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916B1 -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916B1
KR0170916B1 KR1019930029681A KR930029681A KR0170916B1 KR 0170916 B1 KR0170916 B1 KR 0170916B1 KR 1019930029681 A KR1019930029681 A KR 1019930029681A KR 930029681 A KR930029681 A KR 930029681A KR 0170916 B1 KR0170916 B1 KR 017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warning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70A (ko
Inventor
강금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916B1/ko
Publication of KR95001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화재발생 여부를 초기에 진단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고 화재발생시 더 이상의 화재진행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소정부분에 장착되어 각 부품의 과열상태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센서와 이상현상으로 인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부와, 이 감지부으로 부터의 과열 및 연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와, 제어부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밧데리에서 각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를 구비함으로서, 차량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차량화재 방지시스템내의 감지부와 제어부의 세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부 12 : 연기 감지센서
14 : 과열 감지센서 20 : 제어부
22 : 전원회로부 24 : 입력부
26 : 제어회로부 28 : 발진부
30 : 경고발생부 40 : 전원차단부
CP1,CP2 : 비교기 G1 : 앤드게이트
G2 : 오아게이트 G3,G4 : 낸드게이트
Q1,Q2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화재 발생전의 초기상태에 스스로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화재발생시 그 진행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산업발전으로 자동차가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 도시인구의 집중화 현상으로 인해 수많은 자동차가 길을 메워 심각한 교통난을 유발시키고 있는 현심을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차량화재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화재가 고속도로상이나 주택가 골목등에서 발생하게 되는 경우 심한 교통난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화재 당사자는 인명 및 재산상의 큰 손실을 입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차량 제조회사가 당사자간의 끊임없는 분쟁으로 이어지고 당사자간의 법적대응도 빈번하여 경찰 및 법원의 업무를 가중시키는 결과가 초래됨으로서,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화재발생 여부를 초기에 진단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고, 화재발생시 더 이상의 화재진행을 저지할 수 있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소정부분에 장착되어 각 부품의 과열상태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 센서와 이상현상으로 인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과열 및 연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밧데리에서 각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차량 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 화재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연기 및 과열 감지신호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에 제공하는 전원회로와, 이 전원회로부로 부터의 전원과 감지수단으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이 입력부로 부터의 감지신호에 상응하여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부와, 이 제어회로부의 일측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제어회로부의 타측 출력에 연결되어 발진파형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이 발진부의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수단내의 제어회로부는 연기 감지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기준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제1비교기와, 과열 감지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기준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제2비교기와,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가 제1 및 제2비교기와 출력에 각각 연결된 앤드게이트와,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가 제1 및 제2비교기의 출력에 각각 연결된 오아게이트로 구성되며, 발진부는 제어회로부의 출력에 직렬 접속된 두 개의 낸드게이트와 두 개의 저항 및 콘덴서로된 충방전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화재 방지시스템내의 전원공급 차단수단으로서는 밧데리에서 차량 부하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릴레이가 채용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차량 내부의 소정부분에 장착되어 각 부품의 과열상태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센서(12)와 차량의 이상 현상, 예를 들면 엔진 과열, 누전등으로 인해 차량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14)로 구성된 감지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0은 감지부(10)로부터의 과열 및 연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서, 밧데리(VB)로 부터의 전원을 시스템에 제공하는 전원회로부(22)와, 이 전원회로부(22)로 부터의 전원과 감지부(10)로부터의 과열 및 연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4)와, 이 입력부(24)로 부터의 감지신호에 상응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회로부(26)와, 이 제어회로부(26)의 일측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1)와, 제어회로부(26)의 타측 출력에 연결되어 발진파형을 갖는 신호를 발행하는 발진부(28)와, 이 발진부(28)의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Q1)를 구비한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경고발생부를 나타내며, 제어신호에 따라 청각적인 단속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기로서 혼 또는 부저를 채용하거나 제어신호에 따라 시각적으로 점멸되는 등화류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들 두가지를 모두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청각 또는 시각적인 경고가 실행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청각 또는 시각적인 경고가 동시에 실행되므로서 경고의 효과가 한층 증진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경보발생부로서 부저를 채용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참조번호 40은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밧데리(VB)에서 차량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차단부로서,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가 채용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에서 감지부와 제어부의 세부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이 연기와 과열을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차량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전압으로 안정된 전원전압(Vcc)이 저항(R1)을 통해 연기 감지센서(12)에 연결되고 이 라인의 전압은 연기 감지센서(12)에 의해 연기 감지상태에 따라 가변되며, 이것은 OP앰프로 된 제1비교기(CP1)의 반전단자에 연결된다. 제1비교기(CP1)의 비반전단자에는 일정전압의 기준전압이 연결된다.
