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570B1 -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570B1
KR0177570B1 KR1019960013157A KR19960013157A KR0177570B1 KR 0177570 B1 KR0177570 B1 KR 0177570B1 KR 1019960013157 A KR1019960013157 A KR 1019960013157A KR 19960013157 A KR19960013157 A KR 19960013157A KR 0177570 B1 KR0177570 B1 KR 017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water
water
heat exchanger
absorb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955A (ko
Inventor
시게루 요시무라
도시히로 사또
Original Assignee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133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7466B2/ja
Application filed by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또 스스무
Publication of KR96004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목적]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신속하게 검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보전성이 우수한 흡수식 냉동사이클 장치의 제공.
[구성] 제어장치(9)는 냉방운전중에 로레벨스위치(811)가 '오프'상태로 되면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수돗물)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를 개방하여 냉각수(340)를 보충하고, 소정시간(예, 18분)이 경과하여도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키고, 흡수액 펌프(6) 및 냉각수용 전동펌프(82)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실시예 1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3도는 실시예 2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흡수식 냉난방방치(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1 : 고온재생기(재생기) 2 : 저온재생기(재생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흡수기 6 : 흡수액 펌프
8 : 냉각탑 9 : 제어장치(운전제어기)
11 : 가스버너(가열원) 12 : 가열실
31 : 응축용 열교환기 34 : 흡수용 열교환기
81 : 냉각수 저장조 82 : 냉각수용 전동펌프(냉각수 펌프)
120 : 온도센서 340 : 냉각수
811 : 로(Lo)레벨스위치(수위검출장치)
812 : 하이(Hi)레벨스위치(수위검출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흡수액을 이용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탈(脫)프레온 대책으로서,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흡수액을 기화시키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흡수기에서 가열실로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흡수용 열교환기 및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소정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가열원, 흡수액 펌프, 급수수단 및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가 급수수단을 작동시키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를 발명자들이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상기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에서는,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될 때에,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매체(물 등)에서 열을 빼앗아 열매체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된 열매체를 실내공기나 단열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거나 단열실내를 냉장시킬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는, 재생기의 이상승온(異常昇溫)이 검지되면,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서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 등에 의하여 냉각수량이 점차 줄어드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재생기가 이상승온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상발생의 발견이 늦어진다는 개량되어야할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신속하게 검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보전성이 우수한 흡수식 냉동 사이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1)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소정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2)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상기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고,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3)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상기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고,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고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작용]
[청구범위 제1항에 대하여]
재생기의 가열실이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면, 흡수액중의 냉매가 기화되어 농축 흡수액과 냉내로 분리된다.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에 의해서, 응축기는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내를 냉각하여 액화시킨다.
증발기는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킨다.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에 의해서, 흡수기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킨다.
흡수액 펌프는 흡수기에서 가열실로 흡수액을 이송한다.
냉각탑은 흡수용 열교환기 및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냉각수 저장조내에 냉각수를 모운다. 냉각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동안 외부공기와 열교환하여 방열됨과 동시에 일부가 증발하기 때문에 냉각수의 온도가 떨어진다.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될 때,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매체에서 열을 빼앗아 열매체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된 열매체를 실내공기나 단열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거나 단열실내를 냉장시킬 수 있다.
[정상시의 작동]
증발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어 소정시간내에 수위가 소정수위 이상이 되므로 냉방운전이 계속된다.
[이상시의 작동]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지 않거나 누수되는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가 소정수위 이상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제어기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청구범위 제2항에 대하여]
[정상시의 작동]
수위검출수단이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므로, 운전개시지시에 의하여 냉방운전이 개시된다.
증발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어 소정시간내에 수위가 최저수위 이상이 되므로 냉방운전이 계속된다.
[처음부터 이상인 경우의 작동]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 저장조의 누수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냉각수 저장조에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수위검출수단이 최고수위를 검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불가능하므로 운전개시 지시를 하여도 냉방운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도중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의 작동]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지 않거나 누수되는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가 최저수위 이상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제어기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청구범위 제3항에 대하여]
[정상시의 작동]
수위검출수단이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므로, 운전개시지시에 의하여 냉방운전이 개시된다.
증발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어 소정시간내에 수위가 최고수위 이상이 되므로 냉방운전이 계속된다.
