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915B1 -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915B1
KR0181915B1 KR1019960078037A KR19960078037A KR0181915B1 KR 0181915 B1 KR0181915 B1 KR 0181915B1 KR 1019960078037 A KR1019960078037 A KR 1019960078037A KR 19960078037 A KR19960078037 A KR 19960078037A KR 0181915 B1 KR0181915 B1 KR 018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oscillator
frequency
value
voltage
voltage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03A (ko
Inventor
양재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915B1/ko
Priority to GB9727354A priority patent/GB2322489B/en
Priority to US08/998,608 priority patent/US6011818A/en
Publication of KR1998005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03J7/06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J7/065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the counter or frequency divider being used in a phase locked loop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및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주파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상 동기 루프와 중간 주파수의 위상 및 주파수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주파수를 조정할 때, 위상 동기 루프의 발진신호가 중간 주파수와 동조되지 않았을 경우에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저장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상 동기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면 그 값을 저장하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가를 체크하여 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들었을 때 그 값을 저장한다.

Description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본 발명은 위상 동기 루프와 중간 주파수의 위상 및 주파수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주파수를 조정할 때, 위상 동기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중간 주파수와 동조되지 않았을 경우에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저장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TV 및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가 채널을 선국할 때, 마이크로 컴퓨터와 같은 제어부에서는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 PLL)의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VCO)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주파수를 조절하여 정확한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RF)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정확한 신호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주파수를 조절하는 수신부(10)와, 상기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원하는 레벨만큼 증폭시키는 중간 주파수 증폭부(11)와, 상기 중간 주파수 증폭부(11)로부터 증폭된 출력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복조부(12)와,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상 동기 루프(13)와, 중간 주파수와 상기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비교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키는 제어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를 수신부(10)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제어부(14)에서 피드백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에 따라 정확한 신호 주파수가 되도록 주파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신호성분이 출력되도록 중간 주파수 증폭부(11)에 입력시키고, 상기 중간 주파수 증폭부(11)에 입력된 신호는 원하는 레벨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위상 동기 루프(13)에서는 중간 주파수와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신호의 위상 및 주파수를 비교하여 제어부(14)로 그 결과를 출력하고, 제어부(14) 에서 상기 위상 동기 루프(13)로부터 출력된 값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수신부(10)로 피드백하여 정확한 주파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정확히 조절된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 증폭부(11)를 거쳐 복조부(12)에 입력되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복조 출력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팩토리 모드로 진입한 후(S10), 전압 제어 발진기 조정 모드를 선택한다(S11). 그리고 위상 동기 루프(13)로부터 제어부(14)로 전송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Inter Interface Control) 버스의 상위비트(AFA)의 값을 체크한다(S12).
이때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의 차가 클 때는 상위비트(AFA)의 값이 '0'이 되고, 발진신호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의 차가 소정 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위비트(AFA)의 값이 '1'이 된다.
상기 과정(S12)에서 상위비트(AFA) 값이 '0'일 경우에는 다시 위상 동기 루프(13)로부터 제어부(14)로 전송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하위비트(AFB)의 값을 체크한다(S13). 이때 상기 과정(S13)에서 하위비트(AFB)의 값이 '0'일 경우에는 위상 동기 루프(13)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동조시키기 위해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가시키고(S14), 하위비트(AFB)의 값이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감소시킨 후(S15), 다시 상기 과정(S12)으로 귀환하여 그 차가 소정 값 이하로 작아질 때까지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만일 상기 과정(S12)에서 상위비트(AFA)가 '1'일 경우에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하위비트(AFB)를 체크하여(S16) 그 값이 '0'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증가시키고(S17), 그 값이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감소시킨다(S18).
