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492B1 - 전자펌프 - Google Patents

전자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492B1
KR0171492B1 KR1019950038039A KR19950038039A KR0171492B1 KR 0171492 B1 KR0171492 B1 KR 0171492B1 KR 1019950038039 A KR1019950038039 A KR 1019950038039A KR 19950038039 A KR19950038039 A KR 19950038039A KR 0171492 B1 KR0171492 B1 KR 017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ump
cylinder
discharg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886A (ko
Inventor
아쓰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다카시
닛폰 콘토로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다카시, 닛폰 콘토로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무라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c Pump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펌프정지후에 전자밸브와 배출밸브까지의 사이의 내부잔류압력을 피스톤과 실린더의 접동하는 틈을 누설로로 하고 압력을 유출시키는 것이다.
전자코일에 펄스전류의 흐름으로 왕복운동되는 전자플런저에 연동하는 피스톤이 실린더에 유지되어 있다. 이 피스톤에 형성된 종공내에 흡입밸브를 설치하고, 그 하류의 고정부재에 배출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 이하의 배출유로에 차단밸브를 배설함과 동시에 배출유로에 연통되어 배출력을 도입통로를 개재하여 전자 플런저 작동실에 인도하고 있다. 그리고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 사이의 누설로에서 잔류압력을 빼고 있다.

Description

전자펌프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동상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실린더의 사시도.
제4도는 실린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펌프 3 : 전자코일
10 : 자기로드 12 : 펌프본체
18 : 전자플런저 20 : 전자플런저 작동실
23 : 실린더 23a : 상부 실린더
23b : 하부 실린더 25 : 피스톤
28 : 누설로 29 : 흡입밸브
31 : 흡입밸브 34 : 도입통로
35 : 배출밸브 43 : 배출공
44 : 배출조인트 47 : 전자밸브
50 : 장공(長孔)
본 발명은 전자펌프 특히 펌프 정지시에 차단밸브를 가지고 유체의 배출을 막는 전자펌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펌프는 단속전류에 의하여 전자코일에 발생한 단속하는 흡자력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 흡입밸브와 배출밸브의 협동작업으로 펌프작용을 행하여서 유체를 흡입공에서 흡입하고 가압하여 배출공에서 배출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펌프에 있어서는 배출공 이후에 전자밸브를 설치하여 펌프정지와 동시에 유체의 유출을 조지시키고 있었으나, 2개의 부품 때문에 구조가 크게 되는 결점이 있어서, 본 출원인은 전자밸브를 내장한 것(일본특공 소 52-38243호 공보)을 개발하여 현재 사용되어 전자펌프의 주류로 되었다.
이와 같은 전자밸브 내장형의 전자펌프는 급탕난방 등의 연소기기의 기름버어너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근년 버어너의 연소기술의 진보와 같이 연소 초기에 있어서 소음과 공해배출가스의 감소로서의 완점화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기기가 주류로 되어 있어 그것에 수반하는 전자펌프의 대응으로서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채용되어져 왔다.
그 하나는 기계식이라고 칭하여 전자펌프 본체내 에 용적 및 오리피스 누설병용 기능을 취할 펌프압력 연기동형, 예컨대 일본특개 소 59-7789호(압력 상승시간 조정장치를 가진 전자펌프) 및 실개 소 62-14173호(전자펌프의 상승시간 조정장치)가 있어서 기계적으로 연기동시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전기식이라고 칭하여 전기한 전자펌프를 사용하여 펌프의 시동인가 전류를 제어회로로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펌프의 배출압력을 유연하게 시동시키는 것이다.
두 개의 시동 기술은 각각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쌍방의 방식에서 공통된 점은 전자펌프 정지시에 전자펌프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밸브로부터 배출공이 폐쇄되어 펌프내부에 높은 압력(예컨대 7kg/㎠ 정도)이 남게 됨으로서 각각 개방수단을 가지고 있다.
기계식의 유연한 시동 기술에는 용적밸브화를 제공하는 플런저에 오리피스를 가지며, 플런저의 전후의 압력 및 복귀 스프링에서 복귀 유로를 열어서 잔압을 흡입측에 개방되어 있다.
