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735B1 -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735B1
KR0174735B1 KR1019950701288A KR19950701288A KR0174735B1 KR 0174735 B1 KR0174735 B1 KR 0174735B1 KR 1019950701288 A KR1019950701288 A KR 1019950701288A KR 19950701288 A KR19950701288 A KR 19950701288A KR 0174735 B1 KR0174735 B1 KR 017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kpa
gas
gauge pressure
gas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456A (ko
Inventor
엘레르브록 노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라르스 브로르센
티알더블유 레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르스 브로르센, 티알더블유 레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르스 브로르센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4/00272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05296A1/de
Publication of KR9507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은 수개의 봉재된 직물 부분을 구비한다. 그러나, 모든 직물 부분은 섬유 밀도와 필라멘트 연사에 관하여 동일한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가스백의 가스 투과율 곡선은 약 10㎪의 게이지 압력까지 내부 게이지 압력의 작용으로 약 0.4 내지 약 1.0m3/s 사이의 수치까지 증가하고, 약 10㎪ 내지 약 20㎪의 게이지 압력치 사이에서 더욱 증가하고, 최대치에 도달한 후 약 20㎪ 내지 적어도 약 40㎪의 게이지 압력 이상에서 감소한다. 이러한 형태의 가스 투과율 곡선은 가스백의 강성이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압력 생성의 초기 단계동안 낮은 강성을 제공하고, 높은 충격 강도의 경우에 가스백을 통한 침투가 증가된 강성에 의하여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제1도는 동적 조건하에서의 이상적인 가스백의 가스 투과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2도는 비교적 조밀한 유형의 직물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제3도는 비교적 가스가 투과할 수 있는 유형의 직물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비부하 상태에서 그리고 장력 상태하에서 상이한 직조 방법(weave)과 굴곡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는 가스백의 벽을 통과하는 전체 가스 유동을 게이지 압력의 함수로써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상적인 가스백의 경우, 가스 투과율 곡선은 제1도에서 상부 곡선(Gmax)과 하부 곡선(Gmin)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두 개의 곡선은 이상적인 가스백의 가스 투과율 곡선이 위치하는 회랑 영역(corridor)을 형성한다. 제1도에 도시된 곡선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가스백이 전개될 때, 게이지 압력은 그 내부에서 생성되며, 급격한 증가에 의하여 가스백은 천분의 수초내에 완전히 전개된다. 소위 이러한 충전 시간은 가스백의 크기에 달려 있으며 약 20 내지 35㎳에 이른다. 가스백의 내부 게이지 압력은 차량 탑승자가 가스백에 충돌할 때 최고에 이른다. 가스백의 유효 강성은 특정 경우에 내부 게이지 압력의 함수로써 바깥 둘레부 또는 벽의 가스 투과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게이지 압력이 축적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가스백은 가벼운 충격의 경우에 부상을 입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프트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게이지 압력이 높게 되면, 예를 들면 탑승자가 좌석 벨트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충격은 강력할 수 있다. 탑승자가 가스백에 충돌하여 그것을 관통하지 않도록, 가스백은 강성이 있어야 한다. 게이지 압력 대 가스 투과율의 함수를 선택함으로써,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백의 그 요구되는 자기 조절 반응(自己調節反應)이 달성된다. 곡선 Gmax와 Gmin사이의 가스 투과율 곡선의 최적 형태에 있어서, 여러 가지 파라미터, 특히 차량 종류, 가스 발생기, 가스백의 크기 및 형상, 존재하는 온도가 결정 요인이다.
전체로서 가스백의 이상적 가스 투과율 곡선은 코팅되지 않은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스백의 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발견되었으며, 이것은 종래 관행에 따르지 않은 것이다. 종래에는, 가스백용 직물의 적합성이 500㎩의 일정하게 미리 규정된 압력차에 대하여 정적(靜的)으로 결정된 가스 투과율에 근거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직물을 통과하는 가스 유량은 이러한 압력차의 일차 함수인 것으로 예상된다. 압력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가스 투과율은 영을 지나는 직선으로 제1도에 도시된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고, 제1도의 곡선 Gmax와 Gmin사이에 위치하는 이상적 가스 투과율 곡선은 다음과 같이 규정될 수 있다.
