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171B1 -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71B1
KR0181171B1 KR1019960040062A KR19960040062A KR0181171B1 KR 0181171 B1 KR0181171 B1 KR 0181171B1 KR 1019960040062 A KR1019960040062 A KR 1019960040062A KR 19960040062 A KR19960040062 A KR 19960040062A KR 0181171 B1 KR0181171 B1 KR 018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electrolytic
tank
treatmen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088A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1996004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71B1/ko
Publication of KR96004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부패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전처리한 뒤어 전처리된 오,폐수 전해 처리하여서 오,페수를 효율적으로 정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미생물을 투입시켜 오,폐수를 부패시켜 전처리하는 부패조(11)와, 상기 부패조(11)에서 전처리되어 공급되는 오,폐수를 전해장치(13)로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12)와, 상기 유량조정조(12)로 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정류기(17)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전해처리하는 전해장치(13)와, 상기 전해장치(13)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모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모래여과기(14)와, 상기 모래여과기(14)에서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활성탄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활성탄여과기(15)와, 상기 활성탄여과기(15)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담아두어 외부로 방류하는 처리수조(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부패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전처리한 뒤에 전처리된 오,폐수를 전해처리하여서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폐수를 처리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폐수가 스크린(101)으로 유입되면 스크린(101)에서는 페비닐이나 각종 쓰레기 덩어리등의 비교적 큰 협잡물이 걸러져서 침사지(102)로 유입되고, 이 침사지(102)에서는 상기 스크린(101)에서 걸러지지 않은 작은 협잡물을 제거함으로서 후속공정의 기계설비를 보호하게 되며, 상기와같이 처리된 오,폐수는 유량조정조(103)로 보내어 지게되고, 이 유량조정조(103)에서는 발생량 및 수질의 변화에 따른 안정적처리를 위하여 다음단계인 1차침전지(104)로 일정량의 오, 폐수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그 뒤, 1차침전지(104)에서는 스크린(101)과 침사지(102)에서 처리되고 난 오,폐수중의 미세한 입자를 침전시키게 되며, 상기 1차침전지(104)에서 1차 처리된 오,폐수를 폭기조(105)로 보내지게 되는데, 상기 폭기조(105)로 보내진 처리수에는 스크린(101)에서부터 1차침전지(104)까지 여러단계를 거치면서 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폭기조(105)로 보내진 처리수에는 다량의 유기물질이 남아있게 되어, 상기 1차처리된 오,폐수의 콜로이드성 및 용해성 유기물을 폭기조(105)에 투입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산화 시키므로 오염될 오,폐수를 정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 처리된 물은 2차침전지(106)로 보내져 상기 폭기조(105)에서 처리된 물 중에서 미생물과 정화 처리된 물을 분리하여 미생물은 농축조(108)로 보내고, 정화 처리된 소독조(107)로 보내어 염소소독하여 외부로 방류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생물학적 처리를 하기 위하여 넓은 부지가 소요되고, 슬러지 발생량이 많아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한 화학약품비용과 슬러지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생물학적처리를 유기물의 부하변동에 약하고 유기물관리에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는 달리 폭기조를 사용하지않고 오,폐수를 부패조에서 1차로 미생물에 의해 전처리한 뒤에 전처리된 오,폐수를 전해장치에서 전해처리 함으로서, 화학약품 사용에 의한 폐단을 해소하면서,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도록하는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미생물을 투입시켜 오,폐수를 부패시켜 전처리하는 부패조와, 상기 부패조에서 전처리되어 공급되는 오,폐수를 전해장치로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와, 상기 유량조정조로 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정류기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전해처리하는 전해장치와 상기 전해장치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모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모래여과기와, 상기 모래여과기에서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활성탄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활성탄여과기와, 상기 활성탄여과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담아두어 외부로 방류하는 처리수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해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유입구
1b : 배출구 4 : 활성탄
5 : ″+ ″전극부재 6 : ″- ″전극부재
5a,6a : 수평전극부재 7 : 절연간격유지구
8 : 지지봉 9 : 전원단자
11 : 부패조 12 : 유량조정조
13 : 전해장치 14 : 모래여과기
15 : 활성탄여과기 16 : 처리수조
17 : 정류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도이다.
제2도는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미생물을 투입시켜 오,폐수를 부패시켜 전처리하는 부패조(11)와, 상기 부패조(11)에서 전처리되어 공급되는 오, 폐수를 전해장치(13)로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12)와, 상기 유량조정조(12)로 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정류기(17)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전해처리하는 전해장치(13)와, 상기 전해장치(13)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모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모래여과기(14)와, 상기 모래여과기에서 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활성탄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활청탄여과기(15)와, 상기 활성탄여과기(15)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담아두어 외부로 방류하는 처리수조(16)로 구성된다.
상기 전해장치(13)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측에 유입구(1a)와 상측에 배출구(1b)를 구비한 함체형 케이스(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를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설치한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를 일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삽입설치되어, 상기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의 각각의 수평전극부재(5a)(6a)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케이스(1) 내측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 사이에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절연 간격유지구(7)를 삽입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에는 수직방향으로 절연재로된 지지봉(8)을 끼워서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과 간격유지구(7)들이 교대로 끼워져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에는 다량의 활성탄(4)이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의 선단부에는 전원단자(9)가 각각 연결접속되어 각각의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에 정류기(17)로 부터 공급되는 정류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전극부재(5a)(6a)는 불용성전극인 Ti-Ir 양극과 H-C Metal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폐수가 부패조(11)로 유입되게 되면 부패조(11)내에서 상기 오,폐수가 혐기성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고, 이렇게 분해된 오,폐수는 유량조정조(12)로 유입되게 되며 유량조정조(12)에서는 일정량의 상기 오,폐수를 전해장치(13)로 공급시킨다.
