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93B1 -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93B1
KR0182693B1 KR1019960017428A KR19960017428A KR0182693B1 KR 0182693 B1 KR0182693 B1 KR 0182693B1 KR 1019960017428 A KR1019960017428 A KR 1019960017428A KR 19960017428 A KR19960017428 A KR 19960017428A KR 0182693 B1 KR0182693 B1 KR 018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key
called party
caller
t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317A (ko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1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93B1/ko
Publication of KR97007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22PBX circuits in public exchange (Centrex)

Abstract

본 발명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와 접속하는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의 전환을 처리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서 호의 전환 처리를 위해 3가지 기능 즉, 착신자 응답후 전환, 착신자 응답전 전환, 호 전환 대기 등을 위하여 통화 중인 가입자를 잠시 보류시키고 전환 대상 그룹내/내선 가입자에게 전화를 건 후, 호 전환 및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METHOD FOR CHANGING CALL IN CENTREX/ATTENDANT CONSOLE APPARATU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키입력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망종단 장치 12 : U-라인 접속부
50 : 단말 장치 52 : 오디오 접속부
54 : ICC 제어부 56 : 시스템 제어부
58 : 저장부 100 : 콘솔
102 : 화면 표시부 104 : 키입력부
106 : 디코더 108 : 버퍼
본 발명은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CENTREX/ATTENDANT CONSOLE)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TS-1100A(개량형) 전전자 교환기와 접속하는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장치에 있어서 호의 전환을 처리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TS-1100 개량형 교환기는 국제 표준 전전자교환기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계위중 시내(Local), 시내/중계(Local/Tandem), CENTREX 용도로 사용되며, 궁극적으로 종합정보통신망(ISDN), 지능망(IN) 등 다양한 망 형태에서의 융통성있는 교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DTS-1100 개량형은 컴퓨터, 반도체, 통신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외형적인 크기나, 성능, 서비스 융통성, 망환경 적응성 등에서 볼 때 모든 응용에 적절하며 뛰어난 시스템이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은 음성(Local/Tandem), CENTREX, ISDN(2B+D, 30B+D) 및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기능 등 기존에 상용화되어 있는 서비스 및 상용화중인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두 수용이 가능한 종합정보통신망의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졌다.
DTS-1100 개량형의 주된 설계 개념은 시스템의 확장이나 수정이 용이하고, 기술발전에 따라 쉽게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융통성(Flexibility)과 모듈화(Modularity)를 제공하는 개방구조(Open archi-tecture)를 채택하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시스템 구조는 기술발전에 따른 영향이 최소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여기에 보다 더 경제적인 가격으로 가입자에게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 설계시 고려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모듈화 극대화를 통한 하드웨어의 단순화
* 하드웨어 사용효율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의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서브시스템 조합을 통한 시스템 구성의 융통성 제고
* 하드웨어의 단순화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성 극대화
* 고성능, 고신뢰도 실현
* 소프트웨어 구현과 유지보수기능 강화
* 새로운 기능 추가 용이성
DTS-1100 개량형은 다양한 패키지로 구성가능하다.
DTS-1100 개량형은 최대 8,192 가입자, 중계선 108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1,200 Erlang의 트래픽과 150,000 BHCA(Busy Hour Call Attempts)를 처리할 수 있는 분산제어 개념이 적용되었고, 1개의 랙(RACK) 단위로 1500회선씩 용량이 확장된다.
집선비는 4 : 1 또는 8 : 1을 적용할 수 있다.
DTS-1100 개량형 교환기의 주요 제원은 표 1과 같다.
분산제어구조 : DTS-1100 개량형은 모듈화를 높이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범용 32-bit 및 16-bit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이중화프로세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제어기능은 상위 프로세서 및 하위 프로세서 2단계의 제어계층 구조로 구현된다.
주 프로세서(MP; Main Processor)라고 부르는 상위 프로세서는 호처리, 번호번역, 교환제어, 멀티 주파수(Multi Frequency) 신호처리, 시스템 유지보수 및 운용과 같은 상위 기능 업무를 수행하며, 주변장치 프로세서(PP; Peripheral Processor)라고 부르는 하위 프로세서는 통화로계 감지, 분석, 라인(Line) 신호처리와 같은 하위계층의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들에게 다양한 기능들을 분산시킴므로써 기능분산(Function Distribution)이 수행되며 PP와 호처리 프로세서는 시스템이 확장됨에 따라 추가가 용이하도록 부하분산(Load Distribution)방식을 채택하였다.
