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036B1 -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036B1
KR0171036B1 KR1019960015438A KR19960015438A KR0171036B1 KR 0171036 B1 KR0171036 B1 KR 0171036B1 KR 1019960015438 A KR1019960015438 A KR 1019960015438A KR 19960015438 A KR19960015438 A KR 19960015438A KR 0171036 B1 KR0171036 B1 KR 017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
subscriber
call
control st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131A (ko
Inventor
권순량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6001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036B1/ko
Publication of KR97007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에서 음성호 폭주시 데이터 서비스가 어렵고, 서비스 채널 변경에 따른 추가절차에 의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가입자의 호 시도로 부터 착신 가입자 페이징을 수행하는 과정과, 착신 가입자 페이징 응답 이후 통화를 성립시키는 과정과, 통화 중에 발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 그리고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CDMA 음성서비스에서 제공된 자원을 그대로 이용하고, 교환기에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를 부가하여 효율적으로 자국내의 이동가입자간의 비동기 데이타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입자 발신 이후 착신 가입자 페이징까지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가입자 페이징 응답 이후 통화 중까지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이후 발신 선 복구시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이후 착신 선 복구시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교환기 내의 스위치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국(BSC) 102 :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
103 : 이동통신 교환기(MX) 104 :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
105 : 고정망 106 :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
107 :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 108 :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109 :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T) 110 :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에 필요한 호 제어 절차중 이동 데이터 단말 가입자(이하, 이동 가입자라 칭함)가 발신하여 자국에 소속된 개인용 컴퓨터(PC), 팩시밀리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동 가입자가 호를 시도할 경우 음성 채널 중 사용되지 않은 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는 디지털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에도 채널을 계속 감지하여 그 채널로 음성 호가 시도되면, 10~20㎳ 안에 현재의 채널을 음성 호를 위해 넘겨주고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채널로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 호를 즉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음성 통화가 폭주할 경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비록 확보된 채널일 지라도 그 채널을 통해 음성 서비스가 시도될 경우 다시 현재의 채널을 또 다른 채널로 바꾸어야 하므로 호 제어 절차가 복잡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입자가 자국에 소속된 이동가입자로 호를 시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단말기, 이동 단말기, 기지국, 제어국,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 이동통신 교환기(MX) 그리고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를 구비하고 있는 CDMA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가 발신하여 자국에 소속된 이동 가입자로 착신되는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입자의 호 시도로 부터 착신 가입자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1과정, 착신 가입자 페이징 응답 이후 통화를 성립시키는 제2과정, 통화 중에 발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3과정, 그리고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그 구성은,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 101),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 Interworking Function, 102), 이동통신 교환기(MX; Mobile Exchanger, 103),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04)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국(BSC, 101)은 기지국(Basestation Transceiver Subsystem)과 교환기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을 제어하고 통화경로를 제공한다.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 102)는 상기 제어국(101)과 고정망(예 ; 공중교환망(PSTN)(105)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타 패킷을 모뎀 신호로 변환 또는 그 역변환기능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기(MX, 103)는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비롯하여 위치등록, 핸드오프, 페이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 104)는 이동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X, 103)는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108),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 Central Control Subsystem, 110)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상기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은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장치, 타임 스위치, 각 종 신호장치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 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108)은 호 처리 기능 중 번호번역, 루트 제어, 공간 스위치 제어, 페이징 제어 등과 같은 집중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 110)은 시스템 차원의 운용관리, 유지 보수, 과금 및 통계 등을 수행하고, 이동가입자의 위치 등록에 대한 처리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은 기능에 따라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 ASS for Mobile Subscriber, 106), 시험 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 ASS for Analog Subscriber and Trunk, 107),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T; ASS for Trunk, 109)로 구분된다. 먼저,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 106)은 이동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 핸드오프 및 이동성 관리, 서비스 옵션에 따른 서비스 구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을 발신측 ASS_M(ASS_M1)과 착신측 ASS_M(ASS_M2)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겠다. 다음으로,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 107)은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 102)를 제어국(101)과 고정망(10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공간 스위치를 연결하고,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의 연결 및 절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T, 109)은 가입자 본 위치등록기(HLR)와 정합하여 중계선을 통한 신호 링크 통로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을 구성에 나타난 부호를 생략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동 가입자가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호 시도 시 발신 시도에서부터 착신측 제어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보내기까지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 가입자가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향하는 발신 호를 시도한 후 발신측 제어국(BSC1)을 거쳐 이동통신 교환기(MX) 내의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에 발신 호가 수신되면(S201), 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측 서비스 옵션 정보(데이타 베이스 호인지 음성 서비스 호인지 구분하기 위한 정보임)를 저장한다(S202). 그리고나서,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에 발신 중인 가입자에게 착신 호가 시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신 화중임을 등록하고(S203),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에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한다(S204).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으로 부터 발신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면(S205), 발신이 허용되지 않은 가입자일 경우 비정상 처리를 수행하며, 발신이 허용된 가입자일 경우 발신 측 제어국(BSC1)으로 호가 계속되어야 함을 알리기 위해 호 진행을 통보한다(S206).
