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822B1 - 즉석 미역죽 - Google Patents

즉석 미역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822B1
KR0174822B1 KR1019900013772A KR900013772A KR0174822B1 KR 0174822 B1 KR0174822 B1 KR 0174822B1 KR 1019900013772 A KR1019900013772 A KR 1019900013772A KR 900013772 A KR900013772 A KR 900013772A KR 0174822 B1 KR0174822 B1 KR 017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seaweed
instant
por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918A (ko
Inventor
최준봉
김호
김주봉
장용익
Original Assignee
김정순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1990001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822B1/ko
Publication of KR92000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함량이 낮아 장기 저장이 용이하고, 복원시간이 빠르고 우수하며, 쌀의 점도가 있어 조직감이 좋으며, 미리 조미가 되어있어 뜨거운 물만 부어 5분 이내에 양념이나 부재료의 첨가없이 먹을 수 있는 음식물인 즉석 미역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즉석 미역죽은 팽화찹쌀, 팽화일반미, F/D미역, F/D당근, F/D파, 깨, 소금, 화학조미료를 혼합하여 만든다.

Description

즉석 미역죽
본 발명은 즉석 미역죽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수분함량이 낮아 장기 저장이 용이하고, 복원 시간이 빠르고, 외관이 우수하여 쌀의 점도가 있어 조직감이 좋으며, 미리 조미가 되어 있어 뜨거운 물만 부어 5분 이내에 양념이나 부재료의 첨가없이 먹을 수 있는 즉석 미역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식생활에서 편의성, 즉석성, 건강성 및 기능성을 중시하고 있는 바 쌀가공품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쌀 생산량의 증대와 쌀소비의 감소로 인하여 즉석성과 편의성을 갖는 즉석 미반 또는 즉석죽에 대하여 다각적인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즉석 미반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특허 출원공고 66-883, 82-2772, 한국특허 출원공개 87-7661, 86-6215, 88-17425등이 있으며, 일본특허공개 82-4322등으로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즉석죽에 대하여도 한국특허 출원공개89-4626, 85-2216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제품은 그 제조법이 압출성형기를 이용한 것으로 투자비가 비싸거나 조리시 복원이 잘 되지 않고, 또한 조리시간이 길며 따로 재료를 첨가하거나 간을 맞추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46-21770은 쌀을 증숙후 압편한 것으로, 조리시간이 길고 외관이 나쁘며 조직감 및 재조리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코자 노력한 결과, 투자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복원시간이 빠르고, 외관이 우수하며, 조직감이 좋아 누구라도 쉽게 섭취가능하고 ,미리 조미가 되어있어 뜨거운 물만 부어 5분 이내에 먹을 수 있는 즉석죽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팽화 후에 복원이 빠르며 복원시 높은 점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지닌 찹쌀 또는 일반쌀을 원료로 침지 탈수한 후 증자하고 이를 2~3일간 밀폐, 저온 숙성하여 낱알을 분리한 다음 압연하고, 이를 열매체 튀김기를 이용하여 건조 팽화한 다음 팽화찹쌀 대 팽화일반미의 3:7~6:4 혼합미 65~83중량%와 동결건조한 (F/D)미역 9~15중량%, F/D 당근 2~7중량%, F/D 파 1~4중량%, 깨 0.2~3 중량%, 그리고 소금 2~7중량% 및 화학조미료 2~7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즉석 미역죽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품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팽화미의 제조공정]
찹쌀 또는 일반미를 수세, 침지한 후 탈수하여 증자한 다음 2~3일간 5℃의 저온으로 숙성하고 이를 낱알분리한다. 낱알분리 후 롤러를 이용하여 압연한 다음 10~18%로 건조시킨다. 이를 열매체 튀김기로 제품의 수분함량을 5~10%가 되게 한 후 팽화시킨다.
[제2공정 : 건조해물 및 야채의 제조]
미역을 침지, 절단, 조미 가열한 우 물을 버리고 미역만 동결 건조하여 수분 2~8%의 F/D(동결건조)미역을 얻는다. 당근, 파등의 야채를 세절한 뒤 조미하고 가열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F/D 야채를 얻는다.
[제3공정 : 혼합공정]
팽화된 찹쌀, 일반미, F/D미역, F/D당근, F/D파, 깨, 소금, 화학조미료를 일정비율로 섞고 혼합한다. 혼합시에는 팽화찹쌀 대 팽화일반미의 비를 3:7~6:4 정도로 조정한다. 다음은 팽화 찹쌀과 팽화일반미의 비율에 따른 관능검사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kpo00001
관능평가 : 5점 척도법(1. 매우 나쁘다. 3. 보통이다. 5.매우좋다.)
평가인원 : 30명
이상의 공정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수분함량이 낮아 장기 저장이 용이하고, 복원시간이 빠르고, 쌀알이 살아있어 외관이 우수하며 쌀의 점도가 있어 조직감이 좋아 누구라도 쉽게 섭취가능하고, 미리 조미가 되어 있어 뜨거운 물만 부어 5분 이내에 먹을 수 있는 즉석죽으로 야외식, 병원식, 간식, 비상식 등으로 이용하기에 쉽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미역죽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 찹쌀과 일반미를 수세후 1시간 침지하고, 수분 32%에서 가압증자하여 5℃에서 48시간 숙성시킨 후 낱알분리한다.
롤러를 이용하여 찹쌀은 두께 0.47㎜, 일반미는 0.84㎜로 압연한 다음 수분16.2%로 되게 건조시킨다. 이를 열매체 튀김기에서 200~210℃ 범위로 처리하여 수분이 찹쌀은 5.4%, 일반미는 8.7%로 팽화시킨다.
2) 미역을 침지 후 3㎝이내 크기로 자른 뒤 소금 및 화학조미료를 각각 0.4중량% 첨가하고, 물을 가하여 20분간 가열처리 후 동결건조시킨다.
당근 및 파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동결건조품을 얻는다.
3) 팽화찹쌀 15g, 팽화일반미 35g, 동결건조 미역7g, F/D당근 3g, F/D파 1g, 깨0.5g, 소금 2g, 화학조미료 2g을 혼합하여 제품을 만든다.
[실시예 2~5]
표 2와 같이 조성물의 함량을 달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2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을 숙련된 관능검사요원 3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3
관능검사 : 5점 평점법
검사인원 : 30명
상기의 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즉석죽은 조리의 편이성 및 조직감과 맛에 있어서 집에서 제조한 것과 같은 좋은 품질로서 소비자에게 이용되기 쉬운 제품으로 판명되었다.

