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696B1 - 실 저장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실 저장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696B1
KR0181696B1 KR1019930700081A KR930700081A KR0181696B1 KR 0181696 B1 KR0181696 B1 KR 0181696B1 KR 1019930700081 A KR1019930700081 A KR 1019930700081A KR 930700081 A KR930700081 A KR 930700081A KR 0181696 B1 KR0181696 B1 KR 018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rive shaft
support member
storage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648A (ko
Inventor
클라에슨 토레
프레드릭슨 라스베르노
조세프슨 패르
Original Assignee
스티그 아르네 블롬
이로 에이 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002409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2409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780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780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796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796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101226A external-priority patent/SE9101226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101234A external-priority patent/SE9101234D0/xx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1/00130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2001101A1/de
Application filed by 스티그 아르네 블롬, 이로 에이 비이 filed Critical 스티그 아르네 블롬
Publication of KR9307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분리기능을 갖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권사(W)로 이루어진 공급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구동샤프트(T)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는 저장본체(K)와,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저장본체(K)의 둘레에 분포되며 그 외부면(26)이 구동샤프트축(H)과 동심에 있는 원에 내접하게 되는 로드형 지지부재(A)와, 저장본체의 둘레에 분포되며 각각의 지지부재와 연관되며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 지지부재(A)에 상대적으로 구동되어서 반경방향 및 측방향 운동으로 이루어진 공급 운동을 수행하며 그 외부면(25)이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편심을 이루는 원에 내접하게 되는 로드형 공급부재(V)로 구성되며, 구동샤프트측(H)으로 부터 지지부재(A)의 상호 동일한 방사상 거리가 지지부재(A)를 변위시킴으로써 공동으로 변화되게 하고, 편심원의 중심[축(8)]으로부터 공급부재(V)의 상호 동일한 방사상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A)가 변위될때 그 지지부재(A)에 의해 공통으로 변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 저장 및 공급장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가변직경 저장본체를 구비한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IV-IV의 단면도.
제5a 및 b도는 2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a, b 및 c도는 3개의 다른 조정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도면.
제8도는 가변직경 저장본체를 구비한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부분종단면도.
제9,10,11,12a 및 b도는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자기구동시스템의 상세한 변경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4 및 15도는 2개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종단면도에서 또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
제17 및 18도는 2개의 또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전자기를 이용한 또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상세한 변경을 나타낸 도면.
제21도는 볼변직경 저장본체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F)는 내부에 구동샤프트(T)가 지지되는 고정본체(G)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샤프트(T)는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샤프트(T)의 중심축은 H로 나타낸다. 구동샤프트(T)는 저장본체(K)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장치, 예를들면 영구자석쌍에 의해 서로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저장본체(K)는 드럼형상이며 실 즉 바람직하게 직사기용 위사(緯絲)의 공급실을 위해 회전가능한 대칭 저장면을 형성하며, 위사(U)는 권사(W)로 이루어져 정확한 치수의 동일한 길이방향 섹션에 간헐적으로 송출된다. 구동샤프트(T)는 환형 권사부재(I)를 지지하며, 권사부재(I)는 화살표 방향의 윗쪽으로 실을 송출하여 공급실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권사(W)를 감아올린다. 하우징으로의 고정본체(G)에는 스톱부재(B')를 갖는 스톱장치(B)가 부착되며, 스톱부재(B')는 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방사상으로 전진 후퇴하여 송출사이클 동안에 실경로에 삽입되고 송출동작이 일어날때 후퇴하여 빼내진다.
저장본체(K)의 저장면은 둘레에 분포된 로드형상의 고정지지부재(A)및 그에 연관된 로드형 공급부재(V)에 의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구동샤프트(T)가 회전할때 공급부재(V)가 구동되어서, 공급부재(V)는 제1도의 권사(W)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소정간격이 형성하도록 권사(W)를 분리시키는 공급동작을 수행한다.
지지부재(A)는 저장본체(K)에 지지되어서, 지지부재(A)는 방사상으로 조정 가능하며, 저장본체(K)의 외경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작동기(B)에 의해 회전구동케하는 환형 조정디스크0(Q)의 앞면 나사(2)와 체결하므로, 상기 외경은 지지부재(A)에 의해 형성된다. 지지부재의 외부면은 중심축(H)과 동심을 이루는 원에 내접시킬 수 있다. 공급부재(V)는 모든면에서 일정 한 여유를 가지고 지지부재(A)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나, 공급부재(V)는 2개의 지지부재(A)사이에 각각 유지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A)와 그에 연관된 공급부재(V)사이에 드래그 클러치(S)가 제공되며, 드래그 클러치(5)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고 지지부재(A)를 방사상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공급부재(V)를 함께 끌고 간다.
슬리이브(3)는 구동샤프트(T)상의 제위치에 고정되며, 그 슬리이브(3)의 외부면에는 축(8)이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경사각으로 가지고 뻗는 원통면(Z)이 제공되며, 다르게는(제2도) 상기 축(8)이 상기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편심적으로(편심을 e로)위치된다. 예를들어 90°의 변위(제7도 참조)가 경사위치와 편심률(e)사이에서 구동샤프트(T)의 회전방향으로 제공된다.
실린더 축(8)과 동축상에 있는 허브(N)는 원통면(Z)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공급부재(V)는 스포우크등과 같은 상기 허브(N)에 연결 부착된다.
각각의 공급부재(V)는 접속기(C)에 의해 상기 허브(N)에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제1도의 경우에서는 소정 미끄럼 저항을 갖는 레이디얼 미끄럼 클러치(R)로 구성된다. 공급부재(V)에는 원통 생크(6)가 제공되어 있으며, 원통생크(6)는 미끄럼 끼워 맞춤으로 슬리이브(4)에 맞물려서 클램핑 링(7)에 의해 제위치에서 고정된다. 액슬 스터브(5)[축(9)]에 의 해서, 슬리이브(4)는 제1도의 평면 안밖의 제한된 범위로 피봇되도록 허브(N)내에 지지된다.
제1도에 따르면, 지지부재(A)에는 공급부재(V)를 내부에 수용하기위한 축방향 샤프트(A')가 제공된다.
제2도 및 3도에 따르면, 슬리이브(4)는 구멍(10)내의 상기 액슬스터브(5)에 의해 허브(N)의 개구부(16)안에서 상기 축(9)에 대해 제한된 범위에 피봇되어 있으며, 상기 축(9)은 실린더축(8)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다.
클램핑 링(7)이 소량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여유를 가지고 생크(6)의 홈(13)에 위치되고 탄성적 프리톈션방식으로 구멍(12)의 벽에 대해 눌러지기 때문에 상기 생크(6)는 축(11)에 대해 공급부재(V)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4)의 상기 구멍(12)에 의해 한정되며 실린더축(8)의 방사상으로 뻗는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르면, 드래그 클러치(5)는 공급부재(V)에 제공된 스톱수단(14)에 의해 그리고 지지부재(A)의 카운터 스톱수단(15)에 의해 한정되므로, 소정량의 방사상 놀음(play)이 마련된다.
