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239B1 - 수중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수중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239B1
KR0171239B1 KR1019950022200A KR19950022200A KR0171239B1 KR 0171239 B1 KR0171239 B1 KR 0171239B1 KR 1019950022200 A KR1019950022200 A KR 1019950022200A KR 19950022200 A KR19950022200 A KR 19950022200A KR 0171239 B1 KR0171239 B1 KR 017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ater
jet
pump casing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529A (ko
Inventor
데쯔오 후지따
쇼로꾸 가와우찌
시게히로 엔도
데쯔야 모리따
Original Assignee
아오야마 미즈호
한신 도료꾸 기까이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야마 미즈호, 한신 도료꾸 기까이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아오야마 미즈호
Publication of KR96003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1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with submerged injectors, e.g. nozzles, for injecting high-pressure jets into a large volume or into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50Circulation mixers, e.g.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mixture is discharged from and reintroduced into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5Mixers with both stirrer and drive unit submerged in the material being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목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감쇠가 억제되어 광범위에 걸쳐 확실하게 교반할 수 있다.
(구성) 회전구동기구(10)에 의하여 펌프케이싱(30)내의 임펠러(20)가 회전되면, 펌프케이싱(30)내로 물이 흡인되어 물은 펌프케이싱(30)내를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흐른다. 펌프케이싱(30)내를 통과하여 흐른 물은 분출케이싱(40)내로 도입되어 각 격벽부재(46)에 의하여 주변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된다. 각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되는 물은 각 격벽부재(46)에 의하여 분할되어 각각 물의 다발이 되고, 광범위에 걸쳐 감쇠하는 일 없이 통과하여 흐른다. 각 분출구(41)로부터 물이 분출되면, 각 격벽부재(46) 각각의 격벽부(46a)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홈(45)내를 물이 통과하여 흘러 각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반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수중 교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의 일예인 수중폭기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수증폭기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그 수중폭기장치에 사용된 분출케이싱의 일부 파단평면도.
제4도는 제 3도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구동기구 11 : 수중모터
12 : 감속기 20 : 임펠러
21 : 보스부 21b : 공기분출구
22 : 임펠러 30 : 펌프케이싱
31 : 케이싱본체부 40 : 분출케이싱
41 : 분출구 42 : 하측가이드판
46 : 격벽부재 45 : 가이드홈
46 : 격벽부재 46a : 격벽부
46b : 연결부
본 발명은 하수등의 수중내에 설치되어 오스를 흡인하여 분출함으로써 하수등의 오수를 교반하는 수중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등을 교반하여 폭기하는 수중폭기 교반장치는, 통상 일본국 특개평 6-285488호 공보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펌프케이싱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수중모터등에 의하여 회전구동함으로써 펌프케이싱내로 물을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펌프케이싱내로 흡인된 물에는 펌프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동안,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공기가 확산된 물이 펌프케이싱의 전주변에 걸쳐 방사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펌프케이싱내에 배치된 임펠러는 펌프케이싱의 상측에서 물을 흡인하여 하측으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임펠러의 임펠러형상에 의해서는 펌프케이싱의 하측으로부터 물을 흡인하여 상측으로 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른 물은, 분출케이싱내로 도입되어 방사방향 바깥측을 향하여 분출케이싱의 전주변에 걸쳐 설치된 분출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분출되게 되어 있다. 분출케이싱에 설치된 분출구는 전주변에 걸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은 확산에 의하여 속도가 저하하여 용이하게 감쇠한다. 따라서, 광범위에 걸쳐 물을 교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분출케이싱의 전주변에 걸쳐 설치된 분출구에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물의 선회류를 방사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버플판이 주변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버플판은 분출케이싱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보강리브로서도 작용한다.
펌프케이싱내로 흡인되는 하수등의 오수에는 찌꺼기 협잡물등이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내에 버플판, 보강리브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물내에 혼입한 찌꺼기등이 이것들에 쉽게 휘감긴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버플판 및 보강리브에 찌꺼기 등이 휘감기면, 분출구로부터 물을 원활하게 분출할 수 없게 되고, 임펠러나 수중모터가 과부하가 되어 운전불능이 되는 일도 가끔 발생한다.
