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437B1 -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437B1
KR0175437B1 KR1019950052903A KR19950052903A KR0175437B1 KR 0175437 B1 KR0175437 B1 KR 0175437B1 KR 1019950052903 A KR1019950052903 A KR 1019950052903A KR 19950052903 A KR19950052903 A KR 19950052903A KR 0175437 B1 KR0175437 B1 KR 017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fan
timer
switch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595A (ko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437B1/ko
Publication of KR97004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25D21/025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using air pressure differential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제상장치 및 그 제어회로는 냉기 순환용 팬의 회전에 따른 풍압으로 증발기의 성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상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팬의 전면부에 팬의 회전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압에 의해 왕복 작동되는 누름 부재와, 누름 부재의 위치 및 작동을 한정 및/또는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와, 누름 부재가 일측 선단에 결합되어 연동시킴과 동시에 시소 작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 부재 및 누름 부재에 접촉 지지되고 팬의 회전에 따른 냉기의 풍압이 설정 값 이하일 경우에 동작하여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압축기 및 팬과 제상 히터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증발기의 성에 발생으로 인한 팬의 풍압 감소를 검출하여 제상 시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시작 검출 수단과, 제상 종료를 검출하여 제상 종료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종료 검출 수단과, 제상 시작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상 종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제상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압축기 및 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회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기 순환용 팬이 회전하면서 냉동실로 토출하는 냉기의 풍압 변화로 증발기에 발생된 성에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및 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본체(1)는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2)의 내축 후방에는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4)와, 상기 증발기(4)에서 생성된 냉기를 토출구(2a)(3a)를 통하여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강제 순환시키는 팬(5) 및 모터(6)가 배설되며, 상기 냉장실(3)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냉동실(2)의 냉기를 냉장실(3)로 유입시키기 위한 댐퍼(3b)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4)에는 고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나 식품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응결 부착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7)가 장착된다.
그리고 냉장실(3)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4)에서 증발된 냉매를 유입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8)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는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 압축기(8)가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증발기(4)에서 증발되면서 냉기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4)에서 발생된 냉기는 모터(6)의 구동에 따라 팬(5)이 회전하면서 냉동실(2)로 유입시켜 냉동실(2)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하로 낮추게 되고,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될 경우에 압축기(8) 및 모터(6)가 정지된다.
그리고 냉장실(3)의 온도는 댐퍼(3b)의 동작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서 냉장실(3)의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댐퍼(3b)가 개방되고, 댐퍼(3b)의 개방에 따라 냉동실(2)의 냉기 및 팬(5)의 구동에 따른 냉기가 냉장실(3)로 유입되어 온도를 낮추게 되며, 냉장실(3)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댐퍼(3b)가 폐쇄되어 냉장실(3)의 냉기 유입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나 보관하는 식품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증발기(4)에 응결되어 성에가 쌓이게 된다.
상기 증발기(4)에 일정 양 이상의 성에가 쌓이게 되면, 팬(5)의 회전에 따라 증발기(4)에서 정상으로 냉기가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냉기 효율이 낮고, 냉동실(2)로 충분한 냉기를 공급하지 못함은 물론 팬(5)을 회전시키는 모터(6)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된다.
그러므로 상기 증발기(4)에는 제상 히터(7)를 구비하고, 증발기(4)에 일정양 이상의 성에가 발생할 경우에 제상 히터(7)가 동작하면서 성에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증발기(4)에 발생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종래의 제상장치를 보인 제상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AC)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가 냉동실(2)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머스탯(9)을 통해 타이머(12)의 일측단자 및 타이머 스위치(TS)의 가동단자에 접속되어 타이머 스위치(TS)의 일측 고정단자(R1)가 압축기(8)를 통해 전원단자(B)에 접속되고, 타이머 스위치(TS)의 타측 고정단자(R2)가 증발기(4)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스위치(10) 및 증발기(4)의 과열을 검출하는 온도 휴즈(11)를 통하고, 상기 타이머(12)의 타측단자와 함께 제상 히터(7)를 다시 통해 전원단자(B)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상장치의 제상회로는 전원단자(A)(B)에 전원(AC)이 인가된 상태에서 설정된 제상시간이 아닐 경우에 타이머 스위치(TS)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R1)에 접속되고,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 서머스탯(9)이 접속된다.
그러면, 전원(AC)이 서머스탯(9) 및 타이머 스위치(TS)를 통해 압축기(8)에 인가되므로 압축기(8)가 구동되고, 압축기(8)의 구동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기(4)에서 냉기를 발생하여 냉동실(2)로 유입 및 설정 온도로 낮추게 된다.
