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951B1 -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 Google Patents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951B1
KR0175951B1 KR1019930002076A KR930002076A KR0175951B1 KR 0175951 B1 KR0175951 B1 KR 0175951B1 KR 1019930002076 A KR1019930002076 A KR 1019930002076A KR 930002076 A KR930002076 A KR 930002076A KR 0175951 B1 KR0175951 B1 KR 017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young
modulus
naphthalenedicarboxylate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770A (ko
Inventor
히사시 하마노
마사히로 호소이
이에야스 고바야시
야스히로 사에끼
Original Assignee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다가끼 히로시
Priority to KR101993000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951B1/ko
Publication of KR94001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하기 특성을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이 제공되며, 이 필름에 자성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수득된 자기기록 테이프는 컬링되지 않으며 보자력이 높고, 우수한 전자변환 특성을 가지며 장시간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다; (A)세로방향의 영율 및 가로방향의 영율 모두가 600kg/㎟이상이고, 세로방향의 영율이 가로방향의 영율보다크며, (B)필름을 105℃에서 30분간 무하중 하에서 열처리할 때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은 1% 이상이고 (C)필름의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 Ra는 5nm 이하이다.

Description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제1도는 자기 기록 테이프의 컬링(curling)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틸렌 - 2,6 -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기록이 가능하고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한 고밀도 기록의 자기 기록 매체, 특히 VTR용 자기 기록 테이프와 같은 증착에 의해 형성된 자성 금속 박막을 갖는 자기기록매체용의 지지체 필름으로서 유용한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기기록의 보자력이 크고 장시간 기록이 가능한 자기기록 필름으로서, 특정의 기계적성질 및 표면구조를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을 지지체로서 제조하고, 이 지지체의 한쪽 표면에 금속 박막의 자성층을 형성시키고 자성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지체의 다른 한쪽 표면에 윤활제를 함유하는 유기 중합체의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되는 자기기록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자기기록 필름은 세로방향의 5% 신장시 응력이 18kg/㎟ 이상이고, 세로방향의 영율이 800kg/㎟ 이상이며, 가로방향 영율이 500kg/㎟ 이상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선된 자기기록의 보자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필름도 금속박막이 증착법에 의해 지지체상에 형성될 때, 지지체 필름이 컬링(curling)되어, 그 후에 자기 기록 테이프 형성단계시 주행문제점이 야기되며, 카셋트에 테이프를 강아 넣은 후에 사용할 때 테이프가 컬링을 가져서 자기헤드와의 접촉이 불량하기 때문에 출력이 적절하지 못하고 테이프의 주행이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기 기록 테이프용 지지체 필름으로서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필름 표면에 증착법에 의해 금속박막을 형성시킬 때 컬링이 거의 없으며 자기기록테이프용 지지체 필름으로서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자력이 크고, 기록의 탈락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주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고밀도 자기기록 테이프를 얻을 수 있게 하며 자기 기록 테이프용 지지체 필름으로서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먼저, 하기특성을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의해 달성 된다; (A)세로방향의 영율 및 가로방향의 영율 모두가 600kg/㎟ 이상이고, 세로방향의 영율은 가로방향의 영율보다 크며, (B)필름을 105℃ 에서 30분간 무하중하에서 열처리할 때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은 1% 이상이고, (C)필름의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 Ra는 5nm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의 한쪽 표면상에 자기기록층으로서 증착법에 의해 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된 자기기록 테이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영율(EM)은 600kg/㎟ 이상, 바람직하게는 650kg/㎟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kg/㎟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0kg/㎟ 이상이다. 세로방향 영율의 상한 값은 일반적으로 약 1,500kg/㎟ 이다.
상기 세로방향의 영율로 인하여, 테이프에 강한 순간적 응력이 가해져도 테이프가 신장될 수 있어서 변형이 덜 된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있어서, 가로방향의 영율(ET)는 600kg/㎟ 이상, 바람직하게는 650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kg/㎟ 이상이다. 가로방향 영율은 일반적으로 약 1,000kg/㎟ 이다.
상기 가로방향의 영율로 인하여, 자기테이프의 주행시에 테이프 가장자리가 웨이브상으로 변형된다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영율은 가로방향의 영율보다 크다.
이렇게 디자인된 필름이 사용될 때, 자기 테이프는 비디오 회전 헤드에 접촉이 잘되고 우수한 전자변환 특성이 유지된다.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상기와 같은 값의 세로방향의 영율 및 가로방향의 영율은 공지방법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즉, 필름은 동시에 이축 연신될 수 있거나, 연속적으로 즉 처음에는 세로방향으로 그 다음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거나, 또는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각각 2회이상 연신될 수 있다.