동작중에, 구동샤프트(T)가 회전되어서 권사부재(I)는 위사(U)를 권사(W)의 형태로 저장본체(K)에 작용케 한다. 스톱부재(B')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경사 위치 및 편심률(e)사이의 변위 때문에, 각각의 공급부재(V)는 구동샤프트(T)의 1회전 과정에서 먼저, 그 외부면이 지지부재(A)의 외부면 아래 방사상으로 그리고 지지부재(A)의 외부면 위쪽 수준의 바깥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난 다음에, 지지부재(A) 아래 위치에 복귀하기에 앞서 그리고 축방향 좌측으로 이동하기에 앞서 권사(W)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 분리시키기 위해서 우측으로 제1도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위사(U)가 소망하는 길이에 있을때, 스톱부재(B')가 후퇴하고, 소망갯수의 권사(W)가 송출된다. 저장본체(K)상의 공급권사(W)의 갯수가 소망갯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구동샤프트(T)가 다시 회전하여 공급이 보충될 것이다.
1회 송출동작 중에 송출된 위사(U)는 소정길이를 가지는데, 이것은 저장본체(K)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조절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환형 조정 디스크(Q)가 회전되며, 이것은 지지부재(A)가 방사상 안밖으로 연결적 이동을 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이 과정중에 하우징(I)상의 스톱장치(B)가 해제되어 저장본체(K)와 스톱장치(8)사이의 거리가 조정된다.
공급부재(V)는 드래그 클러치(S)에 따라서 조정된다. 조정을 수행하면 미끄럼 클러치(R)의 이탈력(breakaway force)이 극복된다. 지지부재(A)에 의해 상기 조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공급부재(V)가 먼저 구동샤프트축(H)과 동심상으로 위치되지만 실린더 축(8)과 동심에 있는 원을 형성해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공급과정중에 분리 기능을 행하기 위해, 구동샤프트(T)는 공급부재(V)가 드래그 클러치(S)및 지지부재(A)에 의해 상기 실린더축(8)에 중심 맞춰지도록 최소한 1회 이상의 완전 회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에, 장치(F)는 또다시 동작할 준비가 되어있다. 조정은 작동기(B)의 도움으로 원격제어를 수행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장치(F)의 동작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미끄럼 클러치(R)의 저항은 권사(W)가 방사상 조정접속기(C)를 독립적 변위시킬 수 없도록 권사(W)의 접점 압력보다 더 크다. 미끄럼 클러치(R)대신에, 어떤 다른 방식으로 해제하고 재결합하게된 방사상 조정접속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부재(V)의 길이 방향면이 2개 그룹의 스톱수단(14)및 카운터스톱수단(15)에 각각 제공되어있다. 카운터스톱수단(15)사이의 방사상거리는(제4도참조) 최소한 2배이상의 편심률(e)에 스톱수단(14)의 방사상 두께(X)를 가산한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부재(A)의 조정 및 구동샤프트(T)의 연속적인 회전운동의 경우에, 각각의 스톱수단(14)의 카운터 스톱수단(15)의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일단 정지되기 때문에 공급부재(V)가 지지부재(A)에 대해 동일한 상대위치에서 중심맞춰진다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그래서, 공급 및 분리효과는 지지부재(A)의 조정의 방사상 위치와 독립적이 된다. 그러나, 그 분리효과는 공급부재(V)의 레버 아암이 더 길기 때문에 지지부재(A)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제5a도 및 5b도는 공급 및 분리동작을 각각 조정하는 2개의 다른 대안을 나타낸다. 여기서, 2개의 대안을 조합할 수도 있다. 제4도를 참조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도면부호 25로 나타낸 공급부재(V)의 외부면과 도면부호 26으로 나타낸 지지부재(A)의 외부면 사이의 동일한 상대위치는 스톱수단(14)및 카운터 스톱수단(15)이 고정 배치된 경우에 항상 얻어진다. 그러나, 제5a도 및/또는 제5b도에 따르면, 공급부재(V)의 외부면(25)과 지지부재(A)의 외부면(26)간 높이의 상대차는 분리동작이 임의로 변화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제1도(다른 유형의 위사품질에 대해 다른 분리동작을 조정을 하기위함 또는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리동작이 일정케 하기 위함)에 따른 가변직경 저장본체의 경우뿐만 아니라 직경이 변화될수 없는 제21도(다른 유형의 위사품질에서 또는 다른 동작조건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것임)에 따른 저장본체(K)의 경우에도 적합한 원리이다.
제5a도에 따르면, 외부면(25)에 연관하여 조정장치(J)에 의해서 양방향 화살표(19)의 방향으로 스톱수단(14)의 방사상 위치를 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외부면 25이 외부면 26위로 덜 멀리 또는 더 멀리 도출하게 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스톱수단(14)은 스크루우 스핀들(18)에 의해 공급부재(V)의 리세스(17)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대안으로서 제5b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지지부재(A)의 리세스(20)내에서 양방향 화살표(19)의 방향으로 상승 하강하도록 된 부재(21)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부재(21)는 2개의 카운터스톱수단(15)을 지지하며 이것은 스크루우스핀들(2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그결과는 동일한데, 즉 외부면(25, 26)사이의 상대 높이 위치의 정적 변화와 동적 위상에서 공급과정중에 분리동작의 변화가 동일하다. 이것은 제7도를 참조하여 이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에서, 수직 축은 지지부재(A)의 편심률(e)및 소망직경(D) 뿐만 아니라 음(-), 양(+)방향으로의 공급부재(V)의 축방향으로 경로(S)에 대응한다. 수평축은 구동샤프트(T)의 360° 까지의 회전운동을 나타낸다. 수평실선(28)은 제4도에서의 지지부재(A)의 외부면(26)의 소망직경(D)에 대응한다. 상승 및 하강선(30)은 구동샤프트(T)가 0° 에서 360° 까지 회전할때 편심률(e)때문에 발생하는 공급부재(V)의 반경방향 운동에 대응한다. 0° 에서, 상부 외부면 25은 상부 외부면 26보다 -e 만큼 더 낮게 위치된다. 90°에서, 외부면(25, 26)는 동일한 방사상 수준, 즉 0에 위치된다. 180° 에서는, 외부면 25은 아래로 이동하기전에 외부면 26보다 +e 만큼 높게 위치되며, 270°에서는 D에 위치되며, 마지막으로 360° 에서는 외부면 26보다 -e만큼 낮게 위치된다. 경사위치와 편심률(e)사이의 위상변위(예를들면, 90° )때문에, 공급부재(V) (하방화살표로 나타냄)은 공급방향의 반대방향 즉 제1도에서 좌측으로 0° 에서부터 실선(31)을 따라 90° 에서 그 운동을 축방향으로 역전시킬때까지 이동된 후에, 공급방향(제1도에서 우측)으로 운동(상방화살표로 나타냄)을 시작아여 270° 에 도달할때까지 그 운동은 계속되며, 그 다음에 또 다시 역전된다. 90° 와 270° 사이 (0영역)에서 외부면 25이 외부면 26위에 위치된다는 사실을 고려해 보면, 권사(W)는 최대영역을 따라 취해지면 그 최대영역 전체에 걸쳐서 분리된다.