전기식의 유연한 시동 기술에는, 예컨대 일본실개 소 58-82481호(펌프의 잔류 압력 배제장치)에서 표시하는 바, 전자펌프의 릴리이프 밸브에 근소한 누설구를 미리 설치하던지 또는 일본실개 평 1-166777호(전자펌프의 잔압배제형 릴리이프 밸브)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 내부와 흡입경로간에 오리피스를 설치해두고 펌프운전중에 있어서도 항시 흡입경로측에 누출시키는 방식이다.
어느 방식일지라도 펌프배출량 이외에 항시 인여량을 흡입경로측에 되돌리는 데는 밸브함이 없고,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펌프로서는 펌프능력과 비용면을 숙고하여 펌프 인여능력을 결정하는 일은 심히 중요한 것으로서 생산비용 면에서 시장성을 좌우되는 일이 많다.
펌프의 능력을 분석하면 제1에는 전기의 펌프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양 즉, 펌프배출 필요배출량(통상 4ℓ/h 전후)에 대하여 펌프의 입력전압 변동이나 전자코일 온도상승에 의한 능력저하 보장으로서의 정상시 자동정 베출압력의 릴리이프 밸브에서의 누설량(Leak 量)이나 전기의 내부잔류압력 개방용의 상시 리이크량, 그리고 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격에서의 미소 누설량을 전체적으로 계산에 넣은 양이 피스톤 스트록의 크기로서 고려되고, 또한, 펌프의 능력으로서 결정되기 때문에 전기의 필요배출량에 대한 인여량은 종래는 수배를 필요로 하여 펌프능력과 효율 및 비용면에서 인여량을 제어하는 것이 경제성에서도 깊이 추구되어 왔다.
따라서, 전기펌프 운전정지후의 근소한 시간에 있어서 제어를 위한 것만의 내부잔류 압력개방 릴리이프 밸브에 전용누설로를 설치한다던지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것 등은 펌프운전중에는 전연 필요치 않는 무익한 작용임으로 펌프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되어 있다.
전용누설로나 오리피스는 제작상 및 신뢰성 때문과 내부잔류 압력개방시간 등의 관계로서 어느 정도의 개구면적을 필요로 하며, 예컨대 종래의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지름으로 ψ0.16 ~ 0.2mm로서 통상 펌프운전시의 배출압 7kg/㎠에 있어서의 누설량으로서는 펌프 필요배출량의 4ℓ/h 전후에 거의 근사하거나 그 이상으로 되어 이것만으로서도 배의 능력을 필요로하여 왔다.
또한 전용누설로나 오리피스는 개구 유효면적이 1개소이므로 먼지 등이 메이기 쉬움으로 통상은 직전 또는 그 앞에 스트레이너(여과기)를 전용으로 설치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특개 소(59-7787호 및 실개 소 62-14173호) 등 압력 상승시간 조정장치부 기계식 전자펌프의 경우는 압력상승시간 지연후의 정상 운전시에는 누설량이 끝없이 0에 근접하도록 통상설계상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사되어 있으나, 기계식 완점화용 전자펌프는 부대되는 기구의 분만큼 통상 입상 전자펌프 보다 생산가가 높아져 있다.
그러나, 정상운전시의 누설량을 보충하기 위한 자기에너지로서 코일파워는 통상 올라가서 전자펌프와 같이 적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전자코일 생산비용은 싸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서 기기제작자(보일러 메이커)측의 편에서 오일버어너 콘더롤 전제 시스템 중에 설계하는 전자제어 기술의 일부에 종래의 통상의 저코스트 펌프를 이용하여 전기적 입력제어하는 방식도 시장에 많이 출품되도록 되어가고 있으나, 그 때문에 전자밸브 내장형의 전자펌프와 펌프정치 후에 내부잔류압력이 저류하는 점이 전기식 완점화식에 이용하는 경우의 결점으로 지적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전기적 완전화 방식으로 이용되는 펌프는 전기와 같이 통상 입상 특성을 가진 펌프에 일부를 개량을 가하여 내부잔류압력을 개방하기 위한 누설로나 오리피스 필터 등의 전용부품을 써넣음으로서 해결하여 왔으나, 그것으로 인한 부품코스트나 전술의 코일용량 증가에 의한 코스트 증가가 피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종래형의 펌프는 JIS B 8409 오일버어너용 전자펌프의 부도예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발전과 개량을 가하여 왔으며, 기본적으로는 전자코일의 전자력에 의한 전자플런저 및 압력피스톤이 왕복운동되어 액체용 용적펌프의 흡입구에서 흡입밸브 압력실 및 배출밸브를 경과하여 배출구에 이르는 유경로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나 전자펌프도 진보발전하여 전자펌프에 전자밸브를 내장시키는 전자밸브부 전바펌프(일본특공 소 52-38243호)의 편으로 이행하여 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출밸브에서 내장전자 밸브까지의 실 (통로 등)은 펌프 전체의 구조중에서 일체적으로 부대시킬 수가 가능함으로 기능부품을 병열적으로 부착하였다.
