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494B1 -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494B1
KR0171494B1 KR1019960013817A KR19960013817A KR0171494B1 KR 0171494 B1 KR0171494 B1 KR 0171494B1 KR 1019960013817 A KR1019960013817 A KR 1019960013817A KR 19960013817 A KR19960013817 A KR 19960013817A KR 0171494 B1 KR0171494 B1 KR 017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heater
cold
temperat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867A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1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494B1/ko
Publication of KR97007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동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냉온수기는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물통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냉각한 냉수나 가열한 온수만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냉온수기를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냉온수기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냉온수기 온수통을 제1온수통과 제2온수통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온수통에 히터와 보조히터를 설치하고 냉온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히터와 보조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제1온수통과 제2온수통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냉각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개략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제6도는 종래의 냉온수기 냉각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7도는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3 : 흡수 파이프
5 : 냉수통 7 : 택트 스위치
9 : 캐필러리 튜브 11 : 드라이어
13 : 증발기 15 : 냉수용 밸브
17 : 응축기 19 : 온수용 밸브
21 : 격판 23 : 연결튜브
25 : 바이메탈 27 : 온수통
29 : 히터 31 : 보조히터
33 : 키 입력부 35 : 물통 안착스위치
37 : 표시부 39 : 냉수통용 온도감지센서
41 : 온수통용 온도감지센서 43 : 마이크로 프로세서
45 : 안착홈 47 : 누름편
49 : 제2온수통 51 : 누름편 로드
53 : 유입밸브 55 : 유입튜브
57 : 차급수용 밸브 59 : 제1온수통
본 발명은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 온수통을 제1온수통과 제2온수통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온수통에 히터와 보조히터를 설치하고 냉온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히터와 보조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제1온수통과 제2온수통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된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냉온수기의 냉각 시스템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유체인 프레온과 같은 냉매를 냉각 사이클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냉수통(105) 내부의 식수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압축기(101 ; 컴푸레셔), 상기 압축기(101)와 흡수 파이프(103)를 통해 연결되어 냉수통(105)을 감고 있는 증발기(113), 상기 증발기(113)와 캐필러리 튜브(109)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드라이어(111) 및 드라이어(111)와 인접 연결되어 있는 방열 응축기(11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101)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흡수 파이프(103)를 통해 증발기(17)로 유입되어 증발되며, 이때 기화열로 사용되어 소모된 열량이 냉수통(105) 즉 식수의 온도 저하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식수를 원하는 만큼 냉각시킬 수 있게 되며, 증발된 냉매는 캐필러리 튜브(109)를 통해 드라이어(111)를 경유하여 응축기(117) 안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117)를 거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로 환원된다. 액체 상태로 된 냉매는 압축기(101)로 유입되어 재차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 시스템을 통하여 냉각된 식수 특히 증발기(117)가 감겨있는 냉수통(105) 하부 즉 분할판(121) 아래쪽에 냉수는 냉수용 밸브(115)를 개폐함에 따라 원하는 양만큼 외부로 토출된다. 밀도차로 인해 분할판(121) 위쪽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식수는 연결 튜브(123)를 통하여 제7도에 도시된 온수통(127)으로 공급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통(127) 내부의 온수는 온수용 밸브(119)를 개폐함에 따라 적정량씩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양만큼 냉수통(105)으로 부터 온수통(127)으로 유입된 식수는 온수통(127) 하단에 장착된 히터(129)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시 온수통(127)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바이메탈(125)에 의해 검출되어 출력되는 온도값을 인식한 제어수단(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히터가 동작하여 온수통 내의 온도값이 적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되어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냉온수기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냉온수기는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물통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냉각한 냉수나 온수통에 유입된 물을 가열한 온수만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냉온수기를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냉온수기의 사용상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온수기 온수통을 제1온수통과 제2온수통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온수통에 히터와 보조히터를 설치하고 냉온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히터와 보조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제1온수통와 제2온수통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여 온수통의 물이 선택된 동작모드의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냉온수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인 목적은 온수통과 냉수통의 상하 관계를 종래와 달리 온수통이 상측으로 오도록 하고 냉수통이 하측으로 오도록 설치함으로써 냉수통에 비해 사용빈도가 많은 온수통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된 냉수용 밸브를 통해 냉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과 연결튜브에 의해 연결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온수용 밸브를 통해 온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온수통으로 이루어져 있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으며 냉수통의 상부에 연결 튜브로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내부 공간 일측부에 격판으로 수직 구획되어 있는 제2온수통과, 상기 제1온수통 하부에서 상기 제2온수통의 하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입 튜브와, 상기 제2온수통의 중간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누름편의 자중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택트 스위치와, 상기 누름편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는 누름로드의 작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유입밸브와, 상기 제2온수통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온수통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보조히터, 및 상기 제2온수통의 바닥면에 