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849B1 -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849B1
KR0176849B1 KR1019950036177A KR19950036177A KR0176849B1 KR 0176849 B1 KR0176849 B1 KR 0176849B1 KR 1019950036177 A KR1019950036177 A KR 1019950036177A KR 19950036177 A KR19950036177 A KR 19950036177A KR 0176849 B1 KR0176849 B1 KR 017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hamber
washing
dissolv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477A (ko
Inventor
장재원
강성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3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849B1/ko
Publication of KR97002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세탁시 세제와 세탁수를 단순히 섞어서 세탁조에 공급하게 되므로 세탁조 내로 공급되는 세제가 제대로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코스를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세탁시간(약10분) 동안의 반이상을 세제를 용해하는데 소요되어 세탁에 세제가 기여하는 시간이 실제로 줄어들게 되어 세탁성능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세탁후에도 세제가 그대로 남아 헴굼을 불량하게 하여 제품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세탁수를 급수하는 동안 세탁기에 투입되는 세제를 1,2차로 용해시킴과 더불어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세제의 용해정도를 극대화하여 세탁과정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세제의 활용도를 높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헹굼효율을 좋게 하여 제품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의 제2용해실을 도시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세제받이부재 5a : 유출공
6 : 세제용해몸체부재 6a : 제1용해실
6d : 세제받이장착실 6c : 제2용해실
6f : 유로 6g : 노즐부
6h : 회전실 6i : 연결공
6j : 디퓨져부 7 : 여과망
8 : 연결부재 9 : 세탁수유입부재
9a : 제1분사부 9b : 제2분사관
9c : 경사분사구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동을 이용하여 세제의 용해를 촉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세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기에서, 투입되는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술은 세탁기 급수관의 선단에 세제를 담는 용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에 세제를 넣고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급수관을 세탁기가 공급되어 급수관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분사되며, 분사된 세탁수에 이해 세제가 용해되어 세탁조로 유입하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상부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1)의 하부에는 세제를 담는 세제통(2)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제통(2)의 내부에는 세제의 용해를 촉진시키는 회전날개(3)가 모터(4)에 함께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세제통(2)에 세제를 넣고,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수가 공급됨 더불어 회전날개(3)가 회전하게 되어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면서 세척조에 유입하여 세탁코스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는 세탁시 세제와 세탁수를 단순히 섞어서 세탁조에 공급하게 되므로 세탁조 내로 공급되는 세제가 제대로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코스를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세탁시간(약10분) 동안의 반이상을 세제를 용해하는데 소요되어 세탁에 세제가 기여하는 시간이 실제고 줄어들게 되어 세탁효율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세탁후에도 세제가 그대로 남아 헴굼을 불량하게 하여 제품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세제의 용해를 촉진함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세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일측에 유출공이 형성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받이부재와, 상기 세제받이부재가 장착되면 후부에 상기 세제받이부재의 유출공과 연결되어 세제를 1차로 용해시키는 제1용해실이 형성된 세제받이장착실과 상기 세제받이장착실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용해실에서 용해된 세제를 재용해시키는 제2용해실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세제용해몸체부재와, 상기 제1용해실에서 용해된 세제를 제2용해실로 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세제받이장착실 및 제2용해실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유입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용해실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로의 일측에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확개된 회전실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실의 측부에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실의 하부에 디퓨져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받이장착실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디퓨져부의 하부에는 세제를 여과하는 여과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세탁수유입부재는 유입되는 세탁수를 세제받이장착실로 분사시키는 제1분사부와 제2용해실로 각각 분사시키는 제2분사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사부로 분사되는 유량은 제2분사관으로 분사되는 유량의 2배가 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분사부의 하부에는 유입된 세탁수를 경사지게 분사시키는 수개의 경수분사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용해실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용해실의 연결공에 각각 분지되어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일측에 유출공(5a)이 형성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받이부재(5)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운데에 상기 세제받이부재(5)각 장착되며 후부에 상기 세제받이부재(5)의 유출공(5a)과 연결되어 세제를 1차로 용해시키는 제1용해실(6a)이 형성된 세제받이장착실(6b)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받이장착실(6b)의 양측에 상기 제1용해실(6a)에서 용해된 세제를 재용해시키는 제2용해실(6c)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세제용해몸체부재(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용해실(6a)은 상측면이 굴곡되고 관통공(6d)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공(6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용해실(6c)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로(6f)의 일측에 노즐(NOZZLE)부(6g)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6g)의 단부에 확개된 회전실(6h)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실(6h)의 측부에 연결공(6i)이 형성되고, 회전실(6h)의 하부에 디퓨져(DIFFUSER)부(6j)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받이장착실(6b)의 