그리고 하위비트(AFB)의 값이 '0'에서 '1' 또는 '1'에서 '0'으로 그 값이 변했는가를 판단하여(S19) 값이 변했을 경우에는 위상 동기 루프(13)의 발진신호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한 것이므로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가변을 정지하고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저장하며(S20), 값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카운터(N)의 값을 증가시킨 후(S21)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2). 상기 과정(S22)에서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S23)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고, 설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과정(S16)으로 귀환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은 위상 동기 루프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한 후, 두 주파수 차에 의한 상위비트와 하위비트의 상태변환에 의해서만 주파수를 조정하므로 주파수가 조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조정장치가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위상 동기 루프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를 조정하고, 주파수 조정이 되지 않을 경우에 다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을 체크하여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적으로 위상 동기 루프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 차에 의해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변환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이 변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가를 체크하여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의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자동 조정장치의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수신부 11 : 중간 주파수 증폭부
12 : 복조부 13 : 위상 동기 루프
14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4)로 전송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AFA)와 하위비트(AFB)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면 그 값을 저장하는 제1 과정(S100)과,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았을 경우에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13)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는가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13)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들었을 때 그 값을 저장하는 제2 과정(S200)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팩토리 모드로 진입한 후(S30), 전압 제어 발진기 조정 모드를 선택한다(S31). 그리고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4)로 전송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AFA)의 값을 체크한다(S32).
이때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의 차가 클 때는 상위비트(AFA)의 값이 '0'이 되고, 발진신호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의 차가 소정 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위비트(AFA)의 값이 '1'이 된다.
상기 과정(S32)에서 상위비트(AFA) 값이 '0'일 경우에는 다시 위상 동기 루프(13)로부터 제어부(14)로 전송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하위비트(AFB)의 값을 체크한다(S33). 그리고 상기 과정(S33)에서 하위비트(AFB)의 값이 '0'일 경우에는 위상 동기 루프(13)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도록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증가시키고(S34), 하위비트(AFB)의 값이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감소시킨 후(S35), 다시 상기 과정(S32)으로 귀환하여 차가 소정값 이하로 작아질 때까지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만일 상기 과정(S32)에서 상위비트(AFA)가 '1'일 경우에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하위비트(AFB)를 체크하여(S36) 그 값이 '0'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가시키고(S37), 그 값이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감소시킨다(S38).
그리고 하위비트(AFB)의 값이 '0'에서 '1' 또는 '1'에서 '0'으로 그 값이 변했는가를 판단하여(S39) 값이 변했을 경우에는 위상 동기 루프(13)의 발진신호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한 것이므로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가변을 정지하고 현재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저장하고(S40), 값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카운터(N)의 값을 증가시킨 후(S41)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42). 이때 설정값은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를 증감시키는 과정을 몇회 이내로 수행할 것인가를 설정해 놓은 값이다.
상기 과정(S42)에서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과정(S36)으로 귀환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고,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13)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가를 체크한다(S43).
상기 과정(S43)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압, 예를 들면 2.7V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44) 제1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감소시키고(S45), 제1 기준전압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압, 예를 들면 2.3V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46). 상기 과정(S46)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제2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증가시킨 후(S47), 카운터(N)의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S48).
이후,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고(S49),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과정(S43)으로 귀환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카운터(N)의 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에러를 표시하고(S50) 작업을 종료한다.
만일 상기 과정(S46)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제2 기준전압 이하가 아니라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인 제1 기준전압에서 제2 기준전압 사이인 것이므로 현재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저장하고(S51),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에 의하면, 주파수 조정장치가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위상 동기 루프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를 조정한 후, 주파수 조정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 다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을 체크하여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더 확실하게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6)

