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762B1 -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 Google Patents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1762B1 KR0171762B1 KR1019950041969A KR19950041969A KR0171762B1 KR 0171762 B1 KR0171762 B1 KR 0171762B1 KR 1019950041969 A KR1019950041969 A KR 1019950041969A KR 19950041969 A KR19950041969 A KR 19950041969A KR 0171762 B1 KR0171762 B1 KR 0171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line
- main
- received
- code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에 관한 것으로, 코덱(CODEC:61, 62), 주통제기(63), 예비통제기(64), 주증폭기(65), 예비증폭기(66), 및 수신 선택기(67)로 구성되어 광전송장치를 단국형 혹은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에 운용방식 및 선로상태에 따라 운용자통신을 통제함으로써 양질의 통신채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되면 예비선로로 절체하여 서비스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다중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디지털 계위의 STM-n 프레임 포맷.
제3도의 (a)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구간 오버헤드(SOH).
제3도의 (b)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경로 오버헤드(POH).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동기식 전송장치의 링 토포로지의 예.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전송장치예.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통화 통제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 노드 S : 주 선로
P : 예비선로 T : 광송신기
R : 광수신기 11, 21, 31, 41 : 다중화장치
111 :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 112 : 저속 다중화기
113 : 고속다중화기 114 : 망노드정합기
115 : 클럭공급기 116 : 다중화제어부
117 : 시스템제어부 118 : 망제어부
119 : 타합선 정합부 120 : 타합반
121 : 경보기 61, 62 : 코덱(CODEC)
63 : 주통제기 64 : 예비통제기
65 : 주증폭기 66 : 예비증폭기
67 : 수신선택기
본 발명은 동기식 광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비동기식 신호인 1.544Mbps 신호(이하 DS1이라 함)을 최대 84개 혹은 2.048Mbps 신호(이하 DS1E라 함)를 최대 63개, 44.736Mbps 신호(이하 DS3라 함)를 최대 3개까지 수용하여 동기식 디지털 망에서 기본이 되는 STM-1 신호로 다중화한 후 광전송하고 이의 역기능을 수행하는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운용자 통화선로를 통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광전송장치는 비동기식 다중화된 신호(예컨대, DS1, DS1E)를 동기식 다중화하여 광송신기에서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하고,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광수신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동기식 역다중화하여 비동기식 역다중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바, 비동기 다중화 신호를 동기식 다중화하여 STM-n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도에 있어서, AM은 비동기식 다중화 과정을 나타내고, SM은 동기시 다중화과정을 나타내며 화살표 방향으로 다중화되어 STM-n 프레임이 된다. 즉, DS-1 프레임은 상자(C:Container)에 매핑되어 C-11이 되고, 여기에 경로 오버헤드(POH:Path OverHead)가 부가되면 가상 상자(VC) VC-11이 되며, 그위에 포인터(PTR)를 덧붙이면 계위 신호 단위(TU) TU-11이 된다. 또한 TU-11은 네 개씩 그룹지어 계위 신호 단위그룹(TUG-2) 형태로 VC-3와 VC-4로 다중화되고, VC-3는 관리유니트 AU-3를 거쳐 3개가 다중화되어 관리유니트그룹(AUG)이 되고, 여기에 구간 오버헤드(SOH)가 부가되어 최종적으로 STM-1이 된다. 이때, 유럽방식의 DS1E는 C-12로 매핑된 후 경로 오버헤드(POH)가 부가되어 가상상자 VC-12가 된다.
여기서, 상자(C)는 동기시 다중화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기존의 비동기식 디지털 계위신호들은 해당 상자속에 매핑되어 동기식 다중화되는데, 비동기식 다중화계위와 대응되게 C-1, C-2, C-3, C-4가 있고, C-1은 다시 북미식 DS1을 매핑시키기 위한 C-11, 유럽식 DS1E를 매핑시키기 위한 C-12로 구분된다. 그리고, 가상상자(VC)는 동기시 전송에 있어서 경로계층간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신호단위이고, 계위신호단위(TU)는 하위경로계층(VC-1, VC-2)과 상위경로계층(VC-3, VC-4)간을 적응시키기 위한 것으로 포인터가 사용되며, 계위신호단위그룹(TUG)은 계위단위신호(TU)를 한 개 이상 결합하여 상위 VC 유료 부하공간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고, 관리단위(AU)는 상위경로 계층과 다중화기 구간계층간의 적응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단위로서 AU포인터가 사용되고, 관리단위그룹(AUG)은 관리단위(AU) 신호들이 한 개 이상 결합하여 STM 유료공간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어진 것을 말한다.
