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029B1 -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029B1
KR0178029B1 KR1019910700059A KR910700059A KR0178029B1 KR 0178029 B1 KR0178029 B1 KR 0178029B1 KR 1019910700059 A KR1019910700059 A KR 1019910700059A KR 910700059 A KR910700059 A KR 910700059A KR 0178029 B1 KR0178029 B1 KR 0178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actosidase
composition
alpha
ingestion
galact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680A (ko
Inventor
이. 클리거맨 알렌
Original Assignee
벌릿트 리차드 에스.
블록 드럭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3851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80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벌릿트 리차드 에스., 블록 드럭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벌릿트 리차드 에스.
Publication of KR92070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2Alpha-galactosidase (3.2.1.2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7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e.g. cellulases, lact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Abstract

α-D-갈락토시드를 D-갈락토오즈로 가수분해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의 α-D-갈락토시다제 및 섭취 가능한 비독성의 , 상기한 α-갈락토시다제용 부형제를 포함하는 α-D-갈락토시드를 생체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포유동물-섭취용 조성물에 대해 나타내었다. α-D-갈락토시드를 포함하는 식품의 소화로 인한 포유동물의 위내 디스트레스(distress)는, α-D-갈락토시드를 D-갈락토오즈로 가수분해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의 D-칼락토시다제 및 섭취 가능한 비독성의, 상기한 α-갈락토시다제용 부형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식품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특정 식품의 소화작용을 개선시키는 방법, 및 상기 식품과 관련된 위장 장애 및 기타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로 인한 포유동물의 위장내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포유동물의 특정 식품을 섭취하면 고창(鼓脹) 및/또는 기타 위장내 증상이 유발된다. 고창 현상을 매우 심하게 유발시키는 특정 식품에는 우유 및 유제품, 콩류(예: 땅콩 및 대두), 겨자과 야채류[예: 양배추 및 싹 양배추(brussels sprouts)] 및 특정 과일류(예: 건포도, 바나나 및 살구)가 있다[참조: Rackis, J.J., Flatulence Caused by Soya and Its Control through Processing, JADCS, p503(1981)]. 상술한 식품으로 인한 고창 현상의 일차적인 원인은 신체가 상기 식품내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한 탄수화물을 소화해내지 못하는데 있다. 포유동물이 이러한 탄수화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탄수화물은 대장내의 부패성 박테리아에 의한 발효에 의해 분해된다. 이로 말미암아, 주로 이산화탄소, 메탄 및 수소로 이루어진, 과량의 직장 가스가 형성된다.
포유동물의 특정 탄수화물에 대한 소화능력 여부는, 소화계내 특정 효소의 존재 여부, 및 소화될 탄수화물의 형태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인체가 탄수화물, 즉 락토오즈(이는 통상적으로 유당이라고 한다)를 소화시킬 수 있는 특정 효소를 분비할 수 있는 능력은, 예를 들어, 연령, 인종 및 건강과 같은 다수의 요인에 의존한다. β-D-갈락토사이드-갈락토하이드롤라제(이는 통상적으로 β-갈락토시다제 또는 락타아제라고 한다)는, 락토오즈를 소화가능한 이의 단당류, 글루코오즈 및 갈락토오즈로 가수분해시키기 위해, 인체의 소화계내에서 분비된다. β-갈락토시다제가 락토오즈를 가수분해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생체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미생물성 β-갈락토시다제를 경구투여하거나 우유를 시험관내에서 처리하면, 내장벽상에서 발견되는,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중성의 장내 β-갈락토시다제(이는 장내 락토오즈로서 공지되어 있다)의 작용에 배가된다.
락타이드 인코포레이티드(Lactaid Inc.; Pleasantville, New Jersey)는 대략 1974년 이래로 우유의 시험관내 및 생체내 처리를 위한 β-갈락토시다제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해 왔다. 우유를 β-갈락토시다제로 시험관내 처리하려던 시도는 일반 가정의 소비자들에 의해 최초로 수행되었다. 약 10년 전에, 다이어리 인더스트리(Diary Industry)에 의해 우유가 시판규모로 시험관내 처리된바 있다. 대략 1984년 이래로, β-갈락토시다제 제제가 생체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락타이드 인코포레이티드를 포함한 다수의 회사에 의해 상당한 규모로 시판되어 왔다.
