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764B1 -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764B1
KR0171764B1 KR1019950041971A KR19950041971A KR0171764B1 KR 0171764 B1 KR0171764 B1 KR 0171764B1 KR 1019950041971 A KR1019950041971 A KR 1019950041971A KR 19950041971 A KR19950041971 A KR 19950041971A KR 0171764 B1 KR0171764 B1 KR 017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witching
transfer
determining whether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509A (ko
Inventor
송대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4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764B1/ko
Publication of KR97003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제 회로절체명령이 입력되면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200);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해당 절체가 강제절체인지 판단하는 단계(201); 강제절체이면 현재의 절체를 종료하고 강제절체가 아니면 이전의 회로절체를 복구하는 단계(202); 다른 회로절체가 없거나 이전에 이루어진 회로절체의 복구가 끝나면, 회로절체를 수행하는 단계(203); 회로절체의 수행이 성공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204); 회로절체가 성공되었으면 회로 강제절체 상태 변수를 셋하고, 회로 수동절체 상태변수를 클리어하며, 록아웃 변수를 셋하는 단계(205)로 구성되어 운용중인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회로 강제절체를 명령하면 이미 절체중인 저순위의 회로절체를 복귀시킨 후 회로절체를 수행하여 중요회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다중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디지탈 계위의 STM-n 프레임 포맷.
제3도의 (a)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구간 오버헤드(SOH).
제3도의 (b)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경로 오버헤드(POH).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동기식 전송장치의 링 포토로지의 예.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전송장치 예.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다중화셀프의 보드 실장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절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회로절체단계의 세부 흐름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회로절체복구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40 : 노드 S : 서비스 선로
P : 예비 선로 T : 광송신기
R : 광수신기 11,21,31,41 : 다중화장치
111 :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 112 : 저속 다중화기
113 : 고속 다중화기 114 : 망노드정합기
115 : 클럭공급기 116 : 다중화제어부
117 : 시스템제어부 118 : 망제어부
119 : 타합선 정합부 120 : 타합반
121 : 경보기
본 발명은 동기식 광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비동기식 신호인 1.544Mbps신호(이하 DS1이라 함)를 최대 84개 혹은 2.048Mbps신호(이하 DS1E 라 함)를 최대 63개, 44.736Mbps신호(이하 DS3라 함)를 최대 3개까지 수용하여 동기식 디지탈 망에서 기본이 되는 STM-1신호로 다중화한 후 광전송하고 이의 역기능을 수행하는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이하 본 발명에서 송신과정의 다중화는 수신과정에서의 역다중화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간단히 다중화라 한다)의 회로절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광전송장치는 비동기식 다중화된 신호(예컨대, DS1, DS1E)를 동기식 다중화하여 광송신기에서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하고,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광수신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동기식 역다중화하여 비동기식 역다중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바, 비동기 다중화신호를 동기식 다중화하여 STM-n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도에 있어서, AM은 비동기식 다중화과정을 나타내고, SM은 동기식 다중화과정을 나타내며 화살표 방향으로 다중화되어 STM-n 프레임이 된다. 즉, DS-1 프레임은 상자(C:Container)에 매핑되어 C-11이 되고, 여기에 경로 오버헤드(POH:Path OverHead)가 부가되면 가상상자(VC) VC-11이 되며, 그위에 포인터(PTR)를 덧붙이면 계위 신호 단위(TU) TU-11이 된다. 또한 'TU-11은 네 개씩 그룹지어 계위 신호 단위그룹(TUG-2) 형태로 VC-3와 VC-4로 다중화되고, VC-3은 관리유니트(AU) AU-3를 거쳐 3개가 다중화되어 관리유니트그룹(AUG)이 되고 여기에 구간 오버헤드(SOH)가 부가되어 최종적으로 STM-1이 된다. 이때, 유럽방식의 DS1E는 C-12로 매핑된 후 경로 오버헤드(POH)가 부가되어 가상상자 VC-12가 된다.