제2도는 일반적인 동기식 디지털 계위의 STM-1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이 포맷은 125μsec 동안에 9행, 270열의 바이트를 점유하므로 9×270×8×8Kbps = 155.550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여기서, 9×9 바이트는 구간 오버헤드(SOH) 및 AU 포인터 공간이고, 9×261 바이트가 유료부하 공간이다. 또한 9×9 바이트중에서 3×9(a)는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이며, 1×9(b)는 AU포인터이고, 5×9(c)는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이다. 그리고 유료부하공간은 하나의 VC-4 혹은 3개의 VC-3가 실릴 수 있는데, VC-3에는 9×1의 경로 오버헤드(d:POH)가 포함되어 있다.
제3도의 (a)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구간 오버헤드(SOH)로서, 1∼3행은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이고, 4행은 AU포인터이며, 5∼9행은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이다. 제3도의 (a)에 있어서,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는 재생기마다 확인하는 구간 오버헤드로서, 'A1'과 'A2'는 STM 프레임의 경계를 식별하기 위한 프레임 정렬 부호인데 'A1' = 11110110, 'A2' = 00101000으로 규정되고, 'B1'은 재생기 구간오류 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BIP:Bit Interleaved Parity)바이트이고, 'D1, D2, D3'는 재생기 구간에서 사용도리 수 있는 데이타 통신 채널(DCC:Data Communication Channel)로서, 각 채널의 용량은 64Kbps이므로 재생기 구간 데이타 통신 채널의 총용량은 192Kbps가 된다. 그리고 'E1'은 재생기 구간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타합선(orderwire)이고, 'F1'은 통신망 운용자등의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채널이며, 'X'는 각 국가에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공간이다.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는 다중화기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로서 재생기들에서는 투명하게 통과되는데, B2, D4∼D12, E2, K1, K2, Z1, Z2등으로 구성된다. 'B2'는 다중화구간 오류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 바이트이고, 'D4∼D12'는 다중화기 구간을 위한 데이타 통신 채널(DCC)로서 총 용량은 576Kbps가 된다. 'E2'는 다중화기 구간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타합선이고, 'K1, K2'는 자동보호절체(APS: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채널들로서 APS를 위하여 할당 되는데, 'K2'는 정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와 원단수신불능(FERF)등의 구간유지보수신호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Z1, Z2'는 장래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남겨진 예비 바이트이다.
