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530B1 -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530B1
KR0181530B1 KR1019940039268A KR19940039268A KR0181530B1 KR 0181530 B1 KR0181530 B1 KR 0181530B1 KR 1019940039268 A KR1019940039268 A KR 1019940039268A KR 19940039268 A KR19940039268 A KR 19940039268A KR 0181530 B1 KR0181530 B1 KR 018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front plate
pie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794A (ko
Inventor
하명수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4003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530B1/ko
Publication of KR96002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전자 통신장비에 하우징을 체결 고정하는 수단과 관련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하우징을 베이스에 결합시킬 때 측벽 부위에 다수의 나사결합으로 성취하고 있기 때문에 물품의 측벽에 나사머리가 그대로 돌출된 상태로 남아 있어 이러한 물품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우징(11) 내측벽에는 스포트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베이스(12)측의 삼각돌편부(12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삽입고정편(14)을 갖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 삽입고정편(14)과 측벽과의 사이공간으로 진입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한 삼각돌편부(12b)를 갖고 있는 베이스(12)와의 관련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통신장비 등의 하우징 체결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통신단말기 형태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케이스를 분해한 사시도.
제3a도는 제2도에서 전면판을 하우징에 고정할 때 그 고정부위의 발췌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또다른 일예도.
제3c도는 하우징과 베이스와의 조립 부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참고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서 전면판을 하우징에 고정할 때 그 고정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제7a도는 제5도에서 하우징과 베이스와의 조립부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7b도는 a도 부위의 참고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4 : 하우징 삽입고정편
12 : 베이스 12b : 삼각돌편부
13 : 전면판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 수단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하우징 등을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이들을 결합시킬 때 측면 체결 부위를 없애므로써 이러한 물품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한편으로는 이들 부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진 하우징 고정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등의 전자 통신단말기는 여러 형태가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주로 전면판, 베이스, 하우징 등의 케이스로 이뤄져 있다.
일예로,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 형태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장방형 하우징(1)이 결합되는 베이스(2)와, 이 베이스(2)에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1) 및, 하우징(1) 또는 베이스(2)에 정면으로 결합되는 전면판(3) 등으로 이뤄져 있고, 이는 제3도 a와 같이 하우징(1)에 전면판(3)을 결합할 때는 전면판 (3) 내에 돌설시킨 4개의 나사돌봉(6)과 하우징(1)의 절곡부를 이용하여 나사를 결합시킴으로서 이들 부위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고, 그 측면에는 베이스(2)와 하우징(1)을 결합시킬 때는 버링(Burring)된 나사공(1a,2a)들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또, 상기 베이스(2)에 전면판(3)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2도 및 제3도 b와 같이 베이스(2)의 수직벽에 형성시킨 나사공(4)과 전면판(3)측의 4개 나사돌봉(6)을 이용하여 나사 고정시키는 형태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하우징(1)과 베이스(2)를 상호 결합시킬 때는 이들 측면에 다수개 형성시킨 나사공(1a,2a)을 이용한 나사결합을 취하고 있어, 이러한 물품의 측변에 다수의 나사머리가 돌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이들 상호간의 착탈의 용이성도 보장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계발되어진 것으로서, 이는 특히 전면판과 하우징이 만나는 부위의 전면판 단부에는 하우징에 형성시킨 절곡경사단부가 정합될 수 있도록 한 안치홈을 갖는 전면판과 이 안치홈에 정합되는 절곡경사단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이 절곡단부의 저벽에 면접되는 부위에서 절곡 단부를 갖는 베이스와, 하우징과 베이스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하우징에는 내측으로 스포트 용접 결합되어 베이스 측에 형성시킨 삼각돌편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경사절곡시킨 하우징 삽입고정편을 갖고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삽입고정편과 하우징 측벽사이로 삽입되어져서 하우징과 원터치 결합되어지는 삼각돌편부를 갖고 있는 베이스와의 관련 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하우징 고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판(13)과 하우징(11) 등이 상호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전면판(13) 단부에는 하우징에 형성시킨 절곡경사단부(11a)가 정합될 수 있도록 한 안치홈(13a)을 갖고 있는 전면판(13)과, 이 안치홈(13a)에 정합되는 절곡경사단부(11a)를 갖고 있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절곡경사단부(11a) 저벽에 면접되는 절곡단부(12a)를 갖고 있는 베이스(12)로 이뤄져 잇고, 한편으로 하우징(11)과 베이스(12)가 결합되는 측변에는 그 모서리 부위에서 하우징(11) 내측벽에 스포트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으면서 베이스(12)측의 삼각돌편부(12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삽입고정편(14)을 갖고 있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 측의 삽입고정편(14)내로 끼워져서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한 삼각돌편부(12b)를 갖고 있는 베이스(12)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그 장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 체결 고정장치는 제6도와 같이 전면판(13)의 안치홈(13a)에 하우징(11)의 절곡경사단부(11a)가 정합되어지고, 다시 절곡경사단부(11a)의 저벽에 베이스(12)의 절곡단부(12a)가 버팀역할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면판(13) 측의 나사돌봉(4)과 나사(5)의 이용으로 이들을 결합시킨다.