  1. 위상 동기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신호와 중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신호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면 그 값을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전압 제어 발진신호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았을 경우에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가를 체크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값을 증감시킨 후,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 들었을 때 그 값을 저장하는 제2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를 체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위비트가 '0'일 경우에 하위비트를 체크하여 하위비트가 '0'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값을 증가시키고, 하위비트가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위비트가 '1'일 경우에 하위비트를 체크하여 하위비트가 '0'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발진기의 데이터를 증가시키고, 하위비트가 '1'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한 후 하위비트가 변경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하위비트의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현재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고, 하위비트의 값이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카운터 값이 설정값 이내일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로 귀환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제어 버스의 상위비트는,
    위상 동기 루프의 발진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의 차가 클 경우에는 그 값이 '0'이고, 소정값 이내일 경우에는 그 값이 '1'이 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하위비트가 '0'에서 '1' 또는 '1'에서 '0'으로 변경되면 위상 동기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가 동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을 체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제2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증가시킨 후, 카운터 값이 설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카운터 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에러를 표시한 후 작업을 종료하고, 설정값 이내이면 상기 제1 단계로 귀환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이 제1 기준전압에서 제2 기준전압 사이일 경우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기준전압은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의 최고치이고, 제2 기준전압은 위상 동기 루프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제어전압의 최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KR1019960078037A 1996-12-30 1996-12-30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KR018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37A KR0181915B1 (ko) 1996-12-30 1996-12-30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GB9727354A GB2322489B (en) 1996-12-30 1997-12-29 Automatic frequency control method
US08/998,608 US6011818A (en) 1996-12-30 1997-12-29 Automatic frequency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37A KR0181915B1 (ko) 1996-12-30 1996-12-30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03A KR19980058703A (ko) 1998-10-07
KR0181915B1 true KR0181915B1 (ko) 1999-04-15

Family

ID=1949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037A KR0181915B1 (ko) 1996-12-30 1996-12-30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11818A (ko)
KR (1) KR0181915B1 (ko)
GB (1) GB2322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07B1 (ko) * 1998-09-25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스시스템에서의 오디오/비디어 제어 튜너의 인스턴스(instance) 선택장치
US7127010B1 (en) * 1999-07-29 2006-10-24 Bose Corporation Oscillator controlling
US6823031B1 (en) * 2000-01-20 2004-11-23 Wavtrace, Inc. Automated frequency compensation for remote synchronization
WO2009092130A1 (en) * 2008-01-22 2009-07-30 Barge's Belting Solution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veyor bel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2412A (en) * 1974-03-29 1975-05-06 North Electric Co Drift compensated phase lock loop
US4151485A (en) * 1977-11-21 1979-04-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Digital clock recovery circuit
US4271533A (en) * 1979-07-11 1981-06-02 Gte Products Corporation AFC Interface circuit
US4712077A (en) * 1986-12-22 1987-12-0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s Tristate phase-lock loop prevents false lock
US4903329A (en) * 1987-06-15 1990-02-20 Motorola, Inc. Clamping circuit for a PLL tuning system
JPH07105756B2 (ja) * 1988-06-29 1995-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
JPH0738633B2 (ja) * 1988-12-23 1995-04-26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イミング・クロック再生回路
US5335348A (en) * 1992-01-10 1994-08-02 Nec Corporation Radio receiver having frequency sweep control apparatus
US5287182A (en) * 1992-07-02 1994-02-15 At&T Bell Laboratories Timing recovery for variable bit-rate video o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networks
JP3356244B2 (ja) * 1995-06-26 2002-12-16 ローム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03A (ko) 1998-10-07
GB2322489B (en) 2001-02-28
GB9727354D0 (en) 1998-02-25
GB2322489A (en) 1998-08-26
US6011818A (en) 2000-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4323A (en) Self tracking tuner
US6639474B2 (en) Adjustable oscillator
US5450621A (en) Radio receiver with digital control loop for coarse frequency acquisition and analog control loop for frequency lock-in
KR0181915B1 (ko) 주파수 자동 조정방법
US5203032A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US5724105A (en) Television signal receiver
KR0158187B1 (ko) 위성 방송 수신기
US6567488B1 (en) Relating to demodulator alignment correction in tuners
KR200159327Y1 (ko)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에이에프티 비교회로
KR100393053B1 (ko) 자동 채널 설정방법
JPS627729B2 (ko)
JP3314722B2 (ja) テレビ信号の選局装置
KR100205822B1 (ko) 튜너의 디지탈 자동 미세 동조 제어방법
JPH0342807B2 (ko)
JPH06318963A (ja) 移動無線機
KR0174143B1 (ko) 주변온도에 의한 aft 자동조정장치 및 그 방법
EP0875993A2 (en) AFT optimiz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FT method for a broadcast receiving system
JP3038726B2 (ja) 電子選局装置
JPH06252705A (ja) 電子同調受信機
KR980013321A (ko) 채널 미세 조정 방법 (method for automatically fine tuning)
KR19980040698A (ko) Aft 자동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930008469B1 (ko) 윈도우 검색에 의한 주파수 합성튜우닝 방법
KR0157520B1 (ko) Aft를 이용한 채널 선국방법
JP3085959U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発振周波数制御装置
JPS6174412A (ja) テレビジヨンチユ−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