또, 버플판에 찌꺼기등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의 두께를 현저하게 크게 하여 선단을 점점 가늘게 예각으로 구성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찌꺼기의 휘감김은 다소 개선되지만, 이 버플판 자체가 분출되는 수류의 장해물이 되어 분출되는 수류의 유속을 저하시킨다. 또한, 분출 수류내에 배치된 버플판 후부의 두께가 두꺼운 부에는 칼멘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칼멘 소용돌이는 물의 흐름에 강한 저항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분출되는 수류의 유속은 더욱 저하되어 교반력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감쇠가 억제되어 광범위에 걸쳐 확실하게 물을 교반할 수 있는 수중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내로 혼입한 찌꺼기, 협잡물에 의하여 물의 분출이 저해될 염려가 없는 수중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는 원통상을 한 펌프케이싱내로 물을 흡인하여 축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임펠러와 이 임펠러의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펌프케이싱내를 흐르는 물이 도입되도록 펌프케이싱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입된 물이 방사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대략 전주변에 걸쳐 분출구가 설치된 짧은 원통상의 분출케이싱을 구비하고, 이 분출케이싱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격벽부를 가지는 격벽부재에 의하여 주변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 사이가 위쪽 및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것에 의하여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각 격벽부재의 각각은 외주측이 됨에 따라 서로 분리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 상기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는 내주측 부분끼리가 분출케이싱의 내부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출케이싱의 각 분출구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5~40도 각도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펌프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에 공기가 확산되는 폭기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에서는 회전운동기구에 의하여 펌프케이싱내를 축 방향으로 통과하여 흐른다. 펌프케이싱내롤 통과하여 흐른 물은 분출케이싱내로 도입되어 각 격벽부재에 의하여 주위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된다.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은 각 격벽부재의 의하여 분리되어 각각 물이 다발이 되고, 광범위에 걸쳐 감쇠하는 일 없이 통과하여 흐른다. 각 분출구로부터 물이 분출되면,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내를 물이 통과하여 흘러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빈류(伴流)를 형성한다. 그 결과,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다발 측연부에는 칼멘 소용돌이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에는 외주측이 됨에 따라 서로 분리되도록 개방됨으로써,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분산이 억제된다.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는 내주측 부분끼리가 내주방향으로 곡율반경이 큰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분출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에 찌꺼기, 협잡물등이 혼입되어 있어도 휘감길 염려가 없어 물은 원활하게 통과하여 흐른다.
펌프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에 공기가 공급되면, 분출케이싱의 각 분출구로부터는 공기가 확산된 물이 분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의 일예인 수중폭기 교반장치를 타나낸 정면도, 제2도는 그 종단면도이다. 이 수중폭기 교반장치는 축심이 연직상태가 되어 상부에 배치된 회전구동기구 (10)와 이 회전구동기구(10)로 회전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임펠러(20)(제2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임펠러(20)는 원통상을 한 펌프케이싱(30)내에 배치되어 있고, 펌프케이싱(30)의 상측에는 주위에 분출구(41)가 설치된 짧은 원통상의 분출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동기구(10)는 축심이 연직상태가 된 수중코너(11)와, 이 수중모터(11)의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하는 출력축에 설치되어 분출케이싱(40)내에 배치된 감속기 (12)를 가지고 있고 감속기(12)의 출력축은 분출케이싱(4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펌프케이싱(30)내에 이르고 있다. 회전구동기구(10)의 감속기 (12)는 분출케이싱(40)에 지지되어 있다. 펌프케이싱(30)내에 위치하는 감속기 (12)의 출력축에는 임펠러(20)가 설치되어 있다.
임펠러(20)는 감속기 (12)의 출력축에 설치된 원통상의 보스부(21)를 가지고 있고, 회전구동기구(10)의 수중모터(11)가 구동됨으로써 보스부(21)가 회전된다. 이 보스부(21)의 주위면에는 주변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임펠러(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임펠러(22)는 보스부(21)의 회전에 의하여 위쪽으로 강한 수류를 발생하도록 큰 피치각도를 가지고 보스부(21)의 주위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임펠러(20)를 둘러싸는 펌프케이싱 (30)은 하측이 됨에 따라 순차 확경한 원통상의 케이싱본체부르(31)를 가지고 있고, 케이싱본체부(31)의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케이싱본체부(31)의 외주면은 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보강리브(33)로 보강되어 있다. 케이싱본체부(31)의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예를 들면 3개의 다리부(52)가 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다리부(32)에 의하여 케이싱본체(31)의 하면은 수처리반응조등이 설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적당동안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펌프케이싱(30)의 케이싱본체(31)내에 배치된 임펠러(20)가 회전되면, 각 임펠러(22)에 의하여 케이싱본체(31)이 개방된 하면으로부터 내부로 물이 흡인되어 케이싱본체(31)내를 위쪽으로 통과하여 흐르게 한다. 펌프케이싱(30)내에 배치된 임펠러(20)의 보스부 (21)에 있어서의 하측의 축심부에는 공기공급관(50)이 끼워져 있다. 보스부(21)의 상부 주위면에는 복수의 공기분출구 (21b)가 주변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공기공급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각 공기분출구(21b)를 통하여 펌프케이싱(30)의 케이싱본체(31)내로 분출된다.