[처음부터 이상인 경우의 작동]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 저장조의 누수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냉각수 저장조에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수위검출수단이 최고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불가능하므로 운전개시 지시를 하여도 냉방운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도중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의 작동]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에 의하여 냉각수가 점차 줄어들어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운전제어기는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한다.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가 보충되지 않거나 누수되는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가 최고수위 이상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제어기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범위 제1항에 대하여]
냉방운전중, 운전제어기는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이상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을 생각할 수 있다)에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신속하게 검지하여 희석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장치를 보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대하여]
수위검출수단이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냉방운전 개시전에 있어서의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 저장조의 누수등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검지하고, 냉각수 부족일 때, 냉방운전의 개시를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보전성이 우수하다.
냉방운전중, 운전제어기는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이상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을 생각할 수 있다)에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신속하게 검지하여 희석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장치를 보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대하여]
수위검출수단이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냉방운전개시전에 있어서의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 저장조의 누수등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검지하고, 냉각수 부족일 때, 냉방운전의 개시를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보전성이 우수하다.
냉방운전중, 운전제어기는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위검출수단이 최고수위 이상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등을 생각할 수 있다)에는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수단의 고장, 단수 또는 냉각수의 누수에 의한 냉각수 부족을 신속하게 검지하여 희석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장치를 보전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특허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대응)을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특허청구범위 제1항 및 제3항에 대응)를 제1도 및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흡수식 냉난방장치(A,B)는, 저농도 흡수액(본 실시예에서는 브롬화리튬 수용액)이 넣어지며, 가스버너(11)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12)을 가지며, 저농도 흡수액내의 냉매(물)를 증발시켜서 중농도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고온재생기(1)와; 고온재생기(1)내의 기화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중농도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중농도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고농도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2)와; 냉각수(340)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31)를 설치하여 고온재생기(1) 및 저온재생기(2)에서 분리된 기화 냉매(수증기)를 냉각하여 액화냉매(물)로 되돌리는 응축기(3)와; 응축기(3)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물)를 대략 진공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4)와; 냉각수(340)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34)를 설치하여 증발기(4)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저온재생기(2)에서 얻어진 고농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5)와; 흡수기(5)에서 가열실(12)로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6)와; 흡수용 열교환기(34) 및 응축용 열교환기(31)를 통과한 냉각수(34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냉각수(340)를 냉각시키는 냉각탑(8)과; 냉각탑(8) 하측에 설치되며 냉각수(340)를 모아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조(81)와; 냉각수 저장조(81)내의 냉각수(340)의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로(Lo)레벨 스위치(811), 하이(Hi)레벨스위치(812)와; 냉각수 저장조(81)내로 냉각수(340)를 보충하는 급수밸브(도시생략)와; 냉각수 저장조(81)내의 냉각수(340)를 흡수용 열교환기(34)로 이송하는 냉각수용 전동펌프(82)와; 흡수액 펌프(6), 냉각수용 전동펌프(82) 및 급수밸브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를 구비한다.
냉방운전시, 증발기(4)에서 액화냉매(물)가 증발됨으로써 증발기(4)를 통과하는 열매체(냉온수)가 냉각되고, 냉각된 열매체는 실내에 배치된 실내 열교환기(7)에 의해서 실내로 흡출(吸出)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실내를 냉방한다. 실내로 흡출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승온된 열매체는 다시 증류기(4)에서 냉각된다.
증발기(4)에서 증발된 기화냉매(수증기)는 흡수기(5)에서 고농도 흡수액에 흡수된다. 이 때, 흡수열이 발생하므로 홉수액이 승온된다. 여기서, 흡수기(5)로 공급되는 고농도 흡수액의 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흡수기(5)에는 흡수용 열교환기(34)가 설치되어 냉각수(340)가 공급된다.
응축기(3)에는 저온재생기(2)에서 발생된 비교적 온도가 높은 기화냉매(수증기)를 액화시키기 위한 응축용 열교환기(31)가 설치되며, 흡수용 열교환기(34)를 거친 냉각수(340)가 통과한다. 그리고, 흡수기(5)와 응축기(3)를 통과하여 승온된 냉각수(340)는 옥외에 설치된 냉각탑(8)에서 냉각된 후 다시 흡수기(5)와 응축기(3)로 공급된다.
상측으로 세워지는 흡출통(121)을 상부에 설치한 가열실(12)은 흡수액이 침입하기 어려운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가스버너(11)의 가스연소에 의한 열에 의해서 저농도 흡수액이 가열된다. 또, 가열실(12)에는 가열실(12)내의 저농도 흡수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가 배치되어 있다.