외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차급수용 밸브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물통의 안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통 안착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물통이 안착된 것으로 판정되면 히터를 구동시키면서 제1온수통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의 대비결과 제1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히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고 제1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희망 온도값과 제1온수통의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의 대비결과 제1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를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시키고, 제1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택트 스위치가 작동되는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및 택트 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히터가 정상동작하도록 하고 택트 스위치가 작동되면 보조히터를 작동시켜 제2온수통에 유입된 물을 택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의 온도값으로 가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증발기(13)에 의해 냉각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된 냉수용 밸브(15)를 통해 냉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냉수통(5)과, 상기 냉수통(5)과 연결튜브(23)에 의해 연결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29)에 의해 가열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온수용 밸브(19)를 통해 온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온수통(2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온수통(27)은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홈(45)을 갖으며 냉수통(5)의 상부에 연결 튜브(23)로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온수통(59)과, 상기 온수통(27)의 내부 공간 일측부에 격판(21)으로 수직 구획되어 있는 제2온수통(49)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1온수통(59)의 하부에서 상기 제2온수통(49)의 하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입 튜브(55)와, 상기 제2온수통(49)의 중간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누름편(47)의 자중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택트 스위치(7)와, 상기 누름편(47)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는 누름로드(51)의 작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유입밸브(55)와, 상기 제2온수통(4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온수통(49)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보조 히터(31), 및 상기 제2온수통(49)의 바닥면에 외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차급수용 밸브(5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에서 특히, 제1온수통(59)과 제2온수통(49)에 유입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히터(29)와 보조 히터(31)를 갖는 냉온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냉온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3)와, 냉온수기의 외부에 설치되며 냉온수기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를 상기 마이컴(43)에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33)와, 냉온수기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키 입력부(33)의 입력상태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컴(43)의 제어신호에 따라 냉온수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7)와, 냉수통(5)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통의 안착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게 전달하는 물통 안착스위치(35)와, 냉수통(5)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냉수통(5)에 담겨진 물의 온도값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43)에 전달하는 냉수 온도감지센서(39)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냉수통(5)에 담겨진 물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낮추기 위한 압축기(1)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과, 제1온수통(59)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제1온수통(59)의 수온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43)에 전달하는 온수통용 온도감지센서(41), 제1온수통(59)과 제2온수통(49)에 담겨진 물의 온도값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제1온수통(59)과 제2온수통(49)에 담겨진 물의 온도값이 적정온도값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히터(29) 및 보조 히터(31), 상기 보조 히터(31)의 작동상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택트 스위치(7)로 구성된다.
상기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회로의 운영동작을 첨부한 제5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물통의 안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통 안착스위치(35)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물통이 안착된 것으로 판정되면 히터(29)를 구동시키면서 온수통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의 대비결과 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히터(29)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고 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29)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희망 온도값과 제1온수통의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단계와, 상기 대비결과 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29)를 계속해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택트 스위치(7)가 작동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택트 스위치(7)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히터(29)가 정상동작하도록 하고 택트 스위치(7)가 작동되면 보조 히터(31)를 작동시켜 제2온수통(49)에 유입된 물을 택트 스위치(7)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의 온도값으로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냉각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프레온가스등과 같은 냉매가 작동유체로 사용되는데, 압축기(1)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흡수 파이프(3)를 경유하여 증발기(13)로 유입되어 증발되면서 기화열로 사용되는 열량을 냉수통(5)으로 부터 빼앗게 된다. 기화된 냉매는 캐필러리 튜브(9)와 드라이어(11)를 거쳐 응축기(17) 안으로 유입되어 응축기(17) 내부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로 환원된다. 이어서 환원된 냉매는 압축기(1)로 재차 유입되어 위와 같은 냉각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냉각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증발기(13)가 하단 둘레부분에 감겨있는 냉수통(5)은 증발기(13)를 통해 소모된 열량만큼 열량을 빼앗겨 내부의 식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된 식수는 냉수 사용시 냉수용 밸브(15)를 개방하면 냉수통(5) 하단의 냉수는 냉수용 밸브(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사용된 식수는 제1온수통(59)과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 튜브(23)를 경유하여 냉수통(5)에 다시 충진된다.