이러한 것 등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압력완충장치(어큐므레이터) 릴리이프 밸브 기구 또는 기계식 압력상승시간 조정장치 등의 발명, 고안 등의 기술진보가 되어 왔으나 그것은 전적으로 전술의 내장형 전자밸브 이전 (상류)의 실 (방)과 병설한 기름경로를 설치함으로서 달성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펌프정지시에는 내장전자밸브 이전 (상류)의 실의 잔류압력을 개방하기 위하여서는 전술의 기계식 완점화방식의 전용누설로나 오리피스를 경유하여 흡입구 측에 개방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해 왔다. 왜나하면 펌프배출밸브 이하 (하류)와 펌프배출공전의 전자밸브 사이는 배출밸브에 의하여 폐쇄되어져 있고 일개소를 더 착목(着目)한다면 피스톤 압력실을 통하는 경로, 즉 피스톤과 실린더의 슬립면 간의 근소한 간격은 전술의 내부압력 잔류압력실을 통하고 있으며 전술의 피스톤 압력실에도 통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펌프 정지후는 흡입밸브의 폐쇄성에 의거 피스톤 압력실내도 거의 동시에 내부잔류압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되어 있었다. 흡입밸브의 흡입측에 부착된 스프링의하중은 통상 4g 정도로 설정하고 흡입시의저항을 될 수 있는 한 최소로 하고, 공동현상 등의 현상을 없게 하는 설계로 되어 있고 역으로 기름탱크 헤드가 2m 정도일 때는 약 20g에 버금하는 하중이 가해짐으로서 간단히 열려질 정도의 것이나, 내부잔류압력을 유지하는 통상의 전자밸브 내장형 펌프의 경우에는 정상배출 압력 7kg/㎠ 정도로 한 경우, 잔류압력도 거의 이 근사치에서 저류폐쇄 되기 때문에 흡입밸브가 흡입구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은 밸브시이트경을 ψ4mm로 하면 하중환산으로 실로 879g까지 되며, 흡입밸브 스프링의 가압력의 약 220배 까지도 되어 있다.
본 발명과는 별도의 기술로서 이 흡입밸브를 별체의 솔레노이드 등의 힘으로서, 펌프정지후에 개방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나, 이 종류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단체 전자밸브는 소형이므로 에너지적으로도 작으며, 전자밸브의 가동철심을 작동시키는 힘은 겨우 100 ~ 200g 정도로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의 밸브시이트 경도 1/2 이하로 설계치 않으면 흡입밸브를 개방하기에 이르지 못한다.