그리고 경로 오버헤드(POH)는 고위 경로 오버헤드와 저위 경로 오버헤드가 있는데, 제3도의 (b)는 제2도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의 고위 경로 오버헤드(POH)로서, 고위 경로 오버헤드는 고위 가상상자 즉, VC-3와 VC-4에 부착되는 경로 오버헤드로서 VC-3나 VC-4의 첫 번째 열에 위치하고, J1, B3, C2, G1, F2, H4, Z3∼Z5로 구성된다. 'B3'는 경로오류 감시기능을 위한 비트 교직 짝수 검사 바이트이고, 'C2'는 VC-3/VC-4의 구성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표지이고, 'F2'는 경로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G1'은 VC-3/VC-4 수신측에서의 경로상태 및 성능을 VC-3/VC-4 송신측에 알려주기 위한 채널이고, 'H4'는 구성유료부하들의 다중 프레임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저위경로 오버헤드는 저위 가상상자, VC-1, VC-2에 부착되는 경로 오버헤드(POH)로서 VC-11, VC-12, VC-2의 첫 번째 바이트로서 'V5'로 표기되며, BIP-2, FEBE, PT, L1∼L3, FERF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기식 전송방식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技術)은 이병기 외 2인이 공동으로 저술한 책 광대역정보통신의 101페이지부터 234페이지에 자세히 기술(記述)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식 광전송장치는 구간 오버헤드의 E1바이트를 이용하여 재생기간 운용자 통화를 할 수 있고, E2바이트를 이용하여 다중화기간 운용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동기식 광전송장치를 운용하는 방시이 단국형과 분기/결합형으로 구분되고, 이에 따라 운용자 통화 선로를 구성하는 방식이 달라지므로 이를 통제하는 회로가 필요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용방식에 따라 운용자 통화 경로를 통제하는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선로와 예비선로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단말형 혹은 분기/결합형으로 운용되는 동기시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주선로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화하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주선로로 송신하는 제1코덱; 예비선로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화하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예비선로로 송신하는 제2코덱; 주선로로 송신하기 위한 타합선의 음성 송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주증폭기; 예비선로로 송신하기 위한 타합선의 음성 송신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예비증폭기; 주절체제어(S-CUT)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코덱으로부터 수신된 주선로의 수신신호를 타합선 수신측으로, 상기 예비증폭기의 음성송신신호를 상기 제2코덱을 통해 예비 선로측으로 연결 혹은 차단하는 주통제기; 예비절체제어(P-CUT)신호에 따라 상기 제2코덱으로부터 수신된 예비선로 수신신호를 타합선 수신측으로, 상기 주증폭기의 음성 송신신호를 상기 제1코덱을 통해 주선로측으로 연결 혹은 차단하는 예비통제기; 및 상기 주통제기로부터 입력받은 주선로의 수신신호와 상기 예비통제기로부터 입력받은 예비선로의 수신신호를, 단국운용시에는 선택신호(NOMC)에 따라 선택하여 타합반측으로 출력하고, 분기/결합 운용시에는 양측을 수신한 후 상기 예비증폭기 및 주증폭기로 송신함과 아울러 타합반측으로 출력하는 수신선택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시 광전송장치를 사용하여 4개의 노드를 갖는 링 네트웍을 구성한 예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국(10), B국(20), C국(30), D국(40)으로 구성되고, 각 국은 광송수신기 2대 및 다중화/역다중화기를 구비하여 2개의 선로로 링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S는 현재 사용중인 주선로를 나타내고, P는 예비선로를 나타내며 신호전송방향이 주선로와 예비선로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A국(10)은 수신기(13)를 통해 D국(40)으로부터 혹은 수신기(14)를 통해 B국(20)으로부터 수신한 중계신호와 자신의 단국신호를 다중화한 후 송신기(12)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주선로(S)를 통해 B국(20)으로, 송신기(15)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예비선로(P)를 통해 D국(40)으로 각각 송신하고, B국(20)은 수신기(23)를 통해 A국(10)으로부터 혹은 수신기(24)를 통해 C국(30)으로부터 수신한 중계신호와 자신의 단국신호를 다중화한 후 송신기(22)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주선로(S)를 통해 C국(30)으로, 송신기(25)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예비선로(P)를 통해 A국(10)으로 각 송신한다. 그리고 C국 및 D국에서의 신호전송은 A국 및 B국에서의 신호전송방식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링구조에서 각 노드는 하나의 주국(Master)과 나머지의 부국(Slave)들로 구성되는데, 모든 노드들은 동등하게 주국이 될 수 있으며, 주국은 주선로(S) 수신, 예비선로(P) 송신측을 차단(S-cut이라 한다)하거나 주선로(S) 송신, 예비선로(P) 수신측을 차단(P-cut이라 한다)해야 하고, 부국들은 주선로(S) 및 예비선로(P)의 송수신을 모두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다중화기(이하 본 발명에서 송신과정의 다중화는 수신과정에서의 역다중화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간단히 다중화로 표기한다)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LPSB:111), 저속 다중화기(LSMB:112), 고속 다중화기(HSMB:113), 망노드정합기(NNIB:114), 클럭공급기(STGB:115), 다중화제어부(CPCB:116), 시스템제어부(SPCB:117), 망제어부(DCCB:118), 타합선 정합부(OWIB:119), 타합반(TEL:120), 경보기(ALU:121)로 구성되어 비동기식 다중화신호인 DS1 혹은 DS1E를 동기식 다중화신호인 STM-1 신호로 변환 및 역변환한다.
