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712B1 -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712B1
KR0180712B1 KR1019950035082A KR19950035082A KR0180712B1 KR 0180712 B1 KR0180712 B1 KR 0180712B1 KR 1019950035082 A KR1019950035082 A KR 1019950035082A KR 19950035082 A KR19950035082 A KR 19950035082A KR 0180712 B1 KR0180712 B1 KR 018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information
conference
participan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119A (ko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712B1/ko
Publication of KR97002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2007/1739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the upstream communication being transmitted via a separate link, e.g. 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영상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영상회의시 다른 회의참가자의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기는 MCU에 접속되었을 때 접속된 단말의 ID를 모두 수신한 후 각 단말로부터 영상정보를 얻기 위해 VIS코드를 MCU에 송신하여 각각의 ID에 대한 영상정보를 요구한 후 각 ID에 대한 영상의 한 프레임을 포착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단말의 ID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 회의참가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회의 참가자의 인식이 가능한 영상회의시스템 .

Description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영상회의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전화기 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의참가자 인식 방법의 처리흐름도.
제5도는 제3도의 구성중 영상포착제어기의 상세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4 : 시스템 콘트롤러 130 : 조작부
132 : 영상포착제어기 134 : 메모리
본 발명은 영상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의참가자가 다른 참가자의 영상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전화기는 호출자와 비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의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서 통화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영상전화기는 지점 대 지점(Point-To-Point)으로 접속될 수도 있고, 지점 대 다지점(Point-To-Multipoint)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지점 대 다지점으로 접속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통상 영상회의(Video Conference)시스템이라 불리운다.
일반적인 영상회의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회의시스템에 참가하는 다수의 영상전화기들(10,20‥‥,30)과, 다지점의 영상전화기들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다지점제어부(Multipoint Control Unit: 이하 MCU라 칭함)(50)와, 상기 MCU(50)에 제어되어 다지점의 영상전화기들을 접속하는 종합정보통신망(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하 ISDN이라 칭함)교환기(40)로 구성된다.
영상회의시스템에 참가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전화기들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영상전화기의 송신동작 및 수신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호출자가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발호(cal1ing)하였을 때 피호출자가 전화를 훅크오프하면, 카메라(102)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호출자의 영상신호는 비디오 전처리기(104)에서 화질개선처리 및 디지탈화되고, 영상데이타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비디오 인코더(106)에서 압축된다. 한편 호출자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마이크로폰(108)으로 입력된 후 오디오 인코더(110)에서 디지탈화 및 압축된다. 이와 같이 디지탈화 및 압축된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는 멀티플렉서(122)로 입력되어 멀티미디어 전송에 적합하게 다중화처리된 후 망 인터페이스(128)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에게로 전송된다. 이때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타는 동일한 전송 채널내에 포함된다.
다음에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망 인터페이스(128)로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데이타는 하나의 채널내에 다중화처리되어 전송되는 데이타로서, 이러한 데이타는 디멀티플렉서(126)에서 영상데이타 및 음성데이타로 각각 디멀티플렉싱처리된 후 비디오 디코더(118) 및 오디오 디코더(120) 각각으로 입력된다. 수신된 영상데이타는 비디오 디코더(l18)에서 디코딩되어 복원되고, 비디오 후처리기(116)에서 화질개선처리 및 아날로그화된 후 모니터(112)로 출력된다. 한편 수신된 음성 데이타는 오디오 디코더(120)에서 디코딩되어 복원되고, 복원된 디지탈음성 데이타는 아날로그 신호화되어 스피커(114)로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송,수신동작을 수행하는 영상전화기의 블럭구성은 국제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이하 ITU라 칭함)의 권고안 H.230에 제목 Narrow-Band Visual Telephone Systems and Terminal Equipment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송,수신동작은 시스템 콘트롤러(124)에 의해 제어되며, 시스템 콘트롤러(124)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 C2는 오디오 인코더(110)를, 제어신호 C4는 비디오 인코더(106)를, 제어신호 C8는 비디오 디코더(118)를, 그리고 제어신호 C10은 오디오 디코더(120)를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콘트롤러(124)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제어신호 C6는 멀티플렉서(122)를 제어하고, 제어신호 Cl2는 디멀티플렉서(126)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일련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시스템 콘트롤러(124)를 구현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며, 이러한 시스템 콘트롤러(124)는 범용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게이트들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회의시스템에 참가하는 영상 전화기들은 ITU의 권고안 H.243(Procedure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three or more Audiovisual Terminals using Oigital Channels up to 2 Mbit/s)에 따라 상기 영상회의시스템에 접속된다. 