또 일반적으로 흡입밸브를 너무 작게 설계하면, 흡입저항이 크게 되어 전술한 공동현상의 발생이 용이하게 되어 펌프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생겨서 오로지 별체의 전자밸브 등의 힘으로 미소 오리피스 또는 흡입밸브 이외의 미소 밸브의 개폐전용으로 설계하는 편이 효과적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생산가면에서의 부가는 면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내부잔류압력을 흡입측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폐쇄시키고 있는 흡입밸브에 착목하여, 이 흡입밸브를 가동 피스톤의 내부측에 설치함으로서 피스톤과 실린더의 슬립하는 간격을 흡입밸브보다도 상류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배출밸브의 고정측에 설치하고 이 배출밸브 보다도 하류측의 압력을 전자플런저 작동실로 도입저류시키고 펌프정지후에 전자밸브와 배출밸브까지의 사이의 내부잔류압력을 피스톤과 실린더와의 슬립하는 간격을 통하여 흡입측에 압력을 개방시킨 것이며, 특별의 전용누설로나 오리피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전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에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전자코일에 단속전류의 부세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는 전자플런저에 연동하여 왕복운동되는 피스톤이 실린더에 유지됨과 동시에, 전기피스톤에 형성된 종공내에 흡입밸브를 설치하고, 이 하류의 고정부재에 배출밸브를 설치, 당해 배출밸브 이하의 배출유로에 차단밸브를 배설함과 동시에 배출유로에 연통되어 배출압력을 전자플런저 작동실내로 인도하는 도입통로를 설치하도록하여 전기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격에서 전자플런저 작동실내의 압력과 흡입측에로 빠져나가는 누설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이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서 누설로는 새는 량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지니는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구성의 조정수단은 구체적 예로서 실린더의 길이를 적절히 취함에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설명은 실린더가 2개로 나누어진 분할형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실린더가 중간에 세로방향의 장공을 가지는 하나의 것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차단밸브가 자기로드의 전자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자밸브이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차단밸브가 펌프정지시에 전자플런저의 위치가 변위한 것으로서 닫히는 밸브인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펌프정지에 의하여 배출유로가 차단밸브에서 잠기어져서 전자플런저 작동실내에 압력이 저류되는 것이나, 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격의 누설로부터 흡입측에 새어서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특별의 전용누설로나 오리피스를 필요치 않는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누설로에서 새는 양을 조정수단으로 조정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3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의 길이를 적절히 정하는 것으로 조정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실린더가 2개로 분할되어 그 분할된부분을 개재하여 피스톤에 전자플런저가 연결되어 당해 전자플런저의 왕복운동이 전달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실린더가 하나로 된 것이며, 그 경우는 중간에 종방향으로 장공을 가지며, 이 장공을 개재하여 피스톤에 전자플런저가 연결되어 당해 전자플런저의 왕복운동이 전달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차단밸브가 자기로드의 흡자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자밸브이며,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차단밸브가 펌프 정지시에 전자플렌저의 위치의 밸브를 위한 것으로 닫히는 밸브이며, 펌프 정지시에 배출을 중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전자펌프(1)는 철 등의 자성재로서 형성된 케이스(2) 내에 단속전류(펄스전류)가 흐르는 전자코일(3)을 가진다. 이 전자코일(3)은 수지성의 보빈(4)에 전선이 감기어서 형성된 것이며, 이 보빈(4)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5)에는 금속제의 비자성재의 가이드 파이프(6)가 끼워져 있다. 또한, 상판(7), 하판(8)은 전기 보빈(4)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전기케이스(2)와 동시에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 가이드 파이프(6)는 그 윗쪽에 자기로드(10)가 끼워져 있고 또한, 아래쪽에는 O링(11)을 개재하여 펌프본체(12)에 삽입되어 있다. 전기 자기로드(10)는 철 등의 자성재로서 형성되고, 그 자기로드(10)의 거의 하반분은 O링(13)을 개재하여 전기 가이드 파이프(6)에 끼어지고 또 자기 로드의 잔여 상반분은 O링(14)를 개재하여 하기하는 배출 조인트(44)의 몸통부(44b)에 끼워져 있다. 또, 자기로드(10)의 중심에는 구멍(16)이 형성되어 다음의 실린더(23a)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전자플런저(18)는 철 등의 자성재에 의하여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스프링(19a)과 하부 스프링(19b)에 의하여 전기 가이드 파이프(6) 내에 형성된 전자플런저 작동실(20) 내에 슬립이 자재토록 지지되어 있다. 이 전자플런저(18)의 축방향으로 구멍(21)이 형성되고, 당해 구멍(21)에는 하기하는 실린더(23a, 23b)와 피스톤(25)이 틈을 가지고 헐겁게 끼어지고, 피스톤(25)과는 전자플런저(18)와 가운데 정도에서 결합되어 전자플런저의 왕복운동을 전달한다.
