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958B1 - 다단계 처리 정화조 - Google Patents

다단계 처리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958B1
KR0179958B1 KR1019960021350A KR19960021350A KR0179958B1 KR 0179958 B1 KR0179958 B1 KR 0179958B1 KR 1019960021350 A KR1019960021350 A KR 1019960021350A KR 19960021350 A KR19960021350 A KR 19960021350A KR 0179958 B1 KR0179958 B1 KR 017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reatment
treatment chamber
precipitatio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874A (ko
Inventor
이희권
Original Assignee
이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권 filed Critical 이희권
Priority to KR101996002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958B1/ko
Publication of KR98000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료를 정화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분료처리용 정화조가 갖는 처리효율을 개선시키고 관리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 소규모의 정화조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 상등수 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처리실과, 침전실-상등수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처리실과, 균질화실-여재층이 형성된 산화실-최종배출수 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3처리실이 각기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게 구성되고, 각 처리실로 부터 월류수가 내선파이프에 의해 다음 단계의 처리실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부폐실로부터 유입된 분료가 경유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정화되어 최종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처리 정화조를 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분료가 다단계로 처리됨으로 처리율이 높고, 각 처리실이 격벽에 의해 분리됨으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하며, 강제폭기식 처리방법이 아님으로 관리유지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단계 처리 정화조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례도.
제3도는 제2도의 a-a부 단면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b-b부 평면 상태도.
제5도는 제2도의 c-c부 평면 상태도.
제6도는 제2도의 d-d부 평면 상태도.
제7도는 제2도의 e-e부 평면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조 2.2' : 수직격벽
3 : 제1처리실 4 : 제2처리실
5 : 제3처리실 6 : 맨홀
7,8 : 내부파이프 9 : 분료투입관
10 : 배출구 31 : 부패실
32 : 침전실 33 : 침전분리실
34 : 제1처리실 상등수월류실 41 : 제2처리실 침전실
42 : 제2처리실 상등수 월류실 51 : 균질화실
52 : 산화실 53 : 최종 배출수 월류실
54 : 여재층
본 발명은 분료를 정화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변기로 부터 물과 함께 제공되는 분료를 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상등수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제1실에 투입시킨후 내부 파이프를 통하여 침전실-상등수월류실로 구성된 제2실로 유입시키고 제2실로 부터의 월류수는 내부 파이프를 통하여 균질화실-산화실-최종 배출수 월류실로 구성된 제3실을 경유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정화처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한 다단계 분료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료 정화조로 외부의 에어펌프로 부터 제공되는 산화용 공기로 폭기시켜 정화처리되도록 하는 접촉폭기식과 부패실로부터 침전분리실, 산화실을 경료시켜 산화 처리하는 산화형 정화조가 공지되고 있는바, 접촉폭기식의 경우는 외부의 에어펌프를 별도로 가동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자가 상주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규모 빌딩의 정화 처리에 사용될 수 있으나 중소규모의 건물의 경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고, 산화형 정화조는 부폐실, 침전분리실 및 산화실이 각기 연속되어 있고 그 상부가 밀폐된 구조로 되어 각 단계별 오수의 체류시간이 짧고 외부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됨으로 산화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화조 내부의 각 처리실이 각기 격리되지 않기 때문에 침전 슬러지의 제거시 정화조 내부의 전체오수를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상등수 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처리실과, 침전실-상등수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처리실과, 균질화실-산화실-최종배출수 월류실로 구성되는 제3처리실이 각기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게 구성하고, 각 처리실로 부터 월류수가 내부파이프에 의해 다음 단계의 처리실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부폐실로부터 유입된 분료가 다단계의 처리실을 경료하는 동안 정화처리되어 최종 배출되도록 구성한 다단계처리 정화조를 새로이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기 격벽에 의해 차단된 상태의 제1처리실과 제2처리실 및 제3처리실로 구성됨을 보인 것이다.
제1처리실은 분료가 직접 유입되는 부폐실과 부폐실과 동일 수위를 갖도록 상호 연결되는 침전실과 침전실로 부터 상승하는 폐수를 흡수하도록 침전실의 상층에 형성되어 침전실로부터의 상등수만 분리하는 침전분리실과 침전분리실의 상층에 형성되어 침전분리실로 부터의 월류수를 분리해 내는 상등수 월류실로 구성된다.
제2처리실은 침전실과 침전실의 상층에 형성된 상등수 월류실로 구성되며, 제3처리실은 제일 하부로부터 균질화실이 형성되고 그 상층에 산화실이 형성되며 산화실상층에는 최종 배출수 월류실이 형성되는 구성된다.