그리고 서머스탯(9)을 통한 전원(AC)이 타이머(12)및 제상 히터(7)를 다시 통해 흐르는 것으로서 타이머(12)가 구동되어 압축기(8)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이 때 제상 히터(7)에도 전원(AC)이 공급되나. 제상 히터(7)와 타이머(12)가 직렬 연결되어 타이머(12)만 동작하고, 제상 히터(7)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써머스탯(9)이 개방되고, 이로 인하여 전원(AC)이 차단되어 압축기(8)가 정지되고, 타이머(12)의 카운트 동작이 정지된다. 냉동실(2)의 온도에 따라 압축기(8)의 구동이 제어되고, 압축기(8)의 구동시간을 타이머(12)가 카운트하는 상태에서 압축기(8)의 구동시간이 타이머(12)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되면, 타이머(12)의 동작에 따라 타이머 스위치(TS)의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R2)에 접속된다.
그러면, 전원(AC)이 써머스탯(9), 타이머 스위치(TS), 온도 스위치(10) 및 온도 휴즈(11)를 통해 제상 히터(7)에 인가되므로 제상 히터(7)가 발열되어 증발기(4)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이 때, 타이머(12)의 양단자에는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것으로서 타이머(12)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증발기(4)에 발생된 성에가 모두 제거되고, 증발기(4)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스위치(10)가 개방되면, 전원(AC)이 써머스탯(9), 타이머(12) 및 제상 히터(7)를 통해 흐르게 된다.
그러면, 타이머(12)가 구동되어 시간을 카운트하고, 타이머(12)에 설정된 소정의 휴지시간 즉, 증발기(4)의 성에가 모두 제거되어 드레인으로 배출되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타이머 스위치(TS)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R1)에 접속되면서 압축기(8)가 구동되어 냉동실(2)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하로 낮추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제상장치는 증발기의 성에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타이머에 설정된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상 히터(7)를 동작시켜 제상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증발기에 발생된 성에가 적을 경우에도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경과되어 제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 인하여 필요없이 많은 전력이 소모됨은 물론 고내 온도의 상승을 유발시켜 저장하고 있는 식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설정된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증발기에 발생된 성에가 많을 경우에 이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 압축기와,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시키면서 냉기를 공급하므로 압축기 및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되고, 또한 냉기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저장하고 있는 식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의 순환을 위하여 작동되는 팬의 전면부에 풍압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팬의 회전에 따른 냉기의 풍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풍압에 따라 증발기의 제상 시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상장치는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팬의 전면부에 팬의 회전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압에 의해 왕복 작동되는 누름 부재와, 누름 부재의 위치 및 작동을 한정 및/또는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와, 누름 부재가 일측 선단에 결합되어 연동시킴과 동시에 시소 작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 부재 및 누름 부재에 접촉 지지되고 팬의 회전에 따른 냉기의 풍압이 설정 값 이하일 경우에 동작하여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상 제어회로는 압축기 및 팬과 제상 히터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증발기의 성에 발생으로 인한 팬의 풍압 감소를 검출하여 제상 시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시작 검출 수단과, 제상 종료를 검출하여 제상 종료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종료 검출 수단과, 제상 시작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상 종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제상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압축기 및 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에 구비된 제상장치의 제어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상장치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상장치에 따라 냉장고에 설치된 풍압 감지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상 제어회로도,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제상 제어회로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냉동실
3 : 냉장실 4 : 증발기
5 : 팬 6 : 모터
7 : 제상히터 8 : 압축기
9 : 써머스탯 10 : 온도스위치
11 : 온도 휴즈 20 : 풍압 감지수단
22 : 누름부재 22a, 22b : 홈
24 : 가이브 부재 26 : 회동 부재
26a : 삽입공 30 : 스위칭 수단
32 : 마이크로 스위치 32a : 돌출 레버
40 : 제상 시작 검출 수단 50 : 제상 종료 검출 수단
60 : 구동 수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상장치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상장치에 따라 냉장고에 설치된 풍압 감지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도면 중 본 발명의 제상장치가 채용되는 냉장고의 기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상장치는 본체(1)의 냉동실(2)의 후면부에 설치된 팬(5)의 전면부 즉, 냉동실(2)의 후면 격벽(1a)에는 팬(5)의 회전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압을 감지하는 풍압 감지 수단(2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풍압 감지 수단(20)은 누름부재(22), 가이드 부재(24) 및 회동 부재(26) 등으로 결합 구성된다.
