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215B1 -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215B1
KR0167215B1 KR1019960017022A KR19960017022A KR0167215B1 KR 0167215 B1 KR0167215 B1 KR 0167215B1 KR 1019960017022 A KR1019960017022 A KR 1019960017022A KR 19960017022 A KR19960017022 A KR 19960017022A KR 0167215 B1 KR0167215 B1 KR 016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walls
raw material
screw housing
materi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382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1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215B1/ko
Publication of KR97007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료통은 상부의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에 U자형 단면의 결합홈부를 형성하여 하단의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상단 연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의 결합이 기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의 누출이 생길뿐만 아니라 주몸체부의 양측벽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봉 양측을 양측벽 내면에 대고 고정나사로 체결 고정하고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를 별도의 고정나사에 의하여 체결 고정하고 원료굳음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돌기휠을 축설함에 있어서 별도의 축핀을 끼워 지지하는 것이므로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를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며,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와 결합홈 바닥면에 실링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의 결합이 기밀하게 이루어져 원료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를 고정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주몸체부에 형성된 탄성후크를 스크류 하우징부에 천공된 고정공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고, 주몸체부의 양측벽에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원료굳음방지수단의 돌기휠에 일체로 형성된 축을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축받이홈에 끼워 축설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의 종단 측면도.
제3도는 종래 원료통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 원료통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료통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료통의 종단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몸체부 11 : 양측벽
12 : 연결부 13,14 : 전후벽
15,16 : 탄성후크 17 : 손잡이부
20 : 스크류 하우징부 21 : 양측벽
22 : 결합홈 23,24 : 전후벽
25,26 : 고정공 27 : 축받이홈
28 : 실링부재 30 : 원료이송수단
40 : 원료굳음방지수단 41 : 돌기휠
42 : 축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또는 차류의 자동판매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 물탱크(3), 펌프(4), 살균기(5), 온수통(6), 원료통(50)이 설치되어 물탱크(3)내의 물이 펌프(4)에 의하여 펌핑되어 온수통(5)에서는 전열히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가열하여 온수로서 저류되며, 사용자에 의한 구매 조작에 따라서 주출되어 원료통(50)에서 공급되는 원료와 함께 혼합된 후 취출구(7)에 낙하되어 있는 컵(C)에 주입되어 커피 또는 차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서 2는 도어이며, 제1도 및 제2도에서 8은 컵(C)이 적재되는 랙이고, 9는 온수통(6)의 물과 원료통(50)의 원료가 혼합되는 혼합기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원료통(50)은 커피나 차류의 종류에 따라 원료가 적재되는 것으로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통의 하단부에는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원료이송수단이 설치되는 바, 이 원료 이송수단을 구성하기 위하여는 원료통의 하단부의 내부 단면을 스크류(6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원료통 전체를 일체로 성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어 상단의 주몸체부(51)와 하단의 스크류 하우징부(61)로 분리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주몸체부(51)의 상부에는 뚜껑(58)이 씌워져 있다.
상기 스크류(65)는 제2도에 도시한 구동모터(66)에 의하여 회전되어 원료통내의 원료를 전방축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몸체부(51)와 스크류 하우징부(61)사이는 원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밀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주몸체부(51)의 하단 양측벽(52) 연부에 역 U자형 단면의 결합홈(52a)이 형성되어 스크류 하우징부(61)의 양측벽(62) 상단 연부가 상기 결합홈부(52a)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들 주몸체부(51)의 전후벽(53,54)하단과 스크류 하우징부(61)의 전후벽(63,64) 상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주몸체부(51)의 하단 전후벽(53,54)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5)가 스크류 하우징부(61)의 상단 전후면벽(63,64)에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주몸체부(51)의 양측벽(52) 하단에 역 U자형 결합홈(52a)에 스크류 하우징부(61)의 양측벽(62)상단 연부를 단순히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므로 장입된 원료가 그 사이로 누출될 염려가 있으며, 주몸체부(51)와 스크류 하우징부(61)를 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나사(55)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조립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상기 주몸체부(51)는 장입된 원료에 의하여 양측벽(5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벽(52)사이에 지지봉(56)을 대고 양측벽(5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7)를 지지봉(56)의 양단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양측벽(52)이 지지봉(56)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주몸체부(51)와 스크류 하우징부(61)외에 별도의 지지봉(56)과 고정나사(57)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조립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였다.