실린더(23)는 이 실시의 형태로서는 분할된 상부 실린더(23a)와 하부 실린더(23b)로 나누어지고, 상부 실린더(23a)는 그 상단이 전기 자기로드의 구멍(16) 내에 끼어합쳐서 고장되고, 하단이 전기 전자플런저(18)의 구멍(21) 내에 뻗어 있다. 또, 하부 실린더(23b)는 펌프본체(12)에 O링(24)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이 양 실린더(23a, 23b) 내에 하기하는 피스톤(25)이 슬립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하부 실린더(23b)는 피스톤(25)의 간격에서 액체를 유출시키는 누설로(28)로 되어 있으며, 이 누설로 (28)의 선단은 하기하는 흡입밸브(31)보다 상류측의 흡입통로(43)에 이르러졌다. 이 누설로 (28)에서 누설량은 당연히 피스톤(25)의 지름과 실린더(23b)의 지름 및 실린더(23b)의 길이에 의하여 관계되며, 피스톤 지름을 ψ4 ~ 5mm로서 감합공차에 있어서의 틈을 거의 30㎛로 하면 실험의 결과 1ℓ/h 전후였다. 그래서 실린더(23b)의 길이를 짧게 하면, 그 짧게 하는데 비레하여 누설량도 많아지는 것을 판명되었다. 즉, 실린더의 길이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으로서 누설량의 조정수단으로 되는 것이다.
상부 실린더(23a)는 그 외주로 경을 작게하여 외주에 틈을 형성하여 하기하는 배출밸브(35) 이후의 고압을 전자플런저 작동실(20)에 인도하는 도입통로(34)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도입통로(34)는 하기하는 배출밸브(35)의 스프링 누름(40)으로 형성된 구멍(40a) 및 자기로드(10)에 형성된 구멍(10a)을 포함한 구성이다.
피스톤(25)는 중심에서 세로방향으로 종공(縱孔)(26)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중간쯤 외주에 전기 전자플런저(18)와 결합부(27)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플런저(18)의 왕복운동이 피스톤(25)에 전달된다. 이 피스톤(25)에는 그 상단측에 흡입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밸브(29)는 피스톤(25)의 종공(세로구멍)(26) 내에 감합된 밸브시이트 부재(30)와 밸브시이트 부재(30)에 압압되는 밸브체(31)와 이것을 압압하는 스프링(32), 스프링 누름(3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25)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는 밸브체(31)가 열리고, 위쪽으로 향하여 이동할 때는 닫힌다.
배출밸브(35)는 전기 실린더(23a)의 상단에 밸브 시이트 부재(36)가 O링(37)을 개재하여 끼워지며, 이 밸브시이트 부재(36)에 밸브체(38)가 스프링(39)에 압압되도록 스프링 누름(40)이 전기 밸브시이트 부재(36)를 결합하고, 또한, 자기로드(1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흡입밸브(29)와 배출밸브(35)의 사이에 압력실(41)이 형성되어, 이 압력실(41)의 용적밸브 화도서 펌프작용이 행해지고 흡입공(42)에서 유체를 흡입하고, 피스톤(25)의 종공(26)을 개재하여 흡입밸브(29)와 배출밸브(35)의 협동으로 흡입하고 가압하여 배출밸브(35)로부터 송출하고, 배출조인트(44)의 배출공(45)에 이르러 외부 기기에 배출된다.
배출조인트(44)는 본체(44a)와 이것에 연결되는 몸통(44b)을 가지며, 전술과 같이 이 몸통부(44a)가 보빈(4) 내의 관통공(5) 내에 감삽되어, 그 내측에 전기 자기로드(10) 상부가 삽입되어져 있다. 또, 몸통부(44b) 내에는 전자밸브 수납실(46)이 형성되어 전자밸브(47)가 수납되어 있다.
전자밸브(47)는 가동철편(47a)과 이 가동철편(47a)에 고착된 고무 등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밸브체(47B)와 전기 가동철편(47a)과 전기 자기로드(10)와의 사이에 탄장된 스프링(47c)으로서 구성되며, 이 스프링(47c)의 부세력에 의하여 밸브시이트(48)에 착좌하여 배출공(43)이 닫힌다. 전자밸브(47)가 전자코일(3)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로드(10)의 자력으로 흡입되어 밸브는 열린다.
상술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코일(3)에 펄스전류가 흘러 이 전자코일(3)이 여자되면 흡자력을 발생하고, 전자플런저(18)를 상부 스프링(19a)에 대항하여 밸브위시켜 그때에 상부 스프링(19a)에 반발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하여 전자코일(3)이 소자되면 흡자력이 소멸하여 상부 스프링(19a)의 반발에너지로서 아래쪽으로 도리킨다. 이와 같은 반복에 의하여 전자플런저(18)는 왕복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전자프런저(18)의 왕복운동은 피스톤(25)에 전달되어 상부 및 하부 실린더(23a, 23b)에 가이드되어 가면서 피스톤(25)도 왕복운동된다. 이 왕복운동 즉, 하방으로 밸브위된 때에 압력실(41)의 용적이 확대하여 따라서 가압되어 흡입밸브(29)의 밸브체(31)가 열리고 흡입구로부터 유체를 흡입한다. 그리하여 상방으로 변위한 때에 압력실(41)의 용적이 축소되고 따라서 정압(압축압)으로 되어서 배출밸브(35)의 밸브체(38)가 열리어 유체가 배출된다.