안착홈(45)에 안착된 물통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제1온수통(59)에 유입되면, 제1온수통(5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29)에 의해 가열되어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렇게 가열된 온수는 온수용 밸브(19)를 개폐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보리차나 기타 차를 끓이기 위해서 제2온수통(49)에 피백이나 차의 원료를 투입하면 투입된 차 원료의 중량이 누름편(47)의 상부에 가해져 누름편(47)과 함께 누름편 로드(51)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따라 누름편(47)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택트 스위치(7)가 온상태로 절환되어 제어수단의 제어로 보조 히터(31)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며, 유입 튜브(55)의 일측을 막고 있던 유입 밸브(53)가 열려 제1온수통(59)에 있던 물이 제2온수통(49)으로 이동하여 제2온수통(49)에 충진되므로 제2온수통(49)에 충진된 물과 누름편(47)의 상부에 투입된 차 원료가 가열하여 제2온수통(49)의 물을 차로 만드는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온수통(49)에 충진되어 있는 차를 마시기 위해서 차급수용 밸브(57)를 열면 제2온수통(49)에 충진되었던 차가 차 급수용 밸브(47)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제1온수통(59)과 제2온수통(49)에 담겨진 물을 택트 스위치(7)의 작동이나 키 입력부(33)의 키 입력에 의해 히터(29)와 보조 히터(3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한편 냉온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3)의 동작을 제5도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전원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S1)하여 키 입력부(33)에 형성된 전원키가 조작되어 냉온수기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제1온수통(59) 혹은 제2온수통(4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통 안착스위치(35)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제1온수통(59) 혹은 제2온수통(4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45)에 물통이 안착되어 있는가를 판단(S2)하게 된다.
그 결과 제1온수통(59) 혹은 제2온수통(4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45)에 물통이 안착되어 있지 않으면 냉온수기의 동작모드를 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제1온수통(59) 혹은 제2온수통(4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45)에 물통이 안착되기를 대기하고 제1온수통(59) 혹은 제2온수통(4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45)에 물통이 안착되어 있으면 히터(29)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1온수통(59)에 담겨진 물을 가열(S3)하면서 온수통용 온도감지센서(41)에 의해 검출된 제1온수통(59)의 온도값과 키 입력부(33)의 키 입력으로 설정된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S4)하게 된다.
그리고, 제1온수통(59)의 온도값이 희망 온도값에 비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29)를 계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제1온수통(59)의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반복해서 대비하고, 제1온수통(59)의 온도값이 희망 온도값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히터(29)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히터(29)의 동작을 제어(S5)하면서 제1온수통(59)에서 검출된 제1온수통(59)의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S6)하게 된다.
그 다음에 제1온수통(59)에서 검출된 제1온수통(59)의 온도값이 희망 온도값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히터(29)의 동작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면서 제1온수통(59)의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계속해서 대비하고, 제1온수통(59)에서 검출되는 온도값이 희망 온도값에 비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택트 스위치(7)가 조작되었는가를 판단(S7)하게 된다. 즉, 제2온수통(49)을 이용하여 차를 끓이기 위해서 제2온수통(49)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편(47)의 상부에 차의 원료가 안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택트 스위치(7)가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히터(29)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히터(29)가 제1온수통(59)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하고, 택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보조 히터(3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2온수통(49)에 유입되는 물을 가열(S8)하면서 미도시된 타이머 IC에서 유입되는 타임 데이터를 카운팅(S9)하여 보조 히터(31)의 작동시간을 산정하게 된다.