β-갈락토시다제가 생체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소화가능한 형태로 개발된 것을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닌데, 이는 섭취된 효소가 인체의 소화계내에 존재하는 β-갈락토시다제를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배가시키기 때문이다. 우선적인 관심사는, pH 값을 변화시키는 β-갈락토시다제 원의 섭취 형태가 인체의 위 및/또는 장내에서 효과적으로 작용되는지의 여부이다. 특정 투여량의 β-갈락토시다제 제제를 경구 투여함으로써 천연 형태의 상기 효소가 결핍된 인체의 위 및 소장내에 섭취된 락토오즈를 실제로 소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미생물 원으로부터 수득한 효소중의 최소한 일부만이라도 위장관내에서 발견되는 산도, 단백질 소화력, 온도 또는 자생력 조건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우유 및 유제품 락토오즈는, 포유 동물의 생존기간의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은 모든 포유동물에 의해 필수적으로 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콩류 및 특정 과일류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 당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가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한 고창유발 콩류, 채소류 및 과일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즉 라피노제(raffinose), 스타키오제(stachyose) 및 베르바스코제(verbascose)를 함유한다. 상기한 세가지 올리고당 분자 모두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α-갈락토사이드 결합을 통해 다른 당 단위체에 결합된 D-갈락토오즈 당이다. α-D-갈락토사이드-갈락토하이드롤제(이는 통상적으로 α-갈락토시다제라고 한다)류의 효소는 상기한 α-갈락토사이드 당 결합을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D-갈락토오즈는 장세포에 의해 인체로 흡수된 후 글루코오즈로 전환될 수 있는 단당류이다. 사람 및 기타 포유동물은, 이들의 소화계가 α-갈락토시다제를 생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D-갈락토오즈를 방출하는 상기의 세가지 올리고당을 소화시킬 수 없다.
상기한 올리고당을 소화시키는 α-갈락토시다제의 시험관내 용도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66,555호, 제4,241,185호 및 제4,431,737호에는, 미생물을 배양시킴으로써 α-갈락토시다제르 생성시키고/시키거나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한 모든 특허 문헌에서 α-D-갈락토시다제를 식품 가공시에 시험관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12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식품에 가함으로써 시험관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α-D-갈락토사이드 결합된 당류를 시험관내에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또한, α-갈락토시다제의 첨가와 함께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시험관내에서 가수분해시키기 위한 산업상 식품의 가공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널리 공지되어 있다[참조: Cruz, R et al., Microbial alpha-Galactosidase for Soy Milk Processing, 45 Journal of Food Science 1196-1200(1981)]. 또한, 침지, 발효, 효소작용 가수분해 및 발아 공정을 사용하여, 올리고당을 제거하거나 소화시킬 수 있다. 사람 및 래트를 이용한 시험 결과는 상기한 시험관내 방법을 조합 이용하여 고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참조: Rackis, J.J. 의 상기한 바 있는 문헌]. 또한 선행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업적인 가공시 자주 사용되는 기술[즉, 캐닝(canning)]이 전분 및 콩류의 시험관내 가수분해 속도를 증가시킨다[참조: Traianedes, et al., Commercial Canning Increases the Digestibility of Beans in Vitro and Postoprandial Metabolic Response to Them in Vivo,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4; Sept. 1986, pp 390-397].