제3도는 펌프케이싱(3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분출케이싱(40)의 일부파단평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 분출케이싱(40)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개구부(42a)가 설치된 둥근고리상의 하부가이드판(42)과, 이 하부가이드판(42)에 대하여 위쪽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부 가이드판(43)을 가지고 있다.
하측가이드판(42)은 축심부에 설치된 개구부(42a)의 주위에 5~40도 정도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개구부(42a) 주위의 내주연부는 하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가이드판(42)의 내주연부에는 펌프케이싱(30)에 있어서의 케이싱본체 (31)의 상면에 전주변에 걸쳐 설치되는 플랜지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4)는 펌프케이싱(30)의 케이싱본체(31) 상면에 볼트 고정된다.
상측가이드판(43)은 중심부에 관통구명(43a)이 설치된 둥근 고리상을 하고 있고, 하측가이드판(42)의 위쪽에 일정간격으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가이드판 (43)의 관통구멍 (43a) 주위의 내주측 부분은 하측을 향하도록 원호상으로 완만하게 만족되어 있고, 그 내주연은 하측가이드판(42)의 개구부(42a)내에 동심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상측가이드판 (43)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방향의 6등분위치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부재(46)에 의하여 6등분되어 있다. 이분할수는 기종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각 격벽부재(46)는 하측가이드판(42)과 상측가이드판 (43)간을 거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쌍의 격벽부(46a)를 가지고 있다. 각 격벽부(46a)는 상측가이드판 (43)과는 일체로 되어 하측으로 굴곡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하측연이 하측가이드판 (42)의 상면에 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격벽부재 (46)의 내주측부분은 각 격벽부 (46a)의 내주측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46b)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46b)는 내주측으로 돌출하도록 비교적 큰 곡률로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또한 내주측이 됨에 따라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30~60도 정도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각 격벽부(46a)사이는 상측 및 외측으로 개방되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45)으로 되어 있다. 각 격벽부재(46)의 격벽부 (46a)와 하측가이드판 (42)과 상측가이드판(43)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각각 임펠러(20)에 의하여 상측으로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분출구(41)로 되어 있다.
각 격벽부 (46a)는 외주측이 됨에 따라 순차 상호 분리되도록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각 격벽부 (46a)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45)은 하측 가이드판(42)의 외주측이 됨에 따라 폭방향 길이가 커져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격벽부재(46)의 각각 한쪽의 격벽부(46a)에 따라 규정되는 분출구(41)는 각각 외주측이 됨에 따라 순차 주변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상측가이드판(43)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만곡부분에는 사다리꼴상의 스테이(48)의 하단연이 지지되어 있다. 이 스테이(48)는 상측가이드판(43)의 관통구멍(43a)과는 동심상태로 되어 있고, 또 각 격벽부재(46)의 연결부 (46b)에 연속되도록 주위면이 45도 정도로 경사져 있다. 스테이 (48)의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회전 구동기구(10)에 있어서의 수중모터(11)가 출력축을 하측을 향한 연직상태로 감속기 (1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중모터(11)가 연결된 감속기(12)는 스테이(48) 및 상측가이드판(43)의 관통구멍 (43a)내에 위치하고 있다.