또한, 상기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망 식별 번호 분석을 요구한다(S207). 이에따라 INS는 상기 망식별번호를 분석한 결과가 이동 호일 경우에 ASS_M1으로 이동 호임을 통보한다(S208). 상기 이동 호 통보를 받은 ASS_M1은 착신 가입자가 어느 교환기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를 통해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에 조회하면(즉, 루팅정보를 요구함)(S209), 이에 대한 정보인 이동가입자 로밍 번호(MSRN; Mobile Subscriber Roaming Number)가 CCS를 거쳐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에 수신된다(S210). 상기 이동가입자 로밍번호를 수신한 ASS_M1은 이 로밍 번호 번역을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에 요구한다(S211). 이에따라, INS는 로밍 번호를 번역하여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착신되는 호임을 상기 ASS_M1에 통보한다(S212). 상기 자국호를 통보 받은 ASS_M1은 발ㆍ착신의 서비스 옵션을 일치시키기 위해 착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을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213). 그리고나서, 상기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연결망 서브시스템(CCS)으로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한다(S214). 상기 CCS로부터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와 착신 가입자의 호 제한 정보를 수신한 후(215), 상기 ASS_M1은 호 제한 조건이 걸려 있지 않을 경우 INS에 페이징을 요구한다(S216). 이 페이징 요구에 따라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은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속하는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으로 페이징을 요구하고(S217), 상기 ASS_M2는 착신측 제어국(BSC2)으로 페이징을 요구한다(S218). 상기 (S216), (S217), (S218) 절차의 메시지에는 상기 (S213) 절차시에 저장된 착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착신 단말기는 이 서비스 옵션 정보에 따라 자신의 서비스 모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S216) 절차 이후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부터 착신 가입자의 상태가 휴지(Idle)상태임을 통보 받는다(S219).
제3도는 이동 가입자가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호 시도 시 페이징 응답에서부터 통화 단계까지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이 착신측 제어국(BSC2)으로 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S301),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을 거쳐(S302),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에 이를 통보한다(S303). 이 통보를 받은 ASS_M1은 상기 제2도의 (S202) 절차에 의해 저장된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상기 (S301), (S302), (S303) 절차에 의해 전달된 착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 정보를 비교한 후(S304), 서로 일치할 경우에 모뎀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를 연결할 것을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에 요구한다(S305). 이 요구에 따라 ASS_S/T는 발신측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을 점유하고(S306), 착신측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을 점유한다(S307). 그후, ASS_S/T는 상기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로 부터 데이터 서비스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 입중계선 점유를 각각 수신하면(S308)(S309), 발신측 제어국(BSC1)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공간 스위치(제6도의 ①)연결을 요구한다(S310). 또한, 착신 제어국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를 연결하기 위해 INS로 공간 스위치(제6도의 ②)연결을 요구한다(S311). 이들 요구에 따라 INS는 공간 스위치를 각각 연결한다(S312). 그리고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은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부터 공간 스위치 연결 결과를 각각 통보 받으면(S313, S314), 교환기의 출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제6도의 ③⑤)를 연결하고(S315), 교환기의 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제6도의 ④⑥)를 연결한다(S315).
