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314B1 -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314B1
KR0178314B1 KR1019950051207A KR19950051207A KR0178314B1 KR 0178314 B1 KR0178314 B1 KR 0178314B1 KR 1019950051207 A KR1019950051207 A KR 1019950051207A KR 19950051207 A KR19950051207 A KR 19950051207A KR 0178314 B1 KR0178314 B1 KR 017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gnition
flame
burn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003A (ko
Inventor
성완용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5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314B1/ko
Publication of KR97004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5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오븐렌지의 사용할 때에 어떤이유로 가스의 불꽃이 소화되었을시에 이를 감지하여 이그나이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착화시키는 가스 오븐렌지의 점화 상태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브의 조작과 버너의 불꽃을 확인 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송되어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해당되는 함수값의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처리신호에 따라 가스를 공급시키고 공급된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스 오븐 렌지의 재점화 장치의 시스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 흐름도.
제3도는 종래의 가스 오븐 렌지에 사용되는 콕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 오븐 렌지의 재점화 장치 12 : 감지부
12a : 노브조작센서 12b : 불꽃센서
14 : 제어부 16 : 작동부
20 : 이그나이터 22 : MPU
본 발명은 가스 오븐렌지의 점화 상태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오븐렌지의 사용할 때에 어떤이유로 가스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여 이그나이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착화시키는 가스 오븐렌지의 점화 상태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가스 오븐렌지에 사용되는 콕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스기기에서 가스량을 조절하는 코크(30)는 가스량 조절방식에 의해 버튼식과 로타리식이 있고, 로타리식은 가스량 조절 기구를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캠식과 드럼식이 있다.
여기에서는 로타리식 코크중 캠식으로 저정되는 것을 일 예로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코크(30)의 작동은 노브(31)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노브(31)를 좌로 돌리면 캠(32)이 함께 회전하여 매인플런저(33)를 전진시켜서 엠피유(M.P.U)밸브(48)를 열어 외부에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통로(35)를 개통하고 조절플런저(34)를 후진시켜 가스조절 통로(36)(37)를 열게되는데, 노브(31)가 점화위치에 놓이면 상기 가스유입통로(35)와 가스조절 통로(36)(37)를 완전히 열리게 되고 점화장치에 의해 버너에 불꽃이 점화된다. 이때 버너에 위치한 열전대(45)는 열을 받아 기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엠피유밸브(48)과 연결된 + 선(46)과 고정판넬(P)과 연결된 그라운드선(47)으로 전도시켜 상기 엠피유밸브(48)의 열림상태를 유지케 한다. 그러나, 어떤이유로 버너의 불꽃이 꺼지면 상기 엠피유밸브(48)로 전도되는 기전력이 발생하지않아 가스유입통로(35)를 닫게한다.
따라서, 불꽃이 계속되는 동안 가스유입통로(35)가 열려있기 때문에 가스는 상기 가스유입통로(35)를 통하여 가스조절통로(36)(37)를 거쳐 버너로 공급된다. 만약, 불꽃을 중(中) 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노브를 오른 쪽으로 회전시키면 캠(32)이 회전하여 상기 조절플런저(34)를 전진시켜서 제1가스조절통로(36)를 막는다. 상기 조절플런저(34)의 내부에는 T형통로(38)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는 상기 통로(38)를 통해 제1가스조절통로(36)과 제2가스조절통로(37)를 통해 버너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노브의 점화위치에서 보다 적은 가스량이 공급되게 되며, 불꽃을 약(弱) 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노브를 오른 쪽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조절플런저(34)가 더욱 전진하여 제1가스조절통로(36)를 완전히 막아 가스는 제2가스조절통로(37)를 통해서만 버너로 유입된다. 