운영체계 :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의 운용체계는 기본적으로 FIFO(First In First Out)에 의한 프로세스(Process)관리를 수행하며, 사안에 따라 긴급을 요하는 처리 수행을 위해 인터럽트(Interrupt) 처리와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을 운용한다.
또한, 프로세서간 통신처리를 수행하고, 제어계의 이중화처리를 수행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 DTS-1100 개량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 언어를, 그리고 실시간을 요하는 하드웨어 정합처리를 위해서는 어셈블(Assemble) 언어를 채택하고 있다.
리던던시(Redundancy) : 시스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DST-1100 개량형의 주요 부분들 즉 MP, PP 등과 같은 모든 제어계와 스위치, 망동기 장치 및 신호장치등이 각각 2중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서 호의 전환 처리를 위해 3가지 기능 즉, 착신자 응답후 전환, 착신자 응답전 전환, 호 전환 대기 등을 위하여 통화 중인 가입자를 잠시 보류시키고 전환 대상 그룹내/내선 가입자에게 전화를 건 후, 호 전환 및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기설정된 전전자 교환기(200)와의 U-라인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망종단 장치(10)와, 망종단 장치(10)와 접속하여 외부와의 오디오 접속 기능 및 ISDN 통신 조정 기능 그리고 시스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50)와, 단말장치(50)와 접속하여 사용자의 키입력 및 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콘솔(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망종단 장치(10)는 U-라인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U-라인 접속부(12)와, 2B+D U-라인 방식으로 U-라인 접속부(12)와 전전자 교환기(200)를 연결시키는 트랜스(Trans)(T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단말 장치(50)는 U-라인 접속부(12)와 연결되어서 ICC의 B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화된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거나 송수화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접속부(52)와, 오디오 접속부(52) 및 U-라인 접속부(12)에 접속되어, IEC-Q를 제어하는 ICC 제어부(54)와, ICC 제어부(54)에 접속되어, 일반 터미날 및 별도의 장치와 시리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제어부(56)와, 시스템 제어부(56)에 의해 제어되어 시스템 제어부(56)가 장치의 셋업 내용을 파워 오프시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콘솔(100)은 시스템 제어부(56)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02)와, 시스템 제어부(56)로 키입력하는 키입력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망종단 장치(Network Termination; NT)(10)는 기설정된 DTS-1100A 전전자 교환기(200)와의 U-라인 접속 기능(IEC-1(ISDN Echocancellation Circuit))을 수행하며,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 TE)(50)는 망종단 장치(10)와 접속하여 외부와의 오디오 접속 기능(ARCOFI-SP) 및 ISDN 통신 조정 기능(ICC(ISDN Communication Controller)) 그리고 시스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콘솔(Human Interface; HI)(100)은 단말 장치(50)와 접속하여 사용자의 키입력 및 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전전자 교환기(200)는 라인 인터페이스(Line Interface; LI)(ISDN 가입자보드) 및 프로토콜 콘트롤(Protocol Control; PC) 그리고 서비스 콘트롤(Service Control; SC)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망종단 장치(10) 내의 U-라인 접속부(12)는 ISDN 가입자 억세스 콘트롤러인 IEC-Q(PEB2091)와 ICC(PEB2070)로 구성되어 이때, IEC-Q는 CCITT I.430을 만족하는 전이중 2B+D U-인터페이스 트랜시버로서 2B1Q 블록 코딩 방식을 사용하며, 트랜스(T1)는 2B+D U-라인 방식으로 U-라인 접속부(12)와 전전자 교환기(200)를 연결시킨다.
다음, 단말 장치(50) 내의 오디오 접속부(ARCOFI(Audio Ring Codec Filter with Speakerphone Function))(52)는 오디오 링 코덱 필터(Audio Ring Codec Filter) IC인 ARCOFI-SP(PEB2165)로 구성되어, U-라인 접속부(12)와 연결되어서 ICC의 B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화된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거나 송수화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되, 필터의 기능도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의 기법으로 수행하며, 톤(Tone) 발생기가 내장되어 각종 톤(링 톤, 비지 톤, 다이얼 톤, DTMF 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접속부(52)에 외부 마이크 및 스피커를 두어 스피커폰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핸드세트(Handset)/헤드세트(Headset)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ICC 제어부(54)는 오디오 접속부(52) 및 U-라인 접속부(12)에 접속되어, B/D 채널 제어 및 CPU(68302)와 인터페이스하여 IEC-Q를 제어한다.