이렇게 연결한 후, ASS_S/T는 발신 제어국-교환기-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착신 제어국으로 연결되는 통화로 구간에서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과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의 내부 통화로를 제외한 모든 통화로가 연결 완료되었음을 ASS_M1에 통보한다(S316). 이와같은 통보를 받은 ASS_M1은 발신측 제어국(BSC1)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제6도의 ⑦)를 연결하고(S317), ASS_M2로 상기 절차(S316)에 의해 수신한 공간 스위치 연결에 사용된 정보를 통보한다(S318). 그후,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은 착신 가입자 호출을 착신측 제어국(BSC2)에 요구하고(S319), 착신측 제어국으로부터 얼러팅(Alerting)이 수신되면(S320), 이를 ASS_M1을 거쳐(S321), 발신측 제어국(BSC1)에 통보한다(S322).
한편, 이동 가입자가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착신측 제어국(BSC2)으로부터 착신 응답이 ASS_M2에 수신되면(S323), 이들 ASS_M1을 거쳐(S324), 발신 제어국에 통보하고(S325), 착신측 제어국(BSC2)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연결한 후(S326), 착신 제어국에 착신 응답 확인을 통보한다(S327). 상기 절차(S324) 이후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이 착신 응답을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으로 전달하면(S328), 착신 응답 통보를 받은 ASS_S/T는 교환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종료되었음을 발신 및 착신측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에 각각 통보하고(S329)(S330), 이에 대한 응답을 각각 통보 받는다(S331)(S332). 상기 절차(S325) 이후 발신 제어국은 ASS_M1으로 착신 응답 확인을 통보한다(S333).
이상의 과정을 통해 발신 제어국-교환기-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교환기-착신 제어국으로 연결되는 통화로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과정에 의해 형성된 교환기 내의 통화로를 따라 단 대 단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제4도는 이동 가입자가 발신하여 자국의 이동 가입자와 통화중에 발신 이동 가입자가 먼저 호를 복구했을 경우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도, 제3도의 호 제어 절차를 거쳐 통화가 성립되어 비동기 데이터 통신 및 팩시밀리 서비스 수행중에 발신 이동 가입자가 호를 먼저 절단하면 발신 제어국을 거쳐 교환기의 ASS_M1에 발신 가입자 복구 메시지가 수신된다(S401).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로 발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S402),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으로 교환기와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통화로 연결 해제를 요구한다(S403). 또한, 상기 ASS_M1은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으로 과금 처리를 요구한 후(S404), 발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⑦)를 절단한다(S405).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INS로 발신 가입자의 호 상태를 휴지중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고(S406), 발신 제어국(BSC1)으로 발신 가입자 복구 확인을 통보한다(S407). 또한 상기(S403) 절차 이후,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은 발신측 및 착신측의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으로 복구 신호를 각각 송출한다(S408)(S409). 상기 ASS_S/T는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발신 제어국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①) 절단과(S410), 착신 제어국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②) 절단(S411)을 요구한다. 교환기의 발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③④)를 절단하고(S412), 교환기의 착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⑤⑥)를 절단한다(S412). 상기 (S410), (S411) 절차 이후,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은 대응하는 공간 스위치를 각각 절단한다(S413). 또한 상기(S408)(S409) 절차 이후 ASS_S/T는 발신측 및 착신측의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로부터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된 자원을 해제했음을 알리는 입중계선에 복구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S414)(S415). 상기 (S402) 절차 이후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은 착신 제어국(BSC2)으로 착신측 복구를 요구하고(S416), 착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⑧)를 절단하고(S417), INS로 착신 가입자가 휴지(Idle)상태가 되었음을 통보한다(S418). 상기 절차(S416)이후 ASS_M2는 착신 제어국(BSC2)으로 부터 착신측 복구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S419). 이상의 절차를 통해 서비스가 종료된다.