가스버너(11)는 분젠(BUNSEN)식으로서 2개의 가스전자밸브 및 가스비례 밸브(도시생략)가 연이어 설치된 가스관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고 연소용 팬(도시생략)에 의해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된다.
가열실(12)내에서 비등된 저농도 흡수액은 기화냉매(수증기)와 함께 고온 재생기(1)내로 흡출된다. 상기 고온재생기(1)내로 흡출된 고온의 저농도 흡수액은 기체/액체분리용 배플 보드(10a)와 충돌하여 흡출통(121) 주위로 적하(滴下)되어 중농도 흡수액이 된다.
이 중농도 흡수액과 액화냉매(물)를 분리하기 위해서, 고온재생기(1)내에는 흡출통(121)과 고온재생기(1)사이에 칸막이통(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통(13) 외측으로 분리된 냉매는 하부에 접속된 배관(14)을 통하여 응축기(3)로 공급된다. 또, 칸막이통(13) 내측과 흡출통(121)사이로 분리된 중농도 흡수액은 하부에 접속된 중농도 흡수액 배관(15)을 통하여 저온재생기(2)로 공급된다. 그리고, 중농도 흡수액 배관(15) 중간에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다.
저온재생기(2)는 고온재생기(1)를 덮는 관통용기형상의 저온재생용기(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중농도 흡수액 배관(15)을 통하여 공급되는 중농도 흡수액을 고온재생용기(10)의 천정부분을 향하여 주입하는 것이다.
저온재생용기(20)내의 온도는 고온재생용기(10)의 온도에 비해 낮기 때문에, 저온재생용기(20)내의 압력은 고온재생용기(10)의 압력에 비해 낮다.
그러므로, 중농도 흡수액 배관(15)에서 저온재생용기(20)내로 공급된 중농도 흡수액은 쉽게 증발하고 또한 중농도 흡수액이 고온재생용기(10)의 천정부분에 주입됨으로써 중농도 홉수액이 고온재생용기(10)의 둘레벽에 의해서 가열되어 액화냉매(물)가 증발하기 때문에 중농도 흡수액이 고농도 흡수액이 된다.
여기서, 저온재생용기(20)의 상측은 환형용기형상의 응축용기(30)의 상측과 연통부(301)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저온재생용기(20)내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는 연통부(301)를 통하여 응축용기(30)내로 공급된다.
한편, 고농도 흡수액은 저온재생용기(20)의 하부로 낙하하여 저온재생용기(20) 하부에 접속된 고농도 흡수액 배관(21)을 통하여 흡수기(5)로 공급된다.
또한, 저온재생용기(20)내의 상측에는 천정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천정판(22)의 외주단과 저온재생용기(20)사이에는 기화냉매(수증기)가 통과하는 틈(201)이 형성되어 있다.
응축기(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형용기형상의 응축용기(30)를 구비한다.
이 응축용기(30) 내부에는 응축용기(30)내의 기화냉매(수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용 열교환기(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응축용 열교환기(31)는 환형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냉각수(340)가 흐른다. 그리고, 저온재생기(20)에서 응축용기(30)내로 공급된 기화냉매는 응축용 열교환기(31)에 의해서 액화냉매(물)가 된다.
응축용기(30)내에는 고온재생기(1)에서 배관(14)을 통하여 냉매가 용기 하측에서 공급되며, 압력차{응축용기(30)내는 70mmHg의 저압}에 의하여 재비등됨으로써 응축용기(30)내에는 기화냉매와 액화냉매가 혼합된 상태가 된다.
또, 응축용기(30)에는 액화냉매를 증발기(4)로 유도하는 냉매배관(32)이 접속되어 있다. 이 냉매배관(32)에는 통전에 의해서 개방되는 냉매밸브(3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액화냉매(물)가 응축용기(30)에서 증발기(4)로 공급된다.
증발기(4)는 흡수기(5)와 함께 응축용기(3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저온재생용기(20) 주위에 배치한 환형용기형상의 증발흡수용기(50)를 구비한다.
증발흡수용기(50)내부의 외측에는 응축기(3)에서 공급되는 액화냉매(물)를 증발시키는 증발용 열교환기(3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증발용 열교환기(33)는 환형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7)로 공급되는 열매체(냉온수)가 흐른다. 그리고, 응축기(3)에서 냉매배관(32)을 통하여 공급된 액화 냉매(물)는 증발용 열교환기(33) 상부에 배치된 냉매산포구(322)에서 증발용 열교환기(33)위로 산포된다.