제3처리실의 산화실은 내부에 산분해성 박테리아가 기생할 수 있는 여재층이 형성된다.
제1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과 제2처리실의 침전실, 제2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과 제3처리실의 균질화실은 각기 내부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 각처리실로의 오수 이송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제2도 내지 제7도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정화조(1) 내부를 수직격벽(2)(2')을 사용하여 분할하여 제1처리실(3)과 제2처리실(4) 및 제3처리실(5)을 형성하고,
제1처리실(3)은 하부의 외측에 부폐실(31)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맨홀(6)에 연결되는 침전실(32)를 형성하며 부폐실(31)의 상층에는 침전실(3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침전분리실(33)을 형성하며 침전분리실의 상층에는 상등수 월류실(34)을 형성하며 부폐실과 침전실을 분리하는 수직격벽(35), 침전분리실(33)과 침전실(32)이 접하는 침전분리실의 수평격벽(35), 침전분리실(33)과 상등수월류실(34)을 분리하는 수평격벽(36)에는 각기 다수의 통수구(37)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제2처리실(4)은 상부에 상등수 월류실(42)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침전실(41)을 형성하며 상등수 월류실과 침천실을 분리하는 수평격벽(43)에는 다수의 통수구(44)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제3처리실(5)은 하부로 부터 균질화실(51), 산화실(52) 및 최종 배출수 월류실(53)을 형성하고 산화실의 내부에는 여재층(54)를 형성하고 각 실을 분리하는 수평 격벽(55)(56)에는 다수의 통수구(57)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며,
제1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34)과 제2처리실의 침전실(41) 및 제2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42)과 제3처리실의 균질화실(51)은 각기 내부파이프(7)(8)로 연결하여 부폐실(31)로 관입되는 분료투입관(9)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료가 제1처리실과 제2처리실 및 제3처리실을 경료하는 과정에서 정화되어 슬러지는 맨홀을 통하여 강제배출시키고 정화된 처리수는 배출구(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0은 가스배출구, 61은 통기구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변기로부터 분료가 내부관을 통하여 부폐실로 유입되며, 부폐실로 유입된 분료는 안정된 상태로 침전실의 분료와 합쳐진다.
제1처리실의 부폐실과 침전실은 상호 동일한 오수농도를 갖게 되며, 부폐실은 분료가 직접 낙하되기 때문에 기존 분료와 새로 유입된 분료가 상호 뒤섞여 침전이 이루어 질 수 없으나 이에 수평으로 연결된 침전실은 분료 낙하에 의한 충격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침전이 이루어져 액상오수는 상등수가 되고 고체상의 분료는 침전실 하부로 침전되고 부폐되어 슬러지화 된다.
제1처리실의 침전분리실은 침전실로 부터의 오수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등수만을 분리하는 작용을 하며 침전분리실을 통과한 상등수만 상등수 월류실로 상승 유출시킨다.
최초의 분료가 침전실 및 침전분리실을 경유하여 상승하는 동안 계속적인 침전이 이루어지고, 분료와 함께 유입되는 산소에 의한 산화가 진행되어 제1처리실에 상층수 월류실의 오수농도는 낮아지게 된다.
제1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로부터 내부 파이프를 통하여 제2처리실의 침전실로 유입된 오수는 제2침전실을 상승하는 과정에서 산화와 침전이 이루어져 오수농도는 더욱 낮아지며, 대부분의 침전물이 제거된 상태로 제2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과 제3처리실의 균질화실을 연결한 내부파이프를 통하여 제3처리실로 이송 된다.
제3처리실의 균질화실은 오수의 지체과정에서 농도를 균질화한 상태로 산화실로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산화실로 유입된 오수중의 유기물은 산화실내부의 여재층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소화 흡수되어 유기오수의 대부분이 정화되어 최종 배출수 월류실을 통하여 외부로 정화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각각의 상등수 월류실은 각 처리실의 상층부에 형성되고 맨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접하는 과정에서 산소의 흡수가 이루어져 산화에 이용된다.
제1처리실 및 제2처리실은 맨홀에 의하여 노출되어 내부의 슬러지는 맨홀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슬러지 제거시 각처리실이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음으로 슬러지배출 빈도를 각 처리실별로 달리할 수 있고 각처리실별로 분리하여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료투입-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상등수월류실-침전실-상등수 월류실-균질화실-산화실-최종배출수 월류실-배출되는 다단계 처리 공정에 의하여 분료의 정화가 이루어짐으로 정화 처리율이 높고, 시설이 단일정화조 내부에 구성됨으로 정화공정에 별도의 관리노력이 필요치 않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상등수 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처리실과, 침천실-상등수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처리실과, 균질화실-여재층이 형성된 산화실-최종배출수 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3처리실이 각기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게 구성되고, 각 처리실로 부터 월류수가 내선파이프에 의해 다음 단계의 처리실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부폐실로부터 유입된 분료가 경유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정화되어 최종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처리 정화조.
