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519B1 - Trash burner - Google Patents

Trash b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519B1
KR0168519B1 KR1019960012678A KR19960012678A KR0168519B1 KR 0168519 B1 KR0168519 B1 KR 0168519B1 KR 1019960012678 A KR1019960012678 A KR 1019960012678A KR 19960012678 A KR19960012678 A KR 19960012678A KR 0168519 B1 KR0168519 B1 KR 016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waste
combustion chamber
inci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0728A (en
Inventor
정병제
Original Assignee
정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제 filed Critical 정병제
Priority to KR101996001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519B1/en
Publication of KR97007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5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40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비닐 등의 일반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에 의해서 소각되는 폐기물이 뜨거운 열에 의해서 타게 될 때 그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기화가스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소각을 할 수 있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ion apparatus for incineration of general waste such as paper and vinyl,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inuously incinerate using the vaporization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when the waste incinerated by the burner is burned by hot he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쓰레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로 구성된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기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 양측에 설치된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및 상기 버너에 지속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ineration device composed of a body, an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ng the waste introduced from the inlet, wherein the supply lin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supplying vaporized ga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 A burner for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gas by the supply line; And a nozzle for continuously supplying gas to the burn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버너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종이, 비닐 등의 폐기물을 연소시키게 되고 그 폐기물에서 기화가스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기화가스를 계속적으로 버너에 공급하여 열원으로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각장치의 열원으로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기화가스를 사용하므로서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으며, 또다른 효과로는 기화가스를 계속적으로 순환 이용하므로서 종래의 소각장치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가하는 이점(利點)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stes such as paper and vinyl are burned using heat generated in the burner, and vaporized gas is generated from the waste, the generated vaporized gas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burner to be a heat source. I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lso, by using the gaseous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as the heat source of the incinerator, it does not use a separate heat source, so the life of the device is long. By continuously using the vaporized ga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cinerator.

Description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 장치Incinerator

제1도는 종래의 소각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incinerator.

제2도는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버너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rner structure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외부 몸체 12 : 연소실10: outer body 12: combustion chamber

14 : 고정수단 16 : 중간막14: fixing means 16: interlayer film

18 : 하부막 20 : 지지판18: lower film 20: support plate

22 : 제1공급라인 24 : 제2공급라인22: first supply line 24: second supply line

26 : 투입구 28 : 배출구26: inlet 28: outlet

30 : 지지대 32 : 외부 버너30: support 32: external burner

34 : 내부 버너 35 : 버너34: internal burner 35: burner

36 : 투입구 38 : 연통36: inlet 38: communication

40 : 버너 고정판 42 : 노즐라인40: burner fixing plate 42: nozzle line

44 : 가스 유입공 46 : 초기 점화공44: gas inlet hole 46: initial ignition hole

48 : 받침판48: support plate

본 발명은 종이, 비닐 등의 일반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에 ㄹ해서 소각되는 폐기물이 뜨거운 열에 의해서 타게 될 때 그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기화가스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소각을 할 수 있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ion apparatus for incineration of general wastes such as paper and vinyl,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inuously burn using the vaporization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when the waste incinerated by the burner is burned by hot he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that can be incinerated.

일반적인 소각장치는 산업 폐기물이나 생산현장에서의 소각 가능 쓰레기 등을 편리하고,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다.A general incinerator is used for incineration of industrial wastes or incineration wastes at production sites for convenient and clean disposal.

그리하여 통상은 소각장치에 폐기물이나 쓰레기 등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 투입구로 투입된 폐기물을 소각시킬 수 있는 소각공간이 있고, 그 전체를 덮어서 소각시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끓여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담수공간이 있는 소각로와 함께 담수된 물이 심하게 끓을 때 그 압력을 조절하면서 끓는 물이 외부로 튀어올라서 작업자에게 위험이 되거나 작업장을 더럽히거나 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각로의 상단에 비수방지기를 설치하고, 소각로의 측면에는 소각공간과 함께 관통연결되어 태워지는 쓰레기들의 분진을 가라앉히는 식으로 수거하여 작업장내의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이유에서 분진 수거기능의 사이클론이 설치된다.Thus, usually, an inlet is provided for injecting waste or trash into the incineration device, and there is an incineration space for incineration of waste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the entire area is covered to effectively boil water by incineration. With the incinerator with fresh water space for use, when the fresh water boils badly, the boiling water splashes to the outside while adjusting the pressure to prevent the danger to workers or dirty the workplace. A cyclone with a dust collection func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cinerator in order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by collecting the dust of burned garbage through the inciner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incinerator.

