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980B1 -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980B1
KR0182980B1 KR1019960021576A KR19960021576A KR0182980B1 KR 0182980 B1 KR0182980 B1 KR 0182980B1 KR 1019960021576 A KR1019960021576 A KR 1019960021576A KR 19960021576 A KR19960021576 A KR 19960021576A KR 0182980 B1 KR0182980 B1 KR 018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ape
power supply
sen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540A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980B1/ko
Publication of KR98000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비디오 장치의 전원공급 회로에 있어서, 특히 비디오 전원 차단모드(대기상태)시 공급하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재
종래의 비디오데크 장치는 전원차단모드(대기상태)에서도 항시 테이프상태 체크 센서들에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했기 때문에 실제 35미리암페어에서 80미리암페어까지의 전류를 소모시켰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3 .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비디오장치의 전원차단모드(대기상태)에서 테이프를 삽입 할때만 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한다.
4 .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비디오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Description

비디오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전원공급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전원공급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데크에 데이프가 삽입되는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비디오 장치의 전원공급 회로에 있어서, 특히 비디오 전원 차단모드(대기상태)시 공급하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반가정에서 전자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됨에 소비전력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전자기기 제품마다 소비전력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상기 전자기기 중에 하나인 비디오 기기의 절전회로는 통상적으로 전원을 차단할 시 필요한 전원 즉, 시작 및 종료 센서와 그 센서를 구동하는 발광다오오드, 테이프-업 릴 센서(tape-up reel sensor), 공급 릴 센서(supply reel seneor)의 전원만을 남기는 정도였다.
그러면, 제1도의 블럭구성도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마이컴(110)은 키입력단 출력신호와 리모콘 수신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각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시작센서(start sensor)(120)와, 종료센서(end sensor)(13)는 제1 발광다이오드(1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센싱하여 상기 마이컴(110)으로 자기테이프의 시작점과 종료시점을 센싱한다. 이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시작점과 종료점은 자성물질이 입혀지지 않은 투명한 부분이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140)로부터 조사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테이크-업 릴 센서(take-up reel sensor)(150)와, 서플라이 릴 센서(supply reel sensor)(180)는 자기테이프의 끊어짐 및 자기테이프의 잔여량상태를 센싱한다.
이때, 전원을 차단모드(대기상태)로 할 시 상기 각각의 센서 및 마이컴에 인가되는 전원은 그대로 유지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전원차단모드(대기상태)에서도 항시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했기 때문에 실제 35미리암페어에서 80미리암페어까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장치의 전원차단모드(대기상태)에서 테이프를 삽입할 때만 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의 시작점과 종료시점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와, 자기테이프의 끊어짐이나 잔여량을 센싱하는 제2 센싱부를 가지는 비디오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싱부에 인가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전원공급 회로도로서, 마이컴(202), 시작센서(206), 종료센서(208), 테이크-업 릴 센서(214)와, 서플라이 릴 센서(218)는 상기 설명한 종래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마이컴(202)으로 테이프의 삽입 여부를 입력 감지스위치(20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2)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각의 센서부(206,208,214,218)로 입력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222)을 가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데크에 데이프가 삽입되는 상태도로서, 비디오데크(310)로부터 자기테이프(320)가 삽입될 시 자기테이프가 로딩되는 가이드 라인에 설치된 감지 스위치(330)에 의해 상기 자기테이프의 삽입여부가 감지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컴의 전원공급제어 흐름도로서, 초기에 메인전원을 공급하여 각종센서 및 주변블럭을 초기화하고, 데크내에 테이프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그 상태를 메모리에 기억시킨 후 자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데크내의 테이프 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크내에 테이프가 있을 시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테크내에 테이프가 없을 시 테이프-감지스위치를 통해 테이프의 삽입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의 삽입이 감지 되었을 시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제4도의 흐름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402단계에서 초기에 메인전원이 온될 시 404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리셋(reset)되어 각 주변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센서를 초기화 시킨다. 그런 후, 406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상기 제3도에서와 같이 데크(310)내에 테이프(32)가 로딩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테이프(320)가 데크(310)내에 있을 시 408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데크(320)내에 테이프가 들어 있는 상태를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런 후, 410단계에서 전원차단상태(대기상태)즉, 자체의(마이컴) 전원만을 남기고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각 센서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라인을 스위칭하는 전원차단스위치(222)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전원차단스위치(222)의 동작을 제2도에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마이컴(202)의 파워콘트롤(power control) 출력단(P)으로부터 제1 트랜지스터(220)의 베이스입력단에 로우신호를 입력할 시 상기 제1 트랜지스터(220)가 턴-오프(turn-off) 동작하게 되어 제2 트랜지스터(218)의 베이스단입력단이 하이가 되므로 턴-오프(turn-off) 동작된다. 그러므로, 센서의 공급되는 전원(5V)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 후, 412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외부 키입력부(리모콘이나 단말기의 키입력부)로부터의 메인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메인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414, 416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메모리로부터 상기 테이프(320)가 테크(310)내부에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전원차단스위칭부(222)를 스위칭하여 전원을 각 센서부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차단스위칭부(222)의 동작을 제2도를 통해 설명하면, 마이컴(202)의 파워콘트롤(power control) 출력단(P)으로부터 제1 트랜지스터(220)의 베이스입력단에 하이신호를 입력할 시 상기 제1 트랜지스터(220)가 턴-온(turn-on) 동작하게 되어 제2 트랜지스터(218)의 베이스단입력단이 로우가 되므로 턴-온(turn-on) 동작된다. 그러므로, 센서로 전원(5V)이 공급되어 센싱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테이프(320)가 데크(310) 내부에 없을 시 418단계로 진행하여 전원차단상태(대기상태) 즉, 자체의(마이컴) 전원만을 남기고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각 센서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라인을 스위칭하는 전원차단 스위치(222)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전원차단스위치(222)의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 후, 420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외부 키입력부(리모콘이나 단말기의 키입력부)로부터의 메인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메인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422단계에서 상기 마이컴(202)은 테이프감지스위치(330)로부터 테이프(320)의 삽입이 감지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테이프(320)의 삽입이 감지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테이프(320)의 삽입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전원차단 스위칭부(222)를 스위칭하여 전원을 각 센서부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디오장치의 전원차단모드(대기상태)에서 테이프를 삽입할 때만 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자기테이프의 시작점과 종료시점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와, 자기테이프의 끊어짐이나 잔여량을 센싱하는 제2 센싱부를 가지는 비디오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싱부에 인가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는,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각각의 센싱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차단스위칭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3. 자기테이프의 시작점과 종료시점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와, 자기테이프의 끊어짐이나 잔여량을 센싱하는 제2 센싱부와, 상기 각 센싱부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각각의 센싱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차단스위칭부를 가지는 절전형 전원공급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에 메인전원을 공급하여 각종센서 및 주변블럭을 초기화하고, 데크내에 테이프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그 상태를 메모리에 기억시킨 후 자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전원을 온시키는 키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데크내의 테이프 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크내에 테이프가 있을 시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테크내에 테이프가 없을 시 테이프-감지스위치를 통해 테이프의 삽입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프의 삽입이 감지 되었을 시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원공급회로를 제어하는 방법.
KR1019960021576A 1996-06-14 1996-06-14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018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576A KR0182980B1 (ko) 1996-06-14 1996-06-14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576A KR0182980B1 (ko) 1996-06-14 1996-06-14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40A KR980004540A (ko) 1998-03-30
KR0182980B1 true KR0182980B1 (ko) 1999-04-15