a) 게이지 압력이 약 10㎪에 도달할 때까지 가스 투과율은 약 0.4 내지 약 1.0m3/s 사이의 수치까지 증가한다.
b) 게이지 압력이 약 10㎪ 내지 약 20㎪ 사이에서 가스 투과율은 감소하기 전 최대까지 증가한다.
c) 게이지 압력이 약 20㎪ 내지 적어도 약 40㎪ 이상이면, 가스 투과율에 있어서 상당한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20㎪ 이상 그리고 적어도 약 40㎪ 까지의 게이지 압력의 범위에서, 가스 투과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투과율 곡선은 약 20㎪ 이상의 게이지 압력치에서 변곡점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스 투과율은 10㎪의 게이지 압력까지 과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필요로 하는 가스 투과율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직물은 종래 직조 방법(weave)의 파라미터를 신중히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직물의 가스 투과율이 동적(動的)으로 결정되고 팽창된 가스백에 존재하는 장력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가스백의 팽창과 압축의 진행 과정은 약 100 내지 150㎳의 시간내에 완료되기 때문에, 직물의 가스 투과율을 실험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비교할 수 있는 시간내에 발생하는 게이지 압력치에 도달하는 압력 펄스로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가스백이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부분에서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가스 투과율 곡선의 형태는 가스백의 다른 부분에서의 직물에 의하여 주로 얻어져야 한다. 가스백이 상이한 직물 부분으로 구성되면,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은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제1도에 도시된 가스 투과율 곡선은 사용되는 두가지 유형의 직물이 각각 갖는, 면적당 비례적으로 가중된, 가스 투과율 곡선의 총합이다.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은 기밀(氣密)이 바람직하고, 즉 그 가스 투과율은 적어도 약 10㎪ 이상을 초과하고 적어도 약 40㎪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약 100㎳의 지속 시간에 걸쳐 한쪽만으로 압력을 받을 때 겨우 비실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그것은 주목할 만한 정도로 완전히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코팅되지 않은 직물에 있어서, 그 가스 투과율이 500㎩의 압력차를 갖는 정압 적용에 대하여 12ℓ/min·dm2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18ℓ/min·dm2에 이르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직물의 가스 투과율 곡선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곡선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내부 게이지 압력이 약 20㎪까지 증가하면, 가스 투과율은 최대 약 0.4㎥/s 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며, 약 30㎪의 내부 게이지 압력치 이상에서는 더 이상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비교적 낮은 값으로 유지하게 된다.
가스 투과율이 비교적 높은 다른 유형의 직물에 대한 가스 투과율 곡선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곡선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내부 게이지 압력이 약 10㎪까지 증가하면, 가스 투과율은 약 0.3 내지 약 0.8㎥/s의 수치까지 증가한다. 약 10㎪ 내지 약 20㎪의 게이지 압력치 사이에서, 가스 투과율은 더욱 증가하여, 최대치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한다. 내부 게이지 압력이 적어도 약 20㎪ 내지 약 40㎪ 이상에서, 가스 투과율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균일하게 감소한다.
두 개의 가스 투과율 곡선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나, 레벨이 상이하다.
