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948B1 -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948B1
KR0168948B1 KR1019950010866A KR19950010866A KR0168948B1 KR 0168948 B1 KR0168948 B1 KR 0168948B1 KR 1019950010866 A KR1019950010866 A KR 1019950010866A KR 19950010866 A KR19950010866 A KR 19950010866A KR 0168948 B1 KR0168948 B1 KR 016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tatus
call
st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649A (ko
Inventor
류원옥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1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948B1/ko
Publication of KR96004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가 가상 회선 패킷 호처리를 수행할 때 망이 상태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태문의 메시지와 상태메시지를 정의하여 B-채널 호처리하는 중간에 상대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상대방의 호상태가 자신과 상이한 경우에는 호를 해제하기도 하고, 자신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도 하는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태, 발신호 진행 상태, 발신 통신중 상태, 발신 절단표시 상태, 발신 해제요구 상태,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 상태,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상태, 착신호 연결 상태, 착신 통신중 상태, 착신호 포기 상태, 착신호 절단 상태 및 착신 영상태중에 상태 문의 메시지, 타이머 종료메시지 및 상태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여 망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망내에 호처리 프로세스의 찌꺼기가 남지 않게 하여 가입자에게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망의 신뢰성과 효용성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
제2a도 내지 제2t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큐.931(Q.931)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
11 : 기본속도 가입자 정합 프로세서
12 : 디지털 가입자 접속 교환 프로세서
13 :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정합 프로세서
14 : 타임 스위치 프로세서 20 : 패킷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
21 : 패킷 가입자 접속 교환 프로세서 30 :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
31 : 내부 연결망 프로세서 32 : 번호 번역 프로세서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가 가상회선 패킷 호처리 등의 수행시에 망에서 수행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망과 단말사이의 음성호에는 상대방의 상태를 문의할 수 있는 상태문의메시지와 상태메시지가 정의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망과 단말 상호간에 상이한 상태 관리가 일어나고, 망내에 호처리 프로세스의 찌꺼기가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망내에 호처리 프로세스의 찌꺼기란 가입자는 유휴 상태에 있는데 망내에서 호처리가 계속 진행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종래에 유휴 상태의 전화기에 발신을 하더라도 교환기에서는 사용중 상태로 인식하여 호가 처리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한 현상의 발생원인은 단말과 교환기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불일치하여 전에 단말에 서비스한 호에 대한 처리가 교환기에서 깨끗이 종료되지 않고, 찌꺼기가 남아 있기 때문이며, 이 경우 해당 가입자는 장시간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태문의 메시지와 상태메시지를 정의하여 B-채널 호처리하는 중간에 상대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상대방의 호상태가 자신과 상이한 경우에는 호를 해제하기도 하고, 자신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도 하는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를 정합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과, 패킷 가입자를 정합하는 패킷정합 교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두 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을 상호 연결하고, 각 호에 대하여 번호 번역을 수행하여 루팅하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태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상태와 원인 정보를 상태메시지에 실어 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태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의 상태가 상기 시스템의 현상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일치하면 현상태를 유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과 시스템의 상태를 요구되는 상태로 일치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은, 디지털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10), 패킷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20) 및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30)을 구비하고 있다.
디지털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ISDN; 이하, ASS_I라 함)(10)은 디지털 가입자 접속 교환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for ISDN ; 이하, ASP_I라 함)(12),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정합 프로세서(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Subscriber Access Processor; 이하, ISAP라 함)(13), 기본속도 가입자 정합 프로세서(Basic Rate Subscriber Interface Processor; 이하, BSI라 함)(11) 및 타임 스위치 프로세서(Time Switch Processor; 이하, TSP라 함)(14)를 구비하여 디지털 가입자를 정합한다.
패킷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for Packet Switching; 이하, ASS_P라 함)(20)은 패킷 가입자 접속 교환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for Packet; 이하, ASP_P라 함)(21)를 구비하여 패킷 가입자를 정합한다.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이하, INS라 함)(30)은 내부 연결망 프로세서(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 이하, INP라 함)(31)와 번호 번역 프로세서(Number Translation Processor; 이하, NTP라 함)(32)를 구비하여 상기 각 정합 교환 프로세서(10, 20)를 상호 연결하고, 각 호에 대하여 번호 번역을 하여 루팅을 수행한다.
큐.931패킷모드 상태 메시지 처리를 위하여 망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Block)으로는 ISAP(13)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블럭(Digital Subscriber Interface; 이하, DSI라 함), ASP_I(12)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 패킷모드 제어 블록(Digital Subscriber Packet mode Control; 이하, DPC라 함)과 호처리 관련 서비스 제어블럭(Call processing Shared Library; 이하, CSL라 함), ASP_P(21)에 실장되는 패킷 자국/입중계호 제어블럭(Packet Inward-call Control; 이하, PIC라 함), NTP(32)에 실장되는 번호 번역 블록(Number TRanslation; 이하, NTR이라 함) 및 INP(31)에 실장되는 스페이스 스위치 제어블럭(Switch Network Control; 이하, SNC라 함)이 있다.
