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003B1 -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003B1
KR0180003B1 KR1019900021779A KR900021779A KR0180003B1 KR 0180003 B1 KR0180003 B1 KR 0180003B1 KR 1019900021779 A KR1019900021779 A KR 1019900021779A KR 900021779 A KR900021779 A KR 900021779A KR 0180003 B1 KR0180003 B1 KR 018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ntenna
signal
satellite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218A (ko
Inventor
설현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0002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003B1/ko
Publication of KR92001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Abstract

위성 방송 수신기의 안테나가 원하는 인공위성을 정확히 지향하는지의 여부를 별도의 측정장비없이 TV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키보드 및 리모콘 송신기에 추가된 안테나 입력 레벨 확인용 키입력에 의해 튜너의 AGC단자로 부터 발생되는 AGC 전압을 이용하여 디지탈로 변환한후, 마이콤에서 안테나의 입력레벨을 연산하여 OSD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레벨문자 및 안테네 레벨값을 TV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안테나에서의 입력감도를 TV 화면에서 직접 확인하는 기능을 부가한 위성방송 수신기는 안테나 설치시에 수시로 안테나 입력레벨을 확인 할 수 있어 안테나 방향을 어긋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위성방송수신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방송수신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입력감도 표시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A/D 변환기 24 : 마이컴
25 : OSD 26 : 표시기
27 : 키보드 28 : 리모콘송신기
29 : 리모콘디코더 30 : 튜너유니트
32 : 수신기유니트
본 발명은 위성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사하게는 위성방송용 안테나에 입력되는 전파의 감도를 확인해서 안테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직접방송위성(Direct Broadcasting by Satellite ; 이하 DBS 라고 칭함)수신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를 갖는 튜너유니트(Tuner Unit)(30)와, 제1,2 PIA 및 CPU 및 롬을 갖는 마이컴(17)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이하 OSD 라고함)(18), 리모콘디코더(Remocon Decoder)(22)로 이루어진 수신유니트(31)와, 키보드(Keyboard)(20)와 표시기(Indicrtor)(19)와 리모콘송신기(21)로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의 위성방송(BS) 수신과정을 설명한다. 안테나(A1)가 인공위성을 정확히 지향하고 있을 경우 인공위성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저잡음블럭(Low Noise Block ; 이하 LNB라고 함)으로 집중되어 LNB에서 케이블을 통해 실내에 있는 위성방송 튜너유니트(30)로 유입된다. 상기 튜너유니트(30)에서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기유니트(31)로 해당채널의 신호를 보내면 수신기유니트(31)에서 그 신호를 처리해 TV수상기로 보내게 된다.
상기 튜너유니트(30)의 AGC회로는, LNB 에서 들어오는 신호세력이 작을 경우 감쇠기(Attenuator)(ATT)에서 감쇠없이 통과시킨다. 이때 신호세력이 충분히 클 경우에는 감쇠를 많이 시켜서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감쇠기(ATT)에서 감쇠된 신호는 제1,2고주파 증폭기(1,2)를 통해 고주파 증폭되어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 이하 BPF 라 함)(3)로 인가된다. 상기 BPF(3)는 고주파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 한 후 출력하고, 전압제어발진기(4)로 부터 인가되는 발진주파수를 제1버터증폭기(5)에서 증폭하여 이 증폭한 주파수신호와 필터링한 신호를 믹서(6)에서 믹싱한다.
상기 믹서(6)에서 믹싱된 신호는 제1,2중간주파수 증폭기(7,8)에서 중간주파 증폭되어 AGC출력단(AGCO)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ACG 증폭기(9)로 인가된다. 상기 AGC 증폭기(9)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제3중간주파수 증폭기(10)를 통해 증폭한 후 제2감쇠기(ATT)를 통해 재차 감쇠한다. 상기 감쇠된 신호는 FM복조기(14)로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 (D1)를 통해서 증폭기(1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된다.
