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873B1 -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873B1
KR0171873B1 KR1019940011325A KR19940011325A KR0171873B1 KR 0171873 B1 KR0171873 B1 KR 0171873B1 KR 1019940011325 A KR1019940011325 A KR 1019940011325A KR 19940011325 A KR19940011325 A KR 19940011325A KR 0171873 B1 KR0171873 B1 KR 017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ore
frame portion
stee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934A (ko
Inventor
윤정로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4001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873B1/ko
Publication of KR95003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골조부와 상부골조부를 병행시공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전체적인 건축비용이 절감되도록 하여주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이 설치될 부분에 터파기를 하고 건축물의 기초부를 완성하는 기초공사단계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중앙부의 소정의 위치에 코아부를 슬라이딩 포음으로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코아부공사단계와, 상기 코아부를 지지구조물로 삼아서 기초구조부의 바로 위에서부터는 하부골조부의 시공을 진행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골조부로부터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한 곳에서부터 상부골조부의 시공을 병행하는 하부 및 상부골조부의 병행공사단계를 거쳐서 전체적인 골조부를 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제1(a)∼제1(g)도는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라서 고층건축물이 시공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되는 일실시예로서 코아부와 보 및 슬라브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이 주요부인 코아부와 골조부를 격자형 연결철물로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입면도.
제4(a)도는 발명의 주요부인 코아부와 골조부를 구부림철근형 연결철물로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사시도.
제4(c)도는 제4(a)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코아부와 골조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코아부와 골조부를 철판형 연결철물로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사시도.
제7(a)∼제7(d)도는 본 발명에 의해 고층건축물이 시공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제1실시예시도.
제8(a)∼제8(d)도는 본 발명에 의해 고층건축물이 시공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제2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코아부 110 : 슬라이딩포옴
200 : 골조부 201 : 철골기둥
201a : 하부기둥 202 : 철골보
203 : 철근콘크리트보 205 : 콘크리트슬라브
206 : 슬라브철근 207 : 데크플레이트
210 : 하부골조부 220 : 상부골조부
230 : 기준층슬라브 300 : 연결철물
310 : 격자형연결철물 311 : 수직철근
312 : 수평철근 313 : 가설채움물체
320 : 구부림철근형연결철물 321 : 구부림철근
321a : 구부림부 321b : 갈고리부
322 : 지지철판부 323 : 커버판부
330 : 철판형연결철물 331 : 철판부
332 : 앵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선시공된 코아부를 이용하여 고층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기준층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골조부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골조부를 병행시공하여서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건축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선시공되는 코아부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은 지표면 위로 드러나는 지상구조부와 지표면 아래로 매립되는 지하구조부를 가지며, 그 높이가 높은 지상구조부를 가지는 고층건축물은 상대적으로 그 깊이가 깊은 지하구조부를 가지게 마련이다. 이는 고층건축물에 작용하는 풍력등의 수평하중에 의하여 고층건축물이 전도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층건축물은 그 시공과정에서 풍력등의 수평하중에 의하여 아직 완성되지 아니한 구조부가 전체적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예로부터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최하부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부로 공사를 진행하여 최상부까지 도달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계단실, 화장실, 엘리베이터실등의 용도를 가지는 구획부는 대개 건축물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위치하게 마련이며, 이러한 관계로 이러한 구획부를 코아(CORE)라는 용어로서 함께 명명하는 것이 보통이다.
유럽 등지에서는, 이와 같은 건축물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위치하는 코아를 슬라이딩 폼(SLIDING FORM)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주변의 구조부보다 먼저 시공 한후에, 기타의 이러한 코아를 지지체로 하여서 주변의 구조부들을 최하층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부로 공사를 진행하여 최상층까지 도달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이른바, 선시공된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이 널리 알려져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선시공된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제1(a)도 ∼제1(g)도에 예시되고 있다. 제1(a)도는 건축물이 설치될 부분에 터파기를 하고 건축물의 기초부(10)를 완성한 후 그 기초부(10)의 소정의 위치에 코아부(100)를 최하부에서 최상층까지 슬라이딩 포옴 등을 이용하여 선시공한 것을 예시하고, 제1(b)도 ∼제1(g)도는 상기 코아부(100)를 지지체로 하여서 최하층에서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철재기등과 철재보로서 철골조부(200)를 시공한 후에, 최하층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부로 콘크리트 슬라브(205)의 타설공사를 진행하여 최상층까지 도달함으로써 고층건축물의 시공을 완성해 나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선시공된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슬라이딩 폼을 이용하여 선시공된 코아를 기타의 건축공사에 대한 지지구조체로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건축공사의 진행에 원활하게 진행할 뿐아니라 일반적으로 계단실, 화장실, 엘리베이터실 등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잡한 시설들의 마무리공사를 먼저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때문에, 전체적인 건축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시공된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코아를 제외한 기타의 골조부의 시공방법은 최하층에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하층의 공사가 완료되지 아니하면 그 상층의 공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건축공사기간을 보다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데에는 어느정도의 한계점을 가지는 결함이 있었다.