여기서, 상자(C)는 동기식 다중화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기존의 비동기식 디지탈 계위신호들은 해당 상자속에 매핑되어 동기식 다중화되는데, 비동기식 다중화 계위와 대응되게 C-1, C-2, C-3, C-4가 있고, C-1은 다시 북미식 DS1을 매핑시키기 위한 C-11, 유럽식 DS1E를 매핑시키기 위한 C-12로 구분된다. 그리고, 가상상자(VC)는 동기식 전송에 있어서 경로계층간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신호단위이고, 계위 신호단위(TU)는 하위 경로계층(VC-1,VC-2)과 상위 경로계층(VC-3,VC-4)간을 적응시키기 위한 것으로 포인터가 사용되며, 계위 신호단위그룹(TUG)은 계위 단위신호(TU)를 한 개 이상 결합하여 상위 VC 유료부하공간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고, 관리단위(AU)는 상위경로 계층과 다중화기 구간계층간의 적응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단위로서 AU포인터가 사용되고, 관리단위그룹(AUG)은 관리단위(AU) 신호들이 한 개 이상 결합하여 STM 유료공간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어진 것을 말한다.
제2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디지탈 계위의 STM-1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이 포맷은 125μsec 동안에 9행, 270열의 바이트를 점유하므로 9×270×8×8Kbps=155.550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여기서, 9×9바이트는 구간 오버헤드(SOH) 및 AU 포인터 공간이고, 9×261바이트가 유료부하 공간이다. 또한 9×9바이트중에서 3×9(a)는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RSOH)이며, 1×9(b)는 AU 포인터이고, 5×9(c)는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MSOH)이다. 그리고 유료부하공간은 하나의 VC-4 혹은 3개의 VC-3가 실릴 수 있는데, VC-3에는 9×1의 경로 오버헤드(d:POH)가 포함되어 있다.
제3도의 (a)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구간 오버헤드(SOH)로서, 1∼3행은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이고, 4행은 AU 포인터이며, 5∼9행은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이다. 제3도의 (a)에 있어서,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는 재생기마다 확인하는 구간 오버헤드로서, 'A1'과 'A2'는 STM 프레임의 경계를 식별하기 위한 프레임 정렬 부호인데 'A1'=11110110, 'A2'=00101000으로 규정되고, 'B1'은 재생기 구간오류 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BIP:Bit Interleaved Parity) 바이트이고, 'D1, D2, D3'는 재생기 구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타 통신 채널(DCC:Data Communication Channel)로서, 각 채널의 용량은 64Kbps이므로 재생기 구간 데이타 통신 채널의 총 용량은 192Kbps가 된다. 그리고 'E1'은 재생기 구간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타합선(orderwire)이고, 'F1'은 통신망 운용자 등의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채널이며, 'X'는 각 국가에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공간이다.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는 다중화기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로서 재생기들에서는 투명하게 통과되는데, B2, D4∼D12, E2, K1, K2, Z1, Z2등으로 구성된다. 'B2'는 다중화구간 오류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 바이트이고, 'D4∼D12'는 다중화기 구간을 위한 데이타 통신 채널(DCC)로서 총 용량은 576Kbps가 된다. 'E2'는 다중화기 구간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타합선이고, 'K1, K2'는 자동보호절체(APS: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채널들로서 APS를 위하여 할당되는데, 'K2'는 경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와 원단수신불능(FERF) 등의 구간 유지보수신호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Z1, Z2'는 장래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남겨진 예비 바이트이다.
그리고 경로 오버헤드(POH)는 고위 경로 오버헤드와 저위 경로 오버헤드가 있는데, 제3도의 (b)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고위 경로 오버헤드(POH)로서, 고위 경로 오버헤드는 고위 가상상자 즉, VC-3와 VC-4에 부착되는 경로 오버헤드로서 VC-3나 VC-4의 첫번째 열에 위치하고, J1, B3, C2, G1, F2, H4, Z3∼Z5로 구성된다. 'B3'는 경로오류 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 바이트이고, 'C2'는 VC-3/VC-4의 구성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표지이고, 'F2'는 경로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G1'은 VC-3/VC-4수신측에서의 경로상태 및 성능을 VC-3/VC-4송신측에 알려주기 위한 채널이고, 'H4'는 구성 유료부하들의 다중 프레임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저위 경로 오버헤드는 저위 가상상자, VC-1, VC-2에 부착되는 경로 오버헤드(POH)로서 VC-11, VC-12, VC-2의 첫번째 바이트로서, 'V5'로 표기되며, BIP-2, FEBE, PT, L1∼L3, FERF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기식 전송방식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技術)은 이병기외 2인이 공동으로 저술한 책 광대역정보통신의 101페이지부터 234페이지에 자세히 기술(記述)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기식 전송방식을 이용한 동기식 