상기 FM복조기(14)는 감쇠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해서 제3버퍼증폭기(15)를 통해 증폭한 후, 베이스 밴드(Base Band) 출력단(BBO)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수신기유니트(31)의 PCM(PLUSE CODE MODUSATION) 복조기(16)로 출력하여 복조한 후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증폭기(11)로 입력된 신호는 기준신호와 비교 증폭하여 입력되는 고주파신호 세력에 비례하는 DC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DC전압은 증폭기(1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증폭기(12)는 입력되는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해서 그 차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12)에서 비교되어 출력되는 차신호는 버퍼증폭기(13)에서 소정만큼 증폭되어 감쇠기(ATT)로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감쇠기는 공급되는 전류량에 따라 입력신호의 감쇠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AGC 방식을 입력세력에 비례해서 DC 전압이 상승하는 순방향 (forward) AGC방식을 사용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유니트(30)의 AGC회로는 LNB를 통해 들어오는 고주파세력을 일정하게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입력레벨에 대응해서 발생된 DC전압은 AGC전압으로 고주파세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만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위성방송수신시스템을 설치할 때는 안테나(A1)를 인공위성이 위치하고 있는 곳을 정확하게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계측장비를 가지고 입력감도를 측정해서 방향을 조절해야 하였다. 그래서 설치시에 전문가가 필요하며, 바람이나 기타 여러가지 자연 조건에 의해서 안테나 방향이 바뀌었거나 새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를 통해 신호 레벨의 감도 검출해서 TV수상기에 표시할 수 있는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레벨의 감도를 검출해서 안테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은, 위성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성분에 비례하는 AGC전압을 출력하는 튜너유니트를 구비한 위성방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튜너유니트에서 검출된 AGC전압을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AGC전압에 대한 수신신호의 입력감도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된 입력감도를 표시기 상에 표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방송수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구성을 설명한다. 인공위성에서 송출되는 전파는 안테나(A1)로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LNB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실내에 있는 튜너유니트(30)로 유입된다. 상기 튜너유니트(30)에서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기유니트(32)로 해당채널의 신호를 보내면 수신기유니트(32)에서 그 신호를 처리해 TV수상기로 보내게 된다.
상기 튜너유니트(30)는 입력신호를 소정량 감쇠시키는 감쇠기(ATT)와, 상기 감쇠기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제1,2 고주파증폭기(1,2)와,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소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3)와, 전압제어발진기(4),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발진기에서 출력한 발진 주파수와 상기 밴드패스필터(3)의 출력신호를 믹싱시키는 믹서(6)가 구비된다.
상기 믹서(6)의 출력을 입력하고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수증폭기(7,8)와, 상기 주파수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AGC증폭기(9)와, 상기 AGC증폭기(9)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중간주파수 신호를 재증폭하는 중간증폭기(10)가 구성된다.
상기 중간주파수증폭기(10)의 출력은 제2감쇠기(ATT)로 입력되고, 상기 감쇠기에서 소정량 만큼 신호의 감쇠가 이루어진 후 다이오드(D1)를 통해 증폭기(1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한편, FM복조기(14)로 입력된다. 상기 FM복조기(14)는 입력신호를 원신호로 복조해서 버퍼증폭기(15)를 통해 베이스 밴드(base band) 출력단(BBO)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수신기 유니트(32)의 PCM복조기(16)로 출력하여 복조한 후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11)의 반전단자로는 기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증폭기(11)의 출력단자는 AGC출력단(AGCO)과 접속함과 동시에 증폭기(12)의 비반전단자와 접속한다. 상기 증폭기(12)로 입력된 신호는 기준신호와 비교해서 그 차신호를 증폭해서 출력하고, 상기 증폭기(12)의 출력신호는 버퍼증폭기(13)를 통해 감쇠기(ATT)로 인가된다. 설명은 되지 않았지만 도면에 도시된 기호5는 버퍼증폭기를 나타낸다.
상기수신유니트(32)는 상기 튜너유니트(30)의 AGC 출력단(AGCO)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입력하는 CPU, 제1,2 PIA, 롬으로 이루어진 마이컴(24)과, OSD(25) 및 리모콘 송신기(28)에서 키입력에 따라 디코딩하여 마이컴의 제2PIA로 보내는 리모콘디코더(29)로 구성한다.
