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16B1 - 낚싯대용 관체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16B1
KR0182616B1 KR1019910021734A KR910021734A KR0182616B1 KR 0182616 B1 KR0182616 B1 KR 0182616B1 KR 1019910021734 A KR1019910021734 A KR 1019910021734A KR 910021734 A KR910021734 A KR 910021734A KR 0182616 B1 KR0182616 B1 KR 018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element
attachment portion
fishing line
line guide
fitt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286A (ko
Inventor
이사무 도꾸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쇼오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쇼오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쇼오조오
Publication of KR92000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Abstract

관형상요소체와, 이 관형상요소체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어 낚싯줄 안내구멍과 관형상요소체에의 부착부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로 이루어지며, 관형상요소체는 그 끝부분 바깥둘레에 부착부의 끼워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어 이 끼워맞춤 오목부에 부착부가 끼워맞춰짐과 동시에 부착부가 관형상요소체에 결합되어 있는 낚싯대용 관체.

Description

낚싯대용 관체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체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만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만의 사시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낚싯줄 가이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형상 요소체 2 : 낚싯줄 가이드
4 : 성형체 11 : 끼워맞춤 오목부
22 : 부착부 23 : 보스
본 발명은 관형상 요소체의 끝부분에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낚싯대용 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형상 요소체의 끝부분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낚싯줄가이드(A)는, 낚싯줄 안내구멍(A1)과 통형상의 부착부(A2)를 가지며, 통형상의 상기 부착부(A2)안둘레에 합성수지제의 끼워맞춤통(B)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통(B)이 관형상 요소체(C)의 끝부분 바깥둘레에 끼워져서 접착제로 고정됨으로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A)가 관형상 요소체(C)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 종래의 관체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A)의 부착부(A2)와, 관형상 요소체(C) 외면과의 사이에 상기 끼워맞춤통(B)이 있어, 통형상의 상기 부착부(A2)가 관형상요소체(C) 외면에 대하여 크게 돌출하여, 부착부(A2)와 관형상요소체(C) 외면과의 사이에 큰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관형상 요소체(C)의 바깥둘레에 낚싯줄이 감겨 붙었을 경우, 이 낚싯줄이 상기 부착부(A2)에 걸려서 얽히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낚싯줄 가이드(A) 와는 별개로 끼워맞춤통(B)이 필요할 뿐더러 이 끼워맞춤통(B)을 낚싯줄 가이드(A)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 및 부착작업성이 나쁘고, 원가상승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끼워맞춤통등을 사용하지 않고 낚싯줄 가이드를 충분히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부착부의 관형상 요소체 외면으로 부터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구성은, 관형상 요소체의 끝부분에 낚싯줄 안내 구멍과 상기 관형상 요소체에의 부착부를 가진 낚싯줄 가이드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용 관체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요소체의 끝부분 바깥둘레에 상기 부착부의 끼워맞춤 오목부를 설치하여 이 끼워맞춤 오목부에 상기 부착부를 끼워맞추고, 상기 부착부를 상기 관형상 요소체에 결합한 점에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1예로서 제1도와 같이 구성하면, 관형상요소체(1)의 끼워맞춤오목부(11)에 낚싯줄 가이드(2)의 부착부(22)를 부착하기 때문에, 이 부착부(22)의 관형상요소체(1) 외면으로 부터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부착부(22)를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에 끼워맞춰서 일체 성형등이 가능하므로 낚싯줄 가이드(2)를 충분히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2)를 부착부(22)에 통형상 보스가 없는 구조, 예컨대 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2)를 경량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구조가 간단하고, 그 만큼 부착 작업성이 좋으며, 낚싯대용 관체를 값싸게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일체성형으로 부착부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착부에 보스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부착부를 충분히 강고하게 결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를 예컨대 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만큼 낚싯줄 가이드, 더 나아가서는 관체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용 관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카본섬유, 유리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쉬트형상의 프리프레그(prepreg)가 정해진 방법대로 감기고 가압소성되어 중공으로 성형된 관형상요소체이다.
(2)는 이 관형상요소체(1) 끝부분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이다.
이 낚싯줄 가이드(2)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판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있다.
그 한쪽끝쪽에는 낚싯줄 유도링(3)이 지지되어 있어 이 낚싯줄 유도링(3)에 낚싯줄 안내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 끝쪽에는 관통구멍을 갖는 부착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부(22)의 구멍은 상기 관형상요소체(1)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낚싯줄 안내구멍(21)은 낚싯줄 유도링(3)을 통하여 형성하는 것외에 직접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요소체(1)의 선단부 바깥둘레에, 상기 부착부(22)의 구멍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또한 부착부(22)의 살 두께보다 긴 길이의 끼워맞춤 오목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부(11)에 상기 부착부(22)가 끼위맞춰져 있음과 동시에, 성형용 형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부(22)의 끼워맞춤부분이 일체성형되어, 상기 부착부(22)가 관형상요소체(1)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성형은, 예컨대 분할형을 이용하고 상기 관형상요소체(1)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 부착부를 상기 분할형에 지지하여 이 분할형의 성형부에 합성수지 혹은 알루미늄, 티탄등의 경금속, 고무 등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에성형체(4)를 형성하고, 이 성형체(4)에 의해 상기 부착부(22)가 관형상요소체(1)가 결합된다. 다만, 성형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는, 관형상요소체(1)의 앞끝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에 걸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부(11)와 관형상요소체(1) 외면과의 사이의 단차부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2)의 끼워맞춤 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체(4)에 의해 상기 낚싯줄 가이드(2)의 끼워맞춤 방향 후방 및 둘레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2)가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22)의 구멍둘레에 상기 오목부(12)에 부합되는 끼워맞춤 돌기가 돌출설치되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 오목부(12)가 설치되는 대신 끼워맞춤 오목부(11)의 둘레면이 타원형 혹은 다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오목부(12)가 설치되거나, 비원형으로 된 것에 의해 상기 낚싯줄 가이드(2)의 끼워맞춤 방향으로의 이동과, 둘레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부착부(22)의 결합강도를 보다 더 한층 크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관형상요소체(1)의 끝부분에 끼워맞춤오목부(11)를 설치하고, 이 끼워맞춤 오목부(11)에 상기 부착부(22)가 부착됨으로서 이 부착부(22)의 관형상요소체(1)의 외면으로 부터의 돌출량을 없애거나 또는 적게할 수 있다.
따라서, 관형상요소체(1)의 외면에 낚싯줄이 감기더라도 이 낚싯줄은 상기 부착부(22)에 얽혀붙기 어렵다.
게다가, 상기 부착부(22)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에 끼워맞춰져서 일체성형에 의해 관형상요소체(1)에 결합되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2)의 부착구조가 간단하고, 그만큼 부착작업성이 좋아 염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일체성형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부착부(22)에 보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부착부(22)는 충분히 강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2)를 상기 부착부(22)에 보스가 없는 구조, 예컨대 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낚싯줄 가이드(2), 더 나아가서는 관체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한 낚싯줄 가이드(2)의 부착부(22)를 끼워맞춤 오목부(11)와 관형상요소체(1)와 면과의 사이의 단차부에 맞닿게하고, 이 단차부에 의해 낚시줄 가이드(2)의 끼워맞춤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하였으나 그 밖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22)를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유지시켜서 이 끼워맞춤 오목부(11)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부(22)의 양쪽에 상기 성형체(4)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가이드(2)를 부착부(22)에 보스를 설치하지 않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22)에 보스(23)가 설치되어 있어 이 보스(23)부와 부착부(22)가 상기 성형체(4)에 의해 끼워맞춤 오목부(11)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보스(23)를 설치할 경우, 제6도와 같이 상기 부착부(22)를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와 관형상요소체(1) 외면과의 사이의 단차부에 맞닿게 하는 것이지만 그 밖에, 제7도와 같이 상기 보스(23)를 상기 단차부에 맞닿게 하여도 된다.