상기 전해장치(13)로 공급된 오,폐수는 전해장치(13)의 전기분해와 활성탄(4)에 의해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오,폐수는 모래여과기(14)와 활성탄여과기(15)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여과되어 처리수조(16)에 받혀져서 중수도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해장치(13)의 작용효과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해장치(13)에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먼저 전원단자(9)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전원단자(9)와 연결접속된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에 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에 전원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1)의 하측 유입구(1a)를 통해 유량조정조(12)로 부터 공급되는 오,폐수가 유입되면, 상기 케이스(1)내측에 가득채워져 있는 활성탄(4)에 오,폐수에 포함되어있는 유기물입자가 흡착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에 의해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면서 오,폐수에 포함되어있는 유기물이 분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성탄(4)에 흡착되어있는 미세한 유기물입자는 상기 수평전극부재(5a)(6a)의 전기분해에 의해 분해되면서 배출구(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오,폐수의 정화처리가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전극부재(5a)(6a)가 케이스(1)내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서 케이스(1)내측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가 길게 형성되게되어 오,폐수의 순환거리가 길어져 전기분해효과와 활성탄(4)에 의한 미세한 유기물입자의 흡착효율이 향샹 되는 효과가 있다. ( 제 3 도에 도시된 화살표는 오,폐수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미생물에 의해서 부패조에서 전처리가 이루어져 1차로 정화되고, 이렇게 1차로 정화처리된 오,폐수가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가 길게 형성되고 활성탄이 채워저있는 전해장치에 의해 2차로 정화처리되며, 뒤이어 모래여과기와 활성탄여과기에 의해 3, 4차로 정화처리 되므로 오,폐수의 정화처리능력이 대폭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와는 달리 폭기조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슬러지의 발생량이 감소되는 장점과 폭기조를 운전하는 운전요원이 불필요하여 오,폐수 처리장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매우 탁월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미생물을 투입시켜 오,폐수를 부패시켜 전처리하는 부패조(11)와, 상기 부패조(11)에서 전처리되어 공급되는 오,폐수를 전해장치(13)로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유랑조정조(12)와, 상기 유랑조정조(12)로 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정류기(17)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전해처리하는 전해장치(13)와, 상기 전해장치(13)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모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모래여과기(14)와, 상기 모래여과기(14)에서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활성탄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활성탄여과기(15)와, 상기 활성탄여과기(15)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담아두어 외부로 방류하는 처리수조(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장치(13)은, 하측에 유입구(1a)와 상측에 배출구(1b)를 구비한 함체형 케이스(1)가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를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설치한 ″+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를 일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서로마주보게 삽입설치하되, 상기″+ ″전극부재(5)와 ″- ″전극부재(6)의 각각의 수평전극부재(5a)(6a)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케이스(1) 내측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전극부재(5a)(6a)들의 사이에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절연간격유지구(7)를 삽입설치한 뒤에, 상기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에 수직방향으로 질연재로 된 지지봉(8)을 관통설치하여 다수의 수평전극부재(5a)(6a)들과 간격유지구(7)들이 교대로 끼워져 간격을 유지하게되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에는 다량의 활성탄(4)를 채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9960040062A 1996-09-10 1996-09-10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KR018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062A KR0181171B1 (ko) 1996-09-10 1996-09-10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062A KR0181171B1 (ko) 1996-09-10 1996-09-10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088A KR960041088A (ko) 1996-12-17
KR0181171B1 true KR0181171B1 (ko) 1999-04-01

Family

ID=1947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062A KR0181171B1 (ko) 1996-09-10 1996-09-10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298B1 (ko) * 1998-08-13 2002-11-25 대경기계기술주식회사 막분리형활성슬러지법과전기분해법을결합한축산폐수의처리법
KR101102443B1 (ko) * 2009-06-29 2012-01-05 유림엔마텍(주)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한 종합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088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886B1 (en) Electrolytic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ification of aqueous solutions
CA2355346C (en) Electrolytic apparatus, methods for purification of aqueous solutions and synthesis of chemicals
CN207375910U (zh) 一种垃圾渗滤液的处理系统
CN101624249A (zh) 膜电解电化学氢自养反硝化去除硝酸盐的方法和反应器
WO2013156003A1 (zh) 一种新型纳米催化电解装置
KR100319022B1 (ko) 전해부상법을이용한폐수처리장치
WO2014165998A1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KR20200081001A (ko) 수소 생산 하수 처리 시스템
KR100492471B1 (ko) 고농도 질소함유 폐수처리를 위한 연속식 전기분해장치
KR0181171B1 (ko) 미생물과 전해처리에 의한 오, 폐수 처리장치
CN111573774A (zh) 一种类自然光电芬顿法处理生活污水的装置和方法
CN214571276U (zh) 一种电催化臭氧催化装置以及废水处理系统
CN210237343U (zh) 一种生化出水的处理系统
CN110921980B (zh) 一种电化学强化臭氧-生物活性炭水处理设备及利用其处理水的方法
KR100975239B1 (ko) 하천 유지수 확보를 위한 하수 정화 방법
JP4099369B2 (ja) 排水処理装置
CN214880416U (zh) 一种三维电催化处理装置
CN218146275U (zh) 一种印染废水循环处理装置
CN115124116B (zh) 一种用于处理高氯盐有机废水的电芬顿装置及方法
JP2005074269A (ja) 余剰汚泥減量装置及び方法
KR100436982B1 (ko) 전기산화를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100201172B1 (ko) 전기전해와 열에너지를 이용한 염색폐수 및 안료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CN105540952A (zh) 紫脲酸废水处理工艺
JPH10128370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CN1065216C (zh) 一种工业污水物理净化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