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473B1 -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473B1
KR0172473B1 KR1019950045374A KR19950045374A KR0172473B1 KR 0172473 B1 KR0172473 B1 KR 0172473B1 KR 1019950045374 A KR1019950045374 A KR 1019950045374A KR 19950045374 A KR19950045374 A KR 19950045374A KR 0172473 B1 KR0172473 B1 KR 017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vulcanizing agent
wast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524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101995004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473B1/ko
Publication of KR97002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성된 보도블럭에 있어서, 페타이어분말 100중량부, 라텍스바인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성형, 가공시킨 하층부와, 하층부위에 페에틸렌프로필렌 고무분말 100중량부, 안료 1-3중량부, 라텍스바이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성형, 가공시킨 상층부로 구성되며, 상층부와 하층부와 두께의 비는 1:1.5-2의 비율로 이루어진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표면을 코팅처리한 결과 내충격, 내마모, 내후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제1도는 일반적인 폐타이어의 재활용 방안 체계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보도블럭의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가황제의 영향을 비교한 그라프이다.
제7도 내지 제11도는 코팅제의 영향을 비교한 그라피이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급격한 증가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폐타이어 처리라는 환경적 문제를 동반하게되였는바, 정부에서도 폐타이어를 폐기물 예치금 부과품목으로 지정하는 등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실효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의 폐타이어 처리방법은 매립, 소각 및 재활용으로 크게 구분되나 매립에 의한 처리 방법은 매립지부족, 환경오염 및 지역주민의 기피등으로 매립지확보에 한계가 있을뿐만아니라 토양의 균열과 침해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소각처리에 의한 에너지 활용법이 강구되어었으나 이또한 시설비의 부담과 대기오염의 문제가 뒤따른다. 따라서 재활용의 방안이 최상의 방법이라는 것은 논할 여지가 없으나 이에 따른 경제성문제 및 기술개발의 부진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환경부분에서 문제가 되면서도 늘어만가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제조, 제공하므로써 체육시설 및 공공 시설등에 보급하여 환경문제 해결과 동시에 국민보건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적으로, 연도별 폐타이어의 발생량 및 그 처리현황을 표 1에 기재하였고, 일반적인 폐타이어의 재활용방안 체계도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종래의 보도블럭은 무기재료의 보도블럭으로 깨어지기 쉽고 균열이 잘 일어나 미관상 좋지 않았고 중량관계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무기재료에 의한 보도블럭에 비해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도블럭이 인체의 피로도 감소와 마모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폐타이어를 이용한 경량골재에 대한 기술이 특허문헌(공개특허 제94-11390호)에 소개되어 있는바, 이는 폐타이어를 일정크기로 잘게 파쇄한 폐타이어 조각표면에 시멘트분말을 코팅, 양생시킨 경량골재로서 농업용 수로 구조물, 통신공사용 구조물등의 콘트리트시공시 사용되는 골재에 관한 것이다.
한편, 합성플라스틱 수지재로 제작된 판재를 접착제로 바닥에 부착시키는 바닥장식제가 알려져 있는가 하면, 폐타이어를 분쇄한 분쇄물에 접착제를 90-95%:10-5%의 비율로 가하고 혼합한후 열풍을 가하여 결합요홈을 갖도록한 직사각형태의 내습성, 내기후성,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체육관, 수영장, 조깅로 실치용 보도블럭이 실용화되어 있다(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중, 신영삼).
또한, 실내 장식용 고무재 매트의 제조방법으로서, 폐타이어가 고무제품 생산찌거기를 분쇄하여 1.5~3.5mm와 1.5mm 이하를 갖는 원료를 35-60:60~35%로 하여 혼합기에 투입하고 전체 재료에 대하여 잉크를 90-95:10~5%로 하여 회전, 착색시키고 착색재료에 대해 다황고무접착제를 85-95:15-5%회전, 흡착시키고, 열풍기류로서 성형 제조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공고 제95-173호 참조).