증발흡수용기(50)내는 대략 진공(약 6.5mmHg)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비등점이 낮아 증발용 열교환기(33)위로 산포된 액화냉매(물)가 매우 증발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증발용 열교환기(33)위로 산포된 액화냉매(물)는 증발용 열교환기(33)내를 흐르는 열매체에서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된다.
이 결과, 증발용 열교환기(33)내를 흐르는 열매체(냉온수)가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된 열매체는 실내 열교환기(7)로 유도되어 실내로 흡출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흡수기(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흡수용기(50)를 구비한다. 그리고, 흡수기(5)에는 고농도 흡수액 배관(21)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농도 흡수액을 냉각시키는 흡수용 열교환기(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흡수용 열교환기(34)는 환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응축용 열교환기(31)로 공급되는 냉각수(340)가 흐른다. 한편, 흡수용 열교환기(34) 상부에는 고농도 흡수액 배관(21)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농도 흡수액을 흡수용 열교환기(34)위로 산포하는 흡수액 산포구(36)가 배치된다.
그리고, 흡수용 열교환기(34) 에 산포된 고농도 흡수액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동안에 증발용 열교환기(33)에서 증발흡수용기(50)내로 증발된 기화매체(수증기)를 흡수한다.
따라서, 흡수용 열교환기(34) 바닥에는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실(12)로 공급하기 위한 저농도 흡수액 배관(35)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저농도 흡수액 배관(35)에는 대략 진공상태의 응축용기(30)에서 가열실(12)로 저농도 흡수액을 이송하기 위한 흡수액 펌프(6)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액 펌프(6)는, 본 실시예에서는 교류 24V, 최대소비전력 120W의 원심식 펌프이며, 회전수를 검지하기 위한 홀IC(61)(회전수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이 흡수액 펌프(6)는 온도센서(120)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온도(T)에 적합한 회전수가 되도록 제어장치(9)에 의해서 피드백제어된다.
실내 열교환기(7)는 내부를 통과하는 열매체와 실내로 흡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이 실내 열교환기(7)를 통과한 열매체는 냉온수용 전동펌프(37)에 의해서 증발용 열교환기(33)로 보내지며, 실내 열교환기(7)와 증발용 열교환기(33)를 순환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7)에는, 실내 열교환기(7)내를 흐르는 열매체와 실내로 흡출되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흡출하기 위한 실내용 전동팬(71)이 설치된다.
냉각탑(8)은, 흡수용 열교환기(34) 및 응축용 열교환기(31)를 통과한 냉각수(34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며, 냉각수(34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동안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방열됨과 동시에 일부가 증발함에 의한 기화열에 의하여 냉각수(340)가 냉각된다.
냉각탑(8)에서 냉각된 냉각수(340)는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 저장조(81)로 유도되며, 이 냉각수 저장조(81)내의 냉각수(340)는 냉각수 펌프(82)에 의해서 흡수용 열교환기(34) 및 응축용 열교환기(31)로 공급된다.
냉각수 저장조(81)내의 하부와 상부에는 로레벨스위치(811)와 하이레벨스위치(81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저장조(81)내의 냉각수(340)가 로레벨스위치(811)의 위치보다 위에 있으면 로레벨스위치(811)가 '온(ON)'상태가 되고, 냉각수(340)가 하이레벨스위치(812)의 위치보다 위에 있으면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가 된다.
또,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수돗물)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는 급수밸브(3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장치(9)의 신호에 의거하여 개방상태가 되면, 냉각수(340)가 냉각수 저장조(81)에 보충된다. 또한, 냉각수 저장조(81)가 빈상태에서 하이레벨스위치(812)의 위치까지 냉각수(340)가 보층되기에는 약 8분(정상시)이 소요된다.
냉각탑(8)은 냉각수(340)를 보충하기 위한 실외용 전동팬(80)을 구비한다.
이 실외용 전동팬(80)은 냉각탑(8)에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냉각탑(8)에 있어서의 냉각수(340)의 냉각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151은 고온재생기(1)에서 저온재생기(2)로 흐르는 중농도 흡수액과 흡수기(5)에서 가열실(12)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열교환시키는 고온 열교환기로서, 고온재생기(1)에서 저온재생기(2)로 흐르는 중농도 흡수액을 냉각하고, 반대로 흡수기(5)에서 가열실(12)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이다.
