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805B1 -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 Google Patents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805B1
KR0182805B1 KR1019950001910A KR19950001910A KR0182805B1 KR 0182805 B1 KR0182805 B1 KR 0182805B1 KR 1019950001910 A KR1019950001910 A KR 1019950001910A KR 19950001910 A KR19950001910 A KR 19950001910A KR 0182805 B1 KR0182805 B1 KR 018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finger
main body
sens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742A (ko
Inventor
마사아키 다케우치
마나부 요시무라
쓰토무 야마자와
마사노리 하세가와
마사쓰구 히라노
데쓰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다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5002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within occlu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61B5/02433Details of sensor for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8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06Means for fixing the clockwork pieces on other objects (possibly on walls)
    • G04B37/1433Fixation on items of clothing, e.g. with cli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3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measuring physiological quantities, e.g. pedometers, heart-rate sensors, blood pressure gauges and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광성을 좋게하여 맥박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맥박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체(2)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4)(제2도 참조)와, 이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5)(제2도 참조)와, 이 맥박 센서(5)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6)를 구비하고, 손가락 삽입부(4)는 본체(2)의 표시부(6)쪽과는 반대쪽(본체(2)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제1도는 일실시예에 관한 맥박계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일 실시예의 맥박계의 본체 뒤쪽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맥박계를 화살표 A에서 본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맥박계를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맥박계의 선 C-C에서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맥박계의 선 D-D에서의 단면도.
제7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맥박계의 선 E-E에서의 단면도.
제8도는 일 실시예의 맥박계의 회로 구성의 블록도.
제9도는 일 실시예의 맥박계의 장착·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일 실시예의 맥박계의 다른 특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일 실시예의 맥박계의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맥박 보수계의 회로 구성의 블록도.
제13도는 맥박 보수계의 표시부의 보수(步數)표시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도.
제14도는 종래예에 관한 맥박계와 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다른 종래예에 관한 맥박계와 그 사용예를 나타내는도면.
제16도는 제14도에 도시한 맥박계의 맥박 센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한 맥박계의 맥박 센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맥박계 2 : 본체
3 : 커버 4 : 손가락 삽입부
5 : 맥박 센서 6 : 표시부
9 : 버클(휴대용 부재) 10 : 후드
30 : 기판 31 : 표시기
33 : 스펀지(탄성 압압 부재) 61 : 진동 센서
본 발명은 휴대에 편리한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步數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맥박계로서는 제14도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제14도의 (a)에 도시된 맥박계(100)는 손목 시계에 맥박 측정 기능을 설치한 것으로서, 바깥쪽에 시계나 맥박수를 표시하는 표시부(101)와 발광·수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손가락을 올려 놓는 맥박 센서(102)를 갖는다. 이 맥박계(100)에서는 제1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에 붙인 상태에서 맥박 센서(102) 위에 손가락을 올려 놓으면 손가락에서 맥박이 검출되어 얻어진 맥박수가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제15도의 (a)에 도시된 맥박계(110)도 손목 시계와 맥박계를 겸하는 것으로서, 바깥쪽에 표시부(111)를 갖는다. 이 맥박계(110)는 리드선(114)으로 접속된 손가락 커프스(cuff)(112)를 갖고, 이 손가락 커프스(112)를 손가락에 감아 손가락커프스(112)에 설치된 맥박 센서(113)로 맥박을 측정한다[제15도의 (b) 참조].
제14도 및 제15도의 맥박계(100, 110)의 맥박 센서 부분은 각각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16도에서, 맥박 센서(102)는 기판(105)에 장착되고 케이스(106)의 맥박 센서(102)의 검출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방진·방수창(107)이 설치되어 있다. 제17도에서, 맥박 센서(113)가 장착된 기판(115)은 손가락 커프스(112)를 구성하는 바깥쪽 천 및 안쪽 천(116, 117) 사이에 끼워지고, 안쪽 천(117)으로부터 맥박 센서(113)가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14도에 도시된 맥박계(100)에서는 맥박 센서(102)가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성이 충분하지 않고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의 외란광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맥박치가 부정확하게 되거나 측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방진·방수창(107) 윗부분을 포함하는 손가락을 올려 놓는 부분은 손가락의 형상에 적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맥박 센서(102)의 검출면이 방진·방수창(107)으로 덮여 있으므로, 맥박 센서(102)의 감도가 창(107)에 의한 광의 감쇠에 의하여 저하되고 이것들도 맥박치의 부정확한 요인이 된다.