물론 소각장치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통하여 강력한 송풍이 이루어져 원할한 소각을 돕도록 되어 있다.Of course, the bottom of the incinerator is a powerful blower through the blower is to help smooth incineration.

이렇게 구성된 소각장치는 변형이 어려운 기본적인 구조이므로 그 동안 전체적으로 개량된 소각로의 개발이 지체되어 왔는데 실제적으로는 송풍구조의 개량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인 소각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고, 사이클론의 구조 및 굴뚝의 길이 등을 개량하여 효과적인 분진수거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비수방지기능이 뛰어난 비수방지기를 설치함으로써 비수에 따른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비수방지기의 필요성에 대하여도 검토가 있어야 하는 등 보다 효과적인 소각작업에 대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Since the incinerator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is difficult to deform, the development of the improved incinerator has been delayed for the whole time. Actu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most effective inciner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cyclone and the length of the chimney Improvement of effective incineration work has been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effective dust removal and the need for a non-aqueous preventer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non-aqueous water by installing a non-aqueous protector with excellent non-aqueous protection. There was room.

제1도는 종래의 소각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투입구(2)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1차 연소실(3)이 설치되어 있고, 투입구(2)를 통하여 화격자(4)위로 피소각물이 투입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cineration apparatus, in which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2) is provided on one side,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is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and is accused over the grate (4) through the inlet (2) Each object is configured to be injected.

화격자(4)의 아래에 형성된 1차 연소실(3)의 측벽에 1차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노즐(6)이 형성되어 있고, 1차 연소실(3)의 하부에는 재받이(7)가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에 재 인출구(8)를 형성한다.A primary air nozzle 6 for supplying primary air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formed below the grate 4, and a backrest 7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It is provided and the redrawing opening 8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소각장치의 상부에는 2차 연소실(9)이 형성되고 이는 1차 연소실(3)과 연통되어 있으며, 그 1차 연소실(3)과 2차 연소실(9)과의 연통부에는 재연소기(10)가 설치된다.A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9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nerator,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and the recombustor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and th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9. Is installed.

상기 재연소기(13)는 1차 연소실(3)로부터의 연소 가스에 의하여 적열상태로 가열되는 다수의 가스관(11)으로 구성되어 있고, 1차 연소실(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배기가스중의 불완전 연소 물질을 완전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reburner 1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as pipes 11 that are heated in the red state by the combustion gas from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and the exhaust gas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Through it, the incomplete combustion material in the exhaust gas is completely burned.

연통(15)에는 축류 사이클론이 설치되어 각 가스관(11)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내부에서 선회시켜 가스관(11)내에서 불완전 연소 물질이 완전 연소되지 않고 배기가스 중에 질량이 큰 불완전 연소 입자가 존재할 때, 질량이 큰 불완전 연소 입자가 원심 효과에 의하여 연통의 외주쪽으로 이동된 질량이 큰 불완전 연소 입자가 원심효과에 의하여 연통이 외주쪽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ng cylinder 15 is provided with an axial flow cyclone to pivo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each gas pipe 11 therein so that incomplete combustion material is not completely burned in the gas pipe 11, and incomplete combustion particles having a large mass exist in the exhaust gas. At this time, the large incomplete combustion particles are moved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ommunication by the centrifugal effect, the large incomplete combustion particles are configured to move the communica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by the centrifugal effect.

연통(15)의 외주에는 축류 사이클론위에 설치된 흡입도관(17)이 설치되어 외주쪽으로 이동된 질량이 큰 불완전 연소 입자를 이젝터내에 송풍기(19)로부터 1차 공기를 흡입시키므로써 생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재인입시킨다.An intake conduit 17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mmunication cylinder 15, and the inert combustion particles having a large mass moved to the outer periphery are sucked into the ejector by drawing the primary air from the blower 19. Re-enter

이젝터는 흡입도관(17)내로 흡입된 질량이 큰 불완전 연소 입자를 송풍기(19)로부터 흡입된 1차 공기와 함께 도관을 거쳐 1차 공기도관(5)을 통해 1차 연소실(3)로 유입시켜 다시 연소시킴으로써 생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재인입 시킨다.The ejector introduces a large amount of incomplete combustion particles sucked into the suction conduit 17 through the primary air conduit 5 through the primary air conduit 5 through the conduit together with the primary air sucked from the blower 19. Reentry inside by using suction force produced by burning again.