Claims (7)

  1. 관형상요소체(1)와, 상기 관형상요소체(1)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어 낚싯줄 안내구멍(21)과 상기 관형상요소체(1)에의 부착부(22)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상요소체(1)는 그 끝부분바깥둘레에 상기 부착부(22)의 끼워맞춤 오목부(11)가 설치되어 있어 이 끼워맞춤 오목부(11)에 상기 부착부(22)가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부(22)가 상기 관형상요소체(1)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2)를 일체성형에 의해 상기 관형상요소체(1)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에 충전된 성형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체(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는 그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오목부(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2)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유지되어 있어, 이 끼워맞춤오목부(11)에서 상기 부착부(22)양쪽에 상기 성형체(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2)에 보스(23)가 설치되어 있어, 이 보스(23)부와 상기 부착부(22)가 상기 성형체(4)로 상기 끼우기 오목부(1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23)부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와 상기 관형상요소체(1)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관체.
KR1019910021734A 1990-11-30 1991-11-29 낚싯대용 관체 KR0182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30570 1990-11-30
JP1990130570U JPH0488268U (ko) 1990-11-30 199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286A KR920009286A (ko) 1992-06-25
KR0182616B1 true KR0182616B1 (ko) 1999-03-20

Family

ID=150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734A KR0182616B1 (ko) 1990-11-30 1991-11-29 낚싯대용 관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88268U (ko)
KR (1) KR0182616B1 (ko)
IT (1) IT1252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7566B2 (ja) * 2000-09-25 2010-09-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5334306B2 (ja) * 2009-03-31 2013-11-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88268U (ko) 1992-07-31
KR920009286A (ko) 1992-06-25
ITMI913181A1 (it) 1993-05-28
IT1252013B (it) 1995-05-27
ITMI913181A0 (it)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94480B2 (en) Fishing line guide, reel seat, and fishing rod with said reel seat
KR101985997B1 (ko) 낚시줄 가이드의 고정 구조, 및 낚싯대
JPH09233978A (ja) 釣り糸案内具
GB2126259A (en) Knitting needles with a flexible cord
US4403439A (en) Integral fishing rod, handle and reel seat
JPH0214385Y2 (ko)
KR0182616B1 (ko) 낚싯대용 관체
EP0827688B1 (en) Line introduction guide for pass-through fishing rod
KR0182618B1 (ko) 고정가이드 부착구조
US5175952A (en)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7020498A (ja) 穂先竿
US20220394965A1 (en) Guide for fishing rod
US5419075A (en) Fishing line guide
JP2002262725A (ja) 釣糸案内ガイドの釣糸案内体及び釣糸案内ガイド
US5479740A (en) Fishing rod with fishline laid through it
JP2003102344A (ja) 穂先竿
EP0885561A3 (en) Inter-line fishing rod
JP2003079280A (ja) 穂先竿
KR200154909Y1 (ko) 중간통과 낚시대의 낚시줄 가이드
US5283973A (en) Fishing line guide
CN113994939B (zh) 卷线器座
JPS5841166U (ja) 釣竿用トリガ−
JPS6329414Y2 (ko)
CN117898266A (zh) 钓竿
JP6499057B2 (ja) 遊動式の釣糸ガイド及び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