제5a도 또는 제5b도에 따르면, 직경(D)이 스톱수단(14)및/또는 카운터 스톱수단(15)을 조정하여 D1으로 확대된다면, 외부면25 (곡선30이 더 짧은 영역 P에서 만 외부면 26 (직경 D)위로 상승되어서 그 축방향 운동에 의해 곡선 31의 더 짧은 영역 P에서만 권사(W)가 운반될 것이다. 공급 및 분리동작이 더 작아질 것이다. 이 과정은 지지부재(A)의 원의 직경이 가상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하여 기술하였다. 즉 공급부재의 원의 직경이 가상적으로 변화되었을때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제5a도 및 제5b도에서, 분리조정기구(J)가 각각의 공급부재(V)및 지지부재(A)에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중심으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든 공급부재에 대해서 또는 모든 지지부재에 대해서 공통의 조정 기구(J)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조정기구(J)는 제1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환형 조정 디스크 및 앞면 나사에 의거하여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에 따른 가변직경 저장본체의 경우에서, 지지부재의 공통 조정장치는 예률들어 스테핑 모터등의 구동수단을 갖춘 제1도에 따른 예를들어 환형 조정디스크(Q)등의 분리 및 공급 동작을 변화시키는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제6a도에 따르면, 이 경우에 대해서 카운터 스톱수단(15)사이의 방사상 거리는 2배의 편심률(e)에 초과길이(Y)를 더하고 다시 스톱수단(14)의 방사상두께(X)를 더한 것에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상기 초과길이(Y)와 편심률(e)이 대략 일치할때 합당하다.
이러한 구성 설계의 경우에 제7도에 따른 최대분리가 있는 조정을 얻기 위해서(곡선 28,30), 지지부재(A)는 화살표(23)향으로 직경 D2에 조정되어 소망 직경 D보다 크다. 편심률(e)이 구동샤프트(T)의 90° 회전위치 에 있다고 가정한 제6a도에 따른 공급부재(V)는 스톱수단(14)에 따라서 얻어진다. 그래서, 구동샤프트(T)가 최소한 1회 이상의 완전회전을 수행하고 (제6b도), 이 과정에서, 공급부재(V)는 하부 카운터 스톱수단(15)으로 부터 편심율(e)에 상당하는 범위에 상승한다. 상부 외부면 25이 한번에 상부외부면 26위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동작은 이 조정의 경우에 초과길이(Y)에 의해서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다. 지지부재(A)는 외부면(26)이 직경 D에 위치될때까지 제6c도에 따른 화살표(24)의 방향으로 초과길이(Y)에 의해서 아래로 변위된다. 그결과, 전방이동(90°와 270° 사이의 곡선 31)이 곡선 30의 영역 0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대 실 분리동작과 함께 최대 공급동작이 된다.
다른 유형의 위사 품질 때문에 실 분리동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직경의 증가에 의해서 증가하는 분리동작을 보상하기 위해서, 지지부재(A)는 외부면(26)이 직경 D1에 위치될때까지 제1도의 환형조정 디스크(Q)에 의해 화살표 27의 방향으로 방사상 외부로 변위된다. 곡선(30, 31)의 운동은 P영역에서만이 중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및 공급동작의 변화는 지지부재에 의해서 보다는 상기 지지부재의 조정수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조정은 모든 공급부재에 대해 공통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회전 구동수단(E)에 의해 동작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직경(D)이 소망 위사 길이에 관해 관측되야 한다면, 제6c도의 분리 동작의 감소에는 지지부재(A)가 직경(D)에 재조정되기 전에 상부 카운터스톱수단(15)에 의해 약간 아래로 다시 변위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조정은 전자 제어수단 및 구동수단(E)을 통해 원격제어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고정 직경을 갖는 저장본체의 경우에서의 분리동작의 변경을 위한 것 뿐만 아니라 가변직경을 갖는 저장본체(K)의 경우에서의 분리 동작의 변경을 위한 것 그리고 지지부재 및 공급부재의 조인트 조정을 위한 필요조건은 공급부재(V)와 구동샤프트(T)사이에 방사상 조정 접속기(C)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구체적인 변경을 설명한다. 가변 직경 저장본체(K)를 포함하는 제8도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F)의 경우에는, 각각의 공급부재(V)가 상부(32)및 하부(33)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32)는 상기 하부(33)상에 축방향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된다. 공급부재(V)는 스프링 부재(39)에 의해 저장본체(K)에 고정된다. 방사상 조정가능신축, 및 굽힘가능 구동형 접속기((34)를 통해서, 상부 및 하부(32, 33)각각은 허브(N)의 축방향 운동 성분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분리허브(N)에 연결된다. 각각의 허브(N)는 구동 샤프트축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뻗으며 그에 편심되어 있지않은 원통면(Z)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2개의 허브(N)의 경사위치 사이에서, 구동샤프트(T)의 회전방향으로 변위가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형 접속기(34)는 상부(32)및 하부(33)각각에 형성되며 스포우크(37)의 크라운 구동본체(38)에 의해 맞물리는 튜브(35,36)로 이루어진다. 하부(33)는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고정 지지부재(A)의 램프(40)상의 램프(41)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중공 샤프트로 구성되는 구동샤프트(T)내에는 원통면(Z)을 형성하는 슬리이브(44a)의 내부면 상의 경사 조정슬롯(44)에 맞물리는 조정핀(43)을 지지하는 조정샤프트(42)가 수용된다. 외부 작동기(46)에 의해서, 조정샤프트(42)는 양방향 화살표(45)의 방향 즉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래서, 2개의 원통면(Z)사이의 변위는 임의로 변화될 수 있고 (분리조정), 장치(F)가 편리한 방식으로 양 회전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역전될 수도 있다. 상기 변위에 의해서, 하부(33)가 지지부내(A)의 상부면 위로 상부(32)를 상승시키고, 그 상승운동중에 상부(32)는 공급방향으로 축방향운동을 수행한다. 하부(33)가 램프(40)상에 하강될때, 상부(32)는 그 상부면이 지지부재 (A)의 상부면 아래 점에 뒤로 이동했을 때까지 축방향으로 후퇴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지지부재(A)의 직경을 변화시킨 경우에, 공급부재(V)마저도 변화하게 되며, 실 분리 및 공급동작이 유지된다.