상기한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이들을 섭취하는 포유동물의 곤란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효소 α-갈락토시다제와 함께 함유하는 식품을 시험관내에서 가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무상의(침연시키거나 츄잉시키지 않은) 대두 또는 기타 채소류 및 과일류를 효소적 수단에 의해 처리하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상기한 식품의 고체 상태는 효소의 효율적이고 균일하며 효과적인 활성을 억제한다. 고체 식품을 보다 효과적인 효소 처리를 위해 우선 슬러리로 전환시킬 수는 있으나, 식품이 그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시간 소모적이며 종종 식욕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대해, 라피노제, 스타키오제 및 베아바스코제를 생체 내에서 소화시키는데 효과적인 α-갈락토시다제를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양태를 제안하거나 시도한바는 전혀 없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생체내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가수분해시키기 위해, 유효량의 α-갈락토시다제 및 섭취가능한 무독성 부형제(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 조성물은 α-갈락토시다제에 대한 강화제(potentiating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식품내에 함유된 올리고당의 발효로 인한 포유동물의 고창 및/또는 기타 신체의 위장 증상은 상기 식품과 함께 α-갈락토시다제 효소를 (경구적으로) 섭취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상당한 감소 또는 제거 정도는 위내에서의 수소 생성, 언듯 보기에 소화 불량의 객관적 증거인 식후 고조(post-meal upsurge)현상으로서 객관적으로 측정된다. α-갈락토시다제 함유 조성물은 식품의 섭취 직전, 섭취 도중 또는 섭취 직후에 다양한 형태로 단독으로 또는 식품과 혼합된 상태로 경구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α-갈락토시다제를 생체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이 조성물은 α-D-갈락토시다제를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기 약 15분전 내지 약 15분 후에 섭취해야 하는데, 이상적으로는 조성물을 식사 전 및/또는 도중에 즉시 섭취해야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대상체의 호흡시의 H2농도 변화를 3세트의 시험에 걸쳐 나타낸 그래프로, 각각의 세트는 시험 시간의 함수로서 3회의 시험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 시험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α-갈락토시다제와 무독성 부형제(들)를 포함하는 조성물(섭취가능한 조성물)은 광범위한 형태의 제형으로 섭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식품상에 살포하거나 그 안에 혼입시킴으로써 배합하기 위한 산제, 또는 액제, 정제, 캡슐제 또는 연성-겔의 캡슐제 형태이다. α-갈락토시다제의 식품 등급은 노보 인더스트리 에이/에스(Novo Industri A/S; Novo Alle, 2880, Bogvaerd, Denmark, U.S. offices in Danbury, Connecticut)로부터 액제 또는 산제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α-갈락토시다제는 일반적으로 분말화된 형태로 제공되며, 역시 분말화된 형태인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혼합되어 고체 형태의 섭취가능한 조성물(예: 정제, 캡슐제 및 산제)을 형성할 수 있다. 농축된(고순도) 액체 α-갈락토시다제는 섭취가능한 분말화된 조성물로 제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α-갈락토시다제의 액체 형태는 무수 분말 부형제(들)에 의해 흡수 및/또는 흡착되고, 희석되며 정제 또는 캡슐제 예비 혼합물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α-갈락토시다제의 액체 형태는 연성-겔의 캡슐제 형태로 경구 섭취하거나, 점적 투여하거나 병에서 따라 내어 스푼으로 투여하거나, 식품상에 점적시키거나 식품과 혼합시킴으로써 섭취 직전에 식품에 직접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액체는 기타 적합한 희석액 또는 부형제로 희석시킨다. 희석도는 목적하는 용도에 좌우되며, 액체겔 캡슐제용으로는 극미한 정도로 희석시키고, 식품에 직접 가할 경우에는 상당한 정도로 희석시킬 필요가 있다.
식용 α-갈락토시다제와 혼합시켜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형성시킬 수 있는 무수 성분의 대표적인 예에는 덱스트로오즈, 인산이칼슘, 미정질 셀룰로오즈, 변형 셀룰로오즈 및 변형 전분이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액체 부형제의 대표적인 예에는 물,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이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부형제는 정상 상품 공급원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이들 부형제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은, 효소 α-갈락토시다제의 섭취가능한 무독성 담체로서의 작용 이외에, 무수 사용시 이들이 구미에 맞는지, 캡슐로 쉽게 유동될 수 있는지 및/또는 우수한 정제 압축성과, 액제 사용시의 혼화성, 안정화 특성 및 맛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액체 형태의 α-갈락토시다제는 ml당 α-갈락토시다제 단위(GalU)가 약 290이다. 이들 효소에 대해 표준화된 중량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GalU는 본 명세서를 통해 사용되는 α-갈락토시다제의 단독 단위 또는 표준 농도이다. 순수한 효소는 상업적 생산시의 정제 한계 때문에 비실용적이다. 1GalU는, 37℃에서 pH4.5의 표준 시험조건하에서 1분 동안, p-니트로페닐 α-D-갈락토시다제로부터 p-니트로페놀과 갈락토오즈 1μmol을 형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α-갈락토시다제의 양이다.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것 외에도 기타의 부형제(이것이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경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취가능한 조성물이 정제 형태인 경우, 일반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이 부수적인 첨가제로서 필요하며, 이는 정제 스탬핑(stamping) 과정에서 윤활제로서 작용한다. 상기한 임의 형태용으로 바람직한 조성물은 다양한 부형제를 함유한다.
