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869B1 -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869B1
KR0179869B1 KR1019960005957A KR19960005957A KR0179869B1 KR 0179869 B1 KR0179869 B1 KR 0179869B1 KR 1019960005957 A KR1019960005957 A KR 1019960005957A KR 19960005957 A KR19960005957 A KR 19960005957A KR 0179869 B1 KR0179869 B1 KR 017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il
output
dividing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409A (ko
Inventor
신철호
신형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0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869B1/ko
Publication of KR97006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로는 조작전압이 과전압이 되어 코일의 전연상태가 파괴되어도 이를 감지할 수 없어 전자접촉기가 파괴되거나 또는 오동작을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분압부와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분압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인력전압의 비율이 소정비율 이상 또는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 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한길인의 원쇼트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가 스위칭작용 하여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3분압수단과; 상기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제3분압수단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코일체크수단과; 상기 코일체크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분압부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결국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코일의 이상유무 및 과전류 상태를 파악하여 그에따른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전자접촉기가 안정되게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시도.
제3도는 정상상태에서와 각 부 출력 파형도.
제4도는 과전압 입력시의 각 부 출력 파형도.
제5도는 코일의 절연성 파괴시의 각 부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단자 110 : 정류부
120 : 정전압부 130 : 제1분압부
140 : 제2분압부 150 : 전압검출부
160 : 펄스발생부 170 : 발진부
180 : 오아논리부 190 : 전류검출부
200 : 코일체크부 SCR : 에스씨알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전압의 과전압, 코일의 절연파괴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따라 전자접촉기의 조작을 제어하게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대 적당 하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이를 정류하는 정류부(2)와; 상기 정류부(2)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3)와; 상기, 정류부(2)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분압부(4)와; 2개의 저항(Rl, R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압부(3)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분압부(5)와; 상기 제1분압부(4)와 제2분압부(5)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조작전압이 소정비율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에 따라 그에 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6)와; 상기 전압검출부(6)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자접촉기가 흡인되도록 원 쇼트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발생부(7)와; 전자접촉기가 흡인유지 되도록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8)와; 2개의 다이오드(D2, D3)로 이루어져 상기 펄스발생부(7)와 발진부(8)의 출력신호를 오아링하는 오아논리부(9)와; 상기 오아논리부(9)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전자접촉기의 코일(L)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회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입력단자(1)를 통해 인가되면 정류부(2)는 이를 정류하여 출력하고, 정전압부(3)는 그 정류부(2)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1분압부(4)는 상기 정류부(2)의 출력전압 소정전압으로 분압하여 전압검출부(6)에 인가하고, 저항(Rl, R2) 역시 상기 정전압부(3)의 출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여 전압검출부(6)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전압검출부(6)는 입력된 두 신호를 비교하여 조작전압이 85% 이상이면 '하이'신호를 발생하고 신호 발생 후, 30%이하에서는 '로우'신호를 발생 한다.
상기 전압검출부(6)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입력받은 펄스발생부(7)는 전자접촉기가 흡인되도록 원쇼트펄스 즉, 흡인신호를 발생하고, 발진부(8)는 전자접촉기가 흡인유지 되도록 유지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상기 펄스발생부(7)의 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과하고, 발진부(8)의 출력신호를 다이오드(D3)를 통과한다.
즉, 상기 펄스발생부(7)와 발진부(8)의 신호는 다이오드(D2,D3)에 의해 오아링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스위칭 작용을 하여 코일(L)의 통전 전류를 제어한다. 이때, 다이오드(Dl)는 트랜지스터(Q1)이 온/오프되면서 코일(L)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통전될 때, 코일(L)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흡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회로는 조작전압이 과전압이 되어 코일의 절연상태가 파괴되어도 이를 감지할 수 없어 전자접촉기가 파괴되거나 도는 오동작을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그에따라 코일의 이상유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전압 발생시에는 전자접촉기를 오프시켜 전자접촉기가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접속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는 입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분압수단과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분압수단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입력전압의 비율이 소정비율 이상 또는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한길이의 원쇼트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가 스위칭작용 하여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3분압수단과; 상기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제3분압수단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코일체크수단과; 상기 코일체크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분압부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이를 정류하는 정류부(110)와; 상기 정류부(11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20)와; 상기 정류부(11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분압부(130)와; 2개의 저항(Rl,R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압부(12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분압부(140)와; 상기 제1분압부(130)와 상기 제2분압부(140)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이 소정비율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에 따라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150)와; 상기 전압검출부(1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한길이를 갖는 원쇼트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부(150)와; 상기 펄스발생부(160)와 전압검출부(150)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170)와; 2개의 다이오드(D2,D3)로 이루어져 상기 펄스발생부(160)와 발진부(170)의 출력신호를 오아링하는 오아논리부(180)와; 상기 오아논리부(1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자접촉기의 코일(L)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위한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1)와; 저항(R3-R7)과 증폭기(OP1)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L)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검출부(190)와; 다이오드(D4)와 저항(R8-R11) 그리고 비꼬기(CP1)로 이루어져 상기 펄스발생부(16D)의 출력신호를 소정전압으로 분압한 신호와 상기 전류검출부(190)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코일체크부(200)와; 상기 코일체크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제1분압부(130)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에스씨알(SCR)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단자(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정류부(110)는 이를 정류하여 출력하고, 정전압부(120)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1분압부(130)는 상기 정류부(110)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기에 적당한 낮은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고, 저항(Rl, R2)은 상기 정전압부(120)의 출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분압부(130)와 제2분압부(140)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은 전압검출부(150)는 제3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전압이 소정비율(85%)이상이 되면 제3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압검출부(15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펄스발생부(150)는 제3도의 (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한길이의 원쇼트펄스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펄스발생부(160)의 출력펄스가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질 때, 발진부(170)는 발진을 시작하여 제3도의 (라)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펄스발생부(160)의 출력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하고, 상기 발진부(170)의 출력신호를 다이오드(D3)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로 인해 두 신호는 오아링되어 제3도의 (마)에 도시한 바와같은 신호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01)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고 이로인해 코일(L)에는 제3도의 (바)에 도시한 바와같은 전류가 흐른다.