  2. 제1항에 있어서, 정화조(1)내부를 수직격벽(2)(2')을 사용하여 분할하여 제1처리실(3)과 제2처리실(4) 및 제3처리실(5)을 형성하고, 제1처리실(3)은 하부의 외측에 부폐실(31)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맨홀(6)에 연결되는 침전실(32)를 형성하며 부폐실(31)의 상층에는 침전실(3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침전분리실(33)을 형성하며 침전분리실의 상층에는 상등수 월류실(34)을 형성하며 부폐실과 침전실을 분리하는 수직격벽(35), 침전분리실(33)과 침전실(32)이 접하는 침전분리실의 수평격벽(35), 침전분리실(33)과 상등수월류실(34)을 분리하는 수평격벽(36)에는 각기 다수의 통수구(37)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제2처리실(4)은 상부에 상등수 월류실(42)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침전실(41)을 형성하며 상등수 월류실과 침천실을 분리하는 수평격벽(43)에는 다수의 통수구(44)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제3처리실(5)은 하부로부터 균질화실(51),산화실(52) 및 최종 배출수 월류실(53)을 형성하고 산화실의 내부에는 여재층(54)를 형성하고 각 실을 분리하는 수평 격벽(55)(56)에는 다수의 통수구(57)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며, 제1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34)과 제2처리실의 침전실(41) 및 제2처리실의 상등수 월류실(42)과 제3처리실의 균질화실(51)은 각기 내부파이프(7)(8)로 연결하여 부폐실(31)로 관입되는 분료투입관(9)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료가 제1처리실과 제2처리실 및 제3처리실을 경료하는 과정에서 정화되어 슬러지는 맨홀을 통하여 강제배출시키고 정화된 오수는 배출구(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처리 정화조.
KR1019960021350A 1996-06-12 1996-06-12 다단계 처리 정화조 KR017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350A KR0179958B1 (ko) 1996-06-12 1996-06-12 다단계 처리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350A KR0179958B1 (ko) 1996-06-12 1996-06-12 다단계 처리 정화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874A KR980001874A (ko) 1998-03-30
KR0179958B1 true KR0179958B1 (ko) 1999-04-01

Family

ID=1946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350A KR0179958B1 (ko) 1996-06-12 1996-06-12 다단계 처리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176B1 (ko) * 2000-03-27 2003-01-24 이희권 폐수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800B1 (ko) * 2001-10-26 2004-11-08 박래훈 메탄화처리에 의한 순환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176B1 (ko) * 2000-03-27 2003-01-24 이희권 폐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874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5948B (zh) Z型气提回流两级沉淀一体化污水处理池
US3694353A (en) Extended aeration wastewater treatment
CN206289048U (zh) 污水组合生化与污泥静态沉淀分离处理一体化装置
CN106865905A (zh) 一种可满足直接排入地表ⅱ类ⅲ类水体标准的污水处理系统
KR0179958B1 (ko) 다단계 처리 정화조
US2007022157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on and processing waste i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US7022237B2 (e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218058594U (zh) 一种集约式生物法污水处理设备
JPS608419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
CN115259370A (zh) 一种生物反硝化反应器及其应用
CN210595694U (zh) 光伏不锈钢废水总氮处理成套化设备
CN104860469B (zh) 炼油污水一体化组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8394996B (zh)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12076755U (zh) 一种连续处理工业废水的生化反应系统
CN201614320U (zh) 一种中心岛式一体化氧化沟
CN214115021U (zh) 一种工业废水处理的絮凝反应器
KR100350050B1 (ko) 질소, 인 제거를 위한 순환수로형 하폐수처리시스템
CN205953661U (zh) 一体化柱式高浓度有机废水处理器
KR100446107B1 (ko) 오·폐수처리용 미생물반응기
CN111115797A (zh) 分离装置、污水处理系统以及污水处理方法
CN215756921U (zh) 气升环流反应装置
CN215161952U (zh) 一种生物脱氮反应器
CN212198934U (zh) 一种废纸造纸废水处理装置
CN213895310U (zh) 一种废水处理的絮凝沉淀一体化装置
CN219709249U (zh) 一种厌缺氧生物澄清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