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219B1 -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219B1
KR0175219B1 KR1019960041585A KR19960041585A KR0175219B1 KR 0175219 B1 KR0175219 B1 KR 0175219B1 KR 1019960041585 A KR1019960041585 A KR 1019960041585A KR 19960041585 A KR19960041585 A KR 19960041585A KR 0175219 B1 KR0175219 B1 KR 017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roove
filtration filter
reversible screw
reversib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426A (ko
Inventor
박영재
박상일
최경빈
하영진
박기호
고창복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손영목
재단법인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목, 재단법인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손영목
Priority to KR101996004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21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립자형 고형분을 함유한 유체에서 고형분을 분리하는 여과필터의 청소하는 수단으로서 역세척유에 의하여 여과필터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 배출시키는 역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역전가능한 스크류를 제작하여 모우터가 한 방향으로 계속회전할때 역전가능한스크류에 연결 설치된 배출유도관에 연결시킨 흡입관은 역전가능한 스크류에 의하여 우회전과 좌회전을 교호로 하면서 상, 하 이동되게 하므로서 여과필터의 세척을 균일하게 하면서도 역세척유체를 최소화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2도는 본발명의 요부발취 일부절개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요부작송상태 일부절개단면도.
제4도는 본발명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발취 단면도.
본발명은 미립자형 고형분을 함유한 유체에서 고형분을 분리하는 여과필터의 청소하는 수단으로서 역세척유에 의하여 여과필터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역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과필터에 부착되는 미립자형 고형분을 어떠한 수단으로 제거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서 현재까지의 수단은 여과필터의 필터링된 반대쪽으로 부터 재흡입시켜 고형분을 제거하는 수단이 가장 확실하고 효율적인것으로 되어있으나 재흡입되는 면적을 작게하여 배출유량을 적게하고 있어 필터의 전체면적을골고루 제거하는데는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여과필터를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하여 한개씩 재역류시키거나 실린더를 사용하여 흡입파이프를 서서히 올리거나 내리면서 이를 적당한 방법으로 돌림으로서 나선식으로 전체면적을 세척하는 수단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세척수단은 유체실린더를 역전시키고 파이프를 돌리는등 복잡한 구조의 장치와 실린더역전을 위한 솔레노이드 벨브등의 장치가 필요하므로 가격이 고가이고 고장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역전가능한스크류를 제작하여 모우터가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때 역전가능한스크류에 연결설치된 흡입파이프는 스크류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되게 하므로서 흡입이 확실하여 여과필터의 세척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역세척유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원통형 외동체(1)의 내상부에 큰 입자를 분리시키는 원통형 1차 여과필터(2)를 설치한 하부에 원통형주여과 필터(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원통형외동체(1)의 상부중앙에 설치된 동력전달 회전축(4)에 종으로 수개의 안내홈(5)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4)에 상,하 이동할수있게 끼워진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서 안내홈(5)에 끼워지게 핀(7)을 고정설치하고 배출유도관(6)의 중앙부에는 원통형주여과 필터(3)의 상, 하로 여백이 있도록 만곡흡인관(8)(8a)과 평행흡입관(8b)을 설치하여 주여과필터(3)의 내주에 근접되게 하며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는 외주로 역전가능스크류홈(9) 형성된 원통(10)을 끼워 외동체(1)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그 외주에는 안내통(11)을 끼워 하단을 배출유도관(6)에 고정시키고 안내통(11)상단에 고정시킨 지지편(12)에는 핀(13)을 박아 호형안내편(14)을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9)에 끼운다.
또다른 예로서는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 역전가능스크류홈(9a)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형(10a)을 끼워 외동체(1) 상부에 고정시키고 배출유도관(6)의 내상부에 핀(13a)을 박아 호형안내편(14a)을 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9a)에 끼울수도 있다.
그리고 배출유도관(6)의 하부에는 외동체(1)의 하부중앙에 설치한 배출관(6a)을 끼워설치 하여서된 것이다.
여기에서 역전가능스크류홈(9)(9a)은 원통의 외주나 내주에 좌회전스크류홈과 우회전스크류홈을 같은 피치로 형성하여 상, 하단에서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역전이 가능케한다.