α-갈락토시다제 870GalU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식품을 제조하는, 고창성 식품의 평균 식사당 투여량은 대부분의 사람에 대해 어느정도 효과적이나, 주변적 고창/증상에 대해서는 충분할 수도 있다. 식사당 31,000GalU 이상의 양은 일반적으로 과다한 양이나 가스 생성을 많이 하는 대상자에게는 필요한 양일 수도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은 가능한 희귀성 알러지를 제외하고는 생리학적으로 무해하다.
생체내에서 실질적으로 α-D-갈락토시다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와 동시에, 무독성의 섭취가능한 부형제 중의 유효량의 α-갈락토시다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섭취하면, 이들 올리고당은 생체내에서 가장 간단하게 흡수 가능한 성분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다. 조성물을 함유하는 α-갈락토시다제를 섭취하는 시간대는 바람직하게는 α-D-갈락토시다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기 약 15분전 내지 약 15분 후이다. 효과적으로 효소가 위내에서 섭취된 음식물과 혼합되고, 이 효소가 식품과 거의 동시에 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식품을 섭취하는 시간으로부터 α-갈락토시다제를 섭취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효능이 다소 감소됨을 예견할 수 있다. α-갈락토시다제 함유 조성물을 섭취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시간대는 α-D-갈락토시다제-결함된 당-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시간이다.
효소는 정제, 연성-겔 캡슐제 또는 섭취가능한 형태로 유사하게 제형화된 환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액체도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진탕기(salt-shaker)내 테이블상에서 충전 또는 유지되는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분말화된 형태는 식품상에 살포시킬 수 있거나, 병으로부터 투여되는 액체 형태는 식품을 섭취하면서 경구적으로 쉽게 투여할 수 있거나, 섭취 직전에 식품과 혼합할 수 이다. 이와 같이 섭취 직전에 식품과 혼합하는 것은 시험관내 용도는 아니며, 생체내 전환용도이며, 여기서 직전이라는 용어는, 효소가 시험관내에서가 아니라 생체내에서 활성이기 때문에 임의의 고체 식품에 있어서 테이블상의 접시내에 있는 시점부터 혼합되기 전의 몇시간까지의 임의 시간을 의미한다.
경구 투여는 효소를 소화계에 공급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위 또는 소장에 연결된 튜브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포유동물에 적함하고 용도가 인간에게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한 후의 곤란 증상을 경험하고 고창과 함께 유독한 가스를 방출하는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에게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특정하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실험 실시예]
가스를 형성시키는 식품의 발효로 인한 포유동물의 위장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α-갈락토시다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의 효과면에서의 평가를 정량적으로 하기 위해 α-갈락토시다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의 효과면에서의 평가를 정량적으로 하기 위해, 사람에 대해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다.
실험 초기에 각각의 시험에는 무가당 커피와 함께 2회 튀겨서 분쇄한 검은 콩 230g의 규정식이 포함된다. 요리된 콩의 이러한 양은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올리고당 약 5g을 함유하는 양으로 평가된다. 규정식을 섭취한 3인의 대상자에 대해 배출 가스의 샘플을 0-시간(실험 시작시)부터 30분 간격으로 총 8시간에 걸쳐 16회 수집한다. 4시간 후에, 대상자에 락토오즈-가수분해된 우유로 제조한 라이스 푸딩(rice pudding)을 공급하며, 이 라이스 전분 및 락토오즈-가수분해된 우유는 무시할 수 있는 수소 기체(H2) 시그날을 생성시킨다. 8시간 동안 대상자가 경험한 증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이 경험한 증상을 기록하고 표를 작성한다. 대상자에게 효소 제제의 섭취 및 이의 목적을 인지시킨다. 표 1은 보고된 증상을 나타낸다.