도면에서 내부 신호 전달 경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내에서 처리하는 메시지의 처리전달 경로로 실제적으로 장치내의 프로세스간에 물리적인 경로를 갖고 있으며, 각 프로세스간의 메시지 전달을 하는 통로를 말한다.
제2a도 내지 2t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큐.931(Q.931)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큐.931(Q.931)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은, 패킷호 통신을 위한 Q.931 메시지를 하나도 수신하지 않아 망의 라인이 유휴한 영상태에서(201) DPC가 DSI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202) 영상태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상태메시지에 실어 단말로 전송하고(203), 상태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204) 라인의 호 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05).
영상태에서 교환기 시스템 운용체계(OS : Operation System)로부터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206)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207)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다시 한번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08)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시키고(209) 라인의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10).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단말로 일시적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완료메시지를 송출하고(211) 라인의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12).
그리고 여기에서 일시적인 실패는 해제완료메시지에 저장되는 원인 정보요소의 내용으로 명확한 호의 해제 이유를 알 수 없이 호가 중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해제완료메시지란 망이나 단말로부터 해제메시지를 수신한 망이나 단말이 상대방에게 응답으로 항상 송신하여 호를 해제토록 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타이머 종료 메시지는 상태 메시지나 상태 문의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에 타이머를 구동하기 위하여 송신하는 메시지이며, 타이머가 구동을 종료하였을 때, 그 종료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로도 동일한 메시지가 사용된다.
영상태에서 단말로부터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213)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214) 단말이 영상태인지를 조사하여(215) 단말의 상태가 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로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완료메시지를 송출하고(216) 라인의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17). 단말의 상태가 영상태인 경우에는 현상태에서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218).
발신호 진행중에(219)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220)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발신호 처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21)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222) 망의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23).
발신호 진행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224)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225)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발신호 진행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26)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227) 망의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28).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일시적인 호 실패하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29) PIC로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을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230) 지금까지 진행된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31).
발신호 진행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232)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233) 호상태를 조사하여(234)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235) ISAP(13)로는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 메시지를 송출한 후에(236)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37).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238).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39) PIC로는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 처리 해제요구 메시지를 송출하여(240) 지금까지 진행한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41).
발신 통신중 상태에서(242)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243) 단말로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통신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하고(244)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245)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46).
발신 통신중 상태에서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247)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248)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 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통신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다시 한번 송출하고(249)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한 후에(250)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51).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252)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53) 같은 원인 정보를 발신호 처리 해제요구메시지에 실어 PIC로 송출하여(254)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55).
발신 통신중 상태에서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256)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257) 호상태를 조사하여(258) 영상태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259)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260) ISAP(13)로는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 메시지를 송출하고(261)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62).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263).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264) PIC로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고(265)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66) 지금까지 진행한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67).
발신 절단표시 상태에서(268)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269)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절단 표시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단말로 송출하고(270)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27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72).
발신 절단표시 상태에서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사면(273)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형(274)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단말로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절단 표시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하고(275)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276)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77).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278)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79).
발신 절단표시 상태에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280)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281) 호상태를 조사하여(282) 영상태이면 ISAP(13)로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283)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84).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285).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286) 지금까지 진행한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87).
발신 해제요구 상태에서(288)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289)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해제 요구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단말로 송출하고(290) 타이머(T322)를 구동하고(29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92).
발신 해제 요구 상태에서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293)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294)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단말로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해제요구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하고(295) 두번째로 타이머(T322)를 구동하고(296)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297). 타이머(T322) 두번째 종료이면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298)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299).
발신 해제요구 상태에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300)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301) 호상태를 조사하여(302) 영상태이면 ISAP(13)로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303)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04).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05).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306) 지금까지 진행한 발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07).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중에(308)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309)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10)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31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12).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313)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314)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15)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316)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17).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18) PIC로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319)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20).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321)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322) 호상태를 판단하여(323)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324)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325)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26).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27).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28) PIC로는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329) 지금까지 진행한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30).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331)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332)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333)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이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34)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335) 호 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36).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337)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38).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339)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340)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41)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342)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43).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344) 자신의 단말 식별자 색인 외에 정상적인 호처리를 하는 단말이 있는지를 조사하여(344) 정상적인 호처리를 진행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45). 정상적인 호처리를 진행하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46) PIC로는 동일한 원인을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347)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48).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349)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350)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 사이의 값이면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351) 호 상태를 조사하여(352)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353)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354)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55).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56).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 식별자 색인 외에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고 있는 단말이 있는지를 조사하여(357)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58).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59) PIC로는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360)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61).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62) 착신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63).