미설명부호15는 모우터, 16은 공급구, 17은 배출구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발명은 고형분을 함유한 유체는 원통형 외동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16)를 통하여 공급되어 원통형 1차 여과필터(2)에서 입자가 큰 고형분을 분리시키고 이 여과필터(2)를 통과한 유체는 원통형 주여과필터(3)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에서 여과된 유체는 배출구(1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주여과 필터(3)의 내주에 부착된 고형분은 배출유도관(6)에 연관설치한 만곡흡입관(8)(8a)과 평행흡입관(8b)으로 역류흡입되어 배출유도관(6)을 통하여 배출관(6a)으로 배출하게된다.
이때 배출유도관(6)은 원통형 외동체(1)의 상부중앙에 설치된 동력전달회전축(4)에 종으로 수개의 안내홈(5)을 형성하여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서 안내홈(5)에 끼워지게 핀(7)을 고정설치하고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는 역전가능스크류(9)가 외주에 형성된 원통(10)을 끼워 외동체(1)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그 외주에는 안내통(11)을 끼워 하단을 배출유도관(6)에 고정시키고 안내통(11)상단에 고정시킨 지지편(12)에는 핀(13)을 박아 호형안내편(14)을 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9)에 끼웠기 때문에 모우터(15)에 의하여 회전축(4)이 일방향으로 계속회전할때 역전가능스크류홈(9)에 끼워진 호형안내편(14)이 역전가능스크류홈(9)을 따라 좌회전과 우회전을 교호로 하면서 상, 하 이동하게 되므로 배출유도관(6)도 따라서 좌회전과 우회전을 교호로 하면서 상, 하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배출유도관(6)에 연관 설치한 만곡흡입관(8)(8a)과 평행흡입관(8b)이 주여과 필터(3)의 내주에 부착된 고형분은 역세척유와 같이 흡입되어 배출유도관(6)으로 유도되고 이와같이 유도된 고형물을 함유함 역세척 유체는 배출관(6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다른 예로서는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 역전가능스크류홈(9a)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10a)을 끼워 외동체(1) 상부에 고정시키고 배출유도관(6)의 상부에 호형안내편(14a)을 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9a)에 끼운 경우에도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유도관(6)이 호형안내편(14)(14a)에 의하여 회전방향을 바꾸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 하로 이동하게되는 것은 호형안내편(14)(14a)이 역전가능스크류홈(9)(9a)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역전가능스크류홈(9)(9a)에서 최하단까지 내려가게되면 호형안내편(14)(14a)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홈을 따라 올라가게된다.
이와같은 운동을 반복하게되므로 원통형 주여과필터(3)내주를 X자 방향으로 세척하게되므로 세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흡입관(8)(8a)(8b)를 이용하여 세척하게되므로 역세척유체의 량도 적게 필요로 한다.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된 도면에서는 좌회전과 우회전을 교호로하는 배출유도관(6)에 3개의 흡입관으로 흡입세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으나 주여과필터(3)의 크기에 따라 흡입관의 숫자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첨부된 예시도면에서와 같이 역전가능스크류홈의 제작을 1열 스크류홈을 사용할수도 있지만 피치가 너무 작으면 X자상으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방향이 어긋날 우려가 있기때문에 피치를 조금 더 크게하기 위해서는 스크류홈을 2열 또는 4열로 형성하여 교차각을 크게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여과 필터가 소형인 경우에는 2열 또는 4열 스크류홈이 적합하고 대형인경우에는 스크류홈을 크게하여도 무관하므로 이 경우에는 1열 스크류홈으로 충분하다.
또한 본발명의 장치를 소랑제작할 경우에는 기계적 가공 즉 선반가공으로 해야하므로 스크류홈을 원통의 외부에 가공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대량생산할 경우에는 금형등을 이용하여 원통내부에 스크류홈을 형성하는 것이 제작이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한다.