작성된 표의 대상자(A, B, 및 C로 나타냄) 각각에 대해 총 9회의 시험을 실시한다. 1회 식사당 효소 제제의 용적이 0, 3ml 및 10ml인 경우에 대해 각각 동일한 시험을 3회 수행한다. 3회 시험중 첫 번째 세트는 규정식만을 섭취한 경우이다. 3회 시험중 두 번째 세트는 규정식과 동시에 액체 효소 제제 3ml(870GalU)를 섭취한 경우이다. 3회 시험중 세 번째 세트는 규정식과 동시에 액체 α-갈락토시다제 제제 10ml(2900GalU)를 섭취한 경우이다. 효소를 분쇄하여 콩과 함께 섭취한다. 모든 경우에, 효소는 소모되기 직전에 음식과 혼합되어야 한다.
제1도에서 3개의 각각의 곡선은 각 대상자에 대해 수집한 데이터이고, 8시간의 시험 기간 동안에 이 대상자의 호흡시 H2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데이터의 점은 0-시간 H2눈금에 비하여 콩식품을 섭취한 후 각 30분 동안의 호흡시 H2농도의 평균치(즉, 실제의 평균 H2눈금에서 0-시간의 H2눈금을 뺀 값)를 나타내고, 가로축에 나타낸다. 각각의 곡선은 각각의 세트에 대해 3회의 시험을 8시간의 시험기간 동안 수행하는 과정에서 H2농도의 평균 변화를 나타낸다.
대상자가 효소 제제중 하나를 섭취했을 때 H2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대상자가 효소를 섭취하지 않았을때 H2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보다 일반적으로 낮다. 대략 처음의 5시간이 음식이 입으로부터 H2가 생성되는 보다 낮은 위치의 장기로 이동하는 시간이라 생각되므로, 모든 대상자의 모든 시험에 있어서 충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최종 관찰 시간 동안 방출된 수소의 증가는 보다 낮은 위치의 장기에서 탄수화물의 발효로 인한 가스의 형성으로 인한 것이다.
표 1은 대상자의 호흡중에서 H2농도의 변화량(0-시간 눈금에 비해)의 누적합계를 대상자가 규정식과 함께 섭취한 효소 제제의 양(대략적인 적분치 또는 곡선 아래의 면적)의 함수로 나타낸다. ABC 열은 모든 대상자에 대해 수집한 데이터이다. 열 A, B 및 C는 각각 대상자 A, B 및 C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모든 대상자에 대해 누적 변화량의 평균치를 ABC 열에 나타내는데, 이 값은 각각 콩을 단독으로 섭취하였을 때 생성된 H2127ppm; 효소 제제 3ml(870GalU)와 함께 콩을 섭취하였을 때 생성된 H277ppm; 및 효소 제제 10ml(2900GalU)와 함께 콩을 섭취하였을 때 생성된 H239ppm이다.
A, B 및 C 열은 대상자 각각에 대한 시험 세트이다. 상기 결과는, 규정식과 함께 섭취된 효소 제제는 가수분해되지 않은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의 형성으로 생성된 기체의 양을 저하시킴을 나타낸다. 18가지 경우중 효소 제제가 규정식과 함께 섭취된 14가지 경우에서, H2농도는 효소 제제 없는 식사를 하였을 때 나타나는 농도 범위 이하이다. 이 데이터는 유효량의 효소 제제가 소화관내에서 가수분해되지 않은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과 관련된 H2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개별적인 증상에 대한 효소 섭취의 효과가 또한 인상적이다(표 2). 규정식 만을 섭취하였을 경우, 9회의 경우중 6회에 걸쳐 개별적인 증상을 경험한다. 규정식과 함께 효소 제제 10ml(2900GalU)를 섭취하였을때 나타나는 증상은 없다.