제5도에 있어서, 클럭공급기 (STGB:115)는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 및 타이밍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시스템제어부(SPCP:117)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제어 및 감시를 담당하고, 망제어부(DCCB:118)는 OAM데이타를 TMN 프로토콜에 의해 대국 또는 원격국의 파라메터를 억세스하며 DCC 채널을 통한 통신을 제공한다. 저속 다중화기(LSMB:112)는 6개의 운용보드와 1개의 예비보드로 구성되어 DS1 신호를 TUG2 신호로 동기식 다중화/역다중화하고, 고속 다중화기(HSMB:113)는 최대 21개의 TUG 신호를 접속하여 VC-3, AUG 신호로 동기식 다중화/역다중화한다. 또한 저속 다중화기 절체부(LPSB:111)는 서비스채널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1 회로절체와 6:1 보드(혹은 유니트라 한다) 절체를 위한 릴레이들로 구성되며 다중화제어부(CPCB:116)의 절체명령에 따라 절체하고, 망노드정합기(NNIB:114)는 AUG 신호를 접속하여 구간 오버헤드(SOH)를 생성 및 삽입하여 STM-1 신호를 형성하여 광장치에 접속하며 클럭복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스크램블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타합성 정합부(OWIB:119)는 타합선을 시스템 제어부(117)를 통해 망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2와이어 인터페이스 기능, 다자간통화로구성기능, 호설정 내부기능, E1/E2 선택기능 등을 처리하고, 경보기(121)는 시스템 제어부(117)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처리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17) 및 망제어부(118)에는 GUI 기능이 구비된 터미널이 접속되고, 타합선 정합부(119)에는 타합반(TEL)이 연결되며, 망노드 정합기(114)는 STM-1 신호를 워킹(서비스) 및 예비선로측으로 각각 송수신한다.
이어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광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구성한 분기/결합형 링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통화 통제회로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 운용자 통화 통제회로는 코덱(CODEC:61, 62), 주통제기(63), 예비통제기(64), 주증폭기(65), 예비증폭기(66), 수신 선택기(67)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있어서, SRX는 주선로(Service line)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타이고, STX는 주선로(Service line)로 송신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타이며, PRX는 예비선로(Protection line)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타이고, PTX는 예비선로(Proctection line)로 송신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타이며, TX는 타합반으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이고, RX는 타합반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이다.
또한, NOMC 신호는 단국형으로 운용시 주선로이 예비선로중 운용 선로를 선택하는 신호로서, 이 신호가 0이면 주선로가 선택되고 1 이면 예비선로가 선택되며, ADM/TER 신호는 장치를 운용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신호로서 단국형으로 운용시에는 1이고,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는 0이다. 이때 단국형으로 운용시에는 NOMC 신호에 따라 주선로 혹은 예비선로로부터 수신이 선택되고, 분기/결합(ADM)형으로 운용시에는 주, 예비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다시 송신측으로 돌려 보낸다.
그리고 S-CUT 신호는 주통제기(63)를 제어하여 예비선로로 송신 및 주선로로부터 수신을 연결 혹은 차단하는 신호로서, 0이면 차단 하게 하고, 1이면 연결하게 하며, P-CUT 신호는 예비통제기(64)를 제어하여 예비선로로부터 수신 및 주선로로 송신을 연결 혹은 차단하는 신호로서 0이면 차단하게 하고, 1이면 연결하게 한다.
