해룡
Priority to KR101995001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183B1/ko
Publication of KR97000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기약 성분중 생약성분과 양약성분을 가용화시켜서 액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과 기타성분을 혼합하고 여기에 검류 및 폴록사머를 첨가하여 가용화시킨 조성물 및 그 가용화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렇게 제조된 조성물은 첨전이 생성되지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약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본 발명은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에 관한 것이다.
감기의 제증상을 완화 또는 해소하고자 여러 가지 유효성분을 사용하고 이와함께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병용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이러한 복합제제가 많이 개발되어 경구제형으로 사용해오고 있다.
정제, 캅셀제 및 과립제와는 달리 액제의 형태로 투여될 때에는 복용 편이성과 신속한 약효 발현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때 조제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시판품들은 생약성분과 여러 유효성분들이 반응을 일으켜 침전이 발생되고 또한,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조제후 또는 유통기간내에 침전이 형성되는 문제를 갖고 있고 이러한 제제학적으로 불안정한 조제물이 시판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성분 함유 경구용 액제 조제시 이러한 침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세막을 이용한 여과를 하여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침전이 야기되는 성분의 양을 어느정도의 과량투입하여 여과에 의한 손실분을 보정하는 실정이다.
또한 복용자들의 약에 대한 응낙도(Compliance)가 떨어질수 있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렇게 제제학적으로 적합하지 않는 침전문제를 해결하고자 오랫동안의 연구 끝에 기존의 제제학적인 방법과는 전혀 다르고 제제학적으로 안정한 무독성의 가용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알려진 무독성의 성분들을 단독 또는 혼합사용함으로서 현탁되어 있는 액제를 맑고 투명하게 녹일 수 있고 미세막을 통한 여과를 하지 않아도 침전발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성분의 일정과량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으로 제조원가를 낮추는 산업적으로도 유용한 방법이라 하겠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용해시킬 때에 검(Gum)류와 폴록사머(Poloxmer)를 병용하여 사용하여 가용화시키면 생약성분이나 및/또는 양약성분이 전혀 침전이 생성되지 않아 대단히 안정한 약제를 제조할 수 있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함유하는 액제의 제조에 있어서 검(Gum)류와 폭록사머(Poloxmer)를 첨가하여 안정한 액제를 제공하는 가용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함유하는 액제의 제조에 있어서 검(Gum)류와 폴록사머(Poloxmer)를 첨가하여 제조된 안정한 액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Gum)류로는 다당류(polysaccharide) 에 속하는 의약용검(Gum)류로서 특히 아라비아검, 구아검, 산탄검, 트라가칸트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검류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폴록사머를 이용하여 물질의 가용화 및 안정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가 보고되어있다.
[Reddy RK, Khalil SA, Goda MW, Effect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in rats.; J Pharm Sci 1979; 65; 115-118, Collett JH, Tobin EA. Relationships between poxamer structure and the solubilization of some para-substituted acetanilides.; J Pharm Pharmscol 1979; 31; 174-177., Collett JH, Rees JA, Buckley Dl. The influcnce of some structurally related pluonics on the hydrolysis of aspirin.; J Pharm Pharacol 1979; 31(suppl); 809., Lin S-Y, Kawashima Y. The influence of three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surface-active block copolymers on the solubility behavior of indomethacin.; Pharm Acta Helv 1985; 60; 339-344.; El Shaboury MH. Effect of surfactant treated diluents on the dissolution and bilavailability of frusemide from capsules and tablets.; Acta Pharm Fenn. 1989; 98; 253-259, Wang P-L, Johnston TP. Thermal-induced denaturation of two model proteins: effect of poloxamer 407 on solution stability. Int J Pharmaceutics 1993: 41-49.].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지만 검(Gum)류와 폴록사머(Poloxamer)류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우수한 가용화효과를 얻는다는 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검(Gum)류와 폴록사머(Poloxamer)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이러한 가용화 효과가 크게 증가하며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약성분으로는 d,1-클로로페닐아민 말리에이트(d,1-Chlorpheniramine maleate), 페닐프로파놀아민(Phenylpropanolamine), 카페인(Caffeine), 라임소자임(Lysozyme) 및 그 염산염, 세미알칼리 프로테아제, 아세트 아미노펜(Acetaminophen), 텍스트로메트로판 및 구아이페네신 및 기타 통상의 양약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한약으로서는 갈근탕, 소청룡탕, 향소산, 감초 및 길경엑기스 및 기타 생약엑기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갈근탕, 소청룡탕 및 향소산은 다음의 조성을 가진다.
* 상기 표중 숫자는 각각의 생약의 중량비율이며, 이들 엑기스의 제조방법은 각각 약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용화물질의 함유량은 검(Gum)류의 경우 0.01-10%를 사용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0.05-1.5%이다. 투여되는 용액의 함유량은 0.01-20.0%, 바람직하게는 0.1-10.0%일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록사머로는 폴록사머124, 폴록사머188, 폴록사머237, 폴로사머 338 및 폴록사머 407이다.
본 발명의 경구용 액제는 적합한 통상적 부형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은 무독성인 약제학적물로서, 예를 들면 완충제, 등장화제, 보완제, 안정화제, 감미제, 착향제, 착색제, 황산화제등이다.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비타민류를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치료 농도 범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경구용 액제의 pH는 2.0-7.0이고, 바람직하게는 pH는 3.0-6.0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경구용 액제는 경구용 pH에 적합하였으며, 장기 보관시에도 침전이 형성되지 않아 약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산업적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험예 1]
[가용화 실험]
실험방법 : 실시예 1에서 각각의 가용화제와 가용화제를 혼합하여 각각 조제한 후 기기 분석으로 함량을 측정하였다.
CPM : d1-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CAF : 무수 카페인,
PPA : 페닐프로파놀아민, LSZ : 라이소자임 HCl,
감초 : 글리시리진으로서 정량
[실험예 2]
[안정성 시험]
실험방법 : 혼탁 및 침전 여부에 대한 성상관찰은 육안으로 하였고, 함량 시험은 기기분석으로 측정하였다.
CPM : d1-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CAF : 무수 카페인,
PPA : 페닐프로파놀아민, LSZ : 라이소자임 HCl,
감초 : 글리시리진으로서 정량함.
ATP : 아세트아미노펜, CPM : d1-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DTM : 덱스트로메토판 HBr,
GFN : 구아이페네신, CAF : 무수 카페인, PPA : 페닐프로파놀아민,
LSZ : 파이소자임 HCl,
GLC : 글리시리진, PAN : 파코니플로린, EPD : 에페드린
ATP : 아세트아미노펜, CPM : d1-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DTM : 덱스트로메토판 HBr,
GFN : 구아이페네신, CAF : 무수 카페인, PPA : 페닐프로파놀아민,
LSZ : 라이소자임 HCl,
GLC : 글리시리진, PAN : 파코니플로린, EPD : 에페드린
이상의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검류 단독 또는 폴록사머 단독을 사용할 때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검류와 폴록사머를 병용하여 사용하였을 때 대단히 우수한 가용화 및 안정화 효과가 있었다.