코팅되지 않은 직물에 대해 원하는 형태의 가스 투과율 곡선을 얻기 위하여, 특히 섬유 밀도, 섬유 종류(중합체 및 수축 특성), 직조 방법, 굴곡 및 피니싱과 같은 파라미터가 신중히 선택된다. 상이한 직물 부분의 가스 투과율 특성이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직물의 상이한 부분으로 가스백을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섬유 밀도와 직조 방법에 관하여 동일한 유형의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스 투과율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파라미터로는 직조 방법의 종류와 굴곡이 있다. 따라서, 직물을 강화하기 위하여 씨실 부사(浮絲)와 날실 부사를 갖는 직조 방법을 각각의 부사 다음의 섬유의 평직 연결부를 갖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섬유로 연장시킴으로써, 직물의 인접 교차점에서의 공극율, 즉 공기 투과율은 섬유 밀도가 동일하면서도 증가될 수 있다. 내부 게이지 압력의 증가에 의하여 신장 장력이 발생하면, 공극율은 직물 구조의 스트레칭에 기인하여 증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사 섬유 교차점에서 필라멘트 위치의 확장용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내부 게이지 압력이 더욱 증가하면, 가스 투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날실과 씨실간의 모든 장력비, 즉 1 대 1, 2 대 1 또는 1 대 2에서, 직물이 동일한 가스 특성을 가지면, 동일한 섬유 굴곡 및 동일한 섬유 바인딩, 따라서 날실과 씨실 방향으로 동일한 구조적 신장이 존재하도록 직조 방법을 설계한다. 가스백의 상이한 직물 부분에서는 날실과 씨실 직경은 가스 투과율에 관하여 어떠한 실질적인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형상에 기인하여 팽창 상태에서 가스백은 날실과 씨실에 대하여 1 대 1과 상이한 장력비를 갖고 있는 직물 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장력비가 가스 투과율에 영향을 끼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날실과 씨실 방향으로 직조 방법과 굴곡을 신중히 변화시킬 수 있다.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내부 가스백 압력의 증가에 의한 직물 폐쇄 효과를 도시한다. 제4a도는 비부하 상태에서 부사가 없이 평직 직물을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날실 섬유는 참조 부호 10으로 지시되고, 씨실 섬유는 참조부호 12로 지시된다. 씨실 섬유의 굴곡에 주목하여야 한다. 씨실 방향으로의 신장 장력하에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감소될 수 있으며, 날실과 씨실단부(10, 12)는 상호 밀어 넣어져 있어서, 섬유의 교차점에서의 공극율이 감소되도록 편평하게 된다. 직물을 통과하는 유효 유동 단면적은 가스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도록 축소된다.
동일한 효과가 제4c도 및 제4d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c도는 씨실 섬유(12)가 각각의 경우에 비부하 상태에서 두 개의 날실 단부(10)위로 연장하는 부사를 갖는 직물 유형을 도시한다. 제4d도는 씨실 단부(12)의 방향으로의 신장 장력하에서 동일한 유형의 직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gas bag for restrainig system), 특히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의 가스 투과율이 차량 탑승자로부터 먼 적어도 하나의 직물 부분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복수개의 코팅되지 않은 직물 부분들로 재봉된 벽을 구비하는 가스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가스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직물(fabric)에 관한 것이다.
가스백에 의하여 발휘될 수 있는 보호 작용은 특히 팽창 상태에서의 강성에 의존한다. 소프트 가스백은 강력한 전방 충돌 상태로 부딪히지 않거나 또는 육중한 탑승객의 충격이 없는 한 부상을 입을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탑승객이 가스백에 충돌할 때, 그 체적은 감소하게 되므로,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그 결과 가스백의 강성이 동시에 증가한다. 그러나, 종래 가스백의 경우에 있어서 내부 게이지 압력이 증가하면, 가스가 배출구 또는 가스백의 가스 투과성 벽 부분을 통과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효과가 상당히 약화된다. 지금까지의 지배적인 견해에 따르면, 배출구 또는 가스 투과성 직물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은 본질적으로 내부 게이지 압력과 일차 함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백의 강성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충격 강도, 차량 탑승자의 중량 또는 온도 종속형 가스 발생기의 성능과 같은 관련 파라미터의 폭 넓은 범위내에서 최적의 보호 작용에 필요한 값을 갖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스백의 자기 조절 반응(自己調節反應)은 내부 게이지 압력에 종속하는 방식으로 벽의 가스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획득된다. 가스백의 전체 벽을 통과하는 가스 유량을 게이지 압력의 함수로서 나타내는 가스 투과율 곡선을 종래 개념과는 실질적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이것에 따르면, 가스 투과율는 내부 게이지 압력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실제로, 가스 투과율은 약 20㎪ 정도에서 최대가 되며, 그 이상부터는 균일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백의 전체 벽의 가스 투과율은, 게이지 압력이 약 10㎪ 이하이면, 약 0.4 내지 약 1.0m3/s 수치까지 증가한다. 게이지 압력이 약 10㎪ 내지 20㎪ 레벨 사이이면, 가스 투과율은 더욱 증가하여 최대가 되며, 그 이상부터는 다시 감소한다. 