그리고 외부 추가 장치로서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현재 위성방송수신기의 현재 설정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표시하는 표시기(26)와, 안테나(A1) 입력레벨 확인용 키를 추가한 키보드(27)와, 안테나 입력레벨 확인용 키를 추가한 리모콘송신기(28)가 구비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입력감도 표시처리 흐름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단 위성방송 수신과정은 안테나(A1)가 인공위성을 향해 지향하고 있을 경우, 인공위성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LNB 로 집중되어 LNB에서 케이블을 통해 실내에 있는 튜너유니트(30)로 유입된다.
이때 튜너유니트(30)에서는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기유니트(32)로 해당채널의 신호를 보내고, 상기 수신기유니트(32)는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해서 TV수상기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튜너유니트(30)가 신호를 상기 수신기유니트(32)로 보내기까지의 과정을 살표보면, 케이블을 통해 유입되는 수신신호는 먼저 감쇠기(ATT)에서 소정량 만큼 신호감쇠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되는 수신신호가 충분히 작을 경우 신호의 감쇠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감쇠기(ATT)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고주파증폭기(1,2)에서 고주파신호의 증폭이 이루어진 후 밴드패스필터(3)로 출력된다.
상기 밴드패스필터(3)에서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이 필터링되고, 이 필터링된 신호는 전압제어발진기(4)에서 출력되어 증폭된 발진주파수와 믹서(6)에서 믹싱된다. 상기 믹서에서 믹싱된 신호는 중간주파증폭기(7,8)을 통해 중가주파수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신호는 AGC 증폭기(9)에서 증폭되고, 다시 중간주파수증폭기(10)를 통해 재증폭된후 감쇠기(ATT)에서 신호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상기 감쇠된 신호는 FM복조기(14)로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1)을 통해 증폭기 (1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FM복조기(14)는 입력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버퍼증폭기(15)를 통해 증폭한 후, 베이스밴드 출력단(BBO)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BBO)의 출력신호는 수신기유니트(32)의 PCM복조기(16)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증폭기(11)로 인가된 신호는 반전단자에 인가되고 있는 기준신호와 비교 증폭하여 입력되는 고주파신호 세력에 비례하는 DC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DC전압은 AGC출력단(AGCO)을 통해 수신기유니트(32)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3)로 인가됨과 동시에 종래와 동일하게 또 다른 증폭기(12)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된다. 상기 증폭기(12)로 인가된 신호는 기준신호와 비교되어 그 차신호 만큼 증폭되어 감쇠기(ATT)로 인가되어 그 차신호 만큼 신호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여기까지의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튜너유니트(30)의 AGC출력단(AGCO)로 출력되는 DC전압은 본 발명 상에서 수신기유니트(32)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3)로 입력되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수신기유니트(32)의 마이컴(24)은 키보드(27)또는 리모콘송신기(28)에서 안테나 입력레벨 확인용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3도의 1A단계).
상기 입력레벨키가 입력되었을때, 마이컴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3)에서 출력되는 DC전압의 디지탈신호를 제2PIA로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값을 상수(X)로 정의한다(제3도의 2A단계).
그리고 마이컴은 입력된 AGC전압 (X)를 이용해서 현재 안테나의 위치에 따른 입력신호의 감도를 산술한다. 이 입력신호의 감도는 순방향 AGC일때는 하기 식1에 의해 산술되고, 역방향 AGC일때는 하기 식2에 산술된다.
여기서 상기 식1, 식2는 안테나의 위치에 따른 입력신호의 최고 감도를 100으로 놓고, 입력신호의 감도가 최대가 될때 AGC전압을 12V로 책정한 것인데, 이는 지역과 일기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튜너의 전원전압 12V를 최대값으로 책정하여 산출하였다.(제3도의 3A단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안테나의 위치에 따른 입력감도 값이 산술되면, 제1 PIA를 통해서 OSD(25)에 안테나 레벨문자 ANT level를 출력하고(제3도의 4A단계), 그 다음 OSD 에 상기에서 산출된 레벨값(Y)을 표시한다(제도의 5A).