211은 저온재생기(2)에서 흡수기(5)로 흐르는 고농도 흡수액과 흡수기(50)에서 가열실(12)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열교환시키는 저온 열교환기로서, 저온재생기(2)에서 흡수기(5)로 흐르는 고농도 흡수액을 냉각하고, 반대로 흡수기(5)에서 가열실(12)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이다.
다음은, 사용자가 냉방운전스위치(도시생략)를 누름조작하여 냉방운전개시를 지시하였을 때의 흡수식 냉난방장치(A)의 작동을 제2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ON)'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상태인 경우(YES)에는 급수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한 후 스텝S2로 이행하고, '오프'상태인 경우(NO)에는 스텝 S11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 제어장치(9)는 「전자밸브가 개방상태」, 「가스비례밸브가 점화에 적합한 열림도 상태」, 「점화장치가 작동」 및 「연소팬이 점화 회전수」가 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연소상태(냉방운전개시)로 하고,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냉방운전 개시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검출온도(T)가 1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흡수액 펌프(6)를 작동시키고, 검출온도(T)에 대응한 설정 회전수로 흡수액 펌프(6)가 회전되도록 피드백제어한다.
또한, 검출온도(T)가 175℃를 넘는 오버히트(과열)상태가 되면,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오버히트에러'를 표시함과 동시에 가스버너(11)의 연소정지를 지시하고, 검출온도(T)에 대응하여 흡수액 펌프(6)의 회전수를 줄여가고(희석운전), 검출온도(T)가 110℃로 떨어진 시점에서 흡수액 펌프(6)를 정지시킨다.
스텝 S3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로레벨스위치(811)가 '온'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상태인 경우(YES)에는 스텝 S4로 이행하고, '오프'상태인 경우(NO)에는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4에서, 냉방운전 정지지시가 있었는가 아닌가를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판별하고, 정지지시가 있은 경우(YES:사용자가 냉방운전스위치를 누름조작한 경우)에는 스텝 S5로 이행하고, 정지지시가 없는 경우(NO)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가스버너(11)로의 가스공급을 담당하는 전자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키고, 후술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희석운전이 종료되면, 스텝 S6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연소용 송풍기, 냉각수용 전동펌프(82), 실외용 전동팬(8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지시함으로써 흡수식 냉난방장치(A)의 운전이 정지된다.
스텝 S7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개방되도록 지시하고, 스텝 S8로 이행한다. 또한, 냉각수의 보충은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스텝 S8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개방지시가 내려진 시점에서 15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15분이 경과된 경우(YES)에는 스텝 S9로 이행하고, 경과되지 않은 경우(NO)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9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가스버너(11)로의 가스공급을 담당하는 전자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킨다.
또한, 『냉각수 부족』을 나타내는 램프(도시생략)를 점등시켜 에러경보를 하고, 다음과 같은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희석운전]
검출온도(T)가 떨어짐에 따라 흡수액 펌프(6)의 회전수를 줄여가고, 검출온도(T)가 110℃로 떨어진 시점에서 흡수액 펌프(6)를 정지시킨다(희석운전 종료). 또한, 희석운전중에는 냉온수용 전동펌프(37) 및 실내용 전동팬(71)을 정지시키고, 연소용 송풍기(도시생략), 냉각수용 전동펌프(82), 실외용 전동팬(80)온 작동을 계속하여 흡수액의 석출(析出)을 방지한다.
희석운전이 종료되면, 스텝 S10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연소용 송풍기, 냉각수용 전동펌프(82), 실외용 전동팬(8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지시함으로써 흡수식 냉난방장치(A)의 운전이 정지된다. 또한, 램프(도시생략)의 점등상태는 유지시킨다.
스텝 S11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폐쇄되도록 지시하고, 스텝 S1으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난방장치(A)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냉방운전중{스텝 S2→스텝 S3에서 YES→스텝 S4에서 NO→스텝 S3}에 로레벨스위치(811)가 '오프'상태로 되면{스텝 S3에서 NO},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개방되도록{스텝S7}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지시한다. 그리고, 지시후 15분이 경과하여도 로레벨스위치(811)가 '온'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스텝 S8에서 YES}에는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밸브의 고장, 급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 등의 원인에 의한 냉각수(340) 부족시에, 흡수액을 석출시키는 일 없이 또한 가열실(12)의 이상승온의 검지에 의한 운전정지(장시간 소요됨)를 기다리지 않고 조기에 흡수식 냉난방장치(A)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로레벨스위치(811)가 '오프'상태로 되고서 수십분 동안은 관로내의 냉각수(340)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희석운전에는 지장이 없다.
