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479B1 -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479B1
KR0181479B1 KR1019960012175A KR19960012175A KR0181479B1 KR 0181479 B1 KR0181479 B1 KR 0181479B1 KR 1019960012175 A KR1019960012175 A KR 1019960012175A KR 19960012175 A KR19960012175 A KR 19960012175A KR 0181479 B1 KR0181479 B1 KR 018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shion layer
infrared ray
cushion
ra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277A (ko
Inventor
최규현
Original Assignee
최규현
덕신산업주식회사
이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현, 덕신산업주식회사, 이호훈 filed Critical 최규현
Priority to KR101996001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479B1/ko
Publication of KR97007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시트를 가장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하고, 상기 제푼의 외형이 장기적으로 유지되도록한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감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섬으로 쿠션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섬유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도가 점차적으로 적게 적층하여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쿠션층의 하측이 밀도보다 조밀하게 적층하여 제2쿠션층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쿠션층 표면에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처리한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층을 접착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1쿠션층과 언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층이 접착된 제2쿠션층을 니들펀칭으로 접착시키는 제4공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또한,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측에서 산층부로 점차적으로 밀도가 적게 적층한 제1쿠션층과, 이 쿠션층위에 밀도가 조밀한 제2쿠션층을 적층하고 이 제2쿠션층 표면에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층이 접착되고 니들펀칭에 의한 니들펀칭라인으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제1도 (a)는 본 발명의 제 1쿠션층으로 이루어진 쿠션재의 단면도.
제1도 (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 2쿠션층으로 이루어진 쿠션재의 단면도.
제1도 (c)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원적외선 발생층으로 이루어진 쿠션재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쿠션층 20 : 제2쿠션층
30 :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필름층 40 : 니들펀칭라인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쇼파, 자동차시트, 자동차 내장재 또는 가구시트등 (이하 가구시트라 함)에 내장되는 쿠션재로서 합성섬유룰 이용함으로써 매우 위생적일 뿐 아니라, 쿠션재를 이루는 내장물의 층별 밀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므로써, 장기산 사용하여도 원형과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복원력이 양호한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및 시트 등에 내장되는 쿠션재는 폐섬유 또는 폐섬유 제품을 분섬 또는 파쇄하여 섬유형태로 형성한 다음, 이를 적정 두께로 적층압착한 적층제를 사용하거나 합성수지 발포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폐섬유룰 적층화하여 가구쿠션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산원가는 저렴한 편이나, 매우 비위생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균이 번식하고 병균 등을 전염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때 본래의 형태가 흐트러지거나 변형됨으로써 탄력성을 잃어 형태 안정이나 복원력이 없는 결점이 있으며, 합성수지 발포제인 경우는 비교적 형태 안정성은 있으나 탄발력이 커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쿠션재로서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쿠션재의 문제점 및 사정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장 위생적이면서도 촉감이 좋고 탄력성과 복원력이 유연하고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제품의 외형이 유지될 수 있어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섬유 또는 화학섬유를 이용하여 쿠션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사용섬유의 밀도를 하측은 조밀하게 하되 상측으로는 밀도가 점차적으로 적게 적층하여 제 1쿠션층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상기 제1쿠션층의 하측을 형성하고 있는 섬유 밀도 보다 조밀하게 적층하여 제 2쿠션층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쿠션층 표면에는 세라믹코팅 처리된 원적외선 발생층을 접착하는 제3공정과, 제1쿠션층의 적층섬유의 밀도가 작은 쪽의 표면에 제2쿠션층을 적층하고, 적층된 상기 제1쿠션층과 제2쿠션층 및 원적외선 발생층을 접착하는 제 2쿠션층을 적층하고, 적층된 상기 제 1쿠션층과 제 2쿠션층 및 원적외선 발생층을 일체로 적층한 후, 니들펀칭으로 접착시키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는 하측에서 상층부로 갈수록 구성섬유의 밀도를 작게 적층한 제1쿠션층과, 상기 제1쿠션층 위에 제 1쿠션층의 하측부를 형성하는 섬유밀도 보다 더욱 조밀하게 적층된 제 2쿠션층을 적층하되, 상기 제 2쿠션층 상부에는 원적외선 발생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의 (a)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의 제조공정에 따른 공정별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제 1쿠션층을 나타내는 제 1도(a)의 제조공정은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쿠션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되는 섬유의 밀도를 하측에는 조밀하게 형성하고 상측으로 가면서 밀도를 점차적으로 낮게 적층하여 제 1쿠션층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제 2쿠션층을 나타내는 제 1도(b)의 제조공정은 상기 제1쿠션층의 하측을 형성하는 섬유 밀도 보다 조밀하게 적층하여 제2쿠션층을 형성한 후 제 1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쿠션층 중 섬유적층밀도가 적은 층의 표면, 즉 제1쿠션층의 상부에 제 2쿠션재를 적층한 다음, 상기 제 2쿠션층 상부에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원적외선 발생층이 형성되도록 접착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제 1도(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쿠션층 상부에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층이 접착된 제 2쿠션층을 적층한 후, 니들펀칭으로 제 1쿠션층과 제2쿠션층 및 상부에 원적외선 발생층을 서로 결합시키는 쿠션층 접착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2도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보인 사시도로써,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재는 하측을 이루는 적층섬유의 밀도가 상층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적게 적층된 제 1쿠션층(10)과 이 쿠션층(10)위에 적층섬유의 밀도가 제 1쿠션 층의 하측밀도 보다 조밀한 섬유적층제로 적층한 적층체에 니들펀칭기로 니들링하므로써 제 1쿠션층과 제 2쿠션층 및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층이 일체로 형성된 쿠션재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제 1쿠션층(10)의 하측의 밀도는 조밀하고 그 상부로 갈수록 밀도가 적게 형성되고, 제 2쿠션층(20)의 밀도는 매우 조밀하게 형성된다. 