상기 풍압 감지 수단(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2)는, 평판 형상으로 되고, 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가이드 부재(24)가 삽입될 수 있는 홈(22a)(22b)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회동부재(26)의 일측 선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는 제 1 결합부(22c)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4)는, 냉동실(2)의 후면 격벽(1a)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누름 부재(22)의 홈(22a)(22b)에 직교하도록 삽입되어 누름 부재(22)의 위치 및 작동을 한정 및/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 부재(26)는, 길이가 긴 판상으로 된 것으로 삽입공(26a)이 관통형성되고, 이 삽입공(26a)에 하나의 가이드 부재(24)가 삽입됨과 아울러 일측단부가 상기 누름 부재(22)의 제 1 결합부(22c)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격벽(1a)에 고정된 지지 부재(28)에 힌지 결합되어 시소 작동될 수 있는 제 2 결합부(26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부재(26)의 타측 상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32)의 돌출 레버(32a)가 탄성 접촉되어 회동 부재(26)의 시소 작동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32)가 온 및 오프되면서 제상 히터(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상장치는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압축기(8)가 구동 및 냉매를 압축하고, 증발기(4)에서 냉기를 발생하며, 모터(6)가 구동되어 팬(5)이 회전하면서 상기 증발기(4)의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 및 냉동실(2)로 유입된다.
이 때, 증발기(4)에 성에가 없을 경우에는 팬(5)의 회전에 따라 많은 냉기가 토출되어 정상적인 풍압으로 된다.
그러면, 팬(5)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풍압 감지 수단(20)의 누름 부재(22)에 정상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가이드 부재(24)에서 왕복 운동되는 누름 부재(22)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는 회동 부재(26)는 시소 작동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2)의 돌출 레버(32a)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스위치(32)가 오프되고, 후술하는 제상회로에 의해 제상 히터(7)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여 제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기중의 수분 및 음식물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증발기(4)에 착상되어 성에가 발생됨에 따라 팬(5)의 회전에 따른 풍압이 감소되어 냉기의 풍압이 낮아지게 되고, 풍압감지 수단(20)의 누름 부재(22)에 가해지던 압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증발기(4)에 소정 이상의 성에가 발생하여 풍압이 설정값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풍압에 의한 상기 누름 부재(22)의 압축력이 마이크로 스위치(32)의 돌출 레버(32a)의 탄발력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부재(26)는 상술한 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시소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 부재(22)가 팬(5) 방향으로 이완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32)의 돌출 레버(32a)도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32)는 스위칭 온되고, 후술하는 제상회로에 의해 제상 히터(7)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상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상 제어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상 제어회로는 스위칭 수단(30), 제상 시작 검출 수단(40), 제상 종료 검출 수단(50) 및 구동 수단(60)을 구비한다.
제상 히터(7)는, 제상 히터(7)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 휴즈(11)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30)은, 후술하는 릴레이(R)의 구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2)로서 압축기(8)와 모터(6)의 병렬 접속점에 연결되는 일측 고정단자(N1)와, 상기 제상 히터(7)에 전원(AC)을 공급하기 위한 타측 고정단자(N2)와, 전원(AC)이 써머스탯(9)을 통해 인가되는 가동단자(NO)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수단(30)은, 냉동실(2)로 냉기를 공급하는 평상시에는 릴레이(R)가 구동되지 않고, 가동단자(NO)가 일측 고정단자(NI)에 접속되어 압축기(8)와 모터(6)에 전원(AC)이 인가되도록 하고, 제상 동작을 할 경우에는 가동단자(NO)가 타측 고정단자(N2)에 접속되어 압축기(8)와 모터(6)에 전원(AC)이 차단되고, 제상 히터(7)로 전원(AC)이 인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상 시작 검출 수단(40)은, 증발기(4)에 발생된 성에로 인한 팬(5)의 풍압 감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2)와, 마이크로 스위치(32)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타이머(T2)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타이머(T2)는, 마이크로 스위치(32)가 온될 경우에 전원(AC)이 공급되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t2)을 지연시킨 후 제 2 타이머 스위치(ST2)를 턴온시키고, 전원(AC)이 차단될 경우에 제 2 타이머 스위치(ST2)를 턴 오프시킨다.
여기서, 제 2 타이머(T2)의 지연 시간(t2)은 마이크로 스위치(M)가 순간적으로 온될 경우에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2)가 제 2 타이머(T2)의 설정 시간(t2) 이상 계속 온될 경우에 제상 시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상 종료 검출 수단(50)은, 상기 증발기(4)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상히터(7)에 전원(AC)을 공급 및 차단하는 온도 스위치(10)와, 상기 온도 스위치(10)가 오프될 경우에 동작하는 제 1 타이머(T1)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타이머(T1)는,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접속 상태로 유지하다가 제상 히터(7)의 발열에 의한 증발기(4)의 온도 상승으로 온도 스위치(10)가 턴 오프될 경우에 전원(AC)이 공급되어 동작을 시작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될 경우에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개방시키며, 제 1 타이머 스위치(ST1)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t3)이 경과될 경우에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다시 접속시킨다.