그러나, 이는 상하 전체가 균질한 형태의 매트를 얻을수 있는 것이어서 충격성, 내후성이나 내부식성 및 장기간경과시 색상변상 등에 문제가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폐타이어의 분말 및 가공화벙법은, 폐타이어의 상온롤로분쇄, 상온분쇄 및 저온분쇄로 분쇄되며, 상온롤러 분쇄되며, 상온롤러 분쇄는 주로 재생고무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입도는 #30체(0.59mm)로부터 #12체(1.69mm)까지 분쇄할수 있는 방법이고, 상온분쇄는 50mm이하로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자력선별기로서 철분을 분리처리한 뒤 2차분쇄로서 분말화하는 방법인데, 이와 같은 상온분쇄방법들은 분쇄기와 폐타이어와의 마찰로 인하여 물성저하 문제가 되어 최근에는 저온분쇄방법이 고안되었는바, 이 방법은 액체질소를 사용하여 분쇄시 발열을 억제하여 물성저하우려를 감소시킨 방법으로서 입도가 #40체(0.295mm)로부터 #100체(0.149mm)에 이르기 까지 분말화가 가능하며, 현재 국내에서는 외국기술의 도입을 생각중이며 국내 연구진에 의하여 액체질소 및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한 저온분쇄방법이 연구중이다.
이와 같이 폐타이어는 분말화하여 각종 고무제품이나 건축자재, 고무아스팔트, 브레이크 라이닝에 사용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보도블럭, 스포츠센타트랙, 테니스코트등에 사용되고 있다.(이덕수, 최재성, 폐타이어의 효율과 그 전망, pp 60~65; 김진광,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아스팔트 포장, 타이어고무, pp 10~19, 1990; K. Nishimura, Paper of Korean-Japanes Rubber technology Symposium, Recycling of used Tires in Japan, 24-33, 1992).
본 발명은 공지의 방법으로 분쇄시킨 폐타이어 분말을 원료로하여 햇빛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고 충격성,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보도블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보도블럭은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성된 보도블럭에 있어서, 폐타이어분말 100중량부, 라텍스바인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서형, 가공시킨 하층부와, 하층부 위에 폐에틸렌프로필렌 고무분말 100중량부, 안료 1-3중량부, 라텍스바이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성형, 가공시킨 상층부로 구성된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이다.
특히, 상층부와 하층부의 두께의 비는 1:1.5-2의 비율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텍스바인더에는 가황촉진제, 분산제 또는 점증제등의 가황보조제를 2-5중량부 추가로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이 결합능 및 마모성등에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분말은 EPDM고무가공시 생기는 불량품의 고무를 수집한 것으로 예를들면 신발가공 공장등에서 수집할 수 있고, 라텍스는 24456호를 주로 사용하며, 안료는 산화철(붉은색) 또는 통상의 회색과 황색의 안료를 배합하여 녹색을 갖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분산제로는 스테아린산이 사용가능하며, 가황제로는 유황을 사용할수 있고, 가황촉진제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MTD) 및 산화아연(ZnO)을 사용할수 있으며, 통상의 점증제를 가할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라텍스바인더는 폴리 우레탄에 비해 접착력은 약하나 가격면에서 매우 저렴(약1/4가격)하여 제조원가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고가의 우레탄(Urethan)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이형이 형성될수 있는 결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라텍스바인더의 경우는 이와같은 이형성은 전무한 특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도블럭은 마감처리로서 표면을 코팅처리하는 것이 마모율, 경도면에서 유리하며, 이 경우 2액형 무광 또는 2액형 유광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혼합기에 폐타이어 분말 100중량부, 라텍스바인더(24456호) 10중량부 및 가황제 3중량부를 가한후 1500~2,000rpm에서 2-5분간 혼합균질화시킨후, 몰드에 넣고 가열시켜 보도블럭의 하층부를 구성한다.