제5도는 이동 가입자가 발신하여 자국의 이동 가입자와 통화중에 착신 이동 가입자가 먼저 호를 복구했을 경우의 제어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도, 제3도의 호 제어 절차를 거쳐 통화가 성립되어 비동기 데이터 통신 및 팩시밀리 서비스 수행중에 착신 이동 가입자가 호를 먼저 절단하면 착신 제어국(BSC2)으로 부터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2)에 착신 가입자 복구 신호가 수신된다(S501). 이에따라 ASS_M2는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으로 착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S502), 착신 제어국(BSC2)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한다(S503). 그후, ASS_M2는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착신 가입자가 휴지상태로 되었음을 통보하고(S504), 착신 제어국(BSC2)으로 착신 가입자 복구가 확인되었음을 통보한다(S505). 상기 (S502) 절차 이후,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발신 제어국(BSC1)으로 착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S506),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으로 교환기와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통화로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S507),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으로 과금 처리를 요구한다(S508). 발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은 발신 제어국(BSC1)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 ⑦)를 절단하고(S509),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발신 가입자의 호 상태를 휴지중으로 바꿀 것을 요구한다(S510). 상기(S506) 절차 이후 ASS_M1은 발신 제어국으로 부터 착신 가입자 복구 확인을 수신한다(S511). 상기(S507) 절차 이후,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은 발신 및 착신측의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으로 출중계선 복구 신호를 각각 송출한다(S512)(S513). 그리고 ASS-ST는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으로 발신 제어국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제6도 ①) 절단과(S514), 착신 제어국과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간의 공간 스위치 통화로(제6도 ②) 절단(S515)을 요구한다. 상기 ASS_S/T은 교환기의 발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 ③④)를 절단하고(S516), 교환기의 착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제6도⑤⑥)를 절단한다(S516). 상기(S514)(S515) 절차 이후, 연결망 서브시스템(INS)은 대응하는 공간 스위치(①②)를 각각 절단한다(517). 또한 상기(S512)(S513)절차 이후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은 발신 및 착신측의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장치(IWF)로 부터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된 자원을 해제했음을 알리는 입중계선 복구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S518)(S519).
이상의 절차를 통해 서비스가 종료된다.
제6도는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자국내의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호 시도시 교환기에서의 스위치 연결도이다. 발신 이동 가입자가 착신 이동가입자에게 데이터를 보낼 경우 데이터는 발신 제어국을 통해 교환기의 ASS_M1에 입력되고 INS의 공간스위치를 거쳐 ASS_S/T를 통해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로 전송된 후 다시 ASS_S/T를 거쳐 INS, ASS_M2를 거쳐 착신 제어국으로 데이터가 송출된다. 착신 이동가입자가 발신 이동가입자에게 데이터를 보낼 경우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서의 문제점인, 음성 서비스에서 사용되지 않은 채널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함으로써 음성호 폭주시 데이터 서비스가 어려운점과, 특성 채널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중 이 채널로 음성 서비스가 시도될 경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하기 위해 다른 유혹 채널로 서비스 채널을 변경하는데 따른 추가 절차로 인한 성능 저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CDMA 음성 서비스에서 제공된 자원을 그대로 이용하고, 교환기에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를 부가하여 효율적으로 자국내의 이동 가입자간의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데이터 단말기, 이동 단말기, 기지국, 제어국,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IWF), 이동통신 교환기(MX) 그리고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LR)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X)가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M1, ASS_M2), 시험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S/T),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_T), 그리고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으로 구성되어 있는 CDMA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가 발신하여 자국에 소속된 이동 가입자로 착신되는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가입자의 호 시도로 부터 착신 가입자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1과정과, 착신 가입자 페이징 응답 이후 통화를 성립시키는 제2과정과, 통화 중에 발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3과정과, 그리고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인 이동 가입자가 먼저 복구할 경우 관련 자원을 해제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이동 가입자가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향하는 