연신은 통상적인 롤(roll)또는 스텐터(stenter)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이 105℃ 에서 30분간 무하중 하에서 열처리될 때,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이다. 열수축율이 상기한 바와 같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세로로 긴 필름의 표면에 증착법에 의해 금속 박막이 형성될 때 컬링이 적다.
열수축율의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값은 필름 제조 단계시 저온에서 연신필름을 열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연신필름이 너무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되면, 세로방향의 영율은 낮은 반면에 세로방향의 열수축율은 예를 들면 1 %이상 증가한다. 그러므로, 자기 테이프 형성 가공중에 스크래칭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스크래치 더스트는 자기 테이프의 자성 표면에 부착되어 드롭-아웃(drop-out)의 원인이 되고, 자기 헤드로의 접촉 압력이 감소되고 치수 안정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전자 변환 특성이 열화된다. 상기 열처리를 위한 적절한 온도는 예비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열수축율의 높은 값을 가로방향의 연신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너무 크면, 가로방향의 배향이 가로방향의 영율의 증가 및 세로방향의 영율의 감소를 강화하여, 열처리온도가 너무낮을 때와 동일한 결과가 초래된다. 또한, 금속박막이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때, 필름은 컬링된다. 가로방향의 적절한 연신율은 예비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은 임의의 기타방법에 의해 상기 범위로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은 105℃ 에서 무하중 하에서 30분간 열처리될 때, 세로방향의 열수축율은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이다. 세로방향의 열수축율을 상기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자기기록테이프로의 가공시 또는 고온대기 내에서 저장시 필름의 변형이 작다. 또한, 자기면 또는 주행면에 있어서 스크래치(scratches)및 스크래치 더스트(scratch dust)의 발생이 바람직하게 감소된다.
105℃에서 30분간의 열처리후의 상기 열수축율은 필름제조단계시 연신 필름의 열처리온도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된 필름을 속도차를 갖는 2개의 롤사이에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와 동일하거나 높은 온도에서 이완처리를 더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수축율의 달성방법은 상기한 방법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있어서, 한쪽 표면의 표면 조도 Ra는 5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nm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한쪽 표면의 표면 조도로 인하여, 고밀도 고감도 자기 테이프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를 갖는 표면은 금속박막이 형성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한쪽 표면상에 금속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된 자기기록 테이프는 자기 헤드와 테이프사이에 적절한 갭을 가질 수 있으며 전자 변환 특성이 우수하다. Ra 값이 너무 작으면 필름의 마찰계수가 크고 필름을 저급하거나 감기가 어렵다.
표면 조도 Ra는, 예를 들면 필름중에 불활성 미립자, 예를 들면 주기율표 IIA, IIB, IVA 및 IVB 족의 원소를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 또는 실리콘 수지 및 가교결합 폴리스티렌과 같은 내열성이 높은 중합체로 형성된 미립자등을 함유시키거나, 필름을 표면처리, 예를 들면 코팅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불활성 미립자가 사용될 때, 약 0.1 중량%의 0.045㎛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 미립자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에 있어서, 금속 박막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 쪽의 표면 조도 Ra 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쪽 표면에 윤활제를 함유하는 유기 고분자의 코팅을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형성하여 5nm 이상 또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nm의 표면 조도를 부여할 때 필름이 윤활성이 우수하고 취급이 용이하여서 개선된 주행성을 갖는 자기기록 테이프를 수득할 수 있다. 코팅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내지 500nm 이다. 유기 중합체의 코팅에 함유되는 윤활제는, 비록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알루미늄아크릴레이트, 몰리브데늄, 미세 실리카 및 불소수지를 포함한다. 윤활제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이고, 윤활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결합제를 기준으로하여 대략 0.05내지 0.5 중량% 이다.
상기 유기중합체의 코팅은,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폴리에테르 또는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산성분으로 변성된 코폴리에스테르의 용액 또는 유탁액에 윤활제를 분산시키고, 생성코팅액을 필름의 다른쪽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연속 코팅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필름제조공정시 필름을 가로방향으로 연신시키기 전에 적당한 단계에서 코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코팅액을 가열하여 코팅을 고형화하고, 필름을 가로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필름을 가로방향으로 연신시킬 때 도포된 코팅이 점성질이라면 연속코팅이 수득될 수 있다. 물론, 연속 또는 비연속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다. 자성층의 강도 개선에 따른 지지체 필름두께의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경우, 상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2㎛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하이다. 장치 소형화 및 보다 장시간 기록할 수 있는 자기기록 매체의 두께의 감소라는 시장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경우,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이다.