따라서, 가스의 공급량은 상술한 경우중에 가장 적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경로를 통하여 가스 오븐 렌지의 버너의 불꽃이 조절되는 바,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가스콕크를 돌려서 엠피유(MPU)를 밀어 가스 유로를 열어 가스를 공급시키고, 이그나이터의 방전에 의해 점화시켜서 조리를 하게 되는 데, 외부의 어떤이유로 말미암아 오븐 버너의 불꽃이 꺼지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지 못하며, 또한 이를 감지한다 하더라도 이미 가스가 상당히 누출되어 있는 상태기 때문에 다시 점화하게 되면 폭발점화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공포를 안겨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오븐 렌지로 조리를 하는 동안에 외부 원인으로 가스 불꽃이 소화되면 이그나이터를 작동시키고, 버너의 불꽃이 작아지거나 커지면 가스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버너의 불꽃을 정상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오븐버너의 점화 상태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트북의 조작과 버너의 불꽃을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송되어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해당되는 함수값의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처리신호에 따라 가스를 공급시키고 공급된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가스 오픈버너의 점화상태 유지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하면 노브조작과 불꽃의 점화를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로 인가시키면, 제어부에서 외부전원을 MPU에 인가시켜 흡착시키고 이그나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감지부에서 버너의 불꽃이 착화되었는 지를 확인하여 확인 되면 MPU로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차단시키고,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 외부전원을 MPU에 전원을 인가하여 흡착시킨 후 이그나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며, 버너 불꽃이 감지되면 기준치와 비교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스 오븐 렌지의 재점화 장치(1)의 시스템 개략도로서, 그 구성은 감지부(12)와, 제어부(14) 그리고 작동부(16)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2)는 노브조작센서(12a)와 불꽃센서(12b)로 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조작센서(12a)는 노브(3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노브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불꽃센서(12b)는 버너(B)의 염공부위에 설치되어 있어 버너의 염공에서 피어오르는 불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감지부(12)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그 신호가 0이면 다시 재점화시키고, 0가 아니면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이에 해당되는 가스공급량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에 설명할 수순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작동부(16)은 제어부(14)로부터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가스 오븐 렌지의 불꽃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그나이터(20)와 엠피유(22)가 이에 해당된다.
상기 이그나이터(20)는 노브의 조작과 더불어 작동되며, 상기 엠피유(22)는 상기 제어부(14)에서 버너불꽃의 현상태와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결과로 작동되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동작흐름도로서, 상기 제어부(14)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은 노브(31)의 조작(스텝90)과 더불어 스위치 조작으로 외부전원이 엠피유(MPU)(22)로 인가(스텝91)되어 흡착시키고(스텝92), 아울러 이그나이터(2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스텝93)시켜가스에 불꽃을 점화(스텝94)시키는 점화과정과; 상기 점화과정에서 이그나이터(2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고 나서 가스에 불꽃이 착화되었는지를 판별(스텝 102)하는 착화 확인 과정과; 상기 화 확인 과정에서 착화가 확인되(스텝102에서 예)면 기준치와 비교(스텝104, 스텝106, 스텝, 108)하여 이에 해당되는 처리신호를 츨력하는 처리과정과; 상기 처리과정에서 처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스텝105, 스텝107)하는 작동과정과; 상기 작동과정에서 결정된 조리조건에 의해 작동하며 사용자의 의지에의해 노브를 조작(스텝109에서 예)하면 가스의 공급을 중단함과 아울러 가스불꽃을 소화(스텝110)하는 종료과정으로 이루어진 수순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착화확인과정에서 착화가 확인되지 않으면(스텝102에서 아니오), 써머커플(12b)에의해 전위차가 생기지 않게되므로 엠피유(22)를 흡착시키는 열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다시 외부전원을 엠피유(22)로 인가시켜 강제적으로 흡착시켜 (스텝 92)버너에 가스를 공급시키고 이그나이터를 작동(스텝93)스킴으로써 점화(스텝102)시킨다. 