이어서, 또 다른 혼합기에 안료인 산화철 2중량부가 혼합된 EPDM 고무분말 100중량부, 라텍스바인더 10중량부 및 가황제 5중량부를 가한후, 1,500-2,000rpm에서 2-5분간 혼합균질화시킨후, 하층부를 구성한 상기 몰드에 넣고 가열시켜 상층부를 성형가공하여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을 얻는다.
본 제품은 공업진흥청에서 고시한재생고무블럭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라텍스바인더를 5.0중량부로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라텍스바인더를 15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라텍스바인더를 20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0.1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0.3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0.5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1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1.5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2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2.5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4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4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제를 7중량부 사용하여 고무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촉진제, 분산제 또는 점증제등의 가황보조제를 전혀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보조제를 0.5중량부 사용하여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보조제를 1중량부 사용하여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보조제를 1.5중량부 사용하여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보조제를 2중량부 사용하여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가황보조제를 3중량부 사용하여 보도블럭을 얻었다.
[실험예 1]
[가황제의 영향]
가교제로서 1,1-di tert.butylperoxy-3,3,5-trimethylcyclohexane과 황을 사용하여 가교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가교제로 상기 과산화물을 사용할 경우, SBR latex와 CaCO1.3phr의 혼합물 10phr과 과산화물을 고무분말에 혼합하여 경화시켰다. 그리고 황으로 가교시킬 경우, SBR latex 10phr과 황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고무분말과 혼합하여 경화시켰다.
가교제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보면, 과산화물의 경우 1.5phr이 첨가되었을 때 최대치를 보이고 다시 감소하였고, 황의 경우 2-3phr이 첨가시 최대치를 나타낸 뒤 감소하였고 노화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 또한 과산화물을 첨가할 경우보다 황을 첨가하였을 경우의 인장강도가 향상되었다.(제3도 참조)
인장응력은 과산화물과 황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많은 가교로 분자사슬의 유동성(mobility)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노화에 의해 경화되어 인장응력이 약간 증가함을 볼수 있었다(제4도 참조). 마찬가지의 이유로 신율의 경우에도 인장강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과산화물의 경우, 1.5phr첨가되었을 때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황의 경우, 1phr정도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그리고 노화에 의해 신율이 약간 감소하였다(제5도 참조). 경도는 과산화물과 황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노화후의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제6도 참조).
[실험예 2]
[코팅제의 영향]
앞의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조건하에거 20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한 뒤 한쪽 표면을 분사코팅(spray coating)의 방법으로 코팅처리하여 반발탄성, 마모율, 경도를 조사하여 코팅에 의한 영향과 코팅제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코팅제로는 2액형 무광, 2액형 유광, 1액형 우레탄 코팅제를 사용하였다.
코팅제의 종류와 코팅유무에 따른 반발탄성을 비교하여 보면 코팅을 하지 않은 면의 반말탄성(rebound index)이 코팅한 면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제7도 및 제8도 참조), 1액형 코팅제의 경우에는 코팅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었다(제9도 참조). 코팅에 의한 반발탄성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지만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할수 있다.
코팅제의 종류에 따른 마모율을 비교하기 위해서 코팅제에 따른 코팅유무에 대한 마모체적을 구하고 1액형 유광 코팅제를 사용한 경우의 코팅되지 않은 면의 마모체적을 기준으로하여 상대적인 마모율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코팅에 의해 마모율이 감소함을 보이며 1액형 유광코팅제의 마모율이 가장 높고 2액형 유광, 2액형 무광의 순서로 마모율이 감소하고 있었다. 특히 2액형 무광코팅제의 경우, 1액형 유광코팅제에 비해 절반이하의 마모율을 나타나고 있다. 또한 2액형 유광코팅제의 경우에는 코팅에 의한 마모율의 감소정도가 2.4%정도로 다른 코팅제에 의한 코팅제에 의한 마모율의 감소가 10%정도인데 비해 낮게 나타나 코팅에 의한 마모저항의 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코팅에 의해 표면의 마모정도가 감소하므로 코팅제가 표면에 대한 보호막으로서 작용함을 볼수 있었다. 그리고 2액형 무광코팅제의 경우에 마모에 대한 저항이 가장 큼을 알수 있었다(제10도 참조).