광전송장치에서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요 회로 및 보드를 이중화 혹은 리던던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DS1 또는 DS1E 저속 다중화회로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예비 회로로 절체해 주는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 회로가 구비된 저속 다중화 보드들과 고속 다중화 보드를 구비되어 소정의 비동기 다중화 신호들을 동기식 다중화하여 동기식 전송모듈(STM)을 형성하도록 된 동기식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강제 회로절체명령이 입력되면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해당 절체가 강제절체인지 판단하는 단계; 강제절체이면 현재의 절체를 종료하고 강제절체가 아니면 이전의 회로절체를 복구하는 단계; 다른 회로절체가 없거나 이전에 이루어진 회로절체의 복구가 끝나면, 회로절체를 수행하는 단계; 회로절체의 수행이 성공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회로절체가 성공되었으면 회로 강제절체 상태변수를 셋하고, 회로 수동절체 상태 변수를 클리어하며, 록아웃 변수를 셋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를 사용하여 4개의 노드를 갖는 링 네트웍을 구성한 예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국(10), B국(20), C국(30), D국(40)으로 구성되고, 각 국은 광송수신기 2대 및 다중화/역다중화기를 구비하여 2개의 선로로 링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S는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선로를 나타내고, P는 예비 선로를 나타내며 신호전송방향이 서비스 선로와 예비 선로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A국(10)은 수신기(13)를 통해 D국(40)으로부터 혹은 수신기(14)를 통해 B국(20)으로부터 수신한 중계신호와 자신의 단국신호를 다중화한 후 송신기(12)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서비스 선로(S)를 통해 B국(20)으로, 송신기(15)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예비 선로(P)를 통해 D국(40)으로 각각 송신하고, B국(20)은 수신기(23)를 통해 A국(10)으로부터 혹은 수신기(24)를 통해 C국(30)으로부터 수신한 중계신호와 자신의 단국신호를 다중화한 후 송신기(22)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서비스 선로(S)를 통해 C국(30)으로, 송신기(25)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예비 선로(P)를 통해 A국(10)으로 각각 송신한다. 그리고 C국 및 D국에서의 신호전송은 A국 및 B국에서의 신호전송방식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링구조에서 각 노드는 하나의 주국(Master)과 나머지의 부국(Slave)들로 구성되는데, 모든 노드들은 동등하게 주국이 될 수 있으며, 주국은 서비스 선로(S) 수신, 예비 선로(P) 송신측을 차단(S-cut이라 한다)하거나 서비스 선로(S) 송신, 예비 선로(P) 수신측을 차단(P-cut이라 한다)해야 하고, 부국들은 서비스 선로(S) 및 예비 선로(P)의 송수신을 모두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다중화기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LPSB:111), 저속 다중화기(LSMB:112), 고속 다중화기(HSMB:113), 망노드정합기(NNIB:114), 클럭공급기(STGB:115), 다중화제어부(CPCB:116), 시스템 제어부(SPCB:117), 망제어부(DCCB:118), 타합선 정합부(OWIB:119), 타합반(TEL:120), 경보기(ALU:121)로 구성되어 비동기식 다중화신호인 DS1 혹은 DS1E를 동기식 다중화신호인 STM-1 신호로 변환 및 역변환한다.
제5도에 있어서, 클럭공급기(STGB:115)는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 및 타이밍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시스템 제어부(SPCB:117)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제어 및 감시를 담당하고, 망제어부(DCCB:118)는 OAM데이타를 TMN 프로토콜에 의해 대국 또는 원격국의 파라메터를 억세스하며 DCC 채널을 통한 통신을 제공한다. 저속 다중화기(LSMB:112)는 6개의 운용보드와 1개의 예비보드로 구성되어 DS1 신호를 TUG2 신호로 동기식 다중화하고, 고속 다중화기(HSMB:113)는 최대 21개의 TUG 신호를 접속하여 VC-3, AUG 신호로 동기식 다중화/역다중화한다. 또한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LPSB:111)는 서비스 채널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1 회로절체와 6:1 보드(혹은 유니트라 한다) 절체를 위한 릴레이들로 구성되며 다중화제어부(CPCB:116)의 절체명령에 따라 절체하고, 망노드정합기(NNIB:114)는 AUG 신호를 접속하여 구간 오버헤드(SOH)를 생성 삽입하여 STM-1 신호를 형성하여 광장치에 접속하며 클럭복원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스크램블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타합선 정합부(OWIB:119)는 타합선을 시스템 제어부(117)를 통해 망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2와이어 인터페이스기능, 다자간 통화로 구성기능, 호설정 내부기능, E1/E2 선택기능 등을 처리하고, 경보기(121)는 시스템 제어부(117)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처리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17) 및 망제어부(118)에는 GU1 기능이 구비된 터미날이 접속되고, 타합선 정합부(119)에는 타합반(TEL)이 연결되며, 망노드정합기(114)는 STM-1 신호를 서비스 선로 및 예비 선로측으로 각각 송수신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화 셀프의 보드 실장도로서, 하나의 다중화 셀프에는 3개의 저속 다중화 절체보드(LPSB-1,LPSB-2,LPSB-3), 7개의 저속 다중화보드(LSMB-S,LSMB-∼6), 2개의 고속 다중화보드(HSMB-1,HSMB-2), 다중화제어보드(CPCB), 2개의 망노드정합보드(NNIB-1,NNIB-2), 시스템 제어보드(SPCB), 망제어보드(DCCB)가 실장된다.