특히, 고층건축물은 최상층의 높이가 높을수록 지하로 내려가는 지하구조부의 깊이도 깊이지는 속성을 가지며, 지하구조부의 시공은 여러 가지 공사진행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매우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이러한 지하구조부의 시공이 완성된 이후에나 지상구조부의 공사진행이 가능한 종래의 공법의 경우 전반적인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결함을 가질 수박에 없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선시공되는 코아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그 후에 시공되는 골조부의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기간도 현저하게 단축하여 총공사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시켜 주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도 전체적인 골조부의 공사가 진행되지 이전에 슬라이딩 폼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코아부(100)를 먼저 시공하고, 상기 코아부(100)를 지지체로 하여서 최하층에서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철재기둥(201)을 세운 후에, 보, 슬라브 및 벽체로 이루어지는 골조부(200)를 순차적으로 완성하면서 고층건축물의 시공을 진행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선시공되는 코아부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과 그 기본적인 기술적개념이 유사하다고 할수 있다.
단, 본 발명은 기준층의 바닥슬라브(230)를 기준으로하여 기초부(10)의 직상부에서 그 상부쪽으로 순차적으로 기준층의 바닥슬라브까지 진행할 뿐아니라, 기준층의 바닥슬라브(230)의 상부에서는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그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최상층까지 병행하여 진행하여서, 하부골조부(210)가 완성되는 시점에 상부골조부(220)도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골조부(200)의 공사기간을 절반정도롤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최하층 지하로부터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순차적으로 골조부의 공사를 진행하는 종래의 시공방법과는 구분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와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기초구조부의 직상부에서 상부로 진행되는 하부골조부(210)의 시공이 완성되면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에 추가공사기간이 소요되지 아니한다. 즉, 골조부(200)의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을 절반정도로 단축하는 작용효과를 가져다 준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골조부(220)의 공사가 시작되는 기준층의 위치는 지상층들중에서 최하층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골조부(220)는 지상층구조부로서, 하부골조부(210)는 지하층구조부로서 구분되어 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지상층구조부와 지하층구조부는 그 평면형태에 있어서 기본적인 차이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지하층구조부는 지상층구조부에 비하여 많은 공사기간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지하구조부의 공사에는 흙막이의 해체공사와 같은 부수적인 공사요인들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상층구조부의 한 층을 시공하는 데는 7일 정도 소요되지만, 지하층구조부의 한 층을 시공하는 데는 20일 정도 소요된다. 즉 지하층구조부의 시공은 지상층구조부에 비하여 한층당 3배의 공사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고층건축물에서 지상층이 지하층수에 비하여 3배정도가 되고, 상부골조부(220)는 지상층구조부로서 하부골조부(210)는 지상층구조부로서 설정되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지하층구조부의 공사가 완료되는 시점에 지상층구조부의 공사도 완료되므로 종래의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에 비하여 구조부공사를 절반의 기간에 완성시킬 수 있는 셈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선시공된 코아(100)를 지지체로 하여서 그 중간정도에서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착수하여 하부골조부(210)의 시공과 병행하여 진행하는 데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을 있기 때문에, 상부골조부(220)를 선시공되는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연결구조부를 가지도록 하여서, 공사진행과정에서 작용하는 풍력등의 수평하중을 코아부(100)가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구조물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코아부(100)는 슬라이딩폼(110)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로서 선시공될때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조부(200)와 연결될 위치마다 연결철물(300)들이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결철물(300)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상기 연결철물(300)이 격자형태로서 코아부(100)내에 고정매립되어 배치되는 격자형연결철물(31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격자형연결철물(310)은 코아부(100)가 슬라이딩폼(110)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과정에서 코아부(100)내에 배치되는 수직철근(311)과 수평철근(312)사이에 모래주머니등과 같은 가설채움물체(313)를 끼우고, 미경화콘크리트가 슬라이딩폼(110)내부에 부어져서 경화되면서 슬라이딩 폼이 위로 상승된 후에, 상기 가설체움물체(313)를 빼어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격자형연결철물(310)은 제3(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보(203)가 코아부(100)의 외측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보(203)에 전달되는 하중을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적합하다.