한편, 제15도에 도시된 맥박계(110)에서는 맥박 센서(113)가 손가락 커프스(11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4도의 맥박계보다도 차광성은 좋으나, 손가락커프스(112)를 손가락에 감아도 맥박 센서(113)를 포함하는 손가락을 올려 놓는 부분은 손가락의 외주 형상에 따르기 어렵고, 맥박 센서(113)에 대한 손가락 피부의 충분한 접촉 면적과 접촉 압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차광이 불완전하여 측정이 부정확하게 되거나, 얻어지는 맥파 신호가 적어서 측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맥박의 측정 중에는 손가락이 손가락 커프스(112)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의 자유도가 없고, 측정에 있어서도 손가락 커프스(112)를 손가락에 감는 것이 귀찮은 일이었다. 또한, 손가락 커프스(112) 뿐만 아니라 손가락 커프스(112)와 본체를 접속하는 리드선(11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맥박계(110)에 장착한 채 휴대하는 것은 거추장스럽고 손가락 커프스(112)와 리드선(114)을 별개로 휴대한다 해도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광성을 좋게 하여 맥박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맥박계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한 맥박계는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본체의 표시부가 있는 면과는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 범위 제4항에 기재한 맥박계는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드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 범위 제7항에 기재한 맥박계는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맥박 센서는 탄성 압압 부재에 의하여 기밀하게 둘러싸이고, 그 검출면이 손가락 삽입부에 노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맥박계에서는 손가락 삽입부가 본체의 표시부가 있는 면과는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맥박의 측정시에 본체의 표시부쪽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부에 외란광이 진입하기 어렵고 외란광에 의한 맥박 측정 정밀도의 저하가 작아진다.
청구 범위 제4항에 기재한 맥박계에서는 손가락 삽입부가 후드로 덮여 있으므로 차광성이 좋고 맥박치가 정확하게 된다. 더욱이, 후드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가락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손가락에 확실하게 들어맞고 맥박 센서의 검출면에 손가락이 적당히 압압된다.
청구 범위 제7항에 기재한 맥박계에서는 맥박 센서가 탄성 압압 부재에 의하여 기밀하게 둘러싸이고, 이 상태에서 맥박 센서의 검출면이 손가락 삽입부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내부에 먼지나 수분이 침입하는 일은 없고,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삽입하면 손가락이 맥박 센서의 검출면에 즉시 접촉하여 충분한 감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부에 있어서의 손가락 삽입 방향이 본체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손가락 삽입부를 배치함으로써(청구 범위 제2항 기재), 특히 맥박계를 보수계와 같이 바지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고, 측정시에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인체 공학적으로 우수한 구조로 된다.
본체는 각종 전자 부품을 장착한 회로 기판을 내부에 가지고 있으나, 이 회로기판의 일면측에 표시부를 구성하는 표시기를, 타면측에 맥박 센서를 직접 장착함(청구 범위 제3항 기재)으로써 본체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맥박계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맥박계가 본체의 바깥쪽에 표시부를, 뒤쪽에 손가락 삽입부를 갖기 때문이다.
후드에 대향하는 손가락 삽입부의 대향면 부분을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청구 범위 제5항 기재)에 의하여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삽입하면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드와 함께 손가락의 앞부분이 오목 형상 부분에 접촉하고, 손가락과 오목 형상 부분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한다. 즉, 손가락의 앞부분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손가락의 앞부분의 형상에 따른 부분을 설정하면 손가락삽입부에 손가락이 손끝까지 확실하게 들어 맞고, 결과적으로 손가락 삽입부에 설치되어 있는 맥박 센서의 검출면과 손가락과의 접촉성이 한층 양호하게 된다.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에 후드를 협지(挾持)함(청구 범위 제6항 기재)으로써 후드를 손가락 삽입부에 부착할 때에 후드의 단부를 케이스에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맥박계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부착부의 충분한 차광이 얻어진다.