본 발명의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산성분으로서의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 성분으로서의 에틸렌 글리콜로 주로 구성되지만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에틸렌 글리콜, 소량의 기타 디카르복실산성분 및 소량의 기타 글리콜성분으로 구성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이외의 상기 디카르복실산성분의 예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박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및 1,3-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에틸렌 글리콜 이외의 상기 글리콜 성분의 예는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 메탄올 및 p-크실릴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산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하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다. 글리콜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에틸렌글리콜의 양은 90몰%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다.
상기 중합체는 안정화제 및 착색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용융중합법에 따른 공지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서, 촉매와 같은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고유점도는 o - 클로로페놀내, 25℃ 에서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0.45 ~ 0.90 dl/g 이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세로로 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공지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그의 융점(Tm)℃ 내지(Tm + 70)℃ 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고, 필름을 냉각고화하여 미연신필름을 수득하고, 미연신필름을 일축방향(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Tg - 10)℃ 내지(Tg + 70)℃ 의 온도(여기에서 Tg 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한다.)에서 원하는 배율로 연신하고, 일축 연신 필름을 상기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첫번째 단계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신되었다면 두번째 단계에서는 가로방향으로)으로 Tg℃ 내지(Tg +70)℃ 의 온도에서 원하는 연신율로 연신하고 이축연신 필름을 열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신율, 연신온도 및 열처리 온도는 본 발명의 필름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면적 연신율은 9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2내지 22 이다. 열고정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50℃ 에서 선택되고 이축 연신 필름의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초에서 선택된다.
상기 연속 이축 연신과는 별도로, 미연신 필름은 동시에 이축 연신될 수 있다. 또한, 연속 이축 연신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연신 및 가로방향의 연신은 각각 여러 번 실행될 수 있다. 보다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필름을 수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열고정 처리전의 상기 이축 연신 필름을(Tg + 20)℃ 내지(Tg + 70)℃ 의 열고정 온도에서 열처리하고, 상기 열고정온도보다 10 내지 40℃높은 온도에서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또 후자의 온도보다 2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세로방향의 총 연신율이 5.0 내지 6.9 이고, 가로방향의 총 연신율이 5.0내지 6.9 인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층을 형성하는 자성금속의 예로서는 코발트, 철, 니켈, 이들 금속중 2개 이상의 합금, 이들 금속중 하나이상과 하나이상의 크로뮴 및 텅스텐과의 합금을 포함한다. 자성금속박막은 공지된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증착속도가 빠르고 생성 박막이 높은 보자력을 갖기 때문에 진공증착 방법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은 대략 100 내지 1,500nm의 두께가 표준이다. 금속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진공증착법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의 한쪽 표면에 자기 기록충으로서 금속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된 자기 기록 테이프에 있어서는, 금속 박막 형성시에 지지체 필름의 컬링이 작으며, 자기기록테이프는 고밀도 자기기록테이프로서 높은 보자력을 가지며 기록의 탈락이 실질적으로 없고 얇은 테이프인 경우에도 주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자기기록 테이프는 그 위에 자성층이 증착될지라도 실질적으로 컬링이 없으며,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 일그러짐(컵핑)의 정도는 15% 이하, 특히 10% 이하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 기재된 각종 물리적 성질 및 특성은 하기한 바와 같이 측정되거나 정의된다.
(1) 영율
필름을 샘플 나비 10mm및 길이 150mm로 절단하고, 샘플을 척(chuck)간 거리를 100mm로 하여, 인장속도 10mm분, 차트속도 500mm/분 및 실온에서 인스트론형의 유니버설 인장시험장치로 잡아당겨 하중-신장곡선을 얻고, 하중-신장곡선의 상승부의 접선을 기초로 하여 영율을 계산한다.
(2) 열수축율
105℃로 조정된 오븐에 사전에 정확한 길이를 측정한 길이 약 30cm, 나비 1cm 의 필름을 무하중하에 넣고, 30분간 열처리한다. 그 후, 오븐에서 필름을 꺼내고, 실온으로 될 때까지 방치한다옴 열처리 전후의 길이변화를 측정한다. 하기 식으로 열수축율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Lo는 열처리전의 길이이고, △L은 길이 변화량이다.