제4(a)도 ∼제4(c)도는 상기 연결철물(300)이 구부림철근(321)의 형태로서 코아부(100)의 외측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부림철근형연결철물(32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부림철근형연결철물(320)은 띠상의 지지철판부(322)와, 상기 지지철판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는 갈고리부(321b)가 타측으로는 구부림부(321a)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구부림철근(321)들과, 상기 구부림철근(321)들의 구부림부(321a)를 덮어주는 커버판부(323)로 구성되며; 상기 갈고리부(321b)가 코아부(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판부(323)가 코아부(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후에, 미경화콘크리트가 슬라이딩 폼내부에 부어져서 경화되면서 슬라이딩폼이 커버판부(323)의 외측으로 상승되도록 하여서 코아부(100)에 일체로 고정매립된다.
이러한 구부림철근형연결철물(320)은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판부(323)를 벗겨내고, 구부림철근(321)들의 구부림부(321a)들을 곧게 펼쳐서 사용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라브(205)를 코아부(100)와 일체로서 연결되도록하여 철근콘크리트 슬라브(205)에 전달되는 하중을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상기 연결철물(300)이 철판형태로서 코아부(100)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판형연결철물(33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철판형연결철물(330)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철판부(331)와 그 철판부(331)의 배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용접되는 복수개의 앵커(332)들로서 구성되며, 상기 앵커(332)들이 코아부(100)의 철근에 지지되고 철판부(331)는 코아부(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후에, 미경화콘크리트가 슬라이딩폼(110)내부에 부어져서 경화되면서 슬라이딩 폼이 철판부(331)의 외측으로 상승되도록 하여서 코아부에 일체로 고정매립된다.
이러한 철판형연결철물(330)은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철골보(202)가 코아부(100)의 외측에 용접으로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철골보(202)에 전달되는 하중을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한편, 코아부(100)를 시공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폼(110)(Sliding Form)으로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최초에 조립한 거푸집을 이미 경화된 콘크리트벽에 지지시키면서 잭(Jack)을 이용해 점차 위로 올리는 방식이다.
이는 층별로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거푸집을 해체해 상층부에 다시 설치하는 기존의 중복된 공정이 절약되고, 콘크리트 강도의 일체성을 확보하게 되며, 여름철의 경우 시간당 20cm씩 연속상승함으로써 1일 1층시공이 가능하다.
하부골조부(210)는 그 공사진행이 종래의 것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고 판단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구조부(220)는 제7(b)도 및 제8(b)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골조부(210)가 기초바닥위에서 공사가 진행될 때에, 동시에 지상층의 소정위치로부터 공사진행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는 하부공조부(2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부인 하부기둥(201a)들로서 상호간에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기둥(201a)들로서 상부골조부(220)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담당할 수는 없지만 수직하중만큼은 어느정도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상 유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상기 하부기둥(201a)들은 지하각층의 보 또는 슬라브등의 수평부재들로서 충분히 보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상부골조부(220)에 작용하는 풍력등과 같은 수평하중에 대하여는 거의 저항능력을 가질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상부골조부(220)는 그 공사진행과정에서 미리 선시공된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여서, 코아부가 공사진행중에 상부골조부(22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이 하부기둥(201a)에서 꺽여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코아부(100)를 선시공할 때에 고정매립된 연결철물(300)들에 상부골조부(220)의 수평부재인 철골보(202) 또는 슬라브(205)를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켜 가면서 상부골조부(220)의 공사를 계속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상부골조부(220)는 철골보(202)와 철골기둥(201)들로서 짜맞추어지는 철골조로서 축조하되, 축조된 층에서부터 적어도 3층아래 까지는 데크플레이트(207)를 깔고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경화시켜서 축조중인 상부골조부가 그때 그때 슬라브(205)로서 코아부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축조중인 상부골조부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코아부(100)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이러한 연결철물들을 이용하여 상부골조부(220)가 그것보다 선시공되는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서, 공사진행중에 상부골조부(220)에 풍력등과 같은 커다란 수평하중이 작용한다고 하여도, 비교적 넓은 평면형태를 가져서 수평하중에 대하여 특히 효율적인 저항능력을 가지는 코아부(100)가 상기 수평하중을 충분히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비록 그 하부골조부(210)가 충분히 진행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부골조부(220)의 공사진행을 게속하여도 커다란 수평하중에 의하여 구조물 전체가 횡방향으로 꺽여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가능하여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층은 지상2층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골조부(210)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코아를 먼저 시공하되 기초구조부의 바로 위에서부터 골조부를 단계적으로 최상층까지 시공을 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코아를 지지구조물로 삼아서 기초구조부의 바로 위에서부터는 하부골조부(210)의 시공을 진행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층의 상부인 지상층에서는 지상층의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병행하여 진행하므로 하부골조부(210)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상부골조부(220)도 완성되도록 하여 상부골조부(220)의 공사기간 만큼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작용효과를 가져다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코아의 공사진행이 지상층의 소정의 높이까지 도달하면서부터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코아의 공사진행이 최상층까지 완료된 후에 비로소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도 있다.