Family

ID=1946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576A KR0182980B1 (ko) 1996-06-14 1996-06-14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9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40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995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andby function, standby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970060903A (ko) 영상기기의 절전 제어회로
KR20060028433A (ko) 저전력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수신기 및 방법
CN213601084U (zh) 开关控制电路以及内窥镜系统
KR0182980B1 (ko) 비디오 장치의 절전형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403096B1 (ko) 원격 제어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0159439B1 (ko) 비디오 전원오프시 절전 방법 및 장치
KR100995013B1 (ko) 전기기기의 저소비 대기전력 회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6842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방법
KR100273193B1 (ko) 액정프로젝터전원차단장치및방법
JP2011114976A (ja) 電子機器
KR0159634B1 (ko) 키폰 시스템의 전력소비 절감방법
KR970007171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종단 검출 및 제어방법
KR940009826B1 (ko) 전자기기의 예약데이타 보존장치
JP2006149161A (ja) 電力供給休止システム
JP2001186657A (ja) 省電力回路
KR20000039206A (ko) 전자 기기의 절전 방법
JP3574032B2 (ja) 電子機器
KR20000002302U (ko) 배터리 전력소모 방지회로
KR0147997B1 (ko) 브이.씨.알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500759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off 상태에 따른 on 동작 제어 방법
JPH03276594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付照明装置
KR20040043772A (ko) 컴퓨터시스템의 대기전원공급장치
KR20050067990A (ko) 소프트 스위치를 적용한 절전 회로
KR19990013247U (ko) 자동전원 오프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