상기 코일(L)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R3-R7) 및 증폭기(OPI)에 의해 제3도의 (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전압으로 비교기(CPI)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펄스발생부(160)의 출력신호는 다이오드(D4) 및 저항(R8-R11)을 통해 소정전압으로 분압되어 비교기(CPI)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제3도와 (사)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쇼트펄스 발생기간 동안은 전압(V2)이 인가되고, 평상시태는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리고 저항(R8-R10)값을 조정하여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증폭기(OPI)의 출력전압보다 크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CPI)는 두 입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데, 정상상태에서는 제3도의 (자)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CP1)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게이트단자에 입력 받는 에스씨알(SCR)은 턴온되지 뭇하여, 전압겋출부(150)에는 변화가 없다.
그러나 입력전압이 제4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과전압이 인가되면, 제4도의 (마) 및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01)의 베이스 및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는 같으나, 코일(L)에 흐르는 전류는 과전류가 되어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4도의 (다)에 도시한 바와같은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따라 비교기(CP1)는 입력된 ·두 신호를 비교하는데, 이때는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크기 때문에 제4도의 (라)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인해 에스씨알(SCR)이 턴온되어 제1분압부(130)에 의해 전압검출부(150)에 인가되는 분압전압은 접지레벨이 된다. 따라서 전압검출부(15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발진부(170)는 발진작용을 멈춘다.
이로인해 트랜지스터(01)의 베이스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코일(L)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전자접속기와 동작은 중지된다.
한편, 코일(L)의 절연성이 파괴되어도 코일(L)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는 제5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전원이 입력되어 제5도의 (마) 및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어도, 비교기(CPI)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5도의 (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과전압이 인가된다.
이에따라 비교기(CPI)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인해 에스씨알(SCR)은 턴온되어 전압검출부(150)에는 접지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전압겁출부(15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발진부(17)는 발진을 정지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로우'신호가 입력된다. 이에따라 코일(L)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자접촉기의 동작은 중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코일의 이상유무 및 과전류 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전자접촉기가 안정되게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분압수단과 정전압수단의 출력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분압수단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입력전압의 비율이 소정비율 이상 또는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한 길이의 원쇼트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가 스위칭작용 하여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에 비래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제3분압수단과; 상기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제3분압수단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코일체크수단과; 상기 코일체크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분압부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에스씨알(S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
KR1019960005957A 1996-03-07 1996-03-07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KR017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57A KR0179869B1 (ko) 1996-03-07 1996-03-07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57A KR0179869B1 (ko) 1996-03-07 1996-03-07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409A KR970067409A (ko) 1997-10-13
KR0179869B1 true KR0179869B1 (ko) 1999-05-15

Family

ID=1945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957A KR0179869B1 (ko) 1996-03-07 1996-03-07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41B1 (ko) * 1998-03-06 2008-08-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시스템의전자접촉기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41B1 (ko) * 1998-03-06 2008-08-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시스템의전자접촉기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40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4412B1 (en) Automatic voltage switching power source
US5789960A (en) Universal input circuit including opto-isolator and retrigger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KR920015680A (ko) 아크 방지 정전기 전원과 정전기 전원 동작 방법
EP2112515A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zero crossing and voltage amplitude from single pulse signal
US5375032A (en) Trip control device for circuit breaker
EP2451039A1 (en) Incorrect connection detecting device
KR0179869B1 (ko) 전자접촉기의 제어장치
JP2000232779A (ja) ダイオード不良検出装置
US4045732A (en) Device for sensing the operative status of electrical equipment
US5194728A (en) Circuit for detecting firing of an ultraviolet radiation detector tube
US20030020440A1 (en) Power supply circuit
KR102096482B1 (ko) 누설전류 검출용 반도체 집적회로 및 이 반도체 집적회로를 갖는 누전차단기
FI112991B (fi) Hakkurivirtalähdejärjestely
JP6931524B2 (ja) 断線検出装置
JPH05312896A (ja) Scrの導電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0146927B1 (ko) 전기보온밥솥
KR930004375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버터 보호회로
JPH06106020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ユレータ
KR940005929Y1 (ko) 전원장치의 역기전력 방지회로
JP2909998B2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30003742Y1 (ko)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KR890001157Y1 (ko) 3상 교류 전원의 상회전방향(phase sequence)검출장치
KR0119736Y1 (ko) 전원전압 선택회로
KR200201150Y1 (ko) 전자개폐기의 전원장치
JPH1020948A (ja) リダンダント型安定化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