보조 히터(31)의 작동시간이 임의로 설정한 일정시간(제2온수통(49)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시간을 말한다)을 경과(S10)하면, 보조 히터(31)에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차단함과 동시에 그 동안 카운팅한 카운팅값을 0 상태로 클리어(S11)하면서 히터(29)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1온수통(59)에 유입된 물을 일반적인 냉온수기에서와 같이 가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냉온수기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택트 스위치(7)가 조작되면, 보조 히터(31)를 동작시키거나 혹은 보조 히터(31)와 히터(29)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온수를 끓이면서 차를 끓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냉온수기의 택트 스위치의 조작으로 설정되는 냉온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히터와 보조 히터를 각각 설치하고 택트 스위치 조작에 따라 히터와 보조 히터를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온수통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함으로써, 냉온수기를 냉수와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외에 보리차를 끓이거나 혹은 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온수를 공급하는 등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냉온수기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빈도가 많은 온수통을 냉수통보다 위쪽으로 설치함으로써, 온수통에 차의 원료를 투입하거나 기타 동작을 하는 데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증발기(13)에 의해 냉각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된 냉수용 밸브(15)를 통해 냉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냉수통(5)과, 상기 냉수통(5)과 연결 튜브(23)에 의해 연결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29)에 의해 가열된 식수를 저장하면서 온수용 밸브(19)를 통해 온수를 급수하도록 되어 있는 온수통(27)으로 이루어져 있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홈(45)을 갖으며 냉수통(5)의 상부에 연결 튜브(123)로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온수통(59)과; 상기 온수통(27)의 내부 공간 일측부에 격판(21)으로 수직 구획되어 있는 제2온수통(49)과; 상기 제1온수통(59)의 하부에서 상기 제2온수통(49)의 하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입 튜브(55)와; 상기 제2온수통(49)의 중간부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누름편(47)의 자중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택트 스위치(7)와; 상기 누름편(47)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는 누름로드(51)의 작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유입밸브(55)와; 상기 제2온수통(4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온수통(49)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보조 히터(31); 및 상기 제2온수통(49)의 바닥면에 외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차급수용 밸브(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2. 물통의 안착여부를 확인하기위해서 물통 안착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물통이 안착된 것으로 판정되면 히터를 구동시키면서 제1온수통 온도값과 희망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의 대비결과 제1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히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고 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희망 온도값과 제1온수통의 온도값의 대소관계를 대비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의 대비결과 제1온수통 온도값이 크면 히터를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시키고, 제1온수통 온도값이 작으면 택트 스위치가 작동되는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 및 택트 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히터가 정상동작하도록 하고 택트 스위치가 작동되면 보조히터를 작동시켜 제2온수통에 유입된 물을 택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의 온도값으로 가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동작제어방법.
KR1019960013817A 1996-04-30 1996-04-30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017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17A KR0171494B1 (ko) 1996-04-30 1996-04-30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17A KR0171494B1 (ko) 1996-04-30 1996-04-30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867A KR970070867A (ko) 1997-11-07
KR0171494B1 true KR0171494B1 (ko) 1999-03-20

Family

ID=1945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817A KR0171494B1 (ko) 1996-04-30 1996-04-30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4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86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406B2 (ja) 貯湯式給湯装置
US20090250203A1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GB2344160A (en) Coolant circulating apparatus
JP429866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KR0171494B1 (ko) 냉온수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JP4104592B2 (ja) 貯湯式給湯装置
US4140104A (en) Hot water feeding devices
JP2003106672A (ja) 給湯装置
JP2003090606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US6397943B1 (en) Thermostatic coolant circulating device
JP3915799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386754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JPH05118567A (ja) 温水暖房装置
KR0152641B1 (ko) Ptc 히터를 갖는 냉온수기와 그 동작제어방법
JP2816913B2 (ja) 温・冷水機
JP4101190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4452051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3603733B2 (ja) 給湯装置
KR19980030867A (ko) 냉온수기의 동작 제어방법
JP3974029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05233444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2006057916A (ja) 貯湯式温水器
JPH03105154A (ja) 温水供給装置
KR0145809B1 (ko) 콤프레셔열을 이용한 냉장고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
JP2823272B2 (ja) 吸収冷温水機の再生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