다음, 시스템 제어부(56)는 ICC 제어부(54)에 접속되어, 메인 프로세서로 16비트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이용하였으며, 장치 테스트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RS-232C 포트를 두어 일반 터미날 및 별도의 장치와 시리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6)가 프로그램 롬 및 데이터 램 외에도 장치의 셋업 내용을 파워 오프시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제어부(56)에 의해 제어되는 별도의 저장부(58) 예를 들어, EEPROM을 두어 셋업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데이터 램 외에도 옵션으로 백-업 밧데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하여 파워 오프시 데이터 유지를 위해 이를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콘솔(100) 내의 화면 표시부(10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하는데, LCD 모듈은 LCD 판과 드라이버 그리고 콘트롤러 IC가 내장되어 외부의 콘트롤 신호와 시스템 제어부(56)의 데이터만 입력하고 내부의 레지스터를 세팅함으로써 LCD 판에 원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키입력부(104)는 제2도와 같이 모두 45개의 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코더(Decoder)(106)는 어드레스(Address)(A4-A2)를 디코딩하여 키 스캔(Key Scan)의 입력으로 이용 즉, 어드레스 입력시 입력된 데이터를 키 스캔 출력값으로 사용하여 눌려진 키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며, 버퍼(108)는 눌려진 키에 따른 데이터(D0-D7)를 일시 저장후, 출력한다.
소정의 전원부는(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는 상용 교류 전원(AC 110V - 230V) 및 교환기로부터의 직류 -48V 전원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해당 전원 사용에 따라 파워 팩(Power Pack)만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망종단 장치(10)와, 단말 장치(50)는 메인 보드에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착신자 응답 후의 호 전환
특정 발신자와 센트릭스 그룹내/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간의 통화 중에 발신자가 센트릭스 그룹내/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 내선으로 호 전환을 요구할 경우 전환하고자 하는 착신자를 호출하는데, 호 전환을 위해서는 일반 호와 같이 소정의 [TRF] 키를 이용한다.
번호를 먼저 다이얼하고 [TRF] 키를 누르거나, [TRF] 키를 먼저 누르고 번호를 다이얼하면 된다.
이 후,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고 착신자가 호 전환을 허용시 소정의 [RLS] 키를 누르면 발신 대기 중인 발신 가입자와 통화 중인 특정 착신 가입자가 연결된다.
2) 착신자 응답 전의 호 전환
특정 발신자와 통화 중에 호 전환을 요구할 경우 특정 착신 가입자 번호를 누르고 [TRF] 키를 누르거나, [TRF] 키를 누르고 번호를 다이얼한 후, 착신자와 통화없이 [RLS] 키를 누르면 바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상태를 듣게 된다.
3) 발신자와 재 통화시 호 전환
특정 발신자와 통화중 전환을 요구할 경우 [TRF] 키를 이용하는데, 전환하기 위해 특정 착신자에게 호 연결 중 화중 상태라는 이유에서 연결이 안될 경우 또는 연결 중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 문제로 인해 연결 중단시 [TRF] 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착신자와는 절단되고 발신자와 재 통화가 이루어진다.
4) 호 전환 대기시 호 전환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서 전환시키고자 하는 호의 특정 착신 가입자가 통화 중이고 특정 발신 가입자가 대기하고자 하는 경우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는 발신 가입자를 호 전환 대기 상태로 만들어 착신자가 통화 완료시 자동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환하고자 하는 착신 가입자가 통화 중인 경우 비지 톤(Busy Tone)을 듣게 되는데 이때, 발신 가입자에게 대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TRF] 키를 사용하여 시스템으로 착신측 연결을 해지하도록 메시지를 통보하며 발신 가입자와의 통화가 재개된다.
이때, 착신 가입자 영역의 착신 번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발신 가입자가 대기를 원하는 경우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장치는 다이얼 대신 소정의 [SEL] 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착신 번호를 오피(OP) 영역에 복사하고 소정의 [CMP] 키를 사용하여 발신 가입자를 호 전환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이 후, 착신측 통화가 완료된 후, 자동 연결된다.