모든 가이드홈 (45)에 있어서의 하나 걸러 배치된 가이드홈 (45)의 한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측가이드판(43)의 상면에는 훅부재(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축부재(49)에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리는 기구 (60)의 하단부가 걸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 매달리는 기구 (60)에 와이어로프등이 걸어 고정되어 수중폭기 교반장치가 전체가 수처리 반응조등의 내부에 하강되어 그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수중폭기 교반장치는 수처리 반응조등이 바닥면에 설치되면, 회전구동기구(10)의 수중모터(11)가 구동된다. 이로써 펌프케이싱(30)의 케이싱본체부(31)내에 설치된 임펠러(20)가 회전한다. 임펠러(20)의 회전에 의하여 펌프케이싱(30)의 케이싱본체(31)내에 바닥면을 통하여 물이 흡인되고, 케이싱본체(31)내를 상측으로 통과하여 흐른다.
이때 공기공급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보스부(21)의 상부주위면에 설치된 각 공기분출구 (21b)로부터 분출된다. 그리고 각 공기분출구 (21b)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펌프케이싱 (30)의 케이싱본체(31)를 상측으로 통과하여 흐르는 물내로 확산되어 혼합된다. 각 공기분출구 (21b)는 임펠러 (22)와 동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각 공기분출구 (21b)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회전작용에 의하여 가늘게 전단되어 미세기포가 되어 기포내의 산소가 효율좋게 물내로 용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세기포가 확산된 물은 펌프케이싱 (30)의 케이싱본체(31)내를 상측으로 통과하여 흐르고, 분출케이싱 (40)의 하측가이드판 (42)과 상측가이드판 (43)사이에 도입되고, 상측가이드판 (43)에 의하여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각 격벽부재(46)에 의하여 간막이된 모든 분출구(41)로부터 방사방향의 경사하측을 향하여 분사된다.
모든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된 물은 수처리반응조등의 바닥부를 따라 통과하여 흐르기 때문에, 수처리 반응조등의 바닥부가 확실하게 교반된다. 또한, 분출구 (41)로부터 분출되는 물은 공기가 효율좋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처리반응조등의 바닥부가 효율좋게 확실하게 폭기된다.
각 분출구 (41)는 격벽부재 (46)에 의하여 간막이된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외주측이 됨에 따라 주위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출구(41)로부터는 다발이 되었던 수류가 분출된다. 그 결과, 각 분출구 (41)로부터 분출된 수류는 분산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감쇠작용이 작아져 원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
각 분출구(41)의 사이에는 상측 및 바깥쪽으로 개방된 가이드홈(45)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출구(41)로부터 수류가 분출될 때, 각 가이드홈(45)을 따라 주위의 물이 통과하여 흐른다. 각 가이드홈(45)은 외주측이 됨에 따라 넓어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홈(45)을 통과한 물은 각 분출구 (41)로부터 분출되는 물과 함께 방사방향으로 원활하게 통과하여 흐르고, 각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된 수류의 각 측연부에 있어서, 칼멘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반류(伴流)를 형성한다. 그 결과 분출구(41)로부터 분출된 수류는 칼멘소용돌이에 의하여 흐름이 방해되는 일 없이 큰폭의 수류가 되기 때문에, 수처리반응조의 바닥부를 광범위에 걸쳐 확실하게 교반한다.
분출케이싱 (40)내에 유입된 물은 격벽부재 (46)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연결부 (46b)에 의하여 각 분출구(41)내에 원활하게 분할된다. 또 원호상의 연결부 (46b)는 분출케이싱(40) 내에 유입한 물내에 혼입한 협잡물, 찌꺼기등이 격벽부재(46)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각 분출구(41)로부터 원활하게 물이 분출되고, 임펠러(20), 수중모터(11)등이 과부하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격벽부재(46)는 1쌍의 격벽부(46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격벽부(46a)에 의하여 분출케이싱(40) 전체가 보강된 상태가 되고, 분출케이싱(40)의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펌프케이싱(30)의 상측에 분출케이싱(40)을 설치한 구성이었으나, 본 발명은 펌프케이싱(30)의 하측에 분출케이싱(40)을 설치하여 펌프케이싱(30)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흡인하여 하측에서 분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는 이와 같이 분출케이싱 격벽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분출구로 분할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출구로부터는 수류의 다발이 되어 물이 분출된다. 그 결과,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수류의 감쇠가 억제되어 각 수류는 넓은 영역에 걸쳐 물을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각 격벽부재의 1쌍의 격벽부는 상측 및 바깥쪽으로 개방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수류에 의하여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수류에는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흐르는 반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칼멘 소용돌이에 의한 각 분출구로부터의 수류의 감쇠가 없어져 반류의 효과에 의하여 교반력이 향상된다.