3ml의 용량의 경우, 효소 제제의 맛을 감지할 수 없다. 10ml(2900GalU) 용량의 경우, 짠 맛이 난다. 그러므로, 맛이 보다 악화될지라도 효소의 실용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보다 정제된 형태의 효소를 수득할수록, 맛에 대한 반대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정제, 캡슐제, 액제 또는 음식과 혼합된 상태의 제형에서, 어떠한 경우에 불쾌한 맛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조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제는 중량이 약 450㎎(이 크기는 실험치일 뿐이고 달리 제한되지는 않으며, 정제 또는 캡슐제는 약간 크거나 작을 수 있다)이고 효소의 특정 벳치의 표준 농도에 좌우되며 α-갈락토시다제 870GalU를 함유한다. 이 경우, 식용 α-갈락토시다제를 노보 인더스트리 에이/에스.에서 액체 형태로 입수한다. 효소가 870GalU로 존재한다면, 통상적으로 다음 부형제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다음 비율은 단순히 예일 뿐이고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과량의 효소가 존재함으로써 보다 큰 정제 또는 캡슐제를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부형제는 예를 들어 덱스트로즈(벌크제)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경우에 따라 하향(또는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은 효소 α-갈락토시다제의 섭취시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정제 스탬핑 공정에서 윤활제로서만 작용한다.
또한, 특정 강화제가 이용가능한데, 이를 사용함으로써, 효소의 요건을 감소시키며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며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제의 예로는 아라바나제, 셀룰라제 및 크실라나제를 포함하는 카보하이드라제의 혼합물이다. 이는 덴버리 켄넥티컷트 소재의 노보 래보러토리즈가 비스코자임(Viscozyme) 120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하고 있다. 라피노제 및 스타키오제를 제거하는 실험에서, α-갈락토시다제 및 비스코자임 120L이 둘 모두 pH 4.5에서 최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콩 식품(90% 무수 고체상태)을 가한 경우, 비스코자임 120L에 대한 α-갈락토시다제의 이상적인 비율(중량/중량% 기준)은 0.19% α-갈락토시다제/1.5% 비스코자임 120L 내지 1.0% α-갈락토시다제/1.5% 비스코자임 120L의 범위이 다.
본 발명은, 발명의 취지 또는 필수적인 사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타의 특정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를 나타내는 상기 명세서보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참조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α-D-갈락토사이드를 D-갈락토오즈로 가수분해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α-갈락토시다제 및 이러한 α-갈락토시다제용으로서 섭취가능한 무독성 부형제를 포함하는, α-D-갈락토시다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섭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α-갈락토시다제가 약 675 내지 2250GalU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식품과 혼합시키기 위한 산제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액제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연성-겔 캡슐제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
  7. α-D-갈락토사이드를 D-갈락토오즈로 가수분해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α-갈락토시다제와 이러한 α-갈락토시다제용으로서 섭취가능한 무독성 부형제의 조성물을,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과 함께 섭취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α-D-갈락토사이드-결합된 당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로 인한, 사람을 제외한 포유동물의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α-갈락토시다제가, α-D-갈락토사이드 함유 식품을 섭취하기 약 15분 전 내지 섭취한 후 15분에 걸쳐 섭취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통의 고창유발성 식품에 대해 약 675 내지 31,000GalU의 양을 생성시키도록 투여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식품과 혼합된 산제 형태로 섭취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정제 형태로 섭취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액제 형태로 섭취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연성-겔 캡슐제 형태로 섭취되는 방법.