손가락의 용이한 삽입성으로 말하면,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부에 저항없이 삽입할 수 있게 하려면, 후드는 손가락이 잘 미끄러지는 재질로 하는 것(청구 범위 제8항 기재)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후드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로서 탄성천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탄성천으로서, 예컨대 스판덱스(spandex)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맥박계는 휴대에 편리한 맥박계 뿐만 아니라, 보수계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수계는 일반적으로 바지나 스커트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많고, 본 발명의 맥박계에서도 보수계 기능의 부가를 고려하여 보수계와 동일한 사용 방법을 취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체에 휴대용 부재[예컨대, 버클(buckle)이나 클립(clip)]를 설치하는 것(청구 범위 제9항 기재)에 의하여 통상의 보수계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표시부를 보호하는 개폐 가능한 커버를 설치하고 이 커버에 휴대용 부재를 설치하면 사용이 한층 편리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맥박계는 단지 맥박 측정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수 측정 기능도 구비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보수 측정 기능이 부착된 맥박계의 경우, 주로 보수 측정 기능용의 부품이 본체내에 설치되고 그에 대응하여 내부의 회로 구성이나 표시부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지만 외관 형상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맥박계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 일실시예에 관한 맥박계의 외관 사시도를 제1도에, 본체 뒤쪽의 평면도를 제2도에, 제2도의 화살표 A에서 본 측면도를 제3도에, 제2도의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를 제4도에 도시한다. 이 맥박계(1)는 본체(2)와 커버(3)로 구성되며, 본체(2)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4)와, 이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5)와, 이 맥박 센서(5)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6)를 구비한다. 표시부 (6)는 본체(2)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표시부(6)의 옆에 스위치(7)가 배치되어 있다(제1도 참조). 커버(3)는 표시부(6) 등의 본체 바깥쪽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본체(2)에 대하여 힌지 연결(8)에 의하여 개폐가 자유롭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3)의 겉쪽에 버클(휴대용 부재)(9)이 부착되고, 이 버클(9)을 이용하여 맥박계(1)를 바지나 스커트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휴대하게 되어 있다.
손가락 삽입부(4)는 본체(2)의 표시부(6)쪽과는 반대쪽, 즉 본체(2)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손가락의 미끄러짐이 좋은 탄성천(스판덱스)으로 이루어지는 후드(10)를 가지고 있다(제2도에서는 생략).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부(4)는 그 손가락 삽입 방향(a)이 본체(2)의 가로 방향(b)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지고, 또한 세로 방향(b')에 대하여는 90°-θ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제로, 각도 θ는 약 20~50°가 적당하며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각도 θ를 설정한 것은 보수계와 같이 맥박계(1)를 바지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인체 공학적으로는 손가락을 가로 방향(b)으로 평행 또는 수직으로 삽입할 때보다는 비스듬히 넣는 쪽이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하기 쉽기 때문이다.
본체 (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제5도(제2도의 선 C-C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6도(제2도의 선 D-D에 있어서의 단면도), 및 제7도(제2도의 선 E-E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있어서, 본체(2)는 하부 케이스(20)와 이 하부 케이스(20)에 끼워 맞춰진 상부 케이스(21)로 구성되고 상부 케이스(21)의 일부분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커버(22)로 되어 있다.