Claims (2)

  1. 감기약 성분중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가용화시켜서 액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약성분으로서 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페닐프로파놀아민, 카페인, 라이소자임, 세미알칼리 프로테아제, 아세트아미노펜, 덱스트로메토판 및 구아이페네신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약성분; 생약성분으로 갈근, 감초, 건강, 계피, 대추, 마황, 반하, 세신, 소엽, 오미자, 작약, 진피, 향부자, 길경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엑기스; 및 보조제, 부형제, 완충제, 항산화제, 착향제 및 감미제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보조제 및; 잔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검류 0.01-10.0%(중량)와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및 폴록사머 407에서 선택된 폴록사머 0.01-50.0%(중량)를 첨가하여 가용화 및 안정화시키는 방법.
  2. 감기약 성분중 생약성분 및 양약성분을 가용화시켜서 액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약성분으로서 클로로페니라민 말리에이트, 페닐프로파놀아민, 카페인, 라이소자임, 세미알칼리 프로테아제, 아세트아미노펜, 덱스트로메토판 및 구아이페네신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양약성분; 생약성분으로 각근, 감초, 건강, 계피, 대추, 마황, 반하, 세신, 소엽, 오미자, 작약, 진피, 향부자, 길경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엑기스; 및 보조제, 부형제, 완충제, 항산화제, 착향제 및 감미제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보조제 및; 잔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검류 0.01-10.0%(중량)와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및 폴록사머 407에서 선택된 폴록사머 0.01-50.0%(중량)를 첨가하여 가용화 및 안정화시킨 제제.
KR1019950019850A 1995-07-06 1995-07-06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KR018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850A KR0183183B1 (ko) 1995-07-06 1995-07-06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850A KR0183183B1 (ko) 1995-07-06 1995-07-06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90A KR970005290A (ko) 1997-02-19
KR0183183B1 true KR0183183B1 (ko) 1999-05-01

Family

ID=1941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850A KR0183183B1 (ko) 1995-07-06 1995-07-06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1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90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0354B1 (de) Feste und flüssige lösungen von schwer wasserlöslichen arzneistoffen
FI95656B (fi) Menetelmä analgeettisen poretabletin valmistamiseksi
KR20090113777A (ko) 불쾌한 맛을 은폐한 경구 조성물
JP2006508104A (ja) 難溶性風邪薬の経口投与用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濃縮液及びその製造方法
EP2068824A2 (en) High dose orally dissolvable/disintegrable lyophilized dosage form
US20100285147A1 (en) Crude drug extract-blended liquid medicine
JPH10287560A (ja) 医薬組成物
KR20090021288A (ko) 피로 예방 및/또는 회복을 위한 의약
ES2868955T3 (es) Tratamiento médico que comprende la administración enteral de edaravona
JP2007161675A (ja) 疲労改善内服剤
KR0183183B1 (ko)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액제의 안정화 방법 및 이 안정화된 액제
JP2007016053A (ja) 抗悪性腫瘍剤
KR101102801B1 (ko) 의약 조성물
EP2452674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blood platelet levels in humans
JP2005023008A (ja) ビタミンb群を含有する内服液剤組成物
EP0869806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worms and muirapuama
JP6114133B2 (ja) クコシエキス含有内服液剤、可溶化剤および可溶化方法
KR101736654B1 (ko) 분지쇄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액상 현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30716A (zh) 咖啡因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62664B2 (ja) 安定な総合ビタミン凍結乾燥製剤
KR101458670B1 (ko) 분지쇄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330277A (ja) 漢方内服液剤
KR20030019902A (ko) 내복 액상 제제
Sen et al. FORMUATION AND EVALUATION OF DRY SUSPENSION OF ORNIDAZOLE AS PARENTERALS
JPH07116039B2 (ja) 安定な塩酸トリメトキノール内用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