제6도에 있어서, 하나의 저속 다중화기 절체보드(LPSB)는 2개의 저속 다중화보드(LSMB)를 담당하는데, 예컨대, 제1절체보드(LPSB-1)는 제1 및 제2저속 다중화보드(LSMB-1,LSMB-2)를, 제2절체보드(LPSB-2)는 제3 및 제4저속 다중화보드(LSMB-3,LSMB-4)를, 제3절체보드(LPSB-3)는 제5 및 제6저속 다중화보드(LSMB-5,LSMB-6)를 각각 담당하여 다중화제어보드(CPCB)의 절체명령에 따라 회로절체 및 보드절체를 처리한다.
이때 회로절체는 하나의 저속 다중화보드(LSMB)가 4개의 DS1급 채널을 처리하므로 한쌍의 저속 다중화보드에 의해 7:1 회로절체가 가능하고, 보드절체는 7개의 저속 다중화보드중 첫번째 보드(LSMB-S)가 예비용 보드이므로 6:1 보드절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회로절체에는 강제 회로절체, 수동회로절체, 자동회로절체 등이 있는데 우선순위는 강제 회로절체수동 회로절체자동 회로절체순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절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강제 회로절체명령이 입력되면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200);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해당 절체가 강제절체인지 판단하는 단계(201); 강제절체이면 현재의 절체를 종료하고, 강제절체가 아니면 이전이 이루어진 회로절체를 복구하는 단계(202); 다른 회로절체가 없거나 이전에 이루어진 회로절체의 복구가 끝나면 강제 회로절체를 수행하는 단계(203); 회로절체의 수행이 성공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204); 회로절체가 성공되었으면 회로 강제절체 상태 변수를 셋하고, 회로 수동절체 상태변수를 클리어하며, 록아웃(LOCKOUT) 변수를 셋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회로절체단계(203)의 세부 흐름도로서, 회로절체중에 인터럽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PU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300);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인지 판단하여 모두 탈장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1);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이 아니면 짝수보드가 탈장이고, 보드절체상태인지 판단하여 짝수보드가 탈장이고 보드절체상태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2); 짝수보드가 탈장이 아니고 보드절체상태도 아니면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3); 다른 회로가 절체되지 않았으면 회로 운용정보를 복사하는 단계(304); 저속절체처리(LPSP)칩에 절체명령을 내리는 단계(305); 절체의 수행이 성공인지 확인하는 단계(306); 및 회로절체가 완료되거나 절체가 중지되면 CPU 인터럽트를 인에이블하는 단계(307)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HSMB가 실장되고, 보드상태가 정상이며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지 않으면 회로운용정보를 복사한 뒤 회로절체를 수행하여 고장난 회로를 예비 회로로 절환한다.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회로 절체복구단계(202)의 세부 흐름도로서, 회로절체 복구중에 인터럽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PU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401);복귀되는 회로가 있는 보드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이 아니면 절체복구를 중지하는 단계(402); 복귀되는 회로가 정상이면 복귀될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403); 절체되어 있으면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인지 판단하여 탈장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404); 모두 탈장이 아니면 록아웃(LOCKOUT)이 걸려있는지 판단하여 록아웃이 걸려있으면 절체복구를 중지하는 단계(405); 록아웃이 걸려있지 않으면 저속다중화 절체처리(LPSP)칩에 복귀명령을 내리는 단계(406); 회로 운용정보를 복사하는 단계(407); 절체복귀의 성공을 확인하는 단계(408); 절체복귀가 완료되거나 절체복귀가 중지되면 CPU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409)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복귀되는 회로가 속한 보드가 정상이고, HSMB가 모두 탈장되어 있지 않으면, 록아웃이 걸려있지 않으면 회로절체를 복귀하고 회로 운용정보를 복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운용중인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회로 강제절체를 명령하면 이미 절체중인 저순위의 회로절체를 복귀시킨 후 회로절체를 수행하여 중요회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 회로가 구비된 저속다중화보드들과 고속다중화보드를 구비되어 소정의 비동기 다중화신호들을 동기식 다중화하여 동기식 전송모듈(STM)을 형성하도록 된 동기식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강제 회로절체명령이 입력되면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200); 이미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해당 절체가 강제절체인지 판단하는 단계(201); 강제절체이면 현재의 절체를 종료하고 강제절체가 아니면 이전의 회로절체를 복구하는 단계(202); 다른 회로절체가 없거나 이전에 이루어진 회로절체의 복구가 끝나면, 회로절체를 수행하는 단계(203); 회로절체의 수행이 성공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204); 회로절체가 성공되었으면 회로 강제절체 상태 변수를 셋하고, 회로 수동절체 상태변수를 클리어하며, 록아웃 변수를 셋하는 단계(20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절체단계(203)는, 