게이지 압력이 약 20㎪ 내지 적어도 약 40㎪ 이상이면, 가스 투과율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뚜렷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형태의 가스 투과율 곡선에 따르면, 가스백은 게이지 압력 생성의 초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소프트하므로, 가벼운 충격 경우에 부상을 입을 위험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높은 게이지 압력 레벨에서, 예를들면, 차량 탑승자가 좌석 벨트를 착용하고 있지 않으면, 강력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가스백의 가스 투과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기 때문에, 가스백은 필요하고 실질적인 강성을 소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따르면, 가스백을 구성하는 모든 직물 부분은 섬유 밀도와 필라멘트사(filament yarn)에 관해서 동일한 종류의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직물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구조 강도를 가지며, 직물 부분간의 동일한 솔기(seam) 이음부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가스 투과율이 상이한 직물 부분용으로 동일한 종류의 직물을 사용하는 것은 큰 장점이다. 가스 투과 값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직물 부분의 경우에 동일한 유형의 직물이 적절할 수 있다는 점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이다. 한편, 소정의 직물이 갖는 가스 투과율은 씨실 또는 날실 방향으로 상당한 크기의 장력(strain)의 존재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거의 원통형 가스백의 경우에 있어서, 단지 형상에 기초하여 축방향으로 보다 주변 방향으로 장력은 두배가 될 수 있다. 씨실과 날실이 축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원주 방향으로 배향되면, 날실과 씨실 방향으로의 장력치(張力値)에 관하여 1대 2의 장력비가 존재할 필요가 있다.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 즉 거의 원통형 가스백의 바깥 둘레부에 대해서, 설계자는 가스 투과율이 낮게 설정될 수 있도록 날실과 씨실의 배향도(配向度)를 선택할 수 있다. 가스 투과율이 상당히 높아야 하는 다른 직물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에도 가스백의 형상에 기인하여 1대 1의 장력비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날실과 씨실 배향도는 중요하지 않다. 거의 원통형 가스백의 경우에, 이것은 측면 부분이며, 풍선 또는 쿠션형 가스백의 경우에, 전체에 걸쳐 근사치로서 1대 1의 장력이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백 벽의 가스 투과율은 뚜렷한 동적 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가스백 직물의 가스 투과율은 500㎩의 일정한 압력차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스백 보호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그것과 유사한 동적 조건(動的條件)하에서 코팅되지 않은 가스백 직물의 가스 투과율이 일정한 압력차에서 수행된 측정에 근거하여 예견되는 레벨과 현저하게 다르다고 하는 또 다른 개념에 근거한다. 따라서, 가스백 직물의 가스 투과율의 측정에 있어서, 가스백 보호 시스템의 작동중에 발휘되는 동적 조건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직물 부분에 있어서, 팽창된 가스백의 형태에 기인한 장력 분포에 의존하여 팽창된 가스백의 직물 부분에서의 날실과 씨실의 배향도는 각각의 직물 부분에 대하여 실제로 예견되는 압력차의 편차에 대해 소정의 가스 투과율이 설정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완전히 동일한 종류의 직물을 사용하여, 가스백의 다른 직물 부분에 서로 상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반복 가능한 가스 투과율을 부여할 수 있다.
코팅되지 않은 가스백 직물의 가스 투과율을 동력학적으로 연구하는 도중에, 특히 약 ㎪에서의 최대 가스 투과율 이상에서 공지 기술에 기초하여 예견되는 것과 상당히 상이한 방식으로 직물이 결집하기 때문에, 직조방법(weave) 및 섬유 교차점에서의 기복과 같은 종래 제작상의 파라미터를 변화시켜 이상적인 작동에 매우 유사한 가스 투과율 곡선 형태가 얻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파라미터를 신중히 변화시켜, 가스 투과율에 관하여 소정의 작용을 갖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백 제조를 위하여 두가지 유형의 직물을 제공한다.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용으로써 비교적 기밀하여야 하는 제1 유형의 직물의 가스 투과율은, 게이지 압력이 약 20㎪이하이면, 최대 약 0.4m3/s 까지 증가하며, 그 후 다시 감소하여 약 30㎪의 게이지 압력 이상에서 실질적으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용인 제2 유형의 직물의 가스 투과율은 게이지 압력이 약 10㎪까지 증가하면, 약 0.3 내지 약 0.8m3/s 까지 증가하고, 게이지 압력이 약 10㎪ 내지 약 20㎪ 사이이면 더욱 증가하여, 최고에 도달한 다음, 다시 감소하며, 게이지 압력이 약 20㎪ 내지 적어도 약 40㎪ 이상이면,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균일하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백의 전체 가스 투과율은 이러한 두 유형의 직물이 갖는 면적당 비례적으로 가중되는 두 개의 가스 투과율 곡선의 합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의 가스 투과율이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 부분의 가스 투과율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코팅되지 않은 직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부분이 서로 재봉되어 있는 벽을 구비하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에 있어서, 벽 전체의 가스 투과율은, a) 게이지 압력이 10㎪ 이하이면, 0.4 내지 1.0㎥/s 까지 증가하고, b) 게이지 압력이 10㎪ 내지 20㎪이면, 최대로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하고, c) 게이지 압력이 20㎪ 내지 4㎪ 이상이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가스 투과율은 20㎪ 이상의 게이지 압력에서 40㎪ 까지의 범위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율 대 내부 게이지 압력 곡선은 20㎪ 이상에서 변곡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직물 부분은 섬유 밀도와 필라멘트사에 관하여 동일한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가스백의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으로 사용하기 위한 직물에 있어서, 가스 투과율은 게이지 압력이 20㎪이하이면 최대 0.4㎥/s까지 상승한 후, 다시 감소하며 30㎪의 게이지 압력 이상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백의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6. 