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076B1 -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76B1
KR0172076B1 KR1019960003711A KR19960003711A KR0172076B1 KR 0172076 B1 KR0172076 B1 KR 0172076B1 KR 1019960003711 A KR1019960003711 A KR 1019960003711A KR 19960003711 A KR19960003711 A KR 19960003711A KR 0172076 B1 KR0172076 B1 KR 017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user
wake
microproces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137A (ko
Inventor
전대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76B1/ko
Publication of KR97006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2Arrangements for calling a subscriber at a specific time, e.g. morning call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화기의 시계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상의 시간을 지정하거나, 전화국의 기상 콜서비스를 받도록 하면, 정한 시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음성IC에 저장된 음성이 들리도록하거나 전화국으로 부터의 콜 신호가 들리도록 하여 잠에서 깨도록하는 동시에, 구동부를 통하여 가전제품에 동작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라디오의 음악소리, TV의 텔레비젼 방송소리 들을 들으면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잠에서 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시계부 14 : 비교부
15 : 음성IC 16 : 구동부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의 알람이나 전화국으로부터의 기상 콜신호에 의하여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연동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기상할 수 있는 동시에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라하면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화선을 통하여 먼곳에 까지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빠른 송·수신에 의해 직접 통화가 가능하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전화기에 알람기능을 설치하거나 전화국으로부터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콜신호를 전달 받도록하여 가입자가 늦게 일어나거나, 약속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였다.
즉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화선(L1),(L2)으로 부터 입력되는 링신호를 직류성분으로 변환시키는 제1브릿지회로(1)와, 전화선(L1),(L2)을 통하여 음성에 의한 전기신호를 전달해 주면서 직류성분을 교류성분으로 변환하거나 교류성분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제2브릿지회로(2)와,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후크오프 할때 온되는 후크키이, 사용자가 온후크 다이얼링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온후크 다이얼키이,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이, 사용자가 전체 다이얼링을 재차시도하기 위한 재다이얼키이, *키이 및 #키이, 알람이나 기상 콜신호를 중지시키기 위한 리세트키이 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이입력부(3)와, 상기 키이입력부(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상기 제1브릿지회로(1)로부터 직류성분을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에 따라 톤링거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6)를 통해 링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톤링거회로(5)와, 사용자의 다이얼링에 대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톤/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톤/펄스발생회로(7)와, 사용자의 키이입력부(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화로를 형성하는 선로제어부(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송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또는 상기의 톤/펄스발생회로(7)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측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스피치회로(9)와, 상기의 스피치회로(9)를 통한 수신측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6)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증폭회로(10)와,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나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의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중에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 메모리(11)들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에 의하여서는, 사용자가 전화의 통화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화국의 기상 콜(Wake up Call)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전화기의 알람이나 전화국의 콜신호 의해 기상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반면에, 알람이나 콜신호가 정한 시간 동안만 울린 후 동작을 멈추게 되므로 자칫 기상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간에 전화국으로부터 송출되는 기상 콜신호나 전화기의 알람신호에 의해 가전제품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음성IC를 동작시키도록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기상할 수 있도록한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하여 원하는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전화기에 있어서, 현재의 시간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비교하여 동일한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하는 비교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러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도록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내장한 상태에서 오디오 증폭회로로 출력하는 음성IC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가정 내의 가전제품으로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들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상시간에 전화 벨소리, 기상을 위한 음성, 또는 가전제품으로 부터 출력되는 음악소리를 들으면서 보다 쉽게 기상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기한 것이다.
전화선(L1),(L2)으로 부터 입력되는 링신호를 직류성분으로 변환시키는 제1브릿지회로(1)와, 전화선(L1),(L2)을 통하여 음성에 의한 전기신호를 전달해 주면서 직류성분을 교류성분으로 변환하거나 교류성분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제2브릿지회로(2)와,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후크오프할 때 온되는 후크키이, 사용자가 온후크 다이얼링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온후크 다이얼키이,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이, 사용자가 전체 다이얼링을 재차시도하기 위한 재다이얼키이, *키이 및 #키이, 사용자가 기상 시간을 지정하기위한 알람선택키이, 알람이나 기상 콜신호를 중지시키기 위한 리세트키이 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이입력부(3)와, 상기 키이입력부(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과 기상 신호와 전화국의 콜신호에 따라 전화의 통화는 물론 기상을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상기 제1브릿지회로(1)로부터 직류성분을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에 따라 톤 링거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6)를 통해 링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톤 링거회로(5)와, 사용자의 다이얼링에 대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톤/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톤/펄스발생회로(7)와, 사용자의 키이입력부(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화로를 형성하는 선로제어부(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송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또는 상기의 톤/펄스발생회로(7)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측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스피치회로(9)와, 상기의 스피치회로(9)를 통한 수신측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6)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증폭회로(10)와,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나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의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중에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 메모리(11)와, 현재의 시간을 계시하는 시계부(13)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비교하여 동일한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전하는 비교부(1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도록 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내장한 상태에서 오디오 증폭회로(10)로 출력하는 음성IC(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으면서 가정 내의 라디오(17), TV(18),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9) 및/또는 오디오 기기(20)와 같은 가전제품으로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16)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하여 송수화기를 들어 올려 후크스위치가 온되도록 하거나(단계 21), 온 후크 다이얼링 스위치를 후크스위치가 온되도록 하거나(단계 21), 온 후크 다이얼링 스위치를 온시키면(단계 22),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 선로제어부(8)를 제어하여 제2브릿지회로(2)를 통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단계 23), 스피치회로(9)의 입력임피던스를 조정하여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하고(단계 24), 사용자가 키이입력부(3)의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이를 사용하여 수신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온시키면(단계 25), 이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 메모리(11)에 일시 저장하면서(단계 26),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고(단계 27),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완전히 누른 사실을 인식하고 키이입력부(3)의 발신키이를 온시키면(단계 28), 톤 펄스 다이얼회로(7)에 의한 다이얼신호가 선로제어부(8) 및 제2브릿지회로(2)를 통해 전화선(L1),(L2)으로 송출되도록 하고(단계 29), 그리고 수신측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보내면(단계 30),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 선로제어부(8)를 통해 스피치회로(9)로 입력되도록 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한 정상적인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단계 31), 사용자가 알람선택키이를 온시키고(단계 32), 0부터 9까지의 숫자 키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상 시간을 입력시키면(단계 33), 사용자가 설정한 기상 시간의 정보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 메모리(11)에 저장한 상태에서(단계 34), 현재의 시간을 계시하는 시계부(13)로부터 현재의 시간에 해당하는 정보를 비교부(14)로 출력하도록 하여 현재 시간이 정한 기상 시간인 가를 비교하도록 한다(단계 35).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비교하는 상기 비교부(14)의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는 동일한 경우 즉 현재 시간이 기상 시간인 경우에만(단계 36), 음성IC(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37).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를 받는 음성IC(15)에서는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도록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오디오 증폭회로(10)로 출력하여 스피커(6)를 통하여 음성IC(15)에 저장된 잠을 깨세요 일어 나세요 늦겠어요와 같은 기상을 위한 소리를 들으면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 나도록한다(단계 38).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는 구동부(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정 내의 라디오(17), TV(18), 실내 조명기구(19) 및/또는 오디오 기기와 같은 가전제품으로 동작을 위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하여 사용자가 라디오의 음악 소리, TV의 텔레비젼 방송, 오디오 기기의 음악소리를 들으면서 잠에서 깰 수 있도록 한다(단계 39).
만약, 일정한 시간 이내에 리세트키이가 온되지 않으면(단계 40), (단계 41), 사용자가 완전히 기상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의 음성IC(15)와 구동부(16)를 임의 시간동안 계속 동작시켜 음성과 라디오(17), TV(18), 조명기구(19)들에의해 다시 잠에서 깨도록한다(단계 42).
한편, 전화기에 별도의 시계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국에서 일정한 시간에 콜 신호를 보내는 기상 콜 서어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기상 콜 신호에 의해 전화 벨소리를 들으면서 잠에서 깨도록하는 동시에 이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구동부(16)를 동작시켜 라디오, TV, 조명기구와 같은 가전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하여 잠을 깨우도록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에 의하여서는 사용자가 기상의 시간을 지정하거나, 전화국의 기상 콜서비스를 받도록하면, 정한 시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음성IC에 저장된 음성이 들리도록하거나 전화국으로부터의 콜 신호가 들리도록하여 잠에서 깨도록하는 동시에 구동부를 통하여 가전제품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잠에서 깰 수 있도록한 것이다.