제9도의 실시예의 경우에, 2개의 허브(N)(도시안됨)및 구동형 접속기(34)가 제8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공된다. 권사를 운반하고 분리시키기 위해서, 지지부재(A)내에 지지된 2개의 편심구동수단(47)이 하부(33)와 상부(32)사이에 제공된다. 편심구동수단(47)은, 상부면(25)이 상승되는 동안은 전방으로 그리고 하강되는 동안은 공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32)의 사점없는 반복운동을 형성하도록 이동접속기의 형태에 따라서 2중 연결로드 즉 상부(32)및 하부(33)에 의해서 확고히 연결된다. 분리동작은 제8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2개의 허브의 경사위치 사이의 변위를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하부(33)및 상부(3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8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공된다. 하부(33)는 액슬(51)에 대해 피봇되도록 지지부재(A)내에 지지된 휨레버(50)상의 53에서 관절연결되는 제어레버(49)에 일체로 된 튜브(35)를 가지고 있다. 휨레버(50)의 또다른 아암이 회전슬라이드 가이드 수단(52)을 통해 상부(32)의 축방향 샤프트와 맞물려서 상기 상부(32)에 전달되는 운동이 유일하게 상승 및 하강운동이 되는 한편, 튜브(36)는 축방향운동을 한다.
유사한 실시예가 제11도에 나타나 있다. 하부(33)는 휨레버(50)상의 53에서 관절연결되는 양단부를 갖는 레버(49)에 일체로 된 튜브(35)를 가지고 있다. 휨레버(50)는 액슬(51)에 피봇되도록 지지부재(A)내에 지지되며, 상기 휨레버(50)의 또다른 아암(54)은 상부(32)에 결합된다. 그 아암(54)은 가요성이 있다.
또한, 제12a도 및 제12b도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허브(N)가 상부(32) 및 하부(33)를 축방향으로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하부(33)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부재(A)내의 지지수단(55)에 안내되며, 또 하부(33)에는 상부(32)의 카운터램프(41)가 놓여있는 축방향 상승램프(40)가 제공된다. 마찰 및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니이들 로울러(57)을 삽입할 수 있다.
제13도의 실시예에는 카운터 스톱수단(15)으로서 오버사이즈의 형태로 드래그 클러치(S)가 그리고 스톱수단(14)으로서 횡단핀이 제공된다. 공급부재(V)는 원피스(one-piece)부재이며, 또 공급부재(V)에는 안으로 돌출하고 자기 수단(61)을 부착한 포크형 연장부(60)가 제공된다. 구동샤프트의 축(H)과 동심으로 있고 자석(59)을 포함하는 환형 디스크(58)는 상기 자기수단(61)사이의 공간에 맞물린다. 그 자석은 서로에 대해 변위되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환형 디스크(58)가 회전운동을 수행 할때,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자기 력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자기력은 지지부재내의 드래그 클러치의 운동범위내에서 공급부재의 공급운동을 위해 이용된다.
반경 반향으로 지지부재(A)로 조정되는 공급부재에 대한 다른 구동원리가 제14도에 나타나있다. 공급부재(V)는 축방향으로 가요성이 있는 아암(64)에 의해 허브(N)의 횡단액슬(62)에 부착되며, 상기 공급부재(V)는 방사상 조정 가능안내 유지수단(63)의 상기 횡단 액슬(62)에 부착된다. 허브(N)는 슬리이브(65)를 포함하고 구동샤프트(T)에 대해 편심을 이루는 원통면(Z)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허브(N)는 공급부재(V)에 반경방향 운동성분을 전달한다.
또 다른 허브(N)가 구동샤프트(T)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뻗는 원통면(Z)을 형성하는 슬리이브(66)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부재(69)용 방사상 가이드슬롯(68)에 제공되는 구동기에 의해서, 축방향 운동성분이 공급부재(V)에 전달되어 반경방향운동성분상에 중첩된다. 허브(N)의 경사위치와 편심률 사이의 위상 변위를 조정함으로써, 실 분리 및 공급 동작이 반대 회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5도의 실시예의 경우에, 축방향 구동기(67')가 동작하여 공급부재(V)상의 경사 허브로 부터 하나의 축방향으로만 작용하는 한편, 지지부재(A)내에 수용된 스프링(73)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공급부재(V)는 적절한 홈(72)내의 구동기(71)에 의해서 지지부재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편심 허브(N)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구동된다. 방사상 조정가능 접속기(C)는 슬롯 가이드수단(70)이다. 공급부재(V)의 아암(64')은 방사상 조정가능 접속기(C)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4도 및 제15도의 양실시예의 경우에, 방사상 조정가능접속기(C)는 동작중에 고정되고 저장본체의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만 조정될 수 있다.
제16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급부재(V)가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가요성있는 아암(64)에 의해서 내부부품(74)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부품(74)은 경사홈(77)에 맞물리는 핀(75)에 의해 허브(N)의 조정부재(76)에 방사상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구동샤프트에 대해 편심되는 허브(N)를 변위시킴으로써, 공급부재(V)가 조정하기위해 방사상으로 이동된다. 동작중에, 상기 접속기는 고정된다. 허브(N)에는 축방향 운동이 전달되도록 조정부재(79)에 연결되는 연장부(78)가 제공되며, 상기 조정부재(79)는 조정너트(80)에 의해 축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제14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축방향 성분이 구동샤프트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뻗어있는 허브상에 위치된 구동기(67)에 의해 작용된다. 제17도에 따른 실시예에는 2개의 이격된 허브(N)가 제공되며, 그 허브(N)는 편심 원통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허브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허브가 구동샤프트(T)의 경사 배치된 원통면 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급부재(V)는 그 아래쪽에 태핏(82)에 의해 맞물리는 2개의 허브(83)를 가지며, 상기 태핏(82)은 허브(N)에 부착되며 제2도 및 제3도[미끄럼 클러치(R)]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클램핑링(7)을 각각 지지한다.
중앙튜브(81)는 축방향 구동부재로서의 중앙허브의 태핏(37)에 의해 맞물린다.