Claims (1)

  1. 열매체 튀김기에서 수분함량이 5~10%되게 팽화시킨 팽화찹쌀 대 팽화일반미의 3:7~6:4 혼합미 65~83중량%와, 냉동건조한 F/D미역 9~15중량%, F/D당근 2~7중량%, F/D파 1~4중량%, 깨 0.2~3중량%, 소금 2~7중량%, 화학조미료 2~7중량%로 구성된 즉석 미역죽의 조성물.
KR1019900013772A 1990-09-01 1990-09-01 즉석 미역죽 KR017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772A KR0174822B1 (ko) 1990-09-01 1990-09-01 즉석 미역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772A KR0174822B1 (ko) 1990-09-01 1990-09-01 즉석 미역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18A KR920005918A (ko) 1992-04-27
KR0174822B1 true KR0174822B1 (ko) 1999-02-18

Family

ID=1930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772A KR0174822B1 (ko) 1990-09-01 1990-09-01 즉석 미역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26B1 (ko) 2015-02-17 2015-12-30 최복이 쇠고기미역죽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26B1 (ko) 2015-02-17 2015-12-30 최복이 쇠고기미역죽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18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4286A (zh) 非油炸薯片生产配方及加工技术
KR101387413B1 (ko)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930007536B1 (ko) 차거나 뜨거운 수성액으로 복원 가능한 건조식품 생산물의 제조방법
WO2014203991A1 (ja) 冷凍調理済み麺類の製造方法
KR100971525B1 (ko) 황태채가 포함된 김치양념 및 이를 이용한 황태김치
JPH0445769A (ja) 野菜含有スナック食品の製造方法
KR101511987B1 (ko) 돼지감자 발효액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US20100098813A1 (en) Food product made from dehydrated prickly pear cactus
KR0174822B1 (ko) 즉석 미역죽
KR102177569B1 (ko) 냉동 김말이 튀김 및 이의 제조방법
US7014879B1 (en) Quick cook dehydrated vegetables
DE69907549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twässertem Gemüse, das schnell wiederhergestellt werden kann
KR100445169B1 (ko) 조미곤약 젤리포의 제조방법
EP0411327A2 (en) Pasta preparation
KR102014996B1 (ko) 김밥의 제조방법
KR101971910B1 (ko) 구운 고구마를 이용한 고구마칩의 제조 방법
KR100728523B1 (ko) 만두피의 냄새 제거용 조성물, 그 조성물로 제조된 만두피및 만두
KR20070034142A (ko) 사과 포
KR100479396B1 (ko) 우거지 피클의 제조방법
GB2150007A (en) Dehydrated food product
KR101893329B1 (ko) 다즙성이 우수한 만두의 제조 방법
JP6345302B1 (ja) 小豆あん入りもち米ヨモギ餅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431395A (zh) 南荻笋速冻水饺及其制作方法
KR0182861B1 (ko) 즉석수제비의 제조방법
KR20190071084A (ko)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이용한 즉석떡국용 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