이때, 송풍기(19)로부터 흡입된 1차 공기는 1차 공기노즐(6)과 1차 공기도관(5)에 도달하기 전에 각각 1차 열교환실(23) 및 재받이(7)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1차 연소실(3)에는 가열된 상태로 송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rimary air sucked from the blower 19 is heated in the primary heat exchange chamber 23 and the backrest 7, respectively, before reaching the primary air nozzle 6 and the primary air conduit 5.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 is sent out in a heated state.

또한,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생긴재는 화격자(4)를 통해 재받이(7)내로 낙하하여 1차 사이클론의 소각후 재인출구(8)로 끄집어낸다.In addition, the material generated by the burning of the incinerated object falls through the grate 4 into the ash tray 7 and is drawn out to the re-outlet 8 after incineration of the primary cyclon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각장치는 연소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고, 그 연소가스가 대기중에 심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However, in the inci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mbustion gas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 combustion gas has a severe effect on the atmosphere.

따라서, 불완전 연소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됨으로 해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은 수 없이 제기되어 온 문제였다.Therefore, the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emission of incomplete combustion gas has been a problem that has been raised a number of times.

또한, 불완전 연소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o reduce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requires a lot of fuel,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energy loss occurs according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비닐 등의 폐기물에 열을 가하여 그 때 발생하는 기화가스를 이용하여 소각장치의 열원을 적게 사용하고도 에너지 손실의 극대화를 누릴 수 있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te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energy loss even using less heat source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by applying heat to waste paper, vinyl, etc. generated at that time.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쓰레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로 구성된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기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 양측에 설치된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및 상기 버너에 지속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cineration device composed of a body, an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ng the waste injected from the inlet, the combustion chamber for supplying the vaporized ga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lines installed at both sides; A burner for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gas by the supply line; And a nozzle for continuously supplying gas to the burner.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the incinerator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버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rner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2도를 참조로하여 살펴보면, 외부몸체(10)의 내부에 중간막(1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막(18)이 상기 중간막(16)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an intermediate layer 16 is formed inside the outer body 10, and a lower layer 18 is formed below the intermediate layer 16.

이때, 상기 외부몸체(10)와 중간막(16)의 사이에는 고정수단(14)이 외부몸체(10)의 천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14)의 하부에 연소실(12)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연소실(12)은 중간막(1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48)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At this time, between the outer body 10 and the intermediate film 16, the fixing means 14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outer body 10,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ans 14 Moreover,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48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film 16.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연소실(12)의 좌우에는 제1공급라인(2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supply lines 22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중간막(16)의 하부에는 버너(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너(35)의 상부에는 제2공급라인(24)이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burner 35 is disposed below the intermediate layer 16, and a second supply line 24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rner 35.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버너는 내부버너(34)가 먼저 설치되고, 그 내부버너(34)의 외부에 외부버너(32)가 씌워져 설치되어 있다.In the bur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nner burner 34 is installed first, and the outer burner 32 is covered with the outer burner 34.

이때, 상기 내부버너(34)에는 폐유가 상기 제2공급라인(24)을 거쳐서 흘러 들어가고 내부버너(34)에 쌓이게 되면 점화를 시키므로써 내부버너(34)가 가열되고 가열된 열이 연소실(12)로 전달되어 종이, 비닐 등을 태우게 된다.At this time, waste oil flows into the inner burner 34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24 and accumulates in the inner burner 34 so that the inner burner 34 is heated and the heated heat is burned. It is delivered to) and burns paper and vinyl.

제3도는 본 발명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전술된 연소실(12)의 일측에 쓰레기를 공급할 수 있는 투입구(36)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외부몸체(10)의 상부에는 연통(38)이 설치되어 있다.Figure 3 shows a side view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inlet 36 for supplying waste to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combustion chamber 12, the outer body 10 of the The communication 38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제4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내부버너(34)가 외부버너(32)에 의해 씌워져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버너(34)는 하부막(18)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막(18)의 하부에는 지지판(20)이 고정되어 있다.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ner burner 34 is covered by the outer burner 32, and the inner burner 34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lm 18. As shown in FIG. The support plate 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membrane 18.

제5도는 본 발명의 소각장치의 버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전술된 내부버너(34)의 상부에는 노즐라인(4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버너(34)의 상면에는 버너 고정판(40)이 고정되어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rner of the inci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nozzle line 42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urner 34 described above, and the burner fixing plate 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urner 34. It is fixed.

그리고, 그 버너 고정판(40)에는 상기 제1공급라인(22)을 통해 폐유를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초기 점화공(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공급라인(22)를 통해 기화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가스 유입공(4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itial ignition hole 46 is formed in the burner fixing plate 40 to allow waste oil to flow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22, and vaporized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22. The gas inflow hole 44 to be formed is formed.