태핏(82)은 조인트(84), 바람직하게 볼 소켓 조인트를 통해서 허브(N)상에 지지된다. 또한 공급부재(V)는 지지부재(A)내의 유지수단(85)으로 이동하게 안내된다. [드래그 클러치(S)]
제18도에 따른 실시예는 원통 튜브로서 구성된 튜브(83)와 맞물리며 태핏(82)에 부착되는 압력 매체 피스톤(86)을 이용한다. 상기 튜브(83)는 피스톤(86)과 함께 형성되며, 압력매체 챔버(87)는 대기압 이상 또는 이하의 비 압력하에 압력매체로 충전된다. 동작중에 급속한 반경방향운동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 압력매체 챔버(87)가 반경 방향운동 성분이 전달되도록 충전되는 압력 매체 때문에 피스톤(86)의 변위가 방지된다. 비교적 느리게 발생하는 전환동작에 대해서는, 튜브(83)내의 피스톤(86)의 변위가 제한 밸브(88)에 의해 가능한데, 제한 밸브(88)는 압력 매체 챔버(87)의 충전으로 느리게 변화되게 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축방향 운동성분은 중앙튜브(81)및 경사 원통면을 통해 생기는 한편, 반정방향 운동성분은 순전히 편심허브로 부터 얻어진다.
제19도에 따르면, 전자구동수단이 공급부재(V)의 공급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공급부재(V)는 지지부재내에서 방사상 이동가능하고 자석(90,91)에 의해 동작되는 플레이트(89)로 구성되며, 상기 자석(90,91)은 공급라인(92)를 통해 주기적으로 동작되서, 하나의 자석은 공급부재(V)에서 반경 방향 운동을 하도록 하고 다른 자석은 축방향 운동을 하도록 한다. 지지부재(A)와 공급부재(V)사이의 드래그클러치(S)는 공급부재(V)의 운동 및 안내를 제한한다. 자기력은 공급부재(V)가 구동샤프트와 독립적이 되도록 지지부재(A)와 공급부재(V)사이에서 발생한다.
공급제어는 지지부재의 직경에 각각 무관하게 변화되지 않은채 그대로 행해진다. 2개의 자석(90,91)에서의 여자의 변조에 의해서, 분리 및 공급동작을 변화시키는 것 또는 장치의 회전을 반대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0도에 따른 공급부재(V)는 저장본체가 가변직경을 갖는 경우의 제1도 및 제8도에 따라 실 저장 및 공급장치를 위해 사용된다. 공급부재(V)의 외부면(25)은 길이방향으로 뻗는 스트립(93)에 제공되며, 그 스트립(93)은 유일하게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및 제한부품(94)을 통해 공급부재(V)내에 지지되며 스프링 요소(95)에 의해 방사상 바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스프링 요소(95)는 스트립(93)을 권사(W)의 접점압력하에서 방사상 외부 경계위치에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것이다.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더 작은 접점 압력을 받는 새로운 권사가 작용될 때까지는 상기 스프링요소(95)는 상기 스트립(93)을 구부린 후 상기 방사상 외부 경계 위치에 복귀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 감겨진 권사(W)의 과도한 스트레칭이 방지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는 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1도는 분리동작과 함께 고정직경(DF)을 갖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P')의 저장본체(K)을 나타낸다. 그 공급부재(V)는 허브(N)에 연결고정된다.
상기 허브(N)는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되어있고 편심되어있는 원통면(Z)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허브(N)에는 방사상 바깥으로 뻗으며 가이드부재(96)를 형성하는 원통 연장부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둥근 단면을 갖는 공급부재(V)의 연장부가 카운터가이드 부재(97)로서 도입되는 구멍(99)이 제공된다. 공급부재(V)의 외부면(25)에 형성된 홈(98)에는, 조정기구(J)의 입구가 제공된다. 상기 조정기구는 허브(N)의 탭구멍(101)안으로 나사체결되는 생크(106)를 갖는 조정 스크루우(105)로 구성된다.
외부에서 나사체결되는 스톱수단 104및 아래에서부터 스크루우헤드를 체결하는 스톱수단 103은 공급부재(V)내의 조정 스크루우(105)를 반경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생크(106)는 공습부재의 구멍(102)를 통해서 뻗는다.
필요시에는 웨지(100)로 하여금, 스크루우축에 대해서 공급부재(V)의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운동을 방지케 할 수 있고 그 웨지는 가이드부재(96,97)사이의 가능한 조정통로에서 상하 운동 제한 수단(도시안됨)으로서 작용한다. 그렇게 형성된 방사상 조정가능 접속기(C)또는 미끄럼 클러치(R)는 외부면(25,26)사이의 상대 높이차를 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조정된다. 조정스크루우(105)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부재(V)가 방사상 더 안쪽으로 또는 더 바깥쪽으로 이동될 때, 공급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외부면 25이 외부면 26을 넘어서 이동하는 하위영역(제7도 참조)이 변화할 것이다. 제21도에 따르면, 분리 조정기구(J)가 공급부재에 각각 제공되는데, 이것은 일부 공급부재의 공급기능을 동작치 않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제1도의 조정 디스크(Q)와 유사한 공통으로 모든 공급부재(V)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의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 예를들어, 제트직사기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저장본체상에서 권사의 전진동안 권사의 분리는 결함없는 동작에 중요한 필수요건이다. 고정직경을 가진 저장본체인 경우에, 권사의 분리는 구동축으로 부터 경사지고 편심된 원통면에 의해 이동되는 공급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실행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단 하나의 분리불변기본조정만이 존재하고, 이것은 어려운 동작조건 및/또는 실의 질의 한계에 적합해야된다는 것때문에 다른 경우에 맞도록 되어야 한다.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한 해결책이 분리시에 변화를 가하기 위하여 구동 샤프트의 영역에 작용하도록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한 구동원리의 경우에, 공급부재는 구동샤프트와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플레이트의 림을 닮은 요동공급부재는 가변직경의 지지부재를 가진 저장본체로 알려져 있으며, 이 타입은 위사 저장, 공급 및 측정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공급부재는 축방향의 권사측으로 부터만 제1권사를 전진시키고, 이에 의해 권사의 분리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실공급기에서의 권사들간에 불필요한 접촉영역이 생긴다. 저장본체의 지지부재가 직경에 있어서 조정 가능하고, 공급중에 분리를 달성하기 위한 원주방향분포공급부재가 제공된 경우에 있어서의 실 저장, 공급 및 특정장치는 이미 전시된 바있으나 실제로 실용화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변하는 동작조건 및/또는 실의 질에 광범위하게 적합할 수 있고 실분리가 가능한 실저장 및 공급장치를 고안하는 과제에 기초하고 있다.
상기 부여된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의 특징부에 내포된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그 제1의 해결책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연결 이동케함으로써 저장본체의 직경의 신속하고 정밀한 조정이 공급수행중에 실 분리의 어떠한 손실을 주지않게 되는데, 이것은 공급수행중의 분리가 유지되는 방법으로 지지부재의 이동동안 지지부재에 의해서 공급부재가 함께 조정되 기 때문이다. 각각의 원하는 전환이 빨리되어 전환시간이 짧아진다. 전환은 지지부재가 이동될 때 지지부재에 대해서 분리 및 공급에 요구되는 상대위 치로 공급부재가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동작중 및 권사가 저장본체와 접촉하고 있는 중에도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위사길이의 빠른조정이 가능하다. 그 제2의 해결책에 따르면, 저장본체의 직경은 변하지 않으며, 결합된 지지부재에 대해 각각의 공급부재의 상대위치는 각각의 동작조건 및 실의 질에 대해 공급 및 분리에 적합하도록 변한다.