이와같이 제작된 본발명의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는 물뿐아니라 오일 또는 가스등의 기체에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고온의 경우 스텐레스로 제작된 금망등을 이용하여 여과필터를구성할 경우 백필터등에도 본발명의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형분 배출 및 유체의 공급방향등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여과필터의 역세척을 균일하고 깨끗하게 할수있는 동시에 역세척유체를 최소화 시킬수 있으며 여과과정중에 역세척을 계속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여과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5)

  1. 원통형 외동체의 내부에 큰 입자를 분리시키는 1차 여과필터를 설치한 하부에 주여과필터를 설치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외동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동력전달축에 종으로 수개의 안내홈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에 상, 하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배출유도관의 상부에서 안내홈에 끼워지게 핀을 고정설치하고 배출유도관의 중앙부에는 주여과 필터의 상, 하로 여백이 있도록 수개의 흡입관을 설치하여 주여과 필터의 내주에 근접되게 하며 배출유도관의 상부에는 역전가능스크류홈이 형성된 원통을 끼워 외동체 상부에 고정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에 의하여 배출유도관이 좌회전과 우회전을 하면서 상, 하이동되게 하여서된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유도관의 상부에 외주로 역전가능스크류홈이 형성된 원통을 외동체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그 외주에는 안내통을 끼워 하단을 배출유도관에 고정시키고 안내통 상단에 고정시킨 지지편에 핀을 박아 이에 호형안내편을 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에 끼워서 된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출유도관의 상부에 역전가능스크류홈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을 끼워 외동체 상부에 고정시키고 배출유도관의 내상부에 핀을 박아 호형안내편을 유동되게 설치하여 역전가능스크류홈에 끼워서 된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하여금 역세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역전가능스크류홈은 원통의 외주나 내주에 좌회전스크류홈과 우회전스크류홈을 형성하여 상, 하에서 서로 연결되게 구성한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5. 제1항내지 제4항에서 역전가능스크류홈은 원통의 외주나 내주에 다중 자회전스크류홈과 다중 우회전스크류홈을 형성하여 상, 하에서 서로 연결되게 구성한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KR1019960041585A 1996-09-23 1996-09-23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KR0175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585A KR0175219B1 (ko) 1996-09-23 1996-09-23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585A KR0175219B1 (ko) 1996-09-23 1996-09-23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426A KR19980022426A (ko) 1998-07-06
KR0175219B1 true KR0175219B1 (ko) 1999-02-18

Family

ID=1947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585A KR0175219B1 (ko) 1996-09-23 1996-09-23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32A3 (ko) * 2008-11-28 2010-07-29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171B1 (ko) * 2002-06-05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역세척이 가능한 스케일을 포함한 냉각수 필터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32A3 (ko) * 2008-11-28 2010-07-29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426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697B2 (ja) フィルタ装置
JP3839074B2 (ja) 逆流洗浄式フィルタ
KR100752406B1 (ko) 여과 장치
US4818402A (en) Self cleaning strainer
KR0121732B1 (ko) 고액분리장치
EP1785178B1 (en) Method for cleaning a filtering system and a filtering system having cleaning capabilities.
US4734188A (en) Filter for hot melt adhesive
KR0175219B1 (ko) 역전가능스크류홈을 이용한 여과필터의 역세척장치
US3286843A (en) Self-cleaning filter
US5139670A (en) Rotating drum filter
KR101499781B1 (ko) 오토 스트레이너
CN1235660C (zh) 反冲洗网式过滤器
DE19718502A1 (de) Einrichtung zur Schlammentwässerung
KR101473429B1 (ko) 선택적 역세정이 가능한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어셈블리
HU213988B (en) Filter for liquids
JP6964866B2 (ja) 連続ろ過装置
KR20030024518A (ko) 산업용 스트레이너
WO1984004293A1 (en) A device for purification of liquid media such as waste water
KR19990014551A (ko) 자동여과장치
KR101745340B1 (ko) 유체 필터 장치
KR200171118Y1 (ko) 자동 여과장치
US20070029244A1 (en) Filter element
RU2096067C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JPH05253414A (ja) 上・下水浄化装置用濾過装置
RU2124382C1 (ru)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