상기 OSD에 표시된 값은 영상신호 출력단을 통해 TV수상기에 표시되어서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수신신호의 입력감도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까지 안테나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수신신호의 입력감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에서 사용자는 키보드나 리모콘송신기를 이용해서 레벨키를 재입력시킴으로서,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제3도의6A단계).
그리고 안테나 입력레벨을 확인하기 위해서 키보드(27)또는 리모콘송신기(28)의 키입력이 제2 PIA로 인가되어, 상기 제1 PIA를 통해 표시기(26)는 위성방송수신기의 현재설정상태가 안테나 입력감도 표시기능이 동작중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은, 안테나 방향이 인공위성을 정확히 지향할 때 AGC 전압이 최고치가 되어 수신신호의 입력감도가 최대가 되고, 안테나의 방향이 인공위성을 지향하지 않을 때는 어긋난 방향에 비례해서 고주파세력이 감소하여 AGC 전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검출되는 AGC전압에 따라 안테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음으로서 본 발명은 안테나 설치시에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안테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위성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성분이 비례하는 AGC전압을 출력하는 튜너유니트를 구비한 위성방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튜너유니트에서 검출된 AGC전압을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AGC전압에 대한 수신신호의 입력감도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된 입력감도를 표시기 상에 표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감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튜너유니트의 자동이득조절부가 순방향일 때,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AGC전압을 튜너의 전원전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감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튜너유니트의 자동이득조절부가 역방향일때,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AGC전압을 튜너의 전원전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서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값을 100에서 감산하므로서 입력감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KR1019900021779A 1990-12-26 1990-12-26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KR018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779A KR0180003B1 (ko) 1990-12-26 1990-12-26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779A KR0180003B1 (ko) 1990-12-26 1990-12-26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18A KR920014218A (ko) 1992-07-30
KR0180003B1 true KR0180003B1 (ko) 1999-05-01

Family

ID=1930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779A KR0180003B1 (ko) 1990-12-26 1990-12-26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680A (ko) * 1995-04-25 1996-11-25 이데이 노부유키 수신 장치, 신호 복조 방법, 안테나 장치, 수신 시스템, 및 안테나 방향 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680A (ko) * 1995-04-25 1996-11-25 이데이 노부유키 수신 장치, 신호 복조 방법, 안테나 장치, 수신 시스템, 및 안테나 방향 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18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4792A2 (en) AGC circuit of FM front-end portion
US643437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nversion gain of a down converter
JPH11136154A (ja) 受信装置
US4935814A (en) Picture quality indicator for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228827B1 (ko) 수신장치
KR0180003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안테나 입력감도표시방법
EP0771069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nversion gain of a down converter
KR20000034508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자동이득제어 전압 조절장치
US20050143030A1 (en) Receiving apparatus
US5303410A (en) Signal strength meter circuit for radio receiver
KR0123078B1 (ko) 약신호 수신시 노이즈 감소회로
KR20080018364A (ko) 튜너의 자동이득제어회로
JP3174230B2 (ja) ラジオ受信機
KR0176633B1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2중 자동 이득 조절회로
JPH0213020A (ja) 衛星通信受信装置
US9807529B2 (en) Wireless receiver
JPH0746988Y2 (ja) Fm受信機のagc制御回路
JPH04302232A (ja) シグナルレベル回路
KR960004509B1 (ko) 텔레비젼 방송신호 수신회로
KR20080049930A (ko) 튜너
JP2799105B2 (ja) 衛星放送受信装置
JPH01274593A (ja) 衛星放送受信機画質表示装置
JPS6223629A (ja) 受信機
KR100186584B1 (ko) 다이랙트시퀀스방식 디지탈 무선통신 시스템 수신기의 자동이득조절장치
KR100716139B1 (ko) 디지털 튜너의 알에프 이득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