착신호 연결 중에(364)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365)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366)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접속요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67) 타이머(T322)를 구동하고(368)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69).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70)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71).
착신호 연결 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372)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373)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호 접속요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74)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375)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76)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77) PIC로는 동일한 원인을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378)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79).
착신호 연결 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380)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여(381)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382) 호상태를 조사하여(383)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384) ISAP(13)로는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385)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86).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387).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 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388)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89)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390). 단말 식별자 값이 망과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9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92).
착신 통신중 상태에서(393)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394)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395)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통화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96)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397)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398).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399)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00).
착신 통신중 상태에서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401)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402)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호 통화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03)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404)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05).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하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06) 망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407) PIC로는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408)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09).
착신 통신중 상태에서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410)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 지를 조사하여(411)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하고(412) 호상태를 조사하여(413) 영상태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414)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PIC로 송출하고(415)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416)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17).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418).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419) PIC로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고(420)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21) 지금까지 진행한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22). 단말 식별자 값이 망과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23)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24).
착신호 포기 상태 중에(425)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426)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1과 8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427)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사이의 값이면 호포기 상태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28)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429)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30).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3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32).
착신호 포기 상태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433)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434)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호포기 상태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35)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436)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37).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438) 지금까지 진행된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39).
착신호 포기 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440)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441)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사이의 값이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442) 호상태를 조사하여(443) 영상태이면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444)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45).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446).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47)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48). 단말 식별자 색인이 1과 8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49)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50).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451)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452)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에서 설정된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453)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절단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54)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455)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56).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57)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58).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459)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460)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절단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다시 한번 단말로 송출하고(461)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462) 호 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63).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464) 지금까지 진행된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65).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466)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여(467)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468) 호상태를 조사하여(469) 영상태이면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470)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72).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473)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74).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과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475) 호 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76).
착신호 해제요구 상태중에(477)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478)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479)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해제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480)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48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82).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483)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84).
착신호 해제 요구 상태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485)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486)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해제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다시 한번 단말로 송출한 후에(487)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488)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489).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490) 지금까지 진행된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491).
착신호 해제 요구 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492)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여(493)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494) 호상태를 조사하여(495) 영상태이면 ISAP(13)로는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496) 착신호 처리는 해제한다(497).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498).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499)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500). 메시지내의 단말식별자 값이 망과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501)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502).
착신 영상태중에(503)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504)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505)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영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506)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507)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508).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509)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510).
착신 영상태중에 타이머(T322)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511)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512)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영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다시 한번 단말로 송출한 후에(513)타이머(T322)를 두번째 구동하고(514)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515).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라는 정보를 저장한 후에(516)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517).
착신 영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518)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여(519)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520) 호상태를 조사하여(521) 영상태가 아니면 메시지의 형태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완료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522) 착신호 처리를 해제한다(523). 단말 식별자 값이 망과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524) 호상태는 변경하지 않는다(52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가 큐.931의 상태메시지와 상태문의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과 교환기간의 단말 상태 정보를 일치시켜 망내에 호처리 프로세스의 찌꺼기가 남지 않게 함으로써 가입자에게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망의 신뢰성과 효용성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2)