한편, 코덱(61, 62)은 디지털 음성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PCM 코딩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며, 주통제기(63) 및 예비통제기(64)는 S-CUT 및 P-CUT 신호에 따라 통화로를 연결 혹은 차단하며, 주증폭기(65) 및 예비증폭기(66)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 및 레벨을 조절하며, 수신선택기(67)는 ADM/TER 신호 및 NOMC 신호에 따라 수신신호를 선택하고 송신측으로 다시 돌려보내거나 타합반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통제회로의 동작을 단국(TER)형으로 운용할 때와 분기/결합(ADM)형으로 운용할 때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단국형으로 운용할 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5도와 같은 동기식 광송수신장치를 단국형으로 운용시는, 미도시되었으나 A국과 B국을 점 대 점(point-to-point)으로 연결하여 양쪽이 모두 종단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단국형으로 운용할 경우에 본 발명의 통제회로에서 ADM/TER 신호는 1이 되고, S-CUT, P-CUT 신호도 모두 1이 된다.
따라서 운용자의 음성신호는 주, 예비증폭기(65, 66)로 각각 입력되어 증폭된 후, 주 및 예비 통제기(63, 64)에서 모두 연결되어 코덱(61, 62)을 통해 주선로 및 예비선로로 각각 송신된다. 그리고 주선로 및 예비 선로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타는 코덱에서 디코딩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주 및 예비 통제기(63, 64)에서 모두 연결되어 수신선택기(67)로 각각 입력된다. 수신선택기(67)는 NOMC 신호에 따라 예비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주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는데, 예컨대 NOMC 신호가 0이면 주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여 타합반으로 출력하고, NOMC 신호가 1이면 예비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여 타합반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주 선로 및 예비선로로 이중화하여 운용중에, 어느 한 선로에 이상이 발생되면 NOMC 신호를 제어하여 이상이 없는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2. 분기/결합형으로 운용할 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를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에는 링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이 링으로 연결된 국소중에서 하나의 국소가 주국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국소는 부국으로 설정된다. 이때 주국 및 부국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선로의 상태에 따라 변환된다.
그리고 동기식 광전송장치를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에 수신선택기(67)로 입력되는 ADM/TER 신호는 0이 되고, 이에 따라 주, 예비선로의 수신데이타를 모두 수신하여, 주, 예비선로로 수시신호를 돌려 보내 다음 국소로 데이타를 송신한다. 따라서 링방식으로 연결된 모든 국소에서 운용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개별 통화도 가능하다.
또한 동기식 광전송장치를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 S-CUT, P-CUT 신호는 주국 혹은 부국에 따라 다음 표1과 같이 설정된다.
상기 표1에서와 같이, 분기/결합형의 주국은 정상상태에서 S-CUT 신호가 0이고 P-CUT 신호가 1로서, 주선로측으로의 송신이 연결되고 수신은 차단되며 예비선로로의 송신은 차단되고 수신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주선로 이상시에는 정상시와 동일하게 연결상태를 유지하다가 예비선로 이상시에는 S-CUT 신호가 1이 되고 P-CUT 신호가 0이 되어 주선로측으로의 송신이 차단되고 수신은 연결되며 예비선로로의 송신은 연결되고 수신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부국에서는 S-CUT 신호와 P-CUT 신호가 모두 '1'로서, 주선로측으로의 송수신과 예비선로로의 송수신이 모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주국에서 S-CUT, P-CUT을 제어하여 송수신데이타를 통제하는 것은, 망 운용시 폐루프에 의해 타합선상에 하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에 운용자의 음성 신호는 주, 예비증폭기(65,66)로 각각 입력되어 증폭된 후, 주 및 예비 통제기(63, 64)에서 S-CUT 신호 및 P-CUT 신호에 따라 상기 표1과 같이 연결 혹은 차단되고, 이어서 연결된 신호만이 코덱(61, 62)을 통해 주선로 혹은 예비선로로 송신된다. 그리고 주선로 및 예비 선로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타는 코덱(61, 62)에서 디코딩된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주 및 예비 통제기(63, 64)에서 S-CUT 및 P-CUT 신호에 따라 상기 표1과 같이 연결 혹은 차단되어 연결된 신호만이 수신선택기(67)로 입력된다. 수신선택기(67)는 수신된 신호를 주증폭기(65) 및 예비증폭기(66)로 다시 돌려보냄과 동시에 타합반(TEL)으로 출력하여 다자간 및 개별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광전송장치를 단국형 혹은 분기/결합형으로 운용시에 운용방식 및 선로상태에 따라 운용자 통신을 통제함으로써 양질의 통신채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되면 예비선로로 절체하여 서비스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주선로와 예비선로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단말형 혹은 분기/결합형으로 운용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주선로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화하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주선로로 송신하는 제1코덱(61); 