전자를 제1 실시예로서, 후자를 제2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지하 7층 지상 19층의 고층건축물의 공사진행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7(a) ∼제7(d)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아부가 지하 7층바닥에서부터 지상 4층정도의 높이까지 도달하면서부터 기초부(10)의 바로 위에서부터는 하부골조부(210)의 시공을 진행함과 동시에 지상 2층부터는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병행하여 전체적인 골조부공사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 보여준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서, 제1단계는 공사개시일 25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7(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이 설치될 부분에 터파기를 하고 기초부(10)를 완성하고서, 그 기초부의 상부중앙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철근콘크리트 코아부(100)를 슬라이팅 폼으로 지상 4층정도까지 시공함을 보여준다.
제2단계는 공사개시일 65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7(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코아부(100)는 13층 정도까지 공사를 진행하고, 하부골조부(210)는 지하 4층정도까지 골조 및 슬라브(205)공사를 진행하며, 상부골조부(220)는 지상 9층까지는 철골기둥(201)들과 철골보(202)들로 골조공사를 진행하면서 지상 6층까지는 슬라브(205)공사를 진행함을 보여준다. 이때, 상부골조부(220)는 하부기둥(201a)들만으로 하부골조부(210)와 연결시공된다.
제3단계는 공사개시일 120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7(c)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철근콘크리트 코아부(100)는 최상층까지 공사진행을 완성하고, 하부골조부(210)는 지하 1층까지 골조 및 슬라브(205)공사를 진행하며, 상부골조부(220)는 지상 16층까지는 철골기둥(201)들과 철골보(202)들로 골조공사를 진행하면서 지상 13층까지는 슬라브(205)공사를 진행함을 보여준다.
제4단계는 공사개시일 150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7(d)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로 이루어지는 전체골조부(200)가 슬라브(205)공사까지 완성함을 보여준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부골조부(210)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철근콘크리트 코아부(100)를 시공할 때에 형성된 격자형연결철물(310)과 철근콘크리트보(203)의 철근 상호간에 연결되도록 배근한 후에, 보(203)와 슬라브(205)의 구조부를 함께 콘크리트를 부어넣어서 철근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보(203)와 슬라브(205)가 코아부(100)외측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시공된다.
상부골조부(220)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205)공사는 제4(a)∼제4(c)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철골보(202)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207)가 올려져서 배치되도록 하되, 데크플레이트(207)가 고정볼트(208)들로서 철골보와 일체로 용접되도록 한후에,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브철근(206)을 배근하고, 코아부(100)에 매설되어 있던 구부림철근형연결철물(320)의 커버판부(323)를 벗겨내고, 구부림철근(321)들의 구부림부(321a)들을 곧게 펼쳐서 슬라브철근(206)과 연결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부어넣고 경화시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슬라브(205)를 통하여 상부골조부가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상부골조부(220)의 철골기둥(201)들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철골보(202)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코아부(1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고정배치되는 철판형연결철물(330)의 철판부(331)에 용접으로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철골보(202)에 전달되는 하중을 코아부(100)에 견고하게 지지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골조부(210)가 완성되는 시점에 상부골조부(220)를 포함한 전체골조부(200)의 공사가 완성되므로, 코아부(100)가 골조부(200)와 병행시공되는 (120-25)일과 상부골조부(220)가 하부골조부(210)와 병행시공되는(150-25)일을 합산한 기간인 220일이 산정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골조부(200)공사를 진행한 결과, 종래의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에 비하여 220일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킨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교결과를 공정분석표로서 간략하게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은 철근콘크리트 코아부를 슬라이딩폼으로 계속적으로 시공함에 있어서, 미경화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길어지는 겨울철에 코아부공사가 진행되어서 코아공사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여건하에서 전체 골조부(200)의 공사기간을 더욱 단축시키고자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적합하다.