KR1019910700059A 1989-05-16 1990-05-10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0178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244189A 1989-05-16 1989-05-16
US352,441 1989-05-16
US352441 1989-05-16
PCT/US1990/002643 WO1990014101A1 (en) 1989-05-16 1990-05-10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gastro-intestinal distress due to alpha-d-galactoside-linked/containing sug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680A KR920700680A (ko) 1992-08-10
KR0178029B1 true KR0178029B1 (ko) 1999-03-20

Family

ID=2338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059A KR0178029B1 (ko) 1989-05-16 1990-05-10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5989544A (ko)
EP (1) EP0472588B2 (ko)
JP (1) JPH0725695B2 (ko)
KR (1) KR0178029B1 (ko)
AT (1) ATE135165T1 (ko)
AU (1) AU629941B2 (ko)
CA (2) CA2055506C (ko)
DE (1) DE69025933T3 (ko)
DK (1) DK0472588T4 (ko)
ES (1) ES2084696T5 (ko)
FI (1) FI915402A0 (ko)
GR (1) GR1000903B (ko)
IE (1) IE81156B1 (ko)
NZ (1) NZ233582A (ko)
PE (1) PE2591A1 (ko)
WO (1) WO1990014101A1 (ko)
ZA (1) ZA903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6003A (en) * 1994-02-10 1995-07-25 Triarco Industries, Inc. Method of alleviating gastrointestinal distress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beta-fructofuransidase, cellulase and hemi-cellulase
US6099844A (en) * 1994-08-22 2000-08-08 Triarco Industries, Inc. Increasing yield of extractable substances from botanicals with an enzyme composition
AU7210396A (en) * 1995-10-10 1997-04-30 Novo Nordisk A/S Method of improving lipid digestion
EP0970614B1 (en) * 1998-06-24 2003-06-11 SRAUM di Ezio Bartocci e C. S.a.s. A cereal-based food, particularly for human consumption
IL125423A (en) * 1998-07-20 2004-08-31 Israel State Alkaline alpha-galactosidase having broad substrate specificity
US20060198934A1 (en) * 2005-03-01 2006-09-07 Ronald S.O. Zane Process for removing flatulence-associated oligosaccharides in legumes
CN101668518B (zh) * 2007-02-14 2014-05-07 尼尔·A·所罗门 乳糖酶制剂
MX2010012479A (es) * 2010-11-16 2012-05-16 Posi Visionary Solutions Llp Composicion farmaceutica de administracion oral para el tratamiento del sindrome de intestino irritable, a base de un modificador de la motilidad intestinal, un agente que previene la retencion de gases y enzimas digestivas y proceso para su preparacion.
ITMI20111154A1 (it) * 2011-06-24 2012-12-25 Promefarm Srl Composizioni farmaceutiche o nutrizionali comprendenti galattosidasi e loro uso
WO2013049731A1 (en) * 2011-09-30 2013-04-04 Stomavite Llc A supplement for ostomy patients
US9402885B2 (en) 2013-07-15 2016-08-02 Alfa Wassermann S.P.A. Method of treating GERD with alpha and beta galactosidases
CN109153981A (zh) * 2016-05-24 2019-01-04 诺维信公司 具有α-半乳糖苷酶活性的多肽以及编码其的多核苷酸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8583A (en) * 1961-04-25 1965-10-27 Olin Mathieson Controlled release medicaments
US3493652A (en) * 1962-09-14 1970-02-03 Charles W Hartman Controlled release medicament
US3479122A (en) 1967-04-05 1969-11-18 Takaji Funahashi Writing instrument
US3632346A (en) * 1968-04-30 1972-01-04 Rohm & Haas Process for rendering innocuous flatulence-producing saccharides
JPS4826978A (ko) * 1971-08-12 1973-04-09
US3846239A (en) * 1972-07-24 1974-11-05 Monsanto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resistant alpha-galactosidase enzyme
US3795585A (en) * 1972-08-31 1974-03-05 Agency Ind Science Techn Method for manufacture of alpha-galactosidase
CH585793A5 (ko) * 1974-02-01 1977-03-15 Nestle Sa
GB1446965A (en) * 1974-02-14 1976-08-18 Agricultural Vegetable Prod Preparation of food products
JPS5344556B2 (ko) * 1974-03-18 1978-11-29
JPS5322158B2 (ko) * 1974-05-02 1978-07-06
US4241185A (en) * 1979-02-23 1980-12-23 The Great Western Sugar Company Method of stabilizing α-galactosidase
IT1130242B (it) * 1980-02-01 1986-06-11 Ani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ell'enzima alfa-galattosidasi e per l'idrolisi del raffinosio mediante l'impiego dell'enzima stesso
US4376127A (en) * 1981-01-23 1983-03-08 Lunde Kenneth E Process for deflatulating and improving the digestibility of legumes
JPS5843075B2 (ja) 1981-03-03 1983-09-24 株式会社 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D−ガラクトシダ−ゼの製造方法
JPS5843075A (ja) * 1981-09-09 1983-03-12 Canon Inc 印字装置付電子機器
DE3273744D1 (en) 1981-11-30 1986-11-20 Navarro Josep Ramisa Atomized-water dispersing apparatus
IT1140312B (it) 1981-12-03 1986-09-24 Ani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alfa-galattosidasi e impieghi dell'enzima cosi' ottenuto
US4861718A (en) * 1984-09-29 1989-08-29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Gene coding for thermostable beta-galactosidase, bacillus subtilis having the gene, enzyme coded by the gen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DK80588A (da) 1987-02-23 1988-08-24 Suomen Sokeri Oy Fjerkrae-foder, fodringsmetode og fremgangsmaade til forbedring af fordoejeligheden af fjerkrae-foder
FR2611778B1 (fr) * 1987-02-26 1992-04-24 Paris Ouest Entreprise Plancher a collaboration bois-beton
FI78814C (fi) 1987-03-30 1989-10-10 Cultor Oy Nollfiber innehaollande foderraoaemne och foder samt foerfarande foer deras framstaellning.