이 배출된 유체는 열려진 전자밸브(47)를 개재하여 배출구(45)에서 외부기기에 송출되어짐과 동시에 도입통로(34)를 개재하여 전자플런저 작동실(20) 내에 흐르고 전자플런저 작동실(20) 내에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전자코일(3)에 펄스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 전자플런저 및 피스톤(25)의 왕복운동은 정지됨과 동시에 전자밸브(47)가 밸브시이트(48)에 착좌하여 배출구(45)는 닫히고 펌프의 내부, 즉 흡입밸브(29)보다 하류이고, 전자밸브(47)까지의 사이에 특히 전자플러저실(20) 내에 고압의 유체가 페쇄된다. 이 고압 유체는 하부 실린더(23b)와 피스톤(25) 간의 누설로 (28)를 통하여 흡입밸브(29)보다 상류측의 흡입통로(43)로 유출하여 내부압을 흡입측으로 유출시킬 수가 있다. 이 유출량은 2 ~ 3초 정도에서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저하하는 양이다. 그 유출량의 조정은 주로 실린더(23b)의 길이를 적절히 결정하는 것으로서 행해진다.
따라서, 펌프정지후 2 ~ 3초 정도에서 내부압력이 저하되어 재차 펌프구동이 시작되면, 배출압은 (도시 생략)한 완기동장치에 의하여 느리게 상승하는 정상압에 도달되는 것이며 석유 연소 기기에 있어서 완점화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전기 실시의 양상에 있어서 배출밸브(35)가 고정부지인 실린더(23a) 및 자기 로드(10)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린더(23a) 또는 자기로드(10)에 각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피스톤(25)이 슬립하는 실린더(23a, 23b)가 상하로 2개로 분할되어 있는 예가 가리키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하나의 실린더로서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도 4에서 표시한 실린더(23)의 중간에 종방향의 장공(長孔)(50)을 형성하며, 이 장공(50)을 개재하여 전자프런저(18)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입통로(34)가 실린더(23a)의 외면에 작은 지름으로서 형성하여 구성되나 길이 방향으로 흠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자기로드(10)에 흠통이나 안지름을 확대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차단밸브가 자기로드(10)의 흡자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자밸브(47)로 되는 예가 표시되어 있으나, 독립한 전자밸브용의 전자코일을 가지는 것이나, 일본 실공 소 61-21583호 공보 및 실공 소 61-14635호 공보에서 나타낸 기술, 즉 펌프 정지시에 전자플런저의 위치의 밸브화에서 닫히는 밸브라도 좋다. (52)는 150메시 정도의 필터이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피스톤과 실린더간의 틈을 누설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누설로의 형성이나 오리피스 등의 필요가 없이 종래로부터 전자펌프의 구성에 필요한 것으로서 또한 누설이 행해진 곳을 이용하여, 또한 누설로의 선단부가 흡입밸브 보다 상류에 위치하도록 흡입밸브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달성한 것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복잡치 않는 전자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종래 이 종류의 전자펌프는 펌프흡입구에 외부배관계를 접속할 때에 발생하기 쉬운 배관내의 먼지나 마모분에 대하여 초기방지 수단으로서의 간이보호필터(150 메시 정도)를 흡입구측에 설치하고 있으나, 이 이하의 적은 먼지나 펌프내를 통과시키나 전자펌프 직전에 별체의 전용 오일스트레이너를 설치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으나, 전술의 종래 펌프내부에 설치하는 전용 오리피스나 누설로가 곁들여서 덧붙인 경우는 당해 오리피스 등의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전에 300 메시의 전용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나, 본 발명의 누설로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틈으로서 항시 왕복운동하고 있으므로, 먼지의 부착이 어려운 자동크리닝을 하기 위하여 누설로로서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을 이용하는 것은 신뢰성면에서도 매우 좋은 것이다.