실의 질에 대해 분리의 조정이 실행되는 한편 권사는 저장본체와 접촉하고 있고, 상기 조정은 동작중에도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양 해결책의 경우에, 변하는 동작조건 및/또는 실의 품질에 대해 실저장 및 공급장치의 광범위한 적응력이 주어지며, 공급과정중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구동방식의 공급부재를 탈피한 것이며, 이것은 공급부재가 구동샤프트와 독립적인 공급운동을 실행해지기 때문이다. 가변직경을 가진 저장본체의 경우에, 공급부재는 공급과정중 분리를 위험하게 하지 않고 지지부재와 함께 조정된다. 가변직경을 가진 저장본체의 경우에, 분리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실의 질에 그리고 동작조건에 각각 적응된다.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분리 뿐만아니라 직경은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공급부재의 공급운동이 반경방향 운동성분에 대해서 상기 구동샤프트상에 정렬된 구동샤프트 또는 운동조정부재와 반경간격과 독립적이다. 축방향운동성분만이 구동샤프트로부터 연유한다.
또한 특히 중요한 실시예가 제5항에 기술되어 있다. 공급부재용 반경방향 및 축방향운동성분이 종래방식으로 구동샤프트로 부터 연유하더라도, 공급부재의 반경방향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반경방향조정이 분리 및 공급을 적용하거나 직경을 적용하도록 요구된다. 접속기의 반경방향이동은 권사의 지지압력에 의하여 극복되지 않아서, 전진되는 권사가 상승, 분리, 이동, 전진된다.
청구범위 제6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반경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접속기는 이 목적을 위하여 해제되고 나서 재체결된다.
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미끄럼 클러치의 이탈력은 조정과정용으로만 극복되고 반면에 동작중에 공급부재는 구동샤프트에 결합된다.
저장본체가 직경으로 조정가능한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실 저장 및 공급장치는, 공급과정중에 생기는 분리에 관련해서 동작중에도 특히 신속 정확하게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직경이 변하는 경우에, 공급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해서 새로운 직경으로 조정된다. 최소한 1회 이상 구동샤프트를 회전시 킴으로써, 모든 공급부재는 높이차의 기본적인 조정을 위해 중심이 맞춰진다. 지지부재의 직경에서의 연속적 다시 새로워진 변화에 의해서, 높이차는 증가 또는 감소되어서, 다른 분리가 조정된다. 이것은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예를들어 위사길이에 관련하여 공급부재의 직경에도 영향을 받는 직경의 변화는 구동샤프트를 갖는 상기 공급부재의 방사상 레버 아암을 변화시키며, 이것은 분리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러한 분리의 변화는 매우 용이하게 보상될 수 있어서 해당 실에 대해 분리가 되는 동일한 분리를 가지는 어떤 직경의 경우로 운반된다. 적응력은 실질적으로 다른 2가지 측면 즉, 실 길이의 작동조건 및 저장본체상의 실의 품질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높이차이 및 결과적으로 분리는 조정 기구에 의해서 조정된다. 이 조정은 작동중에 구동샤프트축에 대해서 중심이 회전하고 공급부재가 내접되는 편심원의 직경이 지지부재가 내접하는 원의 직경에 대해서 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것은 가변직경을 가진 저장본체에 유리하고 또한 동작조건 및/또는 실의 질에 대해 분리 및 공급을 적응할 목적으로 불변직경을 가진 저장본체에도 유리하다.
청구범위 제10항에 따르면, 공급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된 드래그 클러치는 공급부재가 지지부재의 반경방향운동을 따르도록 사용된다.
가변직경 저장본체가 제공된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11항에 기술되어 있다.
경사지고 편심된 원통면은 공급부재의 분리 및 공급운동을 위한 구동제어부재이고, 상기 구동제어부재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구동된다. 직경에서의 변경에 있어서, 공급부재는 드래그 클러치를 통하여 따라간다.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부재는 반경 방향의 늦춤양내에서 실린더축에 대해서 사실상 중심화되어, 이들이 직경에서의 변경 이전과 같이 동일한 분리를 하게 한다.
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고정직경저장본체가 제공된 실시예에서 장치가 작동중일 때 반경방향 조정접속기가 방해된다. 전환을 위해서 가이드부재는 서로서로 이동된다. 반경방향조정접속기는 편심 및 경사 원통면의 회전으로 부터 반경방향 및 축방향 성분은 공급부재로 직접 전달된다.
청구범위 제13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급부재는 완전한 공급운동과 간섭하고 실린더의 요동운동의 결과로 운동성분은 공급부재와 격리되는 2개의 추가적인 자유도를 가진다. 공급부재는 공급운동동안 이상적인 용도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14항에 기술되어 있다.
탄성적 프리톈션방식으로 벽에 눌러지는 클램핑링은 작동중에 공급부재와 허브사이의 스톱수단을 이루고, 상기 스톱수단은 반경방향으로 고정되고 공급부재 및 실린더축의 상대회전 운동하게 한다. 조정동안, 클램핑링의 마찰력은 짧은 시간동안 극복되어 상기 클램핑링은 새로운 조정위치로 반경방향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미끄럼클러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강하다.
청구범위 제15항에 따른 실시예는 드래그 클러치가 반경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공급부재의 어떤 다른 운동성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장점이 있다.
오버사이즈 구멍에서 맞물리는 스톱핀은 상기 구멍의 오버사이즈의 범위 내에서 모든면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16항에 따른 실시예는 장착 및 생산기술의 견지에서 간편하다.
스톱수단 및 카운터스톱수단은 이동용으로만 사용된다. 동작동안 이들은 어떠한 기능을 달성하지 못한다.
제17항에 따른 실시예는, 증가된 수의 스톱수단 및 카운터스톱수단이 공급부재가 조정동작중 정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구범위 제18항에 따른 실시예는 공급부재의 외부면과 지지부재의 외부면사이의 높이 위치를, 그리고 공급동작중의 분리를 안정적으로 조정하는 중요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가변직경 저장본체를 가진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제19항에 기술되어 있다. 거리간격의 반경방향초과 길이는 지지부재를 반경방향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차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대높이위치를 변경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만약 직경의 앞선 확대이후 그리고 공급부재의 중심화 이후, 지지부재가 편심률에 대응하는 길이로 바깥방향으로 다시 이동되면, 분리는 더 이상 행해지지 않는다. 중간조정은 공급동작중에 분리동작을 감소시킨다.