Claims (2)

  1. 현재의 시간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비교하여 동일한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하는 비교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도록 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내장한 상태에서 오디오 증폭회로로 출력하는 음성IC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가정 내의 가전제품으로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화국에서 일정한 시간에 콜 신호를 보내는 기상 콜서어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기상 콜 신호에 의해 전화 벨소리를 들으면서 잠에서 깨도록하는 동시에 이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구동부를 동작시키도록한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KR1019960003711A 1996-02-15 1996-02-15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KR017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711A KR0172076B1 (ko) 1996-02-15 1996-02-15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711A KR0172076B1 (ko) 1996-02-15 1996-02-15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37A KR970064137A (ko) 1997-09-12
KR0172076B1 true KR0172076B1 (ko) 1999-03-30

Family

ID=1945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711A KR0172076B1 (ko) 1996-02-15 1996-02-15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0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37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577A (en) Single chip telephone answering machine, telephone, speakerphone, and ADSI controller
US606143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JPH0439838B2 (ko)
US6917680B1 (en) Apparatus for disabling a telephone ringer
KR0172076B1 (ko) 전화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연동장치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177438Y1 (ko) 화장실용 전화기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100255615B1 (ko) 유,무선전화기의착신음조절및자동응답기능수행방법
KR200254222Y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벨 발생 장치
JP3037086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H0583332A (ja) 電話機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JP2947476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
KR200254225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시계기능 제어 장치
KR100681192B1 (ko) 저 전력소비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JPH074459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00007789A (ko) 전화벨 신호 출력 여부를 설정 가능한 전화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
JP2001069538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KR20040061509A (ko)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방법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9990014385A (ko) 통신장치의 착신음 발생방법 및 장치
KR20020088922A (ko) 전화기에서 음향기기 볼륨조절을 위한 적외선 신호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