(3) 필름의 표면 조도(Ra)
촉침식표면조도계(Surfcoder 30C, 고사까 연구소 제)를 사용하여 침의 반지름 2㎛, 촉침압 30mg의 조건하에서 차트(필름 표면 조도곡선)를 그린다. 필름 표면 조도 곡선에서 그 중심선의 방향으로 측정길이 L의 부분을 발취한다. 이 발취부분의 중심선을 X축으로 하고, 세로배율의 방향을 Y축으로하여, 조도곡선을 Y = f(x)로 나타낸다. 하기식으로 주어지는 값(Ra: ㎛)을 필름표면 조도로서 정의한다.
(4) 전자 변환 특성
시바소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노이즈미터를 사용하여 비디오용 자기테이프의 S/N 비를 측정한다. 또한, 표1에 나타낸 비교예 2의 테이프에 대한 S/N비와 상기 S/N비 사이의 차를 측정한다. 이 측정에 사용한 VTR은 소니(주)제의 EV-S700이다.
(5) 자기 테이프의 주행 내구성
소니(주)제의 VTR(EV-S3700)로 주행 개시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자기테이프를 100시간 주행시키고,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조사하고 출력을 측정한다. 자기 테이프의 주행 내구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3등급 평가)
○ : 테이프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지거나 웨이브상으로 되지 않았으며 마모되지 않아 백색 더스트의 부착이 없다.
△ : 테이프의 가장자리가 어느 정도 구부러지거나 웨이브상으로 되었으며, 소량의 백색 더스트 부착이 관찰된다.
X : 테이프의 가장자리가 확실하게 구부러지거나 웨이브 상으로 되었으며 매우 많이 마모되어서, 다량의 백색 더스트가 발생된다.
(6) 컬링(일그러짐(컵핑)의 정도)
자기 기록 테이프의 일그러짐(컵핑)의 정도를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폭 lo(실시예에서는 폭 1.27cm(1/2 인치)및 길이 5cm)의 자기 기록 테이프 샘플을 수평면에 놓고, 컵핑의 정도, Kp를 하기식으로 계산한다.
여기에서, h1및 h2는 수평면으로부터 테이프 말탄까지의 높이 이다.
제1도는 자기테이프(1)가 수평면상에 놓인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여기에서는 금속 증착막(3)올 외측에 위치시키고, 이축배향 필름(2)을 내측에 위치시키고 자기기록테이프(1)의 컵핑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식에서, 금속 증착막이 외부에 존재하여 컵핑이 발생될 때 Kp는 양수이며, 금속증착막이 내부에 존재하여 컵핑이 발생될 때 Kp는 음수이다.
컵핑은 하기 네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고,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 : 컵핑이 발생되지 않는다.
○ : 컵핑이 약간 발생되거나, │Kp│≤ 15% 이다.
△ : 컵핑이 많이 발생되거나, │Kp│〉15%이다. 그러나, 컵핑이 실린더 형을 형성할 정도로 과도하지는 않다.
X : 샘플이 완전히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Kp를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다.
[실시예 1]
평균 입경 0.10㎛ 의 실리카 입자 0.05 중량%를 함유하는 고유점도(o - 클로로페놀내에서 25℃ 에서 측정) 0.62 dl/g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170℃에서 건조한 다음 300℃에서 용융압출하고, 압출 필름을 60℃ 로 유지되는 캐스팅 드럼상에서 급속냉각고화시켜서 두께 180㎛ 의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130℃ 에서 2.3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30℃에서 4.0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60℃에서 중간 열처리한다. 생성 필름을 170℃ 에서 2.4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70℃ 에서 1.5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하기 조성을 갖는 코팅액을 이렇게 연신된 필름의 한쪽표면에 도포한다.
코팅액의 조성 :
코팅액은 웨트(wet)양으로 약 2.2g/㎡, 고형분으로서는 약 0.0126g/㎡의 양으로 도포된다.
그 후에, 상기 수득한 필름을 200℃ 에서 열처리하여, 두께 7㎛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을 수득하고, 이를 감는다.
그 후에, Co-Ni(Co/Ni 중량비 = 75/25)를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의 다른 한쪽 표면(비코팅 표면)에 전자 빔 증착법(최소입사각 50℃의 사방증착)에 의해 증착하여, 100nm두께의 코팅을 형성하여 자기 기록용의 원반(raw roll)을 수득한다. 자기기록 테이프를 원반으로부터 제조한다.