US5179023A (en) 1989-03-24 1993-01-12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Recombinant α-galactosidase a therapy for Fabry disease
WO1990011353A1 (en) * 1989-03-24 1990-10-04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Recombinant alpha-galactosidase, a therapy for fabry disease
FR2647638A1 (fr) * 1989-05-30 1990-12-07 Euretec Gie Composition alimentaire contenant un enzyme
US5436003A (en) 1994-02-10 1995-07-25 Triarco Industries, Inc. Method of alleviating gastrointestinal distress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beta-fructofuransidase, cellulase and hemi-cellul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5402A0 (fi) 1991-11-15
DK0472588T3 (da) 1996-04-01
PE2591A1 (es) 1991-02-05
US20020106366A1 (en) 2002-08-08
DE69025933T2 (de) 1996-09-05
JPH05500043A (ja) 1993-01-14
ZA903749B (en) 1991-08-28
US5989544A (en) 1999-11-23
GR1000903B (el) 1993-03-16
ATE135165T1 (de) 1996-03-15
WO1990014101A1 (en) 1990-11-29
US6344196B1 (en) 2002-02-05
CA2329486C (en) 2004-11-02
DE69025933T3 (de) 2002-09-05
CA2055506C (en) 2001-02-13
NZ233582A (en) 1992-05-26
GR900100374A (en) 1991-10-10
IE901742L (en) 1990-11-16
JPH0725695B2 (ja) 1995-03-22
KR920700680A (ko) 1992-08-10
DK0472588T4 (da) 2002-02-18
CA2055506A1 (en) 1990-11-17
CA2329486A1 (en) 1990-11-17
IE81156B1 (en) 2000-05-03
EP0472588B1 (en) 1996-03-13
EP0472588A1 (en) 1992-03-04
ES2084696T5 (es) 2002-08-16
ES2084696T3 (es) 1996-05-16
AU629941B2 (en) 1992-10-15
DE69025933D1 (de) 1996-04-18
EP0472588B2 (en) 2002-01-02
EP0472588A4 (en) 1992-05-06
AU5640690A (en) 199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1221B2 (en) Use of lactoperoxidase, a peroxide donor and thiocyanat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US7354606B2 (en)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inhibitors
US8247008B2 (en) Digestive/laxative compositions
JP2006298917A (ja) 肝機能の改善、血中アルコールの減少及び抗酸化に有効な組成物
KR20190015718A (ko) 프로바이오틱스 및 소화 효소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78029B1 (ko) α-D-갈락토사이드와 결합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당으로 인한 위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070020249A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ement of symptoms of gastrointestinal distress
US10159721B2 (en) Enzyme formulation for use as food supplement
US6488969B1 (en) Method for reducing blood ammonia concentration
US7235390B2 (en) Nutrient absorption enhan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Manville et al. The use of apple powder in the treatment of diarrhoeal conditions and its rationale
Taylor et al. The Wonder of Probiotics: A 30-day Plan to Boost Energy, Enhance Weight Loss, Heal GI Problems, Prevent Disease, and Slow Aging
EP2493489A1 (en) Method for treating acidosis in ruminants
CA3230687A1 (en) Fungal enzyme mixtures and uses thereof
US20020197342A1 (en) Method of wound healing
JP2000300211A (ja) 乳酸菌代謝生産物質配合健康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