회로절체중에 인터럽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PU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300);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인지 판단하여 모두 탈장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1);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이 아니면 짝수보드가 탈장이고, 보드절체상태인지 판단하여 짝수보드가 탈장이고 보드절체상태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2); 짝수보드가 탈장이 아니고 보드절체상태도 아니면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다른 회로가 절체되어 있으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303); 다른 회로가 절체되지 않았으면 회로 운용정보를 복사하는 단계(304); 저속절체처리(LPSP)칩에 절체명령을 내리는 단계(305); 절체의 수행이 성공인지 확인하는 단계(306); 및 회로절체가 완료되거나 절체가 중지되면 CPU 인터럽트를 인에이블하는 단계(30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절체복구단계(202)는, 회로절체 복구중에 인터럽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PU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401);복귀되는 회로가 있는 보드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이 아니면 절체복구를 중지하는 단계(402); 복귀되는 회로가 정상이면 복귀될 회로가 절체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403); 절체되어 있으면 고속 다중화보드(HSMB)가 모두 탈장인지 판단하여 탈장이면 절체를 중지하는 단계(404); 모두 탈장이 아니면 록아웃(LOCKOUT)이 걸려있는지 판단하여 록아웃이 걸려있으면 절체복구를 중지하는 단계(405); 록아웃이 걸려있지 않으면 저속다중화 절체처리(LPSP)칩에 복귀명령을 내리는 단계(406); 회로 운용정보를 복사하는 단계(407); 절체복귀의 성공을 확인하는 단계(408); 절체복귀가 완료되거나 절체복귀가 중지되면 CPU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40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KR1019950041971A 1995-11-17 1995-11-17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KR017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971A KR0171764B1 (ko) 1995-11-17 1995-11-17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971A KR0171764B1 (ko) 1995-11-17 1995-11-17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509A KR970031509A (ko) 1997-06-26
KR0171764B1 true KR0171764B1 (ko) 1999-03-30

Family

ID=1943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971A KR0171764B1 (ko) 1995-11-17 1995-11-17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509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0234B1 (en) Transport interface for performing protection switching of telecommunications traffic
JP3159862B2 (ja) 加入者系伝送装置
US5822299A (en) Path protec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293743B2 (ja) 時分割信号交換システム
NZ279284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tection channel for fault switching
JPH10173657A (ja) 伝送装置
CN101167281B (zh) 用于同步交换光传输网络信号的方法和设备
US6917584B2 (en) Channel reassignment method and circuit for implementing the same
EP0505062B1 (en) Multiplex data ring transmission
US5570344A (e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transmission device units
JP3235730B2 (ja) 同期データ通信網の同期方法および該同期データ通信網で用いられる通信装置
EP0743769B1 (en) Synchronous ring network system
US6717953B1 (en) Method of and facility for converting a SONET signal to an SDH signal
JP2988440B2 (ja) 端局装置
KR0171765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보드절체 방법
US7050450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master clock in the same
KR0171764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JP3188531B2 (ja) 多重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0171763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f1 바이트를 이용한 타합선 경로구성방법
JPH09135228A (ja) 伝送装置
KR0171762B1 (ko)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KR100195063B1 (ko) 동기식 광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망에 있어서 링경보방법
KR100237475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KR0171775B1 (ko) 타합선 신호 처리 장치
KR19980054664A (ko) 전송장치내 직렬 데이타 전송에러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