경도는 2액형 무광 코팅을 하였을 때 코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8point정도 증가하였고 2액형 유광코팅제와 1액형 유광코팅제는 가각 5point씩 증가하였다(제11도 참조).

Claims (3)

  1.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성된 보도블럭에 있어서, 폐타이어분말 100중량부, 라텍스바인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함유하는 보도블럭하층부와, 폐에틸렌프로필렌 고무분말 100중량부, 안료 1-3중량부, 라텍스바인더 5-20중량부 및 가황제 2-7중량부를 함유하는 보도블럭 상층부로 구성되며, 상층부와 하층부의 두께의 비는 1:1.5-2의 비율로 이루어진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바인더에 가황촉진제, 분산제 또는 점증제를 2-5중량부 추가료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고무보도블럭의 표면에 코팅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KR1019950045374A 1995-11-30 1995-11-30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KR017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374A KR0172473B1 (ko) 1995-11-30 1995-11-30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374A KR0172473B1 (ko) 1995-11-30 1995-11-30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24A KR970027524A (ko) 1997-06-24
KR0172473B1 true KR0172473B1 (ko) 1999-02-18

Family

ID=1943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374A KR0172473B1 (ko) 1995-11-30 1995-11-30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885B1 (ko) * 2000-09-01 2003-07-28 김인중 폐타이어를 이용한 투수용 블럭
KR100501940B1 (ko) * 2002-09-12 2005-07-19 김용관 폐타이어 파쇄입자를 이용한 보도블록과 그 성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611A (ko) * 2000-12-27 2001-03-05 김진국 폐고무를 이용한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431887B1 (ko) * 2001-06-27 2004-05-17 김진국 이중 고무 보도블럭
KR100434574B1 (ko) * 2001-11-16 2004-06-05 김진국 폐플라스틱 재이용 이중 보도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885B1 (ko) * 2000-09-01 2003-07-28 김인중 폐타이어를 이용한 투수용 블럭
KR100501940B1 (ko) * 2002-09-12 2005-07-19 김용관 폐타이어 파쇄입자를 이용한 보도블록과 그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2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8539A (en) Precast surface paving overlay comprising rubber crumbs and clay particles
CN105860172B (zh) 一种耐磨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40211130A1 (en) High traction flooring laminate
CN108193578B (zh) 混合型塑胶跑道及其施工方法
KR102020039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N1129636C (zh) 纳米材料改性橡胶弹性体制作塑胶跑道场地的方法
CN109736167A (zh) Stp单组分湿固化无溶剂聚氨酯健身步道
KR0172473B1 (ko) 폐타이어 재활용 고무보도블럭
US20040030053A1 (en) Processes for production of surface-modified rubbers
US20110278757A1 (en) Unitary mat for playgrounds and the lik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N1218992C (zh) 复合橡胶跑道及其加工方法
CN1329119A (zh) 一种新型三元乙丙胶及其生产工艺
KR100729749B1 (ko) 폐고무재를 이용한 탄성 포장재용 고무칩과 이의 제조방법
KR100431887B1 (ko) 이중 고무 보도블럭
CN106867232A (zh) 利用造纸胶辊剩料制备优质体育橡胶跑道的方法
CN114702266A (zh) 一种高胶沥青超薄磨耗层及其施工方法
KR101578041B1 (ko) 친환경 폴리우레탄 칩을 이용한 탄성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1193598B1 (ko) 인조잔디구장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7524067B (zh) 一种sbs弹性体环保型跑道
US6200638B1 (en) Shock hardened flooring
US1967904A (en) Rubber surfacing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CN107513919B (zh) 一种使用热塑性弹性体材料制备的跑道
KR100465231B1 (ko) 2액형 폴리우레탄 탄성 칩 제조공법 및 탄성층 포장재시공방법
KR101855086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100434574B1 (ko) 폐플라스틱 재이용 이중 보도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