본체(2) 내부에 배치된 기판(30)의 일면측(표시부 (6)측)에서는 표시부(6)를 구성하는 표시기(LCD)(31)가, 타면측(손가락 삽입부(4)측)에는 맥박 센서(5)가 직접 장착되어 있다. 기판(30)의 양면에 전자 부품이 부착됨으로써 본체(2)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맥박 센서(5)는 발광 소자(적외 발광 LED) 및 수광 소자(광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발광·수광 소자가 일체적으로 수지 몰드된 것인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갖는 스폰지(탄성 압압 부재)(33)에 의하여 손가락 삽입부(4)를 구성하는 홀더 베이스(35)의 소정 위치에서 기밀하게 둘러싸여 있다. 스폰지(33)는 부분적으로 홀더 베이스(35)에 끼워 넣어져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동시에, 맥박 센서(5)를 기밀하게 유지한다. 맥박 센서(5)의 검출면은 홀더 베이스(35)의 면과 평탄하게 되어 있고, 홀더 베이스(35)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부(4)에 있어서, 후드(10)는 단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더 베이스(35)는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부(4)에 손가락을 삽입하면 손가락은 후드(10)에 의하여 홀더 베이스(35)쪽으로 적당히 압압되고, 손가락의 앞부분이 홀더 베이스(35)의 오록형상 부분에 밀착하고, 맥박 센서(5)의 검출면에 손가락이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 때문에, 손가락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맥박 측정 정밀도가 보증된다. 또한, 후드(10)의 단부는 상부 케이스(21)와 홀더 베이스(35)의 사이에 견고하게 협지되어 있고, 그 협지 구조 때문에 후두(10)가 빠지는 일은 없다. 후드(10)를 상부 케이스(21)와 홀더 베이스(35)에 끼워 넣는 구조에 의하여 후드(10)의 손가락 삽입부(4)에의 부착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부착부의 충분한 차광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맥박계(1)의 회로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40)는 맥박 센서(5)의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어 회로(41)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 회로(41)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주변 회로로 구성되고, 발광 소자의 ON/OFF, 맥파 신호의 검출, 맥박수의 계산, 얻어진 맥박수의 표시 등을 제어한다. 증폭 회로(42)는 맥박 센서(5)의 수광 소자로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고, 비교 회로(43)는 증폭된 맥파 신호에서 맥파 동기신호를 추출한다. 표시 회로(44)는 얻어진 맥박수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수계의 기능도 갖는 경우에는 보수의 표시 등도 행한다. 전원 회로(45)는 전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맥박계(1)의 전원이 되며, 이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7)는 본체(2)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고(제1도 참조), 스위치(7)에 의하여 맥박계(1)의 ON/OFF를 행한다.
이렇게 구성된 맥박계(1)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에 설치된 버클(9)을 바지나 스커트 등의 벨트(50)에 걸어서 부착한다. 그 후, 맥박 측정시에는 본체(2)를 커버(3)에서 벗겨내어 앞쪽으로 넘어 뜨리고, 본체 (2)를 손으로 지탱하면서, 예컨대 집게 손가락을 본체(2) 뒤쪽의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한다. 그리고, 손가락 삽입 전이라도 좋으나, 스위치(7)를 눌러서 전원을 ON으로 한다.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맥박이 검출되고 얻어진 맥박수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측정 후에는 스위치 (7)를 눌러서 전원을 OFF로 하고 재차 커버(3)쪽으로 본체(2)를 복귀시키면 된다.
물론, 맥박계(1)는 벨트(50)에 부착할 필요는 없고, 가슴 포켓에 장착해도 좋으며 다른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서 휴대해도 상관없다. 또한, 벨트 등에 부착한 상태로 맥박 측정을 할 필요도 없고,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맥박계(1)를 한쪽 손으로 지탱하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하여 측정해도 된다.
표시부(6)의 표시 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1도에 있어서 스위치(7)를 누르지 않을 때는 이 도면의 (a)와 같은 표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7)를 누르면 맥박 측정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PULSE」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이 도면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부(4)에 삽입하면, 맥박 센서(5)에 의하여 맥박이 검지되고 1 분간의 맥박수가 표시된다[이 도면의 (c) 참조]. 이 도면의 (b)또는 (c)의 표시 상태에서 스위치(7)를 누르면, 이 도면의 (a)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맥박계(1)는 맥박 측정 기능 외에 보수 측정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본체에 보수 측정용의 부품(진동 센서)이 내장되는 외에 그에 따라서 회로 구성이나 표시 형태가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되는데, 외관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것과 별차이가 없다.
제12도는 맥박 보수계의 회로의 블록도이고, 제8도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진동 센서(61), 이 진동 센서(61)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62), 이 증폭 회로(62)의 출력 신호와 설정치를 비교 혹은 출력 신호를 레벨 변별하여 설정치보다 큰 신호수를 계수하는 비교 계수 회로(63)에는 전원 회로(45)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제어 회로(141)는 제어 회로(41)와 동일한 기능에 부가하여 다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위치(64)가 조작되면 맥박수 대신에 비교 계수 회로(63)의 계수치인 보수를 표시 회로(44)에 공급하고 재차 스위치(64)가 조작되면, 다시 맥박수를 표시 회로(44)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64)가 조작될 때마다 보수·맥박수가 전환되어서 표시된다. 또한, 스위치(7)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 회로(141)는 비교 계수 회로의 계수치를 리세트한다.