이에, [RLS] 키를 사용하여 정상 업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서 호의 전환 처리를 위해 3가지 기능 즉, 착신자 응답후 전환, 착신자 응답전 전환, 호 전환 대기 등을 위하여 통화 중인 가입자를 잠시 보류시키고 전환 대상 그룹내/내선 가입자에게 전화를 건 후, 호 전환 및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Claims (2)

1) 착신자 응답 후의 호 전환은, 발신자와 센트릭스 그룹내/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 같의 통화 중에 발신자가 센트릭스 그룹내/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 내선으로 호 전환을 요구할 경우 전환하고자 하는 착신자를 호출하여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고 착신자가 호 전환을 허용시 소정의 [RLS] 키를 눌러 발신 대기 중인 발신 가입자와 통화 중인 착신 가입자가 연결되도록 하며, 2) 착신자 응답 전의 호 전환은, 발신자와 통화 중에 호 전환을 요구할 경우 착신 가입자 번호를 누르고 소정의 [TRF] 키를 누르거나, 상기 [TRF] 키를 누르고 번호를 다이얼한 후, 착신자와 통화없이 상기 [RLS] 키를 눌러 발신자가 착신자의 상태를 듣도록 하고, 3) 발신자와 재 통화시 호 전환은, 발신자와 통화중 전환을 요구할 경우 상기 [TRF] 키를 이용하는데, 전환하기 위해 착신자에게 호 연결 중 화중 상태라는 이유에서 연결이 안될 경우 또는 연결 중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 문제로 인해 연결 중단시 상기 [TRF] 키를 한 번 더 눌러 착신자와는 절단되고 발신자와 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4) 호 전환 대기시 호 전환은, 전환하고자 하는 착신 가입자가 통화 중인 경우 비지 톤을 듣게 되는데 이때, 발신 가입자에게 대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TRF] 키를 사용하여 시스템으로 착신측 연결을 해지하도록 메시지를 통보하며 발신 가입자와의 통화가 재개되도록 하고, 발신 가입자가 대기를 원하는 경우 소정의 [SEL] 키를 한 번 더 눌러 착신 번호를 오피(OP) 영역에 복사하고 소정의 [CMP] 키를 사용하여 발신 가입자를 호전환 대기 상태로 만들며, 착신측 통화가 완료된 후, 자동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착신자 응답 후의 호 전환에 있어서 착신자 호출은, 호 전환을 위해서는 소정의 [TRF] 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먼저 다이얼하고 상기 [TRF] 키를 누르거나, 상기 [TRF] 키를 먼저 누르고 번호를 다이얼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KR1019960017428A 1996-05-22 1996-05-22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KR018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428A KR0182693B1 (ko) 1996-05-22 1996-05-22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428A KR0182693B1 (ko) 1996-05-22 1996-05-22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317A KR970078317A (ko) 1997-12-12
KR0182693B1 true KR0182693B1 (ko) 1999-05-15

Family

ID=194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428A KR0182693B1 (ko) 1996-05-22 1996-05-22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317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415A (en) Method of displaying called party information on calling party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method
JPH0685962A (ja) 通信装置
US5799076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connected parties having associated party processses
KR0182693B1 (ko)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전환 방법
KR0182691B1 (ko)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호 처리 방법
KR0182690B1 (ko)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대기 방법
KR0182680B1 (ko) 센트릭스/오텐던트 콘솔 장치
KR10022831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0182689B1 (ko) 센트릭스/어텐던트 콘솔 장치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 보고 방법
KR10025251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호 재착신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590861B1 (ko)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전환시키는 방법
KR01826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 구조
JP2786458B2 (ja) Isdn電話端末
KR1002633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간 호 전환방법
KR100229432B1 (ko) 전전자교환기의 자동 구내안내방송방법
KR100270743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호전환방법
KR0162432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복수채널을 이용한 시리얼 콜링 방법
KR97000067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No.7) 신호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애널로그 가입자와의 정합방법
KR960008428B1 (ko) 디지틀가입자 회선호 발신처리시 통신로 설정 및 해제 방법
JPH03183241A (ja) 通話中応答方式
KR19990020643A (ko) 전전자 교환기의 내선 가입자 호 전환 서비스 방법
JPH05136886A (ja) 発信者番号蓄積再呼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