이때, 그 노즐라인(42)에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된 공급라인(22)에서 공급된 기화가스가 노즐라인(42)을 통해서 노즐공으로 하향 분사되어 버너에 공급된다.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nozzle holes are formed in the nozzle line 42, the vaporized gas supplied from the above-described supply line 22 is injected downward through the nozzle line 42 to the nozzle holes and supplied to the burner.

그러므로 버너는 계속적으로 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은 연소실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서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burner continuously generates heat and the generated hea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y enabling complete combustion.

그리고, 상기 버너는 타원형의 형상이나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등으로 소각장치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환 실시 될 수도 있다.The burner may be convert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cinerator in an elliptical shape, a cylindrical shape, or a square shap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버너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종이, 비닐 등의 폐기물을 연소시키게 되고 그 폐기물에서 기화가스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기화가스를 계속적으로 버너에 공급하여 열원으로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stes such as paper and vinyl are burned using heat generated in the burner, and vaporized gas is generated from the waste, the generated vaporized gas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burner to be a heat source. By using it,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reduced.

또한, 소각장치의 열원으로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기화가스를 사용하므로서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vaporization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as a heat source of the incinerator, there is no effect of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has a long life effect of the device.

또 다른 효과로는 기화가스를 계속적으로 순환 이용하므로서 종래의 소각장치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가하는 이점(利點)이 있다.Another effect is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cinerator by continuously circulating the vaporized gas.

Claims (5)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쓰레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로 구성된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기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 양측에 설치된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및 상기 버너에 지속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An incineration device comprising a body, an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ng the waste injected from the inlet, the inlet device comprising: supply lin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ly vaporized ga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 burner for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gas by the supply line; And a nozzle for continuously supplying gas to the bu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버너 고정판과,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라인을 구비하고 있는 내부버너; 및 상기 내부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외부버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The burner of claim 1, wherein the burner comprises: an inner burner having a burner fixing plate for fixing to the body and a nozzle line for supplying gas; And an external burner configured to block heat generated from the internal bu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버너는 몸체내부에 설치되고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버너 고정판을 갖고, 상기 버너 고정판의 하부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The burner of claim 1, wherein the internal burner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has a burner fixing plate for fixing to the body, and has a nozzle line for supplying combustion ga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rner fixing plate. Inciner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라인은 기화가스를 하향으로 뿜어주도록 구성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4. The incineration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nozzle line is configured to discharge vaporized gas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은 기화가스를 공급하는 각각의 공급라인을 갖고 상기 공급라인을 통하여 쓰레기의 연소시 발생된 기화가스를 버너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장치.The incineration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has respective supply lines for supplying vaporized gas and supplies vaporized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waste to the burner through the supply line.
KR1019960012678A 1996-04-24 1996-04-24 Trash burner KR0168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678A KR0168519B1 (en) 1996-04-24 1996-04-24 Trash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678A KR0168519B1 (en) 1996-04-24 1996-04-24 Trash bur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728A KR970070728A (en) 1997-11-07
KR0168519B1 true KR0168519B1 (en) 1999-01-15

Family

ID=1945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678A KR0168519B1 (en) 1996-04-24 1996-04-24 Trash b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51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728A (en)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519B1 (en) Trash burner
JP2952160B2 (en) Waste incineration method, grate, incinerator and incinerator
JPH07239110A (en) Waste incinerator
JPH0749223Y2 (en) Waste oil and exhaust gas combustor
JPH09184611A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KR20020066539A (en) Apparatus for to destroy by burning
KR0114474Y1 (en) Assembling incinerator
KR200352792Y1 (en) A trash boiler waste gas purifier
KR100304423B1 (en) Waste oil combustion boiler
KR0128172B1 (en) Incinerator
KR100282670B1 (en) Boiler device using waste tire incineration heat
KR930002347Y1 (en) Waste incinerator
KR200161843Y1 (en) Trash burner and boiller
JP4010538B2 (en) Incinerator
JP3014865U (en) Incinerator equipment
KR200270521Y1 (en) The pressure decreaing device for burning tank of an incinerator
KR200244119Y1 (en) Waste incinerator
JP3004715U (en) Incinerator equipment
KR960009433Y1 (en) Incinerator
KR200258775Y1 (en) Complete combustion incinerator for hot air generation
KR960005764B1 (en) Incinerator
JP2000291926A (en) Incinerating device by high heat gasification combustion system
KR820001094Y1 (en) Industrial boiler using waste products as a fuel
JPH0640626U (en) Incinerator
JPH0749230Y2 (en) Waste combus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