분리동작을 유지하는 저장본체의 직경의 간단하고 신속한 전환은 청구범위 제20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얻어진다. 이 전환은 동작중에 실행된다.
청구범위 제21항에 따른 실시예에 근거하여, 전술한 목표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공급부재가 드래그 클러치를 통하여 조정된다.
새로운 직경이 조정될 때, 모든 공급부재를 중심화하기 위해 구동샤프트가 적어도 한번의 완전한 회전을 하게 한다. 분리시의 변경을 추가적으로 원한다면, 지지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
청구범위 제22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축방향운동은 구동샤프트로 부터 기인하고, 반면에 반경방향운동성분은 공급부재성분의 상대 길이방향운동을 기준으로 하여 생성되고, 이것은 경사위치 사이의 위상이동이 2개의 성분의 비동기 축방향운동을 하게 하기 때문이다. 구동샤프트축에 대해서 경사각으로 뻗어있는 원통면 대신에 축방향조정운동을 생성하게 하기 위한 대응경사 방사면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23항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방향운동성분은 상승램프(ramp)에 의해서 생성된다. 위상변위의 선택적인 조정으로, 권사가 전방으로 운반되는 외부 및 상승면의 축방향경로를 따라 미리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분리 및 공급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대안으로, 제24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의 이동운동은 2개의 공급부재성분의 축방향운동성분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이점이 있다.
기관차가 계속 정지해 있는 동안 미끄러지는 기관차의 이동기구와 같이 이 공급부재 성분은 편심수단을 구동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이들은 공급부재의 외부면을 반복적으로 올리거나 내리고, 공급부재 외부면은 상기 과정중에 축방향으로 전진이동한다. 이러한 편심수단 사이의 연결형태는 90° 이동연결로드에 대응하여 불안정한 중심위치는 언제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유사한 공급제어 구동수단이 청구범위 제25항에 기술되어 있다.
휨레버는 하부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전후로 피봇되고, 이 과정중에 위상 변위되는 축방향운동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차례로 왕복운동하는 상부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유사한 해결책이 청구범위 제26항에 따라 주어지는데, 이 경우에 휨레버의 또 다른 아암은 그들의 가요성 덕택으로 축방향 및 반경방향운동성분을 허용한다.
청구범위 제27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부의 반경방향운동성분은 램프(ramp)에 의해서 발생된다. 삽입된 니이들 로울러는 운동저항을 줄이고 마모를 피한다.
청구범위 제28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급 및 분리의 간단한 조종은 원통면의 경사위치의 변위를 변경시킴으로서 각각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29항에 따른 실시예는 간단하며 기능적으로 신뢰성이 있다.
여기서, 변위의 조정은 작동중에 또한 외부로부터 수행된다. 중요한 점은 변위의 역전후에 실 저장 및 공급장치가 공급동작중에 분리하면서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회전구동수단의 도움으로 분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권사부재의 회전의 반대방향의 공급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30항에 기술되어 있다. 자기력에 근거하고 공급부재용 축방향 및 반지름방향 운동성분이 발생하는 비접촉구동접속기는 공급부재와 구동샤프트사이에 존재한다. 분리 뿐만 아니라 저장본체의 직경의 조정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권사부재의 회전반대방향으로 분리와 함께 공급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31항에 따르면, 한측에서 반경방향운동성분 및 다른 측에서 축방향운동성분에 상당하는 허브들은 동일한 것이 아니다. 가요성 또는 변위율 때문에, 아암은 축방향 운동성분을 허용하고, 반면에 반경방향운동성분을 전달한다.
청구범위 제32항에 따른 실시예는 슬라이드 또는 슬롯가이드수단이 정밀하고 내마모성이 있기 때문에 목적에 부합된다.
청구범위 제33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축방향 가요성 아암은 허브의 조정부재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채택된다. 공급부재의 반경방향조정은 허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4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권사아래의 공급부재의 안정한 지지는 작동중에 실행된다. 조정중에 미끄럼 클러치의 파괴력은 극복된다. 구동형 접속기는 축방향 운동성분을 전달한다. 회전 조인트는 공급부재의 이동성을 높인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35항에 기술되어 있다.
축방향 및 반경방향운동성분은 구동 샤프트상에서 분리 제어부재에 의해서 발생되고, 이것은 분리를 변화시키는 가능성 또는 권사부재의 회전의 반대방향으로 극복할 목적으로 위상변위를 역전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청구범위 제36항에 따른 실시예에 동일하게 작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자체조정 밸브태핏의 경우와 같이, 대기압 이상 또는 이하의 압력매체를 포함한 압력매체 챔버가 작동중에 공급부재의 반경 방향지지를 보장한다.
또 다른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37항에 기술되어 있다. 자석에 의해서, 공급부재는 지지부재에서 구동되게 하여 구동샤프트와 독립적으로 공급운동을 수행하게 한다. 이 분리는 선택이 자유롭다. 동작중에도 전환을 수행하는 것 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공급부재를 무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이 공급제어구동은 어떠한 문제없이 권사부재의 회전반대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저장본체의 직경에서의 변경은 분리에 어떠한 영향을 가지지 않는다. 더우기, 분리는 저장 본체의 직경과 무관하다.
청구범위 제38항에 따른 실시예는 작동중에 저장본체의 직경이 증가할때 저장본체상에 이미 위치한 권사의 인장의 불필요한 증가를 피하는데 유리하다.
스트립은 내부경계위치로 부터, 권사가 차례로 작동될때 스프링으로 외부 경계위치로 되돌아온다.