그 후에 상기한 루프 횟수를 확인하여 3회연속인 경우(스텝 100에서 예)에는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가스불꽃을 소화(스텝110)시켜 종료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스 오븐 렌지로 조리를 하는 동안에 외부 원인으로 가스 불꽃이 소화되면 이그나이터를 작동시키고, 버너의 불꽃이 작아지거나 커지면 가스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버너의 불꽃을 정상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에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노브의 조작과 버너의 불꽃을 확인 하는 감지부(12)와; 상기 감지부(12)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송되어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해당되는 함수값의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처리신호에 따라 가스를 공급시키고 공급된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는 작동부(16)로 구성된 가스 오븐버너의 점화상태 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노브(31)의 조작(스텝90)과 더불어 스위치 조작으로 외부전원이 엠피유(MPU)(22)로 인가(스텝91)되어 흡착시키고(스텝92), 아울러 이그나이터(2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스텝93)시켜 가스에 불꽃을 점화(스텝94)시키는 점화과정과; 상기 점화과정에서 이그나이터(2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고 나서 가스에 불꽃이 착화되었는지를 판별(스텝102)하는 착화 확인 과정과; 상기 착화 확인 과정에서 착화가 확인되(스텝102에서 예)면 기준치와 비교(스텝 104, 스텝106, 스텝,108)하여 이에 해당되는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처리과정과; 상기 처리과정에서 처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스텝105, 스텝107)하는 작동과정과; 상기 작동과정에서 결정된 조리조건에의해 작동하며 사용자의 의지에의해 노브를 조작(스텝109)에서 예)하면 가스의 공급을 중단함과 아울러 가스불꽃을 소화(스텝110)하는 종료과정으로 이루어진 수순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버너의 점화상태 유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확인과정에서 착화가 확인되지 않으면(스텝 102에서 아니오). 외부전원을 엠피유(22) 인가시켜 강제적으로 흡착시켜(스텝 92)버너에 가스를 공급시키고 이그나이터(스텝 93)시킴으로써 점화(스텝102)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버너의 점화상태 유지 장치.
KR1019950051207A 1995-12-18 1995-12-18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KR017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207A KR0178314B1 (ko) 1995-12-18 1995-12-18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207A KR0178314B1 (ko) 1995-12-18 1995-12-18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03A KR970047003A (ko) 1997-07-26
KR0178314B1 true KR0178314B1 (ko) 1999-03-20

Family

ID=1944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207A KR0178314B1 (ko) 1995-12-18 1995-12-18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96A (ko) * 2013-11-06 2015-05-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화력조절장치
KR20200042262A (ko) * 2018-10-15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96A (ko) * 2013-11-06 2015-05-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화력조절장치
KR20200042262A (ko) * 2018-10-15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03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900A (en) Gas oven control system
KR20030035819A (ko) 화력조절장치
US9476595B2 (en) Auto flame-out detection and reignition method for a gas burner of a cooktop appliance
US20050019716A1 (en) Control and security system for gas ovens
KR0178314B1 (ko)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상태 유지장치
TWI690678B (zh) 瓦斯爐系統及其控制方法
US20150037737A1 (en) System for gaseous fuel ignition for a cooking appliance
KR102523151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909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gas-powered cooking and frying device
CA3103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al control of a water heater appararus with a combustible gas burner
KR970047020A (ko) 가스기기의 재점화장치
KR100202105B1 (ko) 가스오븐렌지의 렌지버너 가스누설 경보방법
KR0170130B1 (ko) 가스렌지의 점화장치
KR20190065120A (ko) 곤로
KR102576074B1 (ko) 가스기기의 점화 제어장치 및 방법
JPH0975598A (ja) ガス乾燥機
KR100942873B1 (ko) 자동화 가스버너의 미세 화력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14805B1 (ko) 가스렌지
JPH08215039A (ja) ガラスセラミック調理面付き調理器具
JP2765802B2 (ja) 燃焼装置
KR0174900B1 (ko) 가스오븐렌지의 가스통로 자동 개폐방법
KR100432719B1 (ko) 탑버너의 열량제어 장치
KR100225623B1 (ko) 가스렌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6682Y1 (ko) 가스렌지의 음이온발생기
JP2023009946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