(2) 흡수식 냉난방장치(A)는, 냉방운전의 개시지시가 있은 경우,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인 것을 확인한{스텝 S1에서 YES} 후에 냉방운전을 개시한다. 즉, 급수밸브의 고장, 급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개시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냉방운전 개시후에 예상되는 이상상태를 냉방운전을 개시하지 않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전성이 우수하다.
(3) 냉각수 보충지시로부터 15분이내에 로레벨스위치(811)가 '온'상태로 되면 스텝 S9로 이행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단수가 단시간에 복귀된 경우에는 냉방운전이 계속되므로, 냉방이 중단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좋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사용자가 냉방운전 스위치(도시생략)를 누름조작하여 냉방운전개시를 지시하였을 때의 흡수식 냉난방장치(B)의 작동을 제3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상태인 경우(YES)에는 급수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한 후 스텝 S2로 이행하고, '오프'상태인 경우(NO)에는 스텝 S11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 제어장치(9)는 「전자밸브가 개방상태」, 「가스비례밸브가 점화에 적합한 열림도 상태」, 「점화장치가 작동」 및 「'연소팬이 점화 회전수」가 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연소상태(냉방운전개시)로 하고,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냉방운전 개시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검출온도(T)가 1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흡수액 펌프(6)를 작동시키고, 검출온도(T)에 대응한 설정 회전수로 흡수액 펌프(6)가 회전되도록 피드백제어한다.
또한, 검출온도(T)가 175℃를 넘는 오버히트상태가 되면,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퍼는 '오버히트에러'를 표시함과 동시에 가스버너(11)의 연소 정지를 지시하고, 검출온도(T)에 대응하여 흡수액 펌프(6)의 회전수를 줄여가고(희석운전), 검출온도(T)가 110℃로 떨어진 시점에서 흡수액 펌프(6)를 정지시킨다.
스텝 S3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로레벨스위치(811)가 '온'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상태인 경우(YES)에는 스텝 S4로 이행하고, '오프'상태인 경우(NO)에는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4에서, 냉방운전 정지지시가 있었는가 아닌가를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판별하고, 정지지시가 있은 경우(YES:사용자가 냉방운전스위치를 누름조작한 경우)에는 스텝 S5로 이행하고, 정지지시가 없는 경우(NO)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급수밸브(342)가 폐쇄되도록 지시함과 동시에 가스버너(11)로의 가스공급을 담당하는 전자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키고서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희석운전이 종료되면, 스텝 S6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연소용 송풍기, 냉각수용 전동펌프(82), 실외용 전동팬(8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지시함으로써 흡수식 냉난방장치(B)의 운전이 정지된다.
스텝 S7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개방되도록(또는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시하고, 스텝 S8로 이행한다.
스텝 S8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개방지시가 내려진 시점에서 18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18분이 경과된 경우(YES)에는 급수밸브(342)가 폐쇄되도록 지시한 후에 스텝 S9로 이행하고, 경과되지 않은 경우(NO)에는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9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가스버너(11)로의 가스공급을 담당하는 전자밸브가 폐쇄되도록 지시하여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킨다.
또한, 『냉각수 부족』을 나타내는 램프(도시생략)를 점등시켜 에러경보를 하고, 상기한 희석운전을 실행한다.
희석운전이 종료되면, 스텝 S10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연소용 송풍기, 냉각수용 전동펌프(82), 실외용 전동팬(8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지시함으로써 흡수식 냉난방장치(B)의 운전이 정지된다. 또한, 램프(도시생략)의 점등상태는 유지시킨다.