여기서,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턴 오프시키는 소정의 시간(t1)은 제상동작을 수행하여 증발기(4)의 성에를 제거한 제상수가 모두 드레인으로 배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구동 수단(60)은, 자기 유지 접점 특성으로 연결되는 릴레이(R)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R)는, 제 2 타이머 스위치(ST2), 제 1 릴레이 스위치(R1) 및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원(AC)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제 1 릴레이 스위치(R1)를 개방시키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를 타측 고정단자(N2)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가 타측 고정단자(N2)에 접속됨에 따라 전원(AC)이 제 2 릴레이 스위치(R2) 및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통해 릴레이(R)에 계속 공급되어 릴레이(R)는 계속 구동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60)은 제상 종료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 타이머 스위치(ST1)가 턴 오프될 경우에 전원(AC)이 차단되면서 릴레이(R)의 구동이 정지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R1)는 다시 접속되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인 스위칭 수단(30)은 가동 단자(NO)가 타측 고정단자(N2)와 개방되면서 일측 고정단자(N1)에 다시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상 제어회로는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이상으로 높아 써머스탯(9)이 접속될 경우에 전원(AC)이 써머스탯(9) 및 스위칭 수단(30)의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와 일측 고정단자(N1)를 순차적으로 통해 모터(6) 및 압축기(8)에 인가된다.
그러면, 압축기(8)가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고, 증발기(4)가 냉기를 발생하며, 모터(7)가 구동되어 팬(5)이 회전하면서 증발기(4)의 냉기를 냉동실(2)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동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낮아져 써머스탯(9)이 개방될 경우에 전원(AC)이 차단되어 모터(6) 및 압축기(8)가 정지되고, 냉기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증발기(4)에 많은 성에가 발생하고, 팬(5)의 구동에 따른 냉기의 풍압이 낮아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32)가 접속되면, 전원(AC)이 써머스탯(9) 및 마이크로 스위치(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타이머(T2)에 인가되므로 제 2 타이머(T2)가 구동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2 타이머(T2)가 구동되고, 제 2 타이머(T2)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t2)이 경과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이머 스위치(ST2)가 접속되므로 전원(AC)이 써머스탯(9), 제 2 타이머 스위치(ST2), 제 1 릴레이 스위치(R1) 및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순차적으로 통해 릴레이(R)에 인가되므로 릴레이(R)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된다.
상기 릴레이(R)가 구동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R1)가 개방됨과 아울러 스위칭 수단(30)의 제 2 릴레이 스위치(R2)가 절환되어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NO)가 일측 고정단자(N1)와 개방되고, 타측 고정단자(N2)에 접속된다.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가 일측 고정단자(N1)와 개방됨에 따라 도 6g 및 도 6h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8) 및 모터(6)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지 못하여 동작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가 타측 고정단자(N2)와 접속됨에 따라 전원(AC) 이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 및 타측 고정단자(N2)와 제 1 타이머 스위치(ST1)를 순차적으로 통해 릴레이(R)에 인가되므로 릴레이(R)는 자기 접점을 이루면서 계속 구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가 타측 고정단자(N2)와 접속됨에 따라 전원(AC)이 써머스탯(9),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 타측 고정단자(N2), 온도 스위치(10) 및 온도 휴즈(11)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상 히터(7)에 인가되므로 제상 히터(7)가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되어 증발기(4)의 성에를 제거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제 1 타이머(T1)의 양단자에는 동일 전위가 인가되는 것으로서 제 1 타이머(T1)는 동작하지 않아 제 1 타이머 스위치(ST1)가 계속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증발기(4)의 성에가 모두 제거되고, 증발기(4)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스위치(10)가 개방되면,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히터(7)에 전원 (AC)가 인가되지 못하여 제상 동작이 정지되고, 전원(AC)이 써머스탯(9),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 타측 고정단자(N2), 제 1 타이머 스위치(ST1), 제 1 타이머(T1), 온도 휴즈(11) 및 제상 히터(7)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제 1 타이머(T1)가 구동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 1 타이머(T1)가 구동되고, 제 1 타이머(T1)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이머 스위치(ST1)가 개방되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R)가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제 1 릴레이 스위치(R1)가 접속됨과 아울러 스위칭 수단(30)의 제 2 릴레이 스위치(R2)가 절환되어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NO)가 일측 고정단자(N1)에 접속되고, 타측 고정단자(N2)와 개방된다.