상기 코아의 공사진행이 최상층까지 완료된 후에 비로소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동시에 진행시키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하 7층 지상 19층의 고층건물의 공사진행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8(a)∼제8(d)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아부의 공사진행을 최상층까지 완성시킨 다음에 비로소 기초부(10)의 바로 위에서부터는 하부골조부(210)의 시공을 진행함과 동시에 지상 2층부터는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병행하여 전체적인 골조부(200)공사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 보여준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 제1단계는 공사개시일 40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8(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이 설치될 부분에 터파기를 하고 기초부를 완성하고서, 그 기초부의 상부중앙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철근콘크리트 코아(100)를 슬라이딩폼으로 최상층까지 시공함을 보여준다.
제2단계는 공사개시일 80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8(b)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하부골조부(210)는 지하4층정도까지 골조 및 슬라브공사를 진행하며, 상부골조부(220)는 지상 9층까지는 철골기둥(201)들과 철골보(202)들로 골조공사를 진행하면서 지상 6층까지는 슬라브공사를 진행함을 보여준다. 이때, 상부골조부(220)는 하부기둥(201a)들만으로 하부골조부(210)와 연결시공된다.
제3단계는 공사개시일 135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8(c)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하부골조부(210)는 지하 1층까지 골조 및 슬라브공사를 진행하며, 상부골조부(220)는 지상 16층까지는 철골기둥(201)들과 철골보(202)들로 골조부공사를 진행하면서 지상 13층까지는 슬라브공사를 진행함을 보여준다.
제4단계는 공사개시일 165일까지의 공사진행상태로서 제8(d)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로 이루어지는 전체골조부(200)가 슬라브(205)공사까지 완성함을 보여준다.
참고적으로, 제2실시예에서도 골조부(200)와 코아부(100)가 연결되는 구조는 제1실시예와 다를 바 없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골조부(210)가 완성되는 시점에 상부골조부(220)를 포함한 전체골조부(200)의 공사가 완성되므로, 상부골조부의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으로 계산되는 바, 전체골조부(200)공사의 완성일인 165일에서 제1단계공사이 완성일인 40일을 감한 125일이 상부골조공사에 소요된 기간으로 산정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골조부(200)공사를 진행한 결과, 종래의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에 비하여 125일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킨 결과를 얻었음을 알수 있다.
이러한 비교결과를 공정분석표로서 간략하게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철근콘크리트 코아를 슬라이딩폼으로 계속적으로 시공함에 있어서, 미경화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짧아지는 여름철에 코아부공사를 조속히 진행하여서 코아부의 공사기간이 전체의 공사기간에 비하여 무시될 수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 공정 분석표-1 및 공정 분석표-2에서 콘크리트 슬라브(205)공사는 골조부(200)공사에 포함하였으며, 또한 토공사와 기초공사 및 마감공사등은 종래의 것과 별 다를 바가 없으므로 상기 공정분석표들에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서 미리 선시공되는 코아부가 골조공사의 진행중에 작용하는 풍역등의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구조체로 삼아서 하부골조부의 공사와 더불어 상부골조부의 공사를 진행함으로써, 전체골조부의 공사기간을 절반정도로 단축시켜서 건축현장의 일반관리비를 포함한 제반공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9)

  1. 터파기와 기초부(10)의 시공이 완료되고 전체적인 골조부의 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슬라이딩폼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코아부(100)를 먼저 시공하고, 상기 코아부(100)의 외측으로 최하층에서 시작하여 그 상부로 철재기둥(201)을 세운 후에, 보, 슬라브 및 벽체로 이루어지는 골조부(200)를 순차적으로 완성하면서 고층건축물의 시공을 진행하는 것에 있어서, 기준층의 바닥슬라브(230)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서는 하부골조부(210)의 시공을 기초부(10)의 직상부에서 그 상부쪽으로 순차적으로 기준층의 바닥슬라브까지 진행할 뿐아니라, 기준층의 바닥슬라브(230)의 상부에서는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그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최상층까지 병행하여 진행하여서, 골조부(200)의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층은 지상 2층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100)의 공사진행이 최상층까지 완료된 후에 비로소 상기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그 상부로 순차적으로 진행시킴을 특징을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100)의 공사진행이 지상층의 소정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상기 하부골조부(210)와 상부골조부(220)의 시공을 그 상부로 순차적으로 진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200)는 선기공되는 코아(100)에 연결된 위치마다 고정매립되어 있는 연결철물(300)들을 통하여 상기 코아부(100)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200)중 상부골조부(220)는 그 보와 기둥들을 철골조로서 축조하되, 축조된 층에서부터 적어도 3층아래 까지는 데크플레이트를 깔고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경화시켜서 축조중인 상부골조부(220)가 그때그때 슬라브로서 코아부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축조중인 상부골조부(22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코아(100)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300)은 격자형 연결철물이 되도록 하고, 상기 격자형연결철물에 