이상의 맥박 보수계의 실시예에서는 계수 기억 기능을 비교 계수 회로에 갖게 하고 있으나, 제어 회로(141)에 갖게 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6)는 맥박수 또는 보수의 어느 한쪽을 표시하게 하고 있으나, 동시에 양쪽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맥박계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한 맥박계에서는 손가락 삽입부가 본체의 표시부측과는 반대쪽, 즉 본체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은 맥박의 측정시에 본체의 표시부쪽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손가락 삽입부에 외란광이 진입하기가 곤란하고, 외란광에 의한 맥박 측정 정밀도의 저하가 작아진다.
(2) 손가락 삽입부에 있어서의 손가락 삽입 방향이 본체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손가락 삽입부를 배치함(청구 범위 제2항 기재)으로써, 특히 맥박계를 보수계와 같이 바지나 스커트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고, 측정에 있어서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인체 공학적으로 우수한 구조로 된다.
(3) 본체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일면측에 표시부를 구성하는 표시기를, 타면측에 맥박 센서를 직접 장착함(청구 범위 제3항 기재)으로써, 본체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맥박계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4) 청구 범위 제4항에 기재한 맥박계에서는 손가락 삽입부가 후드로 덮여 있으므로 차광성이 좋고, 맥박치가 정확하게 된다. 더욱이, 후드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가락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손가락에 확실하게 들어 맞으며 맥박 센서의 검출면에 손가락이 적당하게 압압되어 맥박치의 정확도가 증가한다.
(5) 후드에 대향하는 손가락 삽입부의 대향면 부분을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함(청구 범위 제5항 기재)으로써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넣으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드와 함께 손가락의 앞부분이 오목 형상 부분에 접촉하여 손가락과 오목 형상 부분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하고 손가락 삽입부에 설치되어 있는 맥박 센서의 검출면과 손가락과의 접촉성이 한층 양호하게 된다.
(6)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에 후드를 협지함(청구 범위 제6항 기재)으로써 후드를 손가락 삽입부에 부착할 때 후드의 단부를 케이스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맥박계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부착부의 충분한 차광이 얻어진다.
(7) 청구 범위 제7항에 기재한 맥박계에서는 맥박 센서가 탄성 압압 부재에 의하여 기밀하게 둘러싸이고 이 상태에서 맥박 센서의 검출면이 손가락 삽입부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내부에 먼지나 수분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손가락 삽입부에 손가락을 삽입하면 손가락이 맥박 센서의 검출면에 즉각 접촉하여 맥박치가 정확해진다.
(8) 후드의 적어도 손가락과의 접촉면을 미끄러짐이 좋은 재질로 함(청구 범위 제8항 기재)으로써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하는 것이 원활하게 된다.
(9) 본체에 휴대용 부재를 설치함(청구 범위 제9항 기재)으로써 이 휴대용 부재를 이용하여 맥박계를 바지나 스커트의 벨트 등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특히, 보수 측정 기능을 부가한 경우 통상의 보수계와 같은 사용 방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갖는 면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이 커버를 인체 장착품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본체의 표시부가 있는 면과는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그 손가락 삽입 방향이 본체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기판을 가지고, 이 기판의 일면측에는 표시부를 구성하는 표시기가, 타면측에는 맥박 센서가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4.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갖는 면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이 커버를 인체 장착품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후드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대향하는 손가락 삽입부의 대향면 부분은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7. 본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이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이 맥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맥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갖는 면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이 커버를 인체 장착품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맥박 센서는 탄성 압압 부재에 의하여 기밀하게 둘러싸이고 그 검출면이 손가락 삽입부에 노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는 적어도 손가락과의 접촉면이 손가락의 미끄러짐이 좋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9.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센서와, 진동 센서와, 표시부와, 상기 맥박 센서의 출력의 계수치 및/또는 상기 진동 센서의 출력의 계수치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표시부를 갖는 면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이 커버를 인체 장착품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맥박 보수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맥박 센서가 1분간 출력한 맥박의 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계.