표 1은 상기 수득한 필름 및 테이프의 성질과 특성을 나타낸다. 표 1은 지지체 필름에로의 증착시 컬링이 발생되지 않으며, 테이프가 전자변환특성, 드롭-아웃 및 주행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실시예 2]
실리카 입자를 평균 입경 0.05㎛의 실리카 입자 0.03중량 %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이 미연신 필름을 130℃에서 2.4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30℃ 에서 4.0 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연신필름을 160℃에서 중간 열처리한다. 생성 필름을 170℃에서 2.6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70℃ 에서 1.3 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한다. 그후에, 이렇게 연신된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쪽표면에 코팅을 갖는 필름을 수득하고, 이 필름으로부터 자기기록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 수득한 필름 및 테이프는 실시예에서 수득된 것과 같이 우수하다.
[비교예 1]
지지체 필름의 한쪽표면의 코팅후의 열처리온도를 220℃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및 자기 기록테이프를 제조한다. 테이프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과 비교했을 때 컬링이 심하기때문에 전자변환특성 및 주행성이 열등하다.
[비교예 2]
미연신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125℃에서 3.6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40℃에서 3.9의 연신율로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쪽표면만 코팅되고 200℃에서 열처리된 필름 및 증착테이프를 수득한다.
[비교예 3]
미연신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130℃에서 2.3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130℃에서 3.8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한다. 그후, 연신 필름을 160℃에서 중간 열처리한다. 또한, 이 필름을 170℃에서 2.3의 연신율로 세로방향으로 연신하고, 215 에서 2.0의 연신율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증착 자기기록 테이프를 수득한다.
표 1은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테이프와 비교할 때, 상기 테이프는 가로방향의 영율보다 낮은 세로방향의 영율을 갖는다. 그 결과, 테이프의 회전 헤드로의 접촉 강도는 작고, 테이프는 전자 변환 특성에 있어서 열등하다.
[비교예 4]
실리카 입자를 평균 입경 0.6㎛의 탄산 칼슘으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쪽 표면에 코팅을 갖는 지지체 필름과 증착 테이프를 수득한다. 지지체 필름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필름보다 큰 표면조도를 가지므로, 테이프는 전자 변환 특성이 상당히 열등하다.

Claims (11)

  1. 하기 특성을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A)세로방향의 영율 및 가로방향의 영율 모두가 600kg/㎟이상이고, 세로방향의 영율이 가로방향의 영율보다크며, (B)필름을 105℃ 에서 30분간 무하중 하에서 열처리할 때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은 1% 이상이고 (C)필름의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 Ra는 5nm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을 105℃에서 30분간 무하중 하에서 열처리할 때 세로방향의 열수축율이 1%이하인 특성(D)를 더 갖는 세로로 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영율이 700kg/㎟이상인 세로로 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을 105℃에서 30분간 무하중 하에서 열처리할 때 가로방향의 열수축율이 1 내지 3%인 세로로 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상기 한쪽 표면이 아닌 다른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 Ra가 상기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보다크고 4 내지 40nm인 세로로 긴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코팅된 후의 필름의 상기 한쪽 표면이 아닌 다른 한쪽 표면의 표면조도, Ra가 4 내지 40nm인 세로로 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상기 한쪽 표면이 증착법에 의해 금속층으로 코팅되는 세로로 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가 75㎛ 이하인 세로로 긴 필름.
  9. 제1항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의 상기 한쪽 표면에 자기기록 층으로서 자성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수득된 자기 기록 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컵핑의 정도, │Kp│가 15%이하인 자기기록 테이프.
  11. 자기기록 매체의 지지체 필름용 제 1 항의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KR1019930002076A 1993-02-15 1993-02-15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KR017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076A KR0175951B1 (ko) 1993-02-15 1993-02-15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076A KR0175951B1 (ko) 1993-02-15 1993-02-15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70A KR940019770A (ko) 1994-09-15
KR0175951B1 true KR0175951B1 (ko) 1999-05-15

Family

ID=1935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076A KR0175951B1 (ko) 1993-02-15 1993-02-15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9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70A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4371B2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tape
KR100635403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자기기록 매체
JP298908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27401B1 (ko)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이축 배향 필름
US5380577A (en)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film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4008706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KR100519577B1 (ko) 이축배향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732997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923176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677033A (en) Biaxially oriented, unidirectionally long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film
EP0611789B1 (en) Magnetic recording tape from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2,6-naphtalenedicarboxylate film
KR0175951B1 (ko)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JP3547986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631063A (en) Biaxially oriented film of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EP0940426B1 (en) Biaxially oriented, unidirectionally long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film
JP2738644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100224147B1 (ko) 자기 기록 테이프
JP3958442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302408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13977B2 (ko)
JP4045947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738645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738637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68373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2225321A (ja) 磁気記録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