접속이 완료되면 회의의 의장(chair)권을 가진 영상전화기의 회의참가자에 대한 영상이 방송된다. 또한 접속이 완료된 이후에 각각의 영상전화기들은 ITU의 권고안 H.221(Frame Structure for a 64 to 1920 Kbit/s Audiovisual Teleservices)에 따른 BAS(Bit Alignment Signal )채널을 통해 ITU의 권고안 H.230에 따른 TIA(Terminal Indicate Assignment)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의 고유번호(ID)를 얻게 되고, TIN(Terminal Indicate Number)코드를 수신함으로새 회의에 참가한 다른 영상전화기의 ID를 얻게 된다. 한편 현재 수신되는 영상이 어느 영상전화기의 회의참가자인지, 즉 어떤 영상전화기가 의장인지는 H.230에 따른 VIN(Video Indicate Number)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알게 된다. 그러나 여러 영상전화기들이 접속되는 영상회의시스템에서 영상전화기의 ID만으로는 단말 사용자의 정보가 불충분하며 실제 회의참가자를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회의에 참가하는 다른 참가자들의 영상정보를 회의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CU에 접속되었을 때 접속된 단말의 ID를 모두 수신한 후 각 단말로부터 영상정보를 얻기 위해 VCS코드를 MCU에 송신하여 각각의 ID에 대한 영상정보를 요구한 후 각 ID에 대한 영상의 한 프레임을 포착하여 저장함으로서 각 단말의 ID에 따른 영상 정보를 이용 회의참가자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전화기를 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한 프레임의 영상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포착제어기(132)와, 상기 영상포 착제어기(132)에 의해 포착된 한 프레임분의 영상정보를 각 단말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4)가 포함되어져 있다. 그리고 시스템 콘트롤러(124)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을 처리함으로써 영상회의시 회의참가자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금, 제1도의 영상전화기 #1(10)가 영상회의를 위해 호설정을 요구하면, MCU(50)는 호설정을 완료한 후 자신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H.230의 MCC(Multipoint Command Conference)코드와 최초로 회의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MIZ(Multipoint Indication Zero- Communication)코드를 ISDN교환기(40)를 통해 영상전화기 #1(10)에 송신한다. 영상전화기 #1(10)는 MCC코드와 MIZ코드를 H.221의 BAS채널을 통해 수신하게 되면 자신이 MCU(50)와 접속하였으며, 자신이 회의에 가입하였음을 인식한 후 이를 가입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MCU(50)는 H.230의 TIA(Terminal Indication Assignment)를 ISDN교한기(40)를 통해 영상전화기 #1(10)로 또한 송신하는데, 이에 따라 영상전화기 #1(10)의 ID가 할당된다. 이때 MCU(50)는 영상전화기 #1(10)의 ID를 송신함과 아울러 자신의 ID도 동시에 송신한다.
다음에 영상전화기 #2(20)가 영상회의를 위해 호설정을 요구하면, MCU(50)는 호설정을 완료한 후 새로운 회의참가자가 접속되었음을 나타내는 Cancel-MIZ코드를 영상전화기 #1(10)에 송신하며, 영상전화기 #2(20)에는 MCC코드를 송신하여 회의에 접속되었음을 인식시키고 TIA코드를 송신하여 영상전화기 #2(20)의 ID를 할당한다. 또한 MCU(50)는 이미 접속된 영상전화기 #2(20)의 ID를 TIN(Terminal Indicate Number)코드를 이용하여 상전화기 #1(1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영상전화기 #1(10)는 자신의 ID뿐만 아니라 영상전화기 #2(20)의 ID도 갖게 된다.
회의를 위한 다른 영상전한기들은 영상전화기 #2(20)가 MCU(50)에 접속되는 수순과 동일하게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수순에 대한 설명은 ITU권고안 H.243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단일의 MCU(50)에 N개의 영상전화기가 접속되면 영상전화기 #1(10) , #2(20) , #N(30)들은 자신의 ID와 회의에 접속된 다른 N-1개 영상전화기들의 ID와 MCU(50)의 ID를 갖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통상의 영상회의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러한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영상회의시스템에서 하나의 MCU가 존재하고 N개의 영상전화기 가입자가 회의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N개의 영상전화기가 MCU에 접속완료되면 각 단말은 MCU로부터 자신을 제외한 단말의 고유 ID를 갖게 된다.
이때 제1도의 영상전화기 #N(30)의 가입자가 다른 회의참가자들의 영상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요구를 발생하면 , 제3도의 시스템 콘트롤러(124)는 제4도의 402단계에서 이를 인식한다. 다른 회의참가자들에 대한 영상정보 인식요구는 조작부(130)상에서 가입자가 영상정보 인식요구를 나타내는 특정키를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특정키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정보 인식요구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후 404단계에서 시스템 콘트론러(124)는 이 요구를 나타내는 H.230의 VCS(Video Command Selsct)를 MCU(50)에 송신한다. VCS를 수신한 MCU(50)는 VCS내의 단말 ID를 인식하여 해당 단말의 영상신호를 VCS를 요구한 단말로 스위칭하여 전송하며, VCS를 요구한 단말에게 VIN(Video Indicate Number)을 전송하여 현재 비디오정보의 소스를 표시하여 준다.
다음에 406단계에서 이를 수신한 후 408단계에서 수신된 IS와 송신한 IS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동일한 경우 410단계에서 제어신호 Cl8을 이용하여 영상포착제어기(132)를 구동하여 한 프레임의 영상을 포착하고, 412단계에서 포착된 영상을 메모리(134)에 ID순서별로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영상은 가입자가 조작부(130)상의 키를 이용하여 회의참가자의 영상을 요구할시 시스템 콘트롤더(124)에 의해 리드되어 모니터(112)상에 표시되게 된다.