KR1019950001910A 1994-02-03 1995-02-03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KR0182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3494 1994-02-03
JP94-11434 1994-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42A KR950024742A (ko) 1995-09-15
KR0182805B1 true KR0182805B1 (ko) 1999-04-01

Family

ID=1177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910A KR0182805B1 (ko) 1994-02-03 1995-02-03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539706A (ko)
EP (1) EP0666055A3 (ko)
KR (1) KR0182805B1 (ko)
CN (1) CN1111499A (ko)
AU (1) AU698492B2 (ko)
SG (1) SG77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267A (en) * 1994-06-01 1998-09-15 Advanced Body Metrics Corporation Heart pulse monitor
JPH08317912A (ja) * 1995-03-23 1996-12-03 Seiko Instr Inc 脈拍計
US5795301A (en) * 1995-08-31 1998-08-1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method used in portable pulse measuring device
JPH09114955A (ja) * 1995-10-18 1997-05-02 Seiko Epson Corp ピッチ計
US5848027A (en) * 1995-11-22 1998-12-08 Biometr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personal data
US5719825A (en) * 1995-11-22 1998-02-17 Biometr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personal data
AUPN740796A0 (en) * 1996-01-04 1996-01-25 Circuitry Systems Limited Biomedical data collection apparatus
GB2320590A (en) * 1996-12-20 1998-06-24 Passam Novelty watch
JPH11188180A (ja) * 1997-04-07 1999-07-13 Snk:Kk ゲームシステム
US5891042A (en) * 1997-09-09 1999-04-06 Acumen, Inc. Fitness monitoring device having an electronic pedometer and a wireless heart rate monitor
US6876947B1 (en) 1997-10-02 2005-04-05 Fitsense Technology, Inc. Monitoring activity of a user in locomotion on foot
US6122340A (en) * 1998-10-01 2000-09-19 Personal Electronic Devices, Inc. Detachable foot mount for electronic device
US6560903B1 (en) 2000-03-07 2003-05-13 Personal Electronic Devices, Inc. Ambulatory foot pod
US6473483B2 (en) 1998-10-28 2002-10-29 Nathan Pyles Pedometer
US6175608B1 (en) 1998-10-28 2001-01-16 Knowmo Llc Pedometer
GB2348707B (en) * 1999-04-07 2003-07-09 Healthcare Technology Ltd Heart activity detection apparatus
US6334848B1 (en) * 2000-01-11 2002-01-01 Acumen, Inc. Remote pedometer
JP4660659B2 (ja) * 2000-04-25 2011-03-30 アークレイ株式会社 脈拍計およびこれを用いた脈拍計測システム
CA2423623A1 (en) * 2000-10-02 2002-04-11 Maxim Hurwicz 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AU2002255568B8 (en) 2001-02-20 2014-01-09 Adidas Ag Modular personal network systems and methods
JP2003217540A (ja) * 2002-01-21 2003-07-31 Tanita Corp 電池収納部構造
US6850788B2 (en) 2002-03-25 2005-02-01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communications adapter
US20040171956A1 (en) * 2003-01-30 2004-09-02 Bruce Babashan Heart rate monitor using color to convey information
US7182738B2 (en) 2003-04-23 2007-02-27 Marctec, Llc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rthosis and other devices
FI120075B (fi) * 2004-01-30 2009-06-30 Polar Electro Oy Kenkään kiinnitettävissä olevan ja siitä irrotettavissa olevan anturirakenteen kotelorakenne
JP4487639B2 (ja) * 2004-05-31 2010-06-2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脈波検出装置および脈波検出方法
US20060122521A1 (en) * 2004-12-07 2006-06-08 Yu-Yu Chen Electronic wristwatch-type exercise signal detecting apparatus
JP5310542B2 (ja) * 2007-03-19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運動状態検出装置、運動状態検出プログラム、運動状態検出方法
US20090054751A1 (en) * 2007-08-22 2009-02-26 Bruce Babashan Touchless Sensor for Physiological Monitor Device