하면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공(6i)은 두 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퓨져부(6j)의 하부에는 세제를 여과하는 여과망(7)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용해실(6a)에서 용해된 세제를 제2용해실(6c)로 통하도록 연결부재(8)와, 상기 세제받이장착실(6b) 및 제2용해실(6c)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유입부재(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8)는 일측이 상기 제1용해실(6a)의 배수공(6e)에 연결되고 타측은 분지되어 상기 제2용해실(6c)의 연결공(6i)에 각각 연결되며,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연결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탁수유입부재(9)는 외부의 급수관(1)에서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받이장착실(6b)로 분사시키는 제1분사부(9a)와 제2용해실(6c)의 유로(6f)와 각각 연결되어 분사시키는 제2분사관(9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사부(9a)로 분사되는 유량은 제2분사관(9b)으로 분사되는 유량의 2배가 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분사부(9a)의 하부에는 유입된 세탁수를 경사지게 분사시키는 수개의 경사분사구(9c)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분사구(9c)의 경사방향은 후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탁기 세제용해장치는 세제받이부재(5)에 세제를 투입하여 세제받이장착실(6b)에 장착하고 세탁수유입부재(9)에 의해 세탁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세탁수중에 소량의 세탁수가 제1분사부(9a)를 통하여 세제받이장착실(6b)에 분사되고 남은 대부분의 주 세탁수류는 각각 반으로 분기되어 2개이 제2분사관(9b)을 통하여 제2용해실(6c)에 분사된다. 상기 세제받이장착실(6b)에 분사된 세탁수는 세제받이부재(5)에 투입된 세제에 분사되어 세제와 함께 유출공(5a)을 통하여 제1용해실(6a)로 유입되어 세제를 1차로 용해시키며, 1차로 용해된 세제와 세탁수는 제1용해실(6a)의 배수공(6e)을 통하여 연결부재(8)인 연결관으로 흘러 제2용해실(6c)의 회전실(6h)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실(6h)로 유입된 세제와 세탁수는 제2분사관(9b)으로 분사되는 세탁수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2차로 용해되어 디퓨져부(6j)를 통해 여과망(7)을 거쳐 세제받이장착실(6b)의 하면으로 유출되고, 상기 여과망(7)에서 세제는 재용해되며 세제받이장착실(6b)의 하면으로 유출된 세제 및 세탁수는 세탁기의 세탁조로 유입된다.
상기 제2용해실(6c)에서 세탁수가 유로(6f)로 유입되어 회전실(6h)을 거쳐 디퓨져부(6j)로 유출될 때, 노즐부(6g)을 통과하여 디퓨져부(6j)로 흐르는 과정에서 유속의 증가와 압력의 감소로 제1용해실(6a)의 세제와 세탁수가 연결부재(8)인 연결관을 통하여 제2용해실(6c)로 유입하게 되면 회전실(6h)에서 회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수를 급수하는 동안 세탁기에 투입되는 세제를 1,2차로 용해시킴과 더불어 여과망(7)으로 여과하여 세제의 용해정도를 극대화하여 세탁과정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세제의 활용도를 높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헹굼효율을 좋게 하여 제품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제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세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부일측에 유출공이 형성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받이부재와, 상기 세제받이부재가 장착되며 후부에 상기 세제받이부재의 유출공과 연결되어 세제를 1차로 용해시키는 제1용해실이 형성된 세제받이장착실과 상기 세제받아장착실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용새실에서 용해된 세제를 재용해시키는 제2용해실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세제용해몸체부재와, 상기 제1용해실에서 용해된 세제를 제2용해실로 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세제받이장착실 및 제2용해실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유입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해실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로의 일측에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확개된 회전실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실의 측부에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실의 하부에 디퓨져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받이장착실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부의 하부에는 세제를 여과하는 여과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유입부재는 유입되는 세탁수를 세제받이장착실로 분사시키는 제1분사부와 제2용해실로 각각 분사시키는 제2분사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사부로 분사되는 유량은 제2분사관으로 분사되는 유량의 2배가 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의 하부에는 유입된 세탁수를 경사지게 분사시키는 수개의 경사분사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용해실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용해실의 연결공에 각각 분지되어 연결되는 연결관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19950036177A 1995-10-19 1995-10-19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017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177A KR0176849B1 (ko) 1995-10-19 1995-10-19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177A KR0176849B1 (ko) 1995-10-19 1995-10-19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477A KR970021477A (ko) 1997-05-28
KR0176849B1 true KR0176849B1 (ko) 1999-05-15

Family

ID=1943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177A KR0176849B1 (ko) 1995-10-19 1995-10-19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8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477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212B2 (ja) 洗濯装置
CN100557114C (zh) 洗涤剂供给系统及应用此系统的洗衣机
CN103069068B (zh) 滚筒式洗衣机
CN110093735B (zh) 一种滚筒洗衣机
JPH08309090A (ja) 洗濯機
CN108486822A (zh) 一种波轮洗衣机闭循环冲洗系统
KR100446879B1 (ko) 세탁기
KR100733307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0176849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00045029A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739385B1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212654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0189263B1 (ko) 투과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CN219557221U (zh) 一种喷淋式洗鞋机
KR950008360B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CN219709848U (zh) 一种洗涤设备
KR0122793Y1 (ko) 세탁기 분사링
KR0165041B1 (ko) 식기 세척기
KR200159317Y1 (ko) 세탁기의 샤워급수장치
JP3896679B2 (ja) 食器洗い機
CN2500699Y (zh) 液体喷射式物件洗涤装置
KR100234104B1 (ko) 식기세척기
JPH09173676A (ja) 洗濯機
KR970002540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회전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