발신 호를 시도한 후 발신측 제어국(BSC1)을 거쳐 이동통신 교환기 내의 ASS_M1에 발신 호가 수신되면, 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측 서비스 옵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1-1단계와, INS에 발신 중인 가입자에게 발신 화중임을 등록하고, CCS에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수신된 발신 가입자의 정보가 허용된 가입자일 경우 발신측 제어국으로 호 진행을 통보하는 제1-3단계와, 상기 ASS_M1이 INS로 망 식별 번호 분석을 요구하여 그 분석한 결과가 이동 호일 경우에 ASS_M1으로 이동 호임을 통보하는 제1-4단계와, 상기 이동 호 통보를 받은 ASS_M1이 착신 가입자가 어느 교환기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CCS를 통해 HLR에 조회하도록 하는 제1-5단계와, 상기 조회결과에 대한 이동가입자 로밍 번호를 수신한 ASS_M1이 상기 로밍 번호 번역을 INS에 요구하여 자국의 이동 가입자로 착신되는 호임을 통보 받는 제1-6단계와, 상기 자국호를 통보 받은 ASS_M1이 착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을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7단계와, 상기 서비스 옵션 값이 저장된 후, ASS_M1이 CCS로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하여 CCS로부터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와 착신 가입자의 호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8단계와, 상기 호 제한 정보가 없을 경우 ASS_M1에서 INS로, INS에서 ASS_M2로, ASS_M2에서 착신측 제어국으로 페이징을 요구하는 제1-9단계와, 상기 ASS_M1으로 부터의 페이징 요구 후, 착신 가입자의 상태가 휴지(Idle)상태임을 상기 ASS_M1에 통보하는 제1-10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ASS_M2가 착신측 제어국으로 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여, INS을 거쳐, ASS_M1에 통보하는 제2-1단계와, 상기 페이징 응답을 통보 받은 ASS_M1이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상기 착신 가입자의 서비스 옵션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에 IWF와의 연결을 ASS_S/T에 요구하는 제2-2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ASS_S/T가 발신측/착신측에 각각 접속된 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을 점유하고, IWF로 부터 각각 입중계선 점유를 통보 받은 제2-3단계와, 상기 입중계선 점유를 통보 받으면 발신측 및 착신측 제어국과 IWF간의 각 공간 스위치 통화로를 INS에 의해 연결시키는 제2-4단계와, 상기 공간스위치 연결 결과를 INS로 부터 각각 통보 받아 교환기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IWF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5단계와, 상기 연결 후, ASS_S/T가 ASS_M1과 ASS_M2의 내부 통화로를 제외한 모든 통화로의 연결 완료를 ASS_M1에 통보하는 제2-6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ASS_M1이 발신측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를 연결시킨 후, ASS_M2로 착신가입자 정보를 통보하는 제2-7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ASS_M2이 착신 가입자 호출을 착신측 제어국에 요구하여 착신측 제어국으로부터 얼러팅(Alerting)이 수신되면 이를 ASS_M1을 거쳐, 발신측 제어국에 통보하는 제2-8단계와, 이동 가입자가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착신측 제어국으로부터 착신 응답이 ASS_M2에 수신되면, 이들 ASS_M1을 거쳐, 발신 제어국에 통보하는 제2-9단계와, 상기 착신응답 통보 후, 착신측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연결한 후, 이에 대한 착신 응답 확인을 착신측 제어국에 통보하는 제2-10단계와, ASS_M1이 착신 응답을 ASS_S/T로 전달하면 착신 응답 통보를 받은 ASS_S/T가 교환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종료되었음을 발신 및 착신측 IWF에 각각 통보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각각 통보 받는 제2-11단계와, 상기 제2-9단계에서 착신응답 통보 후, 발신 제어국이 ASS_M1으로 착신 응답 확인을 통보하는 제2-1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발신 제어국을 거쳐 교환기의 ASS_M1에 발신 가입자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ASS_M2로 발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 ASS_S/T로 교환기와 IWF간의 통화로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 제3-1단계와, ASS_M1이 CCS로 과금 처리를 요구한 후, 발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시키는 제3-2단계와, 상기 타임스위치 통화로 절단 후, INS로 발신 가입자의 호 상태를 휴지중으로 바꿀 것을 요구한 후, 발신 제어국으로 발신 가입자 복구 확인을 통보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제3-1단계에서 교환기와 IWF간의 통화로 연결 해제 요구 후, ASS_S/T이 발신측 및 착신측의 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으로 복구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제3-3단계와, 상기 복구신호 송출 후, ASS_S/T가 INS로 발신 및 착신 제어국과 IWF간의 각 공간 스위치 통화로 절단을 요구하는 제3-4단계와, 교환기의 발신측 및 착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IWF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해당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시키는 제3-5단계와, 상기 제3-4단계의 공간스위치 통화로 절단 요구에 따라 INS에서 대응하는 공간 스위치를 각각 절단하는 제3-6단계와, 상기 제3-3단계에서 송출된 복구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3-7단계와, 상기 제3-1단계에서의 발신 복구 통보 후, ASS_M2이 착신 제어국으로 착신측 복구를 요구하는 제3-8단계와, 착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ASS_M2에서 절단시킨 후, INS로 착신 가입자가 휴지(Idle)상태가 되었음을 통보하는 제3-9단계와, 상기 제3-8단계에서 착신측 복구 요구 후, ASS_M2가 착신 제어국으로 부터 착신측 복구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10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착신 