US20090190713A1 (en) * 2008-01-28 2009-07-30 National Electronics & Watch Co. Ltd Monitoring Devices,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US10007758B2 (en) 2009-03-04 2018-06-26 Masimo Corporatio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10032002B2 (en) 2009-03-04 2018-07-24 Masimo Corporation Medical monitoring system
WO2010102069A2 (en) 2009-03-04 2010-09-10 Masimo Corporation Medical monitoring system
WO2011109312A2 (en) 2010-03-01 2011-09-09 Masimo Corporation Adaptive alarm system
US10181072B2 (en) * 2016-03-22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Rollable biometric meas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574A (en) * 1972-11-03 1975-01-07 Robert E Page Pulse rate and amplitude monitor
DE2915912C3 (de) * 1979-04-19 1982-02-04 Elektro-Apparatebau Olten AG, 4600 Olten, Solothurn Gerät zum Anzeigen des Pulses einer Person
US4305401A (en) * 1979-05-16 1981-12-15 Hughes Aircraft Company Digital watch/infrared plethysmograph having a quick release remote pulse sensor having a finger cuff
DE2928588A1 (de) * 1979-07-14 1981-01-29 Carl Michael Dipl Ing Heim Herzpulszaehler
JPS592958B2 (ja) * 1979-11-30 1984-01-21 松下電工株式会社 脈拍計兼用歩数計
US4353152A (en) * 1980-02-21 1982-10-12 Novatec, Inc. Pulse rate monitor
US4338950A (en) * 1980-09-22 1982-07-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measuring heart beat
US4332258A (en) * 1980-09-29 1982-06-01 Asajiro Arai Portable pulse meter
US4407295A (en) * 1980-10-16 1983-10-04 Dna Medical, Inc. Miniature physiological monitor with interchangeable sensors
JPS57120009U (ko) * 1981-01-19 1982-07-26
FR2583282B1 (fr) * 1985-06-14 1990-05-25 Creusot Inst Univers Technol Appareil portatif de mesure des pulsations cardiaques au cours de l'entrainement d'un athlete, notamment d'un coureur a pied
US5218966A (en) * 1987-06-12 1993-06-1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nic blood pressure meter
JPH0288041A (ja) * 1988-09-24 1990-03-28 Misawahoomu Sogo Kenkyusho:Kk 指尖脈波センサ
GB9011887D0 (en) * 1990-05-26 1990-07-18 Le Fit Ltd Pulse responsive device
JP3220271B2 (ja) * 1993-02-22 2001-10-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脈拍計付歩数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6055A3 (en) 1999-01-20
AU698492B2 (en) 1998-10-29
US5539706A (en) 1996-07-23
KR950024742A (ko) 1995-09-15
SG77113A1 (en) 2000-12-19
EP0666055A2 (en) 1995-08-09
US5650982A (en) 1997-07-22
CN1111499A (zh) 1995-11-15
AU1153795A (en) 199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805B1 (ko) 맥박계 및 맥박 보수계
EP0741993B1 (en) Wrist-worn portable device and a wrist-worn pulse wave measuring device
EP0706776B1 (en) Organism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pulse-wave measuring apparatus
US4280506A (en) Digital watch/infrared plethysmograph having a removable pulse sensor unit for use with a finger cuff extension
US6415176B1 (en) Sensing and display of skin conductivity
EP2090226B1 (en) Finger clip type bloo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apparatus
EP076224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287898A1 (en) Glove type physiological measuring apparatus
JPH07255688A (ja) 脈拍計及び脈拍歩数計
JP3041401B2 (ja) 脈波測定機器
CN220557998U (zh) 一种心率血氧测量设备
EP1923678B1 (en) Dual use thermometer
CN219480129U (zh) 监测设备和监测系统
CN218239820U (zh) 一种面漆加工光泽检测用光泽仪
US20150083590A1 (en) Portable device assembly for measuring blood samples and a device cover
JPH09108192A (ja) 脈波計測装置
CN219480124U (zh) 监测设备
CN213850699U (zh) 可分拆式腕表型反射式血氧仪
CN214387441U (zh) 检测模组及电子设备
CN219121594U (zh) 一种触摸式测温贴及其衣服
CN219480125U (zh) 监测设备
CN217687521U (zh) 一种方便握持使用的红外测温仪
JPH09108191A (ja) 脈波計測装置
CN214471416U (zh) 一种多功能体温计
US20090281436A1 (en) Low-frequency wireless heartbeat detector hanging over the 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