스텝 S11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폐쇄되도록 지시하고, 스텝 S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에서, 냉방운전 정지지시가 있었는가 아닌가를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판별하고, 정지지시가 있은 경우(YES:사용자가 냉방운전스위치를 누름조작한 경우)에는 스텝 S5로 이행하고, 정지지시가 없는 경우 (NO)에는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3에서,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상태인 경우(YES)에는 급수밸브(342)가 폐쇄되도록 지시한 후에 스텝 S3으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인 경우 (NO)에는 스텝 S7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난방장치(B)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냉방운전중{스텝 S2→스텝 S3에서 YES→스텝 S4에서 NO→스텝 S3}에 로레벨스위치(811)가 '오프'상태로 되면{스텝 S3에서 NO}, 냉각수 저장조(81)로 냉각수(340)를 유도하는 수도관(341) 중간에 설치된 급수밸브(342)가 개방되도록{스텝 S7} 제어장치(9)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지시한다. 그리고, 지시후 15분이 경과하여도 로레벨스위치(811)가 '온'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스텝 S8에서 YES}에는 가스버너(11)를 소화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밸브의 고장, 급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 등의 원인에 의한 냉각수(340)의 부족시에, 흡수액을 석출시키는 일 없이 또한 가열실(12)의 이상승온의 검지에 의한 운전정지(장시간 소요됨)를 기다리지 않고 조기에 흡수식 냉난방장치(B)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로레벨스위치(811)가 '오프'상태로 되고서 수십분 동안은 관로내의 냉각수(340)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희석운전에는 지장이 없다.
(2) 흡수식 냉난방장치(B)는, 냉방운전의 개시지시가 있은 경우,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인 것을 확인한[스텝 S1에서 YES} 후에 냉방운전을 개시한다. 즉, 급수밸브의 고장, 급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고장, 단수, 냉각수의 누수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개시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냉방운전 개시후에 예상되는 이상상태를 냉방운전을 개시하지 않음으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전성이 우수하다.
(3) 냉각수 보충지시로부터 18분이내에 하이레벨스위치(812)가 '온'상태로 되면, 스텝 S9로 이행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단수가 단시간에 복귀된 경우에는 냉방운전이 계속되므로, 냉방이 중단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다음과 같은 실시 태양을 포함한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2중 효용형 흡수식 냉난방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1중 효용형이나 3중이상의 다중 효용형 흡수식 냉난방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b. 흡수액은 브롬화리튬 수용액 이외에 암모니아 수용액(이 경우, 냉매는 암모니아가 된다)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c. 가열원은 가스버너(11) 이외에 전기히터 등이어도 된다.

Claims (3)

  1.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소정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소정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2.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고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상기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고,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3. 흡수액이 넣어지며,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흡수액을 기화시켜서 농축 흡수액과 냉매로 분리하는 재생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상기 재생기에 의해서 분리된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가열실로 상기 흡수액을 이송하는 흡수액 펌프와,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려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과, 상기 냉각탑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를 모아두는 냉각수 저장조와, 상기 냉각수 저장조내의 냉각수의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를 보충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를 상기 흡수용 열교환기로 이송하는 냉각수 펌프와, 상기 가열원, 상기 흡수액 펌프, 상기 급수수단 및 상기 냉각수 펌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상기 냉각수의 최고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운전제어기에 의한 냉방운전의 개시가 가능하게 되고, 냉방운전중, 상기 운전제어기는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저수위 미만을 검출하면 상기 급수수단을 작동시켜서 냉방운전을 계속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수위검출수단이 최고수위 이상의 수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수액 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실행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KR1019960013157A 1995-05-31 1996-04-26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KR0177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33223 1995-05-31
JP7133223A JP2977466B2 (ja) 1994-07-08 1995-05-31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55A KR960041955A (ko) 1996-12-19
KR0177570B1 true KR0177570B1 (ko) 1999-04-15

Family

ID=1509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157A KR0177570B1 (ko) 1995-05-31 1996-04-26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47B1 (ko) * 2006-10-23 2009-04-0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온수기
KR101012051B1 (ko) * 2008-03-28 2011-01-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열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47B1 (ko) * 2006-10-23 2009-04-0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온수기
KR101012051B1 (ko) * 2008-03-28 2011-01-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열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55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570B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JP3728122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KR0149569B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장치
JP3056987B2 (ja) 吸収式冷房装置
JP2977466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2650654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0141644B1 (ko) 흡수식 공기조화장치
JP2001099474A (ja) 空調装置
JP3322994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281564B2 (ja) 吸収式空調装置
KR0149570B1 (ko) 흡수식 냉난방장치
JP3283780B2 (ja) 吸収式冷却装置
JP3920979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2846582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902305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H11304398A (ja) 空調装置
JP2618192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3660493B2 (ja) 吸収式冷凍装置の制御装置
JP4301747B2 (ja) 吸収式冷凍機の真空保持装置
JP3920997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3728121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3372663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3372662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014258A (ja) 吸収式冷暖房装置
KR100199252B1 (ko) 흡수식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