각 격벽부재 각각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수류의 다발을 모아서 묶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류의 감쇠가 더욱 억제되어 보다 광범위에 걸쳐 물을 교반할 수 있다.
또, 격벽부재 각각의 내주측 부분끼리가 안쪽으로 원호상으로 돌출된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출구로 분할되는 물속의 찌꺼기, 협잡물등의 각 격벽부재에 휘감길 염려가 없고, 원활하게 물을 분출할 수 있다.
분출되는 물에 공기를 확산시키는 폭기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광범위에 걸쳐 폭기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원통형상을 한 케이싱과, 상기 펌프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회전함으로써 펌프 케이싱 내로 물을 흡인하여 축 방향으로 통과시켜 흐르게 하는 임펠러와 , 상기 임펠러의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펌프 케이싱 내를 통과하여 흐른 물이 도입되도록 펌프 케이싱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입된 물을 방사방향으로 분출시키는 복수의 분출구가 둘레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짧은 원통상의 분출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분출케이싱의 각 분출구는 각각이 대략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격벽부를 가지는 격벽부재의 의하여 둘레 방향으로 각각 분할되어 있고, 각 격벽부재의 각각의 격벽부 사이가 위쪽 및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벽부재 각각의 외주측이 됨에 따라 서로 분리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벽부재 각각의 내주측 부분끼리가 분출케이싱의 내주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케이싱의 각 분출구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5 내지 40도의 각도로 외주쪽이 됨에 따라 차례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에 공기가 확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수중 교반장치.
  6. 원통상을 한 펌프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이, 펌프케이싱에 설치된 짧은 원통상의 분출케이싱 내에 유입되어, 분출케이싱에 각각이 방사방향을 따른 상태로 설치된 복수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도록 된 수중교반장치로서, 인접하는 한 쌍의 분출구 사이에는, 각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수류에 따른 흐름을 형성하도록, 분출케이싱의 방사방향을 따른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반장치.
KR1019950022200A 1995-03-17 1995-07-26 수중교반장치 KR0171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933095A JP3203336B2 (ja) 1995-03-17 1995-03-17 水中撹拌装置
JP95-59330 1995-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529A KR960033529A (ko) 1996-10-22
KR0171239B1 true KR0171239B1 (ko) 1999-01-15

Family

ID=1311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200A KR0171239B1 (ko) 1995-03-17 1995-07-26 수중교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3336B2 (ko)
KR (1) KR0171239B1 (ko)
TW (1) TW401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870B2 (ja) * 2001-03-16 2010-07-14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水中エア−ミキサ
JP5132243B2 (ja) * 2007-10-17 2013-01-30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水中曝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3336B2 (ja) 2001-08-27
TW401381B (en) 2000-08-11
KR960033529A (ko) 1996-10-22
JPH08252443A (ja) 199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9464A (en) Multiple stage jet nozzle aeration system
US4290885A (en) Aeration device
EP1001840B1 (en) Gas-liquid venturi mixer
US4328175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a liquid with a gas
KR100316317B1 (ko) 액체혼합장치
EP0853594B1 (en) Submersible mixing impeller
US3735926A (en) Liquid spray device with fixed and rotatable diffusers
US7661659B2 (en) Swing-type submersible floating aerator
DK170116B1 (da) Beluftningsapparat til industri- og husspildevand
JP2010167329A (ja) 曝気攪拌装置
KR0171239B1 (ko) 수중교반장치
KR102131988B1 (ko)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반기용 임펠러
EP0027911B1 (en) Apparatus for contacting liquid with a gas
KR20180028795A (ko) 임펠러
JP3455332B2 (ja) 水中攪拌ばっ気装置
KR102498267B1 (ko) 마이크로버블 생성 혼합 수중 에어레이터 회전분사 조립체
JP2009178619A (ja) 曝気攪拌機
JPH0833896A (ja) 攪拌曝気装置における軸流インペラ
KR102666608B1 (ko) 반응 가속화 장치
JPH06285488A (ja) 水中攪拌曝気装置
JP3414651B2 (ja) 水中機械式撹拌曝気装置
KR950007281Y1 (ko) 수처리용 혼합 폭기장치
JP2004000897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SU1042786A1 (ru)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143697A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аэ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