제어국으로 부터 ASS_M2에 착신 가입자 복구 신호가 수신되면, ASS_M1으로 착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한 후, 착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하는 제4-1단계와, ASS_M2가 INS으로 착신 가입자가 휴지상태로 되었음을 통보하고, 착신 제어국으로 착신 가입자 복구 완료를 통보하는 제4-2단계와, 상기 제4-1단계에서 착신 복구 통보 후, ASS_M1이 발신 제어국으로 착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 ASS_S/T로 교환기와 IWF간의 통화로 연결 해제를 요구한 후, CCS로 과금 처리를 요구하는 제4-3단계와, ASS_M1이 발신 제어국과 공간 스위치 사이에 형성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시킨 후, INS로 발신 가입자의 호 상태를 휴지중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는 제4-4단계와, 상기 제4-3단계에서 착신 가입자 통보 후, ASS_M1이 발신 제어국으로 부터 착신 가입자 복구 확인을 수신하는 제4-5단계와, 상기 제4-3단계에서 발신 제어국으로 부터 착신 가입자가 복구되었을 통보 받은 후, ASS_S/T이 발신 및 착신측의 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으로 출중계선 복구 신호를 각각 송출시키는 제4-6단계와, ASS_S/T가 INS로 발신 제어국 및 착신 제어국과 IWF간의 각 공간 스위치 통화로 절단을 요구하는 제4-7단계와, ASS_S/T가 교환기의 발신측 및 착신측의 출ㆍ입중계선에 접속된 무선 데이타 통신 연동 장치와 공간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타임 스위치 통화로를 절단시키는 제4-8단계와, 상기 제4-7단계에서 공간스위치 통화로 절단 요구에 따라 INS이 대응하는 공간 스위치를 각각 절단시키는 제4-9단계와, 상기 제4-6단계에서 송출된 IWF로 향하는 출중계선으로 출중계선 복구 신호에 대하여 ASS_S/T가 IWF로 부터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된 자원을 해제했음을 알리는 입중계선 복구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4-10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KR1019960015438A 1996-05-10 1996-05-10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KR017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438A KR0171036B1 (ko) 1996-05-10 1996-05-10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438A KR0171036B1 (ko) 1996-05-10 1996-05-10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31A KR970078131A (ko) 1997-12-12
KR0171036B1 true KR0171036B1 (ko) 1999-03-30

Family

ID=1945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438A KR0171036B1 (ko) 1996-05-10 1996-05-10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349B1 (ko) * 2000-06-07 2003-05-01 주식회사 로이트 이동 전화 단말기의 착신 자동 지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349B1 (ko) * 2000-06-07 2003-05-01 주식회사 로이트 이동 전화 단말기의 착신 자동 지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31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2728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I102234B (fi)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 äsittelemiseksi
EP0542963A1 (en)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FOR A MOBILE TELEPHONE IN A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
CA2097351C (en)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0123398B1 (ko) Cdma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하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JPH06335048A (ja) 移動通信方式
KR0171036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가입자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 방법
KR100250432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KR0171034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정망 발신-이동 가입자 착신 호 제어방법
JP29106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4788430B2 (ja)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0171035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이동가입자 발신-고정망 착신 호 제어 방법
JP2541450B2 (ja) 移動体加入者接続方式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KR10023717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비상호제어방법
KR100258122B1 (ko)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서의 센트릭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9990061172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021077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연속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60093B1 (ko) 동일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핸드오프 통지 방법
JPH11205387A (ja) 移動パケット通信網、移動通信端末およびパケット交換方法
KR100210769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역방향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10768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교환기간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589948B1 (ko)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얼러팅중 핸드오버 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