또, 하우징(11)과 베이스(12) 상호간은 제7도 a 및 b와 같이 하우징(11)의 삽입고정편(14)과 측벽이 이루는 사이 공간으로 베이스(12)의 삼각돌편부(12b)를 강제압입시키며 이 삼각돌편부(12b)가 삽입고정편(14) 내로 안치되면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면판(13)과 하우징(11), 베이스(12) 상호간의 체결이 끝난 이후는 제5도와 같이 하우징(11) 측벽에 하우징(11)과 베이스(12) 상호간의 체결고정을 위한 별도의 나사머리 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품의 외관 형태를 깔끔히 유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전면판 체결부위가 상호 감싸주고 지탱하는 부위가 없으므로 말미암아 전면판(13)과 하우징(11)의 면접부위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등의 현상도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 통신장비 등의 하우징 체결고정장치가 이러한 케이스의 전면판, 하우징, 베이스 상호간의 조립, 분해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이들이 결합된 외관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판과 하우징, 베이스 등으로 이뤄져 있으면서, 이들을 상호 체결고정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 체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절곡 경사단부(11a)를 갖는 하우징(11)과, 상기 절곡 경사단부(11a)가 정합되는 안치홈(13a)을 갖는 전면판(13)과, 상기 절곡 경사단부(11a) 저벽에 면접되는 절곡단부(12a)를 갖는 베이스(12)와, 상기 하우징(11)과 베이스(12)가 상호 마주하는 측변 모서리의 하우징(11) 내측벽에는 스포트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으면서 베이스(12) 측의 삼각돌편부(12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삽입고정편(14)를 갖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 삽입 고정편(14)과 측벽과의 사이공간으로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삼각돌편부(12b)를 갖는 베이스(12)와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등의 하우징 체결 고정장치.
KR1019940039268A 1994-12-30 1994-12-30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KR018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268A KR0181530B1 (ko) 1994-12-30 1994-12-30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268A KR0181530B1 (ko) 1994-12-30 1994-12-30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794A KR960024794A (ko) 1996-07-20
KR0181530B1 true KR0181530B1 (ko) 1999-05-15

Family

ID=1940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268A KR0181530B1 (ko) 1994-12-30 1994-12-30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14B1 (ko) 2019-01-11 2019-06-21 김대용 이중 구조의 통신기기용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14B1 (ko) 2019-01-11 2019-06-21 김대용 이중 구조의 통신기기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794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61206B1 (fr) Chassis metallique a coin d'assemblage hyperstatique, notamment pour une ossature d'armoire electrique
KR0181530B1 (ko)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JPH11187516A (ja) 分電盤
JPH1014058A (ja) 電気接続箱
KR200149014Y1 (ko)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JP2000113918A (ja) 端子台
KR200250302Y1 (ko) 컨트롤 박스
KR200183341Y1 (ko) 프레임 연결용 치구
KR0131226Y1 (ko)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JPH09238758A (ja) アングル棚
KR200284764Y1 (ko) 전자제품용 케이스
US6116967A (en) Receptacle assembly for a power supply
JPH0753225Y2 (ja) 端子装置
JP3160500B2 (ja) 分電盤
KR940000766Y1 (ko) 튜너샤시의 rf 콘넥터 결합구조
KR900000703Y1 (ko) 냉장고 톱 패널의 전면판 조립구조
KR970004874Y1 (ko) 전자제품의 하우징 조립구조
KR0133295Y1 (ko) 회로기판 고정장치
KR910003973Y1 (ko) 튜너샤시와 pcb의 고정구조
KR930008440Y1 (ko) 전기전자 기기의 내장물 결합 장치
KR0122849Y1 (ko) 배전반의 단자대구조
KR0131607Y1 (ko) 가전제품의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KR19990011183U (ko) 세탁기의 상판 결합구조
KR0133402Y1 (ko) 메인샤시없는 가전기기의 세트 조립장치
KR19990001260U (ko) 사이드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