그리고 제 2 릴레이 스위치(R2)의 가동단자(NO)가 일측 고정단자(N1)에 접속됨에 따라 도 6g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8) 및 모터(6)가 구동되어 냉동실(2)로 냉기를 공급하게 되고, 모터(6)의 구동에 따라 팬(5)이 회전하면서 토출하는 냉기의 풍압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32)가 다시 개방되고, 제 2 타이머(T2)가 정지되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이머 스위치(ST2)가 개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팬이 회전하면서 토출하는 냉기의 풍압으로 증발기에 소정 양 이상의 성에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소정 양 이상의 성에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될 경우에 자동으로 제상 동작을 수행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것으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억제하고, 고내의 온도를 항상 적절하게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냉장고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냉기를 생성하도록 배설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고내에 순환시키도록 배설된 팬 및 모터,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히터 및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팬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팬의 회전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압에 의해 왕복 작동되는 누름 부재; 상기 누름 부재의 위치 및 작동을 한정 및/또는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누름 부재가 일측 선단에 경합되어 연동시킴과 동시에 시소 작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 부재; 및 상기 누름 부재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팬의 회전에 따른 냉기의 풍압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 동작하여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저면 양측으로 가이드 부재가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가이드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돌출 레버가 회동 부재의 타측 상면에 탄성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돌출 레버의 선단 접촉부가 회동 부재의 작동에 따라 압축될 경우에 오프되고, 압축되지 않을 경우에 온되어 제상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6. 제상 히터; 압축기 및 팬과 상기 제상 히터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 증발기의 성에 발생으로 인한 팬의 풍압 감소를 검출하여 제상 시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시작 검출 수단; 제상 종료를 검출하여 제상 종료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상 종료 검출 수단; 상기 제상 시작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상 종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상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제상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압축기 및 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압축기 및 팬에 연결된 일측 고정단자; 상기 제상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타측 고정단자;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일측 고정단자 및 타측 고정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압축기 및 팬과 상기 제상 히터가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가동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시작 검출 수단은; 증발기에 발생된 성에로 인한 팬의 풍압 감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팬의 풍압 감소를 검출할 경우에 상기 구동 수단이 구동되게 하는 제 2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머는; 전원이 공급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 2 타이머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종료 검출 수단은; 제상 히터의 전류 공급 패스 상에 개재된 온도 스위치; 및 상기 온도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1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머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제 1 타이머 스위치를 접속 상태로 유지하고 전원이 공급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 1 타이머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제 2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타이머 스위치;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타이머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고 자기 접점을 유지하여 계속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 제어회로.
KR1019950052903A 1995-12-20 1995-12-20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KR017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903A KR0175437B1 (ko) 1995-12-20 1995-12-20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903A KR0175437B1 (ko) 1995-12-20 1995-12-20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95A KR970047595A (ko) 1997-07-26
KR0175437B1 true KR0175437B1 (ko) 1999-03-20

Family

ID=1944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903A KR0175437B1 (ko) 1995-12-20 1995-12-20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489B1 (ko) * 1999-08-19 2005-11-02 김정산 냉장고의 제상 장치
KR101414138B1 (ko) * 2013-01-30 2014-07-02 주식회사 새롬하이텍 쇼케이스 및 증발기 결빙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489B1 (ko) * 1999-08-19 2005-11-02 김정산 냉장고의 제상 장치
KR101414138B1 (ko) * 2013-01-30 2014-07-02 주식회사 새롬하이텍 쇼케이스 및 증발기 결빙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95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682B1 (ko) 냉장고
KR100341234B1 (ko) 냉장고
EP2354736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6014865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flow of air between an evaporator and a cooling compartment
KR870001533B1 (ko) 냉장고
EP3540342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EP354034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0175437B1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그 제어 회로
KR100208334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5743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048497B2 (ja) 冷蔵庫
KR100286033B1 (ko) 냉장고 및 그 습도제어방법
JP2002206840A (ja) 冷蔵庫
KR100216955B1 (ko) 압축기를 이용한 냉장고의 제상장치
JP3640368B2 (ja) 冷蔵庫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冷蔵庫
KR1999001001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97680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제상 제어방법
KR100194149B1 (ko) 기계식 냉각작동 제어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냉각작동 제어방법
KR880003852Y1 (ko) 냉동냉장고
KR100254410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및 제상장치
KR100222952B1 (ko) 독립냉각방식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KR012738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시 냉각팬정지지연회로
KR100360853B1 (ko) 냉장고의냉기누설방지방법
KR1002083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KR200317858Y1 (ko) 그릴팬히터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