철근콘크리트보의 철근 상호간에 연결되도록 배근한 후에, 보와 슬라브의 구조부를 함께 콘크리트를 부어넣어서 만들어지는 철근콘크리트보와 슬라브로서 골조부(200)가 코아(100)외측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300)은 구부림철근형 연결철물이 되도록 하고, 상기 구부림철근형 연결철물의 커버판부를 벗겨내고, 구부림철근들의 구부림부들을 곧게 펼쳐서 슬라브철근과 연결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부어넣어서 만들어지는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로서 골조부(200)가 코아부(100)의 외측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300)은 철판형 연결철물이 되도록 하고, 상기 철판형 연결철물의 지지철판부에 철골보의 끝부분을 용접하여 철골보로서 골조부(200)가 코아(100)의 외측에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9940011325A 1994-05-24 1994-05-24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KR017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325A KR0171873B1 (ko) 1994-05-24 1994-05-24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325A KR0171873B1 (ko) 1994-05-24 1994-05-24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34A KR950032934A (ko) 1995-12-22
KR0171873B1 true KR0171873B1 (ko) 1999-02-18

Family

ID=1938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325A KR0171873B1 (ko) 1994-05-24 1994-05-24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8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64A (ko) * 2000-11-27 2002-06-01 김희, 이방주 피씨판넬로 건축물의 코아를 선조립 시공하는 건축물의시공방법
KR101327785B1 (ko) * 2012-04-23 2013-11-11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KR101395196B1 (ko) * 2012-11-29 2014-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이층이 있는 고층건축물의 공기단축을 위한 패스트업 공법
US20220162847A1 (en) * 2020-04-27 2022-05-26 Randall Engineered Wall Systems, Inc. Structures for Use in Erecting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Struc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89A (ko) * 2000-07-26 2000-12-05 오시덕 무량건식벽체 아파트 구조
KR100454478B1 (ko) * 2002-04-18 2004-10-28 한봉길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64A (ko) * 2000-11-27 2002-06-01 김희, 이방주 피씨판넬로 건축물의 코아를 선조립 시공하는 건축물의시공방법
KR101327785B1 (ko) * 2012-04-23 2013-11-11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KR101395196B1 (ko) * 2012-11-29 2014-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이층이 있는 고층건축물의 공기단축을 위한 패스트업 공법
US20220162847A1 (en) * 2020-04-27 2022-05-26 Randall Engineered Wall Systems, Inc. Structures for Use in Erecting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Structures
US11913217B2 (en) * 2020-04-27 2024-02-27 Randall Offsite Construction, Inc. Structures for use in erecting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34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008B1 (en) Lightweight floor panel
CA2741405C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US3354593A (en) Concrete beamless building construction
US9371648B1 (en) Concrete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dular construction of same
US4185423A (en) Lightweight building module
KR100571102B1 (ko) 시공성이 개선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장치
WO201208858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CN111576619B (zh) 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生产方法
US20020078646A1 (en) Suspended concrete flooring system and method
KR100643844B1 (ko)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US3834095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KR0171873B1 (ko) 선시공되는 코아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3697640A (zh) 既有多层建筑整体装配式加装电梯的成品井道及施工方法
KR200384821Y1 (ko)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
RU222025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подзем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варианты)
RU84881U1 (ru) Каркас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CN212453065U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JPH0684690B2 (ja) 建造物の地下階増築方法
US7073300B1 (en) Reinforced concrete part for producing foundations of buildings
RU243410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литы строитель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0150304B1 (ko) 건축구조물의 지상층 및 지하층 골조의 병행 시공방법
RU2226593C2 (ru)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CN214941648U (zh) 一种异形柱钢筋装配结构
CN217439239U (zh) 一种构造钢筋束房屋混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