또한, 피스톤과 전자플런저는 실린더를 가이드로 왕복운동함으로 실린더가 일체형식의 경우는 당연히 2개로 분할된 것이라 할지라도 양쪽에서 지지되어서 피스톤의 레이디얼 방향의 운동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전자플런저를 가이드로 하고 있는 가이드 케이스의 기계적 마찰접촉을 배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피스톤이 실린더에 안내되기 때문에 진동은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의 범위 내에서 해결된다.
이 결과로서 전자플런저의 가이드 케이스의 무접촉보장의 틈새를 최소로 설치하고 자기효율의 향상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플런자와 가이드 파이프의 기계적 마찰이 없어지기 위하여 전자플런저의 외주면을 열처리하여 경도를 증가하여 마멸을 방지하고 있는 종래예의 구성으로 하지 말고, 표면경도 처리도 필요치 않게 하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누설로에서 새는 양을 조정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대응하는 기종마다 조정이 가능하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조정수단의 구체예로서 실린더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극히 간단하게 제어된다. 이 길이의 조절로서 비례적인 밸브화를 얻어지는 것이며 조절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7)

  1. 전자코일에 단속전류의 통전에 의해 왕복운동되는 전자플런저에 연동하여 왕복운동되는 피스톤이 실린더에 지지됨과 동시에, 전기피스톤에 형성된 종공(縱孔) 내에 흡입밸브를 설치하여, 이 하류의 고정부재에 배출밸브를 설치하고, 이 배출밸브 이후의 배출 유로에 차단밸브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이 배출유로에 연통되어 배출압력을 전자플런저 작동실내에 인도하는 도입통로를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격에서 전자플런저 작동 실내의 압력과 흡입측에로 빠져나가는 누설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로는 새는 양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실린더의 길이를 적절히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2개로 나누어진 분할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중간에 종방향의 장공을 지닌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가 자기로드의 전자밸브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가 펌프정지시에 전자플런저의 위치가 변위한 것으로 닫히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KR1019950038039A 1995-07-14 1995-10-30 전자펌프 KR0171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01519A JP2742897B2 (ja) 1995-07-14 1995-07-14 電磁ポンプ
JP95-201519 199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886A KR970006886A (ko) 1997-02-21
KR0171492B1 true KR0171492B1 (ko) 1999-03-30

Family

ID=1644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039A KR0171492B1 (ko) 1995-07-14 1995-10-30 전자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42897B2 (ko)
KR (1) KR0171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12B1 (ko) * 2006-11-06 2007-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오작동방지 솔레노이드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853A (ja) * 2006-12-28 2008-07-17 Shinano Kenshi Co Ltd 電磁駆動ポンプ
JP6253623B2 (ja) * 2015-09-14 2017-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遮断弁
CN106968912A (zh) * 2017-05-11 2017-07-21 中山市通润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柱塞式电磁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12B1 (ko) * 2006-11-06 2007-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오작동방지 솔레노이드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42897B2 (ja) 1998-04-22
JPH0932724A (ja) 1997-02-04
KR970006886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929B2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US9970399B2 (en) Valve assembly
JP4842361B2 (ja) 高圧燃料ポンプ
JP4650793B2 (ja) 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
KR20030045825A (ko) 전자구동형 플런저펌프
CN103206327B (zh) 电磁致动器
JP2018087548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KR0171492B1 (ko) 전자펌프
US4352645A (en) Solenoid pump adapted for noiseless operation
US6817340B2 (en) High-pressure fuel supply system
KR0171554B1 (ko) 전자 펌프
US7070163B2 (en) Electromagnetic valve
KR0171555B1 (ko) 전자 펌프
JPWO2018221077A1 (ja) 電磁弁、電磁吸入弁機構、及び高圧燃料ポンプ
US6688291B2 (en) High-pressure fuel supply system
KR19990067962A (ko) 계량식 전자 펌프
JP2010174853A (ja) 燃料噴射弁
JP3648708B2 (ja) 電磁ポンプ
JP3648705B2 (ja) 電磁ポンプ
KR0141620B1 (ko) 전자펌프
JP2019027355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KR101412481B1 (ko) 내연기관용 고압 펌프
WO2023238214A1 (ja) 電磁弁機構及び燃料ポンプ
JP2003035233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弁
JP2003021051A (ja) 電磁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