  1. 디지털 가입자를 정합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과, 패킷 가입자를 정합하는 패킷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을 상호연결하고, 각 호에 대하여 번호 번역을 수행하여 루팅하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상태와 원인 정보를 상태메시지에 실어 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태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의 상태가 상기 시스템의 현상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일치하면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과 시스템의 상태를 요구되는 상태로 일치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망의 라인이 유휴한 영상태에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영상태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상태메시지에 실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영상태에서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라인의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및 영상태에서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거나 해제완료메시지를 송출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단말의 상태가 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로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완료메시지를 송출하고 라인의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 및 단말의 상태가 영상태인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호 진행중에 상태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발신호 처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발신호 진행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이머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발신호 진행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망의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의 두번째 종료이면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을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7. 제1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8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9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 통신중 상태에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로 상태 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통신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발신 통신 중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여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발신 통신 중 상태에서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통신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의 두번째 종료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같은 원인 정보를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에 실어 송출하여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0. 제1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8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9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발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 절단표시 상태에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절단 표시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및 발신 절단표시 상태에서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에 따라 상기 타이머(T322)를 구동하거나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3. 제1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발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호처리를 해제하는 제6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7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 해제요구 상태에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해제 요구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타이머(T322)를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발신 해제요구 상태에서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단말로 상태문의 응답이라는 운인 정보와 해제 요구 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두번째로 타이머(T322)를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 두번째 종료이면 일시적인 호 실패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6. 제1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발신 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8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은 제9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발신호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4단계; 및 단대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의 상태에 따라 상기 타이머(T322)를 구동하거나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19. 제1항, 제17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6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7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사이의 값이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제5단계; 및 사이 제4단계 수행 후,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 타이머를 구동하여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호진행중이라는 정보와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자신의 단말 식별자 색인 외에 정상적인 호처리를 하는 단말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정상적인 호처리를 진행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고, 정상적인 호처리를 진행하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을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단대다단 착신단말 설정 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소정의 범의 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면 상기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 호상태를 조사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착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3. 제1항, 제22항,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4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5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단말 식별자 색인 외에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고 있는 단말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고, 정상적인 호를 진행하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착신호 연결 중에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호 접속요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호 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착신호 연결 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호 접속요구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9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을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착신호 연결 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 후에 호상태를 조사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영상태이면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발신 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7. 제1항,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4단계;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5단계; 및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착신 통신중 상태에서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통화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첫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망에서 설정한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여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착신통신중 상태에서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통화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상기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망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착신 통신중 상태에서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 호상태를 조사하는 제12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1. 제1항, 제29항, 제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 메시지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4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5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망내에서 설정한 스위치를 절단하고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착신호처리 해제요구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동일한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고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착신호 포기 상태중에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면 호포기 상태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여 호 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착신호 포기 상태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호포기 상태라는 정보와 상태 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상기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착신호 포기 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번호로 망내의 단말 식별자 색인을 구하여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며 상기 타이머(T322) 종료한 후에 호상태를 조사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단말 식별자 색인값이 상기 소정의 범위 사이의 값이 아니면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5. 제1항, 제32항 내지 제3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4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5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 상태 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절단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호 절단중이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9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착신호 절단 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한 후에 호상태를 조사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과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39. 제1항, 제36항 내지 제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영상태이면 착신프로세스 상태 천이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4단계; 망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5단계; 및 그 밖의 망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형태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절단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착신호 처리를 해제하는 제1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착신 영상태중에 상태문의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 경우에는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영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메시지내의 단말 식별자 값과 망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첫번째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7단계; 착신 영상태중에 타이머 종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T322)의 상태 정보를 조사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첫번째 종료이면 상태문의에 대한 응답이라는 원인 정보와 착신 영상태라는 상태 정보를 실은 상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상기 타이머(T322)를 두번째로 구동하고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이면 상기 타이머(T322)의 두번째 종료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에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42. 제1항, 제40항, 제4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착신 영상태중에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은지를 조사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같으면 타이머(T322)를 종료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망의 단말 식별자 값과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호상태와 일치하지 않음 또는 메시지 형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구현이라는 원인 정보를 실은 해제메시지를 단말로 송출한 후에 호상태를 유지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KR1019950010866A 1995-05-03 1995-05-03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KR016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866A KR0168948B1 (ko) 1995-05-03 1995-05-03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866A KR0168948B1 (ko) 1995-05-03 1995-05-03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49A KR960043649A (ko) 1996-12-23
KR0168948B1 true KR0168948B1 (ko) 1999-02-01

Family

ID=1941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866A KR0168948B1 (ko) 1995-05-03 1995-05-03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9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49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9141B2 (ja) 端末交換システム
KR0168948B1 (ko) 패킷모드 상태메시지 처리 방법
JP2616388B2 (ja) 呼救済処理方式
KR0146443B1 (ko) 복수단말 가입자의 착신단말 설정 시점에 수신되는 복구메시지 처리 방법
KR017337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KR100206307B1 (ko) 전자교환기에서 효율적인 x.25프로토콜 구현방법
KR100194957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 프로세스 재시동에 의해발생된 비정상 호의 해제 처리 방법
KR0146766B1 (ko) 분산제어 교환시스템에서 전화 사용자부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방법
KR100270737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에서착신되는음성호처리방법
KR0146442B1 (ko) 큐.931 가상회선 패킷모드 디-채널 설정 방법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9500114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의 국간통화회선 관리 방법
KR0147349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7 사용자부 출중계선 호처리 방법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JP2878375B2 (ja) 通話リンク制御方式
KR950012310B1 (ko)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호중단 및 호재개 절차의 구현방법
KR013294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종합 정보 통신망 비 (isdnb) 채널 패킷호 처리 방법
KR0128234B1 (ko) 협대역 종합통신망 교환기에서의 디지틀(isdn) 가입자 대기호 거부 처리방법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JPS6322748B2 (ko)
KR960027698A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디지탈 루프백 시험방법
KR960014689B1 (ko) 패킷처리기 성능 측정 방법
JP3287380B2 (ja) 構内交換装置
KR960008428B1 (ko) 디지틀가입자 회선호 발신처리시 통신로 설정 및 해제 방법
KR950014953B1 (ko) 전전자 교환기 isdn 시스템에서 가상회선 b-채널 패킷 통신을 위한 b-채널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