제5도는 제3도의 영상포착제어기(132)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 , 영상포착제어기(132)는 프레임메모리(138)와 버퍼(136)를 포함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시스템콘트롤러(124)로부터의 제어신호 Cl8에 의해 버퍼(136)의 동작이 제어된다. 즉 제어신호 Cl8에 의해 버퍼(136)가 온되면 , 비디오디코더(118)에 의해 디코딩 된 데이타는 버퍼(136)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프레임 메모리(138)에 저장된다 . 이 프레임메모리(138)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한 프레임분의 데이타이다. 상기 프레임메모리(138)에 한 프레임분의 데이타가 저장되었는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부터 알 수 있으므로 시스템콘트롤러(124)는 프레임메모리(138)에 한 프레임분의 데이타가 저장된 경우 이를 읽어들여 메모리(134)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한 프레임분의 영상신호가 메모리(134)에 포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MCU와 접속하였을 때 회의참가자의 ID를 이용하여 회의참가자의 영상을 요구하고, 수신된 영상을 한 프레임 포착하여 저장함으로써 회의참가자가 다른 회의참가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영상회의 시스템에 있어서, 지점대 다지점으로 접속되어 영상회의 망을 형성하는 다수의 영상전화기와, 영상회의를 위해 호설정을 요구하는 상기 영상전한기들을 접속시킴으로써 영상회의 망 형성을 주관하고 상기 형성된 영상회의 망에 속하는 상기 영상전화기중 회의참가자 인식을 요구하는 영상전화기로 해당하는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화기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의참가자 영상정보를 포착하는 영상포착수단과, 상기 포착된 영상정보를 상기 회의참가자가 소속된 영상전화기의 고유 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포착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의참가자 영상정보중 한 프레임을 포착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디지탈데이타로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시스템.
  4. 영상회의를 위해 호설정을 요구하는 영상전화기들을 접속시킴으로써 영상회의망을 형성하는 제어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상회의시스템에서 상기 형성된 영상회의망에 소속하는 영상전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회의참가자 인식요구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회의 망을 형성하는 다수의 영상전화기중 회의참가자 인식을 요구하는 영상전화기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된 영상전화기가 요구하는 회의참가자가 소속하는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 전송을 요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영상정보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를 상기 확인된 영상전화기로 전송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영상회의를 위해 호설정을 요구하는 영상전화기들을 접속시킴으로써 영상회의망을 형성하는 제어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상회의시스템의 상기 영상전화기에서 상기 형성된 영상회의 망에 소속하는 다른 회의참가자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의 참가자 인식요구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상기 인식요구가 발생된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 전송을 요구하는 영상정보 요구과정과, 상기 영상정보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전송하는 상기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를 포착하는 영상정보 포착과정과, 상기 포착된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를 회의참가자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참가자 인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포착과정은, 상기 제어수단이 전송하는 회의참가자의 영상정보중 한 프레임만을 포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참가자 인식방법.
KR1019950035082A 1995-10-12 1995-10-12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KR018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082A KR0180712B1 (ko) 1995-10-12 1995-10-12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082A KR0180712B1 (ko) 1995-10-12 1995-10-12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19A KR970025119A (ko) 1997-05-30
KR0180712B1 true KR0180712B1 (ko) 1999-05-01

Family

ID=1942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082A KR0180712B1 (ko) 1995-10-12 1995-10-12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894A (ko) * 2000-01-04 2002-01-09 구자홍 화상통신기기의 다자간 화상통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894A (ko) * 2000-01-04 2002-01-09 구자홍 화상통신기기의 다자간 화상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19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662A (en) Video conference control system using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602091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nalog voice-only endpoint with pseudo multimedia service
AU696065B2 (en) Seamless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ing an enhanced multipoint control unit
EP0535890B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JP3330183B2 (ja) 画像通信端末装置
JP3457338B2 (ja) テレビ電話・テレビ会議装置
US20020093531A1 (en) Adaptive display for video conferences
CN101645952A (zh) 会议电话终端、系统及共享数据的方法
CA2224641A1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US654917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8515042B2 (en) Method for indicating call progress state, conference control device, and conference system
KR0180712B1 (ko) 회의참가자 인식을 위한 영상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US5777664A (en) Vide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peater to communicat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JP3512828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594089B2 (ja) 双方向映像通信システム
JPS6031136B2 (ja) 予約接続画像会議方式
KR100203279B1 (ko)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JPH06268757A (ja) 端末識別方法
JPH05336517A (ja) テレビ会議装置
JP3065647B2 (ja) マルチメディア端末およびその受信映像表示方法
JPH0522720A (ja) 画像コ−デツクおよびavミ−テイング端末
KR100203272B1 (ko) 초청에 의한 화상회의시스템
JPH0965016A (ja) テレビ電話装置
KR0178765B1 (ko) 통신 프로토콜 구현 방법
JPH07264318A (ja) 簡易形動画像マルチポイント対話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