Claims (16)

  1. 권사(W)로 이루어진 공급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구동샤프트(T)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와함께 회전하지 못하는 저장본체(K)와,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저장본체(K)의 둘레에 분포되며 그 외부면(26)이 구동샤프트축(H)과 동심에 있는 원에 내접하게 되는 로드형 지지부재(A)와, 저장본체의 둘레에 분포되며 각각의 지지부재와 연관되며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지지부재(A)에 상대적으로 구동되어서 반경방향 및 축방향운동으로 이루어진 공급운동을 수행하며 그 외부면(25)이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편심을 이루는 원에 내접하게 되는 로드형 공급부재(V)를 포함하는 위사 용 실 분리기능을 갖춘 실 저장 및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부재(V)용 방사상조정장치는 공급부재(V)의 외부면(25)이 내접하게 되는 편심원의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통직경조정기구가 지지부재(A)에 제공되며, 공급부재(V)는 지지부재(A)에 의해서 편심원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결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급부재(V)가 지지부재(A)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샤프트(T)에 기계적으로 의존하지는 않는 자기공급제어수단이 공급부재(V)에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급부재(V)와 지지부재(A)사이에 기계적 공급제어구동수단이 구동샤프트(T)의 축방향운동 제어부재와 유일하게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샤프트(T)가 기계적 공급제어 구동수단에 배치되어있고, 방사상조정가능 접속기(C)가 공급제어 구동수단과 공급부재(V)사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방사상 조정가능접속기(C)는 권사(W)의 접점 압력을 초과하는 방사상 변위 저항을 동작 조정위체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방사상 조정 가능 접속기(C)는 해제가능 및 고정가능 클러치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방사상 조정가능접속기(C)는 미끄럼 클러치(R)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A)의 외부면(26)과 공급부재(V)의 외부면 사시의 방사상 높이차를 조정하고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조정기구(J)가 각각의 공급부재(V)와 하나이상의 이웃하는 지지부재(A)의 사이에 또는 모든 공급부재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재(A)내에서 공급부재(V)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방사상 확동 드래그 클러치(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급부재(V)는,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기울어져 편심되어 있는 구동샤프트(T)의 원통면(Z)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허브(N)에 연결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 조정 접속기(C)는 공급부재(V) 및 허브(N)의 변위적 상호 맞물림 가이드 부재(96,97)로 이루어지며, 조정기구(J)는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또는 공급부재와 이웃하는 지지부재 사이에 또는 공급부재와 허브(N)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미끄럼 클러치(R)는 끼워져 신축하도록 된 피스톤-실린더 유닛이며, 하나이상의 클램핑링(7)은 실린더축(8)에 대해 회전되지만 상기 실린더축(8)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치되도록 실린더 벽이나 피스톤 벽에 배치되며, 또, 상기 클램핑링(7)은 탄성적 프리텐션 방식으로 상기 피스톤 벽이나 상기 실린더 벽에 대해 각각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급부재(A)의 직경조정기구는 저장본체(K)내에 배치되며, 저장본체(K)상에는 상기 조정기구를 위한 전자 구동 및 원격제어구동수단(E)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공급부재(A)는 저장본체(K)의 방사상 가이드 샤프트에서 변위되며 세트환형 디스크(Q)의 앞면나사(2)의 체결요소(1)에 의해 맞물려서 그 자유단부면상의 저장본체(K)상에서 비틀리며, 구동수단(E)은 세트환형 조정디스크(Q)용 회전구동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구동수단.
  14. 제4항에 있어서, 공급부재(V)는 상부(32) 및 하부(33)로 이루어져 서로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각각은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어져있는 원통면(Z)상의 구동샤프트(T)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각각의 허브(N)에 방사상 조정가능 신축접속기(35,36,37)를 통해 연결되며, 원통면(Z)의 경사위치 사이에서 구동샤프트(T)의 회전방향으로 위상 상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원통면(Z)은 서로 관련하여 구동샤프트축(H)에 대해 비틀리며, 하나 이상의 원통면(Z)을 위한 비틀림 장치가 제공되며, 외부로 부터 작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구동샤프트(T)는 조정샤프트(42)의 조정핀(43)용 슬롯을 벽에 가지는 중공샤프트이며, 조정샤프트는 중공샤프트내에서 비틀릴 수 있고 변위가 가능하도록 맞물리며, 조정핀(43)은 원통면(Z)을 가지며 구동샤프트(T)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리이브(44a)의 경사진 조정슬롯(44)과 맞물리며, 조정샤프트(42)는 구동수단(46)과 연결되며, 구동수단(46)은 전자 구동수단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
KR1019930700081A 1990-07-11 1991-09-06 실 저장 및 공급장치 KR0181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002409-2 1990-07-11
SE9002409A SE9002409D0 (sv) 1990-07-11 1990-07-11 Fournissoer foer textilmaskin och foerfarande foer aendring av omkretsmaatt paa fournissoerens garnlager uppbaerande enhet
SE9003780-5 1990-11-26
SE9003780A SE9003780D0 (sv) 1990-11-26 1990-11-26 Metod och anordning vid maetfournissoer foer textilmaskiner, speciellt vaevmaskiner av air- eller water-jet-typ
SE9003796-1 1990-11-27
SE9003796A SE9003796D0 (sv) 1990-11-27 1990-11-27 Instaellningsanordning vid fournissoer
SE9101226-0 1991-04-21
SE9101226A SE9101226D0 (sv) 1991-04-21 1991-04-21 Fournissoer med garnseparation, foeretraedesvid en maetfournissoer foer en luft- eller vatten-jet-vaevmaskin
SE9101234A SE9101234D0 (sv) 1991-04-23 1991-04-23 Fournissoer med garnseparation, foeretraedesvis en maetfourmissoer foer en luft- eller vatten-jet-vaevmaskin
SE9101234.4 1991-04-23
SEP4119370.9 1991-06-12
DE4119370A DE4119370A1 (de) 1990-07-11 1991-06-12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DEP4119370.9 1991-06-12
PCT/EP1991/001302 WO1992001101A1 (de) 1990-07-11 1991-07-11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648A KR930701648A (ko) 1993-06-12
KR0181696B1 true KR0181696B1 (ko) 1999-05-01

Family

ID=2753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081A KR0181696B1 (ko) 1990-07-11 1991-09-06 실 저장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81696B1 (ko)
DE (1) DE4119370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19370A1 (de) 1992-02-27
KR930701648A (ko) 199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4823A (en) Apparatus for imparting a simultaneous rotational movement to an object moving along a rectilinear trajectory
US4509426A (en) Autoreversing dual axial speed ink roller
KR0181696B1 (ko) 실 저장 및 공급장치
US11374481B2 (en) Magnetic coupling device
US4953806A (en) Winding reel for rolled strip
KR850000351A (ko) 투렛형 권사기의 사절환방법 및 장치
JP3160646B2 (ja) 糸貯蔵および供給装置
US4485693A (en) Eccentric-operated vibrating apparatus
US5310127A (en) Thread storage and delivery device with adjustable bristle alignment
JP3420293B2 (ja) 巻線機
US3000333A (en) Zig-zag sewing machine with variable sewing cycle
CN109457401B (zh) 缝纫机及其倒送料调节装置
US20050005885A1 (en) Valve mechanism, in particula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f motor vehicles
US4559839A (en) Apparatus for driving an oscillating spout
SU1537929A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кулачковый привод
KR900006280B1 (ko)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장기
KR200497175Y1 (ko) 체인 장력 조절기구를 구비한 체인형 툴 매거진
CN113664818B (zh) 关节储能可调装置及机器人
SU1373934A1 (ru) Кривошипный механизм с остановками
KR940005358B1 (ko) 재봉기의 동력전달 및 밸런싱장치
US2178263A (en) Winding machine
JPH10280257A (ja) 自動横編機
SU1299768A1 (ru) Пневмо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гловой ориентации втулок с радиальным отверстием
KR920000137Y1 (ko) 소프트 와인더기의 스프링 보빈용 스핀들 장치
SU449191A1 (ru) Механизм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 в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