예비선로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화하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예비선로로 송신하는 제2코덱(62); 주선로로 송신하기 위한 타합선의 음성 송신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주증폭기(65); 예비선로로 송신하기 위한 타합선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예비증폭기(66); 주절체제어(S-CUT)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코덱으로부터 수신된 주선로의 수신신호를 타합선 수신측으로, 상기 예비증폭기의 음성송신 신호를 상기 제2코덱을 통해 예비선로측으로 연결 혹은 차단하는 주통제기(63); 예비절체제어(P-CUT) 신호에 따라 상기 주증폭기의 음성 송신 신호를 상기 제1코덱을 통해 주선로측으로 연결 혹은 차단하는 예비통제기(64); 및 상기 주통제기로부터 입력받은 주선로의 수신신호와 상기 예비통제기로부터 입력받은 예비선로의 수신신호를, 단국운용시에는 선택신호(NOMC)에 따라 선택하여 타합반측으로 출력하고, 분기/결합 운용시에는 양측을 수신한 후 상기 예비증폭기 및 주증폭기로 송신함과 아울러 타합반측으로 출력하는 수신선택기(6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41969A KR0171762B1 (ko) | 1995-11-17 | 1995-11-17 |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41969A KR0171762B1 (ko) | 1995-11-17 | 1995-11-17 |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1501A KR970031501A (ko) | 1997-06-26 |
KR0171762B1 true KR0171762B1 (ko) | 1999-03-30 |
Family
ID=1943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41969A KR0171762B1 (ko) | 1995-11-17 | 1995-11-17 |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717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480B1 (ko) * | 2000-08-26 | 200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전송장비의 절체 서비스 장치 |
-
1995
- 1995-11-17 KR KR1019950041969A patent/KR01717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480B1 (ko) * | 2000-08-26 | 200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전송장비의 절체 서비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1501A (ko) | 1997-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59862B2 (ja) | 加入者系伝送装置 | |
CA2065471C (en) | System for squelching communications circuits terminating in failed ring nodes | |
EP0874488B1 (en) | Transparent multiplexer/demultiplexer | |
CA2235083C (en) | Transparent transport | |
EP059087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tributary switching in a bidirectional ring transmission system | |
US5923646A (en) | Method for designing or routing a self-healing r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self-healing ring rout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 |
EP0654924B1 (en)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connected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 |
US7386012B2 (en) | Multiplex transmission apparatuses, multiplex transmission network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US5675580A (en) | Processor device for terminating and creating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 |
JP3126606B2 (ja) | 通信システム | |
EP0654922A2 (en)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connected line-switched and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 |
US7161899B2 (en) | Interlocking SONET/SDH network architecture | |
CA2103804A1 (en) | Process for the reception and issue of section overheads of and for stm-1 signals in a section overhead server of a network node | |
US5768278A (en) | N: 1 Transcoder | |
JPH09214456A (ja) | 多重変換装置の構成方法および多重変換装置 | |
US20010053146A1 (en) | Processor device for terminating and creating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 |
KR0171762B1 (ko) | 동기식 전송장치의 운용자통화 통제회로 | |
KR0171765B1 (ko) |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보드절체 방법 | |
KR0171763B1 (ko) |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f1 바이트를 이용한 타합선 경로구성방법 | |
KR100195063B1 (ko) | 동기식 광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망에 있어서 링경보방법 | |
KR0171775B1 (ko) | 타합선 신호 처리 장치 | |
KR0171764B1 (ko) |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저속 다중화기의 회로절체 방법 | |
KR0147760B1 (ko) | 동기식 광 전송 시스템 | |
JP2677198B2 (ja) | 無線通信方式 | |
KR100237475B1 (ko) |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