즉, 쿠션층(10,20)의 양표면층의 밀도가 높고 중앙의 쿠션층의 밀도는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부의 쿠션층에서 쿠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쿠션의 성능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쿠션재의 표면층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변형(무너짐 현상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장기간 동안 가구시트를 사용할지라도 제품의 원형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쿠션층(20)의 일측표면에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필름(30)을 접착시키고 타측표면에 상기 제1쿠션층(10)을 접착시킨 다음에, 니들펀칭공정으로 접착하였기 때문에, 접착공정이 단일공정으로 처리되고 접착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성섬유의 밀도가 조밀한 제2쿠션층에서 제1쿠션층으로 니들링하였기 때문에, 니들링 된 섬유가 적층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쿠션의 복원력이 뛰어나며, 적층체의 양표면의 섬유밀도를 매우 조밀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변형이 없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쿠션의 기능이나 형태가 변형되는 일이 없고, 더욱이 제 2쿠션층의 일측 표면에 원적외선발생층을 갖는 층을 형성하고 타측 표면에는 상기 제1쿠션층을 접착한 후, 니들펀칭으로 섬유를 교락 접착하였기 때문에 접착공이나 접착공정이 간단히고 접착력이 매우 높다.
그리고, 시트표면과 가장 근접된 위치에 원적외선 발생층(30)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쿠션재를 사용한 가구시트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할 뿐 아니라, 쾌적한 기분을 갖게 함은 물론 살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를 침대. 쇼파, 시트,자동차시트 또는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에 매우 위생적이고 건강상 유익하며, 쿠션효과가 뛰어나고 제품의 원형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화학섬유로 된 쿠션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층되는 섬유의 밀도를 하측은 조밀하게 하고 상측으로 가면서 밀도가 점차적으로 낮게 적층하여 제1쿠션층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적층되는 섬유의 밀도가 상기 제 1쿠션층의 밀도 보다 높게 적층되는 제 2쿠션층을 형성하는 제 2공정과; 상기 제 2쿠션층 상부에는 세라믹 코팅 처리된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필름층을 접착시키는 제 3공징과; 상기 제 1쿠션층 중 적층섬유의 밀도가 낮은 상부면상에 상기 제 2쿠션층을 적층하고, 적층된 제 1쿠션층과 제 2쿠션층 및 원적외선 발생층을 일체로 적층한 후, 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키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제조방법.
  2.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에 있어서; 적층되는 섬유의 밀도가 하측은 조밀하고 상층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밀도가 낮게 적층되는 제 1쿠션층(10)과, 상기 제 1쿠션층(10)의 밀도가 낮은 상면부에 제 1쿠션층(10)의 섬유 밀도 보다 조밀한 제2쿠션층(20)을 적층하고, 상기 제2쿠션층(20) 상면부상에 원적외선 발생층(30)이 접착되고 니들펀칭라인(40)에 의해 제 1쿠션층(20)과 제 2쿠션층(20) 및 원적외선 발생층(30)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KR1019960012175A 1996-04-22 1996-04-22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KR018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75A KR0181479B1 (ko) 1996-04-22 1996-04-22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75A KR0181479B1 (ko) 1996-04-22 1996-04-22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277A KR970070277A (ko) 1997-11-07
KR0181479B1 true KR0181479B1 (ko) 1999-02-18

Family

ID=1945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175A KR0181479B1 (ko) 1996-04-22 1996-04-22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80A (ko) * 2000-04-20 2001-11-08 윤철수 이중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80A (ko) * 2000-04-20 2001-11-08 윤철수 이중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27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0811A (en)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s and articles made thereof
CA2235390A1 (en) Laminated product for use in footwear manufacturing
UA8558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JP6116498B2 (ja) マットレスの製造方法
KR0181479B1 (ko) 원적외선 발생층을 갖는 쿠션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9160039A (ja)
JP2007132146A (ja) 遮音床材用裏打材
EP1702883A4 (en) EXPANSION MOLDED ARTICLE COMPLETELY MADE WITH SURFACE SKIN AND FOR USE IN A VEHICLE SEAT
PT1430814E (pt) Elemento de estofo e processo para o seu fabrico
JPH08112168A (ja) マットレスの芯材及びマットレス
JPH06133834A (ja) クッション
JP2016215003A (ja) マットレス
JPH06245850A (ja) マットレス
WO2002066244A3 (en) Vacuum formed coated fibrous mat and laminate structures made therefrom
JPH0418456Y2 (ko)
JPH0141335Y2 (ko)
TWI739594B (zh) 彈性墊體製造方法及彈性墊體
JPH03367Y2 (ko)
JPH1043007A (ja) 折り曲げマット
JPH10219978A (ja) 薄畳及び薄畳床
JPH05285031A (ja) マット
JP4798948B2 (ja) 自動車内装材
JPH0666011A (ja) 遮音性木質系床材
JPH018220Y2 (ko)
JPH0251635A (ja) クッショ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