먼저, 연기감지센서(12)를 통해 차량에서 연기가 감지된 경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기 감지센서(12)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면 저항이 감소되어 a점의 전위가 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위가 ab인 상태로 되면 제1비교기(CP1)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이때, 과열 감지센서(14)에 의해 과열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비교기(CP2)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비교기(CP1,CP2)의 출력이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 낸드게이트(G1)의 출력은 로우레벨상태가 되고, 제1 및 제2비교기(CP1,CP2)의 출력이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 오아게이트(G2)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오아게이트(G2)의 출력에 그의 일측 입력단자가 연결된 낸드게이트(G3)의 출력이 하이레벨 상태가 되어 저항(R11)을 통해 콘덴서(C1)가 충전된다. 한편, 낸드게이트(G3)의 출력에 양단의 입력단자가 연결된 낸드게이트(G4)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콘덴서(C1)의 충전이 완료되어 두 개의 저항(R10,R11)을 통해 분압된 전압이 낸드게이트(G3)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서 낸드게이트(G3)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로 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G4)의 출력이 하이레벨 상태로 반전되므로서, 저항(R12)을 통해 베이스가 낸드게이트(G4)의 출력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Q2)가 바이어스 되어 턴온된다.
따라서, 경고발생부(30)인 부저가 울리게 된다. 다시 콘덴서(C1)의 방전이 저항(R11)과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진 다음 방전이 종료되면, 저항(R10)을 통해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던 낸드게이트(G3)의 출력이 하이레벨 상태로 되고, 낸드게이트(G4)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제2트랜지스터(Q)가 턴오프되므로서 부저의 작동이 중지된다.
본 발명의 경고발생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덴서(C1)의 충반전 동작에 의해 제2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 제어 되므로서 부저가 단속적인 경고음을 발하게 된다.
다음에, 과열 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소정부분에서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열 감지센서(14)에 의해 차량에서 과열이 감지되면 저항이 감소되어 C점의 전위가 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위가 cd인 상태로 되면 제2비교기(CP2)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이때, 연기 감지센서(12)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비교기(CP1)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이다.
따라서, 연기 감지시의 동작설명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앤드게이트(G1)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고, 오아게이트(G2)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제1트랜지스터(Q1)를 통해 앤드게이트(G1)의 출력에 연결된 전원차단부(40)인 릴레이는 동작되지 않지만, 발진부(28)와 제2트랜지스터(Q2)를 통해 오아게이트(G2)의 출력에 연결된 경고발생부(30)인 부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속적인 경고음을 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를 통해 차량의 이상상태를 인지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연기 및 과열 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에서 연기 및 과열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기 감지센서(12)와 과열 감지센서(14)에 의해 연기 및 과열이 감지되면 저항이 감소되어 a점과 c점의 전위가 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위가 ab 및 cd 인 상태로 되면, 제1 및 제2비교기(CP1,CP2)의 출력은 동시에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비교기(CP1,CP2)의 출력이 각각의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 앤드게이트(G1)와 오아게이트(G2)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연기 감지시의 동작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아게이트(G2)의 출력에 연결된 발전부(28)와 제2트랜지스터(Q2)가 구동되므로서 경고발생부(30)인 부저가 단속적인 경고음을 말하게된다.