제5항에 있어서, 가스 투과율 대 내부 게이지 압력 곡선은 20㎪ 이상에서 변곡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백의 차량 탑승자를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가스백에서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으로 사용하기 위한 직물에 있어서, 가스 투과율은, a) 게이지 압력이 10㎪ 이하이면 0.3 내지 0.8㎥/s까지 증가하고, b) 게이지 압력이 10㎪ 내지 20㎪이면, 최대로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하고, c) 게이지 압력이 20㎪ 내지 40㎪ 이상이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백의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율은 20㎪ 이상의 게이지 압력에서 40㎪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날실과 씨실 방향으로 동일한 굴곡과 동일한 직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10. 제7항에 있어서, 날실 부사(浮絲)와 씨실 부사가 적어도 두 끝단위로 연장하며, 각각의 부사는 평직에 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직물 부분용 직물.
KR1019950701288A 1992-11-27 1994-08-16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KR0174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39978 1992-11-27
DEP4327649.0 1993-08-17
DE4327649A DE4327649A1 (de) 1992-11-27 1993-08-17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und Gewebe zu seiner Herstellung
PCT/EP1994/002722 WO1995005296A1 (de) 1993-08-17 1994-08-16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und gewebe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456A KR950703456A (ko) 1995-09-20
KR0174735B1 true KR0174735B1 (ko) 1999-02-18

Family

ID=647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288A KR0174735B1 (ko) 1992-11-27 1994-08-16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28625A1 (ko)
KR (1) KR0174735B1 (ko)
DE (1) DE4327649A1 (ko)
PL (1) PL174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759B1 (en) * 1997-04-17 2001-12-11 Milliken & Company Air bag fabric possessing improved packed volume and stable air permeability
DE102009019638A1 (de) * 2009-04-30 2010-11-18 Global Safety Textiles Gmbh Gewebe, insbesondere für einen Luftsa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5719D1 (de) * 1991-04-15 1996-04-25 Hoechst Ag Gewebe für einen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74615B1 (pl) 1998-08-31
EP0728625A1 (de) 1996-08-28
DE4327649A1 (de) 1994-06-01
KR950703456A (ko) 199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878A (en)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ing system and fabric for its production
US5607183A (en) Air bag provided with reinforcing belts
US5093163A (en) Uncoated fabric for airbags
US5704402A (en) Air bag fabric
US5236775A (en) Fabric for airbag
US3953640A (en) Self-shaping woven inflatable belt and method of production
CN1258454C (zh) 织制面状形体及由此制成的气囊和气带
JP2012525508A (ja) 特にエアバッグのための織物
KR20140010441A (ko) 일체형 직조 에어백
US5662354A (en) Gas bag for a restraining system in vehicles and a fabric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090314378A1 (en) Airbag Fabric
US9738995B2 (en) Air-bag fabrics
EP0988408A1 (en) Fabric for airbag
KR100541510B1 (ko) 언코트 에어백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0174735B1 (ko) 차량의 보호 시스템용 가스백 및 그 제조용 직물
JP2017519125A (ja) エアバッグ用ポリエステル布地の製造方法
EP0687596B1 (en) Air bag
JPH07186856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JP2003171845A (ja) エアバッグ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