한편, 앤드게이트(G1)의 출력이 하이레벨 상태가 되어 전원차단부(40)인 릴레이가 통전 되므로서 밧데리(VB)에서 도시생략된 차량 부하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화재 방지시스템은 차량에서 연기 또는 과열이 감지되면 경고발생부를 작동시켜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서 운전자가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연기 또는 과열 감지시에 전원차단부를 작동시키지 않은 이유는 차량을 주행중인 상태일 때 운전자가 안전할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연기와 과열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즉 차량의 화재라고 판단되는 경우 경고발생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함과 동시에 밧데리에서 차량 부하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화재에 의한 전기배선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급속한 진행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화재를 초기조짐시에 감지하여 미리 조치를 취함으로서 차량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차량 내부의 소정 부분에 장착되어 각 부품의 과열상태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센서와 이상현상으로 인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 부터의 과열 및 연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밧데리에서 각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차량 화재 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에 제공하는 전원회로와, 이 전원회로부로 부터의 전원과 상기 감지수단으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이 입력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상응하여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부와, 이 제어회로부의 일측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어회로부의 타측 출력에 연결되어 발진파형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이 발진부의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연기 감지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기준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제1비교기와, 상기 과열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기준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제2비교기와,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비교기와 출력에 각각 연결된 앤드게이트와, 일측 및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비교기의 출력에 각각 연결된 오아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제어회로부의 출력에 직렬 접속된 두 개의 앤드게이트와 두 개의 저항과 콘덴서로 된 충방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발생수단은 청각적인 단속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는 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는 부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발생수단은 시각적으로 점멸되는 등화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발생수단은 청각적인 단속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기와 시각적으로 점멸되는 등화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는 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는 부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차단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밧데리에서 차량 부하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KR1019930029681A 1993-12-24 1993-12-24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KR017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681A KR0170916B1 (ko) 1993-12-24 1993-12-24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681A KR0170916B1 (ko) 1993-12-24 1993-12-24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70A KR950017470A (ko) 1995-07-20
KR0170916B1 true KR0170916B1 (ko) 1999-02-18

Family

ID=1937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681A KR0170916B1 (ko) 1993-12-24 1993-12-24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9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70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329A (en) Engine condition-responsive shutdown and warning apparatus
US5428340A (en) Apparatus for manually disabling and automatically enabling an air-bag system
US4689573A (en) On-vehicle diagnostic unit for electronic ignition systems
JP2000173428A (ja) 電気自動車のメインリレー溶着検出装置
KR950001811B1 (ko) 차량 안전 시스템
KR0170916B1 (ko) 차량화재 방지시스템
US5353007A (en) Automotive turn signal warning device
JP2844147B2 (ja) 侵入窃盗警報装置の回路装置
US3401373A (en) Vehicle warning and alarm system
JPH0411415B2 (ko)
JPH0635834Y2 (ja) 車輌用乗員保護装置
KR0124477B1 (ko) 자동차의 누설전류 경보장치
JPH08310338A (ja) 車両用保護装置
KR0144043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2890804B2 (ja) 車載用バッテリの低電圧検出装置
KR0136845Y1 (ko) 사고 차량의 위치 표시 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101539537B1 (ko) 화재 방지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JP2629822B2 (ja) 車載機器の異常警報装置
JPS6116761Y2 (ko)
JP2524925Y2 (ja) 抵抗値検出回路
KR910000647Y1 (ko) 자동차 엔진 보호 경고장치
KR850002614Y1 (ko) 자동차용 경보지시기 자동점검회로
KR100187471B1 (ko) 주차 브레이크 경보장치
JPH1169642A (ja) バッテリ放電及び寿命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