한편, 원료통의 내부에는 원료의 굳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65)에 연동하여 진동하는 원료굳음방지수단이 설치된다.
이 원료굳음방지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하우징부(61)에 축설되는 돌기휠(71)과, 주몸체부(51)의 내벽에 고정나사(74)로 체결되는 지지구(73)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돌기휠(71)의 돌기(72)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진동자(75)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돌기휠(71)을 축설하기 위하여 돌기휠(71)과는 별도의 축핀(76)을 스크류 하우징부(61)의 양측벽(62)에 천공된 축공(62a)에 관통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이 또한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조립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료굳음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돌기휠을 별도의 축핀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축설되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과 조립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지지봉이나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몸체부의 양측벽이 벌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몸체부와 스크류 하우징부사이로 원료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를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며,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와 결합홈 바닥면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이 제공된다.
상기 주몸체부의 양측벽 중간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주몸체부의 전면벽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주몸체부의 전후벽 하단에는 탄성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의 전부벽 상단에는 상기 탄성후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을 천공한다.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중앙부에는 원료굳음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돌기휠에 일체로 형성된 축이 삽입지지되는 축받이홈을 형성한다.
상기 돌기휠의 축은 상부에서는 상기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단에서는 축받이홈의 하단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료통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7도 및 제8도는 조립상태 종단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6도에서 10은 주몸체부이고, 20은 스크류 하우징부이며, 30은 원료 이송수단이고, 40은 원료굳음방지수단이다.
상기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12)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몸체부(10)는 브로잉 몰딩(Blowing Molding)에 의하여 성형한다.
상기 양측벽(11)의 하단 연부는 단일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몸체부(10)의 전후벽(13,14)하단에는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20)과 결합하기 위한 탄성후크(15,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몸체부(10)의 전면벽(13) 하단에는 손가락 삽입공(17a)를 가지는 손잡이(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몸체부(10)의 상부는 뚜껑(18)에 의하여 복개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20)는 저면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되며 양측벽(21)과 전후벽(23,24)의 상단부에는 상기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과 전후벽(13,14) 하단 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을 한정하는 내,외벽(22a,22b)중 내측벽(22a)에는 원료굳음방지수단(40)의 돌기휠(41)에 일체로 형성된 축(42)이 삽입되는 축받이 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2)의 바닥면(22c)에는 상기 축받이홈(27)에 대응하는 절취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홈(27)의 하단은 축(42)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22)을 한정하는 내,외벽(22a,22b) 중 외측벽(22b)에는 상기 주몸체부(10)의 탄성후크(15,16)가 끼워져 걸리는 고정공(25,26)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2)에는 실링부재(28)가 삽입되어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과 전후벽(13,14) 하단연부와 결합홈(22)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료이송수단(30)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하우징부(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31)로 구성되며, 이 스크류(31)의 후단은 구동모터(제2도 66참조)에 연동연결된다.
상기 원료굳음방지수단(40)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20)의 축받이홈(27)에 삽입지지되는 축(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31)와 접촉하는 다수개의 돌기(43)가 형성된 돌기휠(41)과, 상기 주몸체부(10)의 내벽에 지지구(44)에 의하여 고정지지되어 상기 돌기휠(41)의 돌기(43)에 접촉되는 진동자(45)로 구성된다. 제6도에서 46은 지지구(44)를 주몸체부(10)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상기 주몸체부(10)의 전면벽(13)내에 지지구(44)에 의하여 진동자(45)를 고정설치함과 아울러 스크류 하우징부(20)내에 원료이송수단(30)의 스크류(31)을 삽입설치하고, 이 스크류(31)의 후단부를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동연결하며, 상기 결합홈(22)내에 실링부재(28)를 삽입하고 원료굳음방지수단(40)의 돌기휠(41)에 일체로 형성된 축(42)을 절취부(27a)를 통하여 축받이홈(27)에 삽입한 상태에서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과 전후벽(13,14) 하단연부를 스크류 하우징부(20)의 양측벽(21)과 전후벽(23,24)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삽입하면서 전후벽(13,14)축을 누르면 전후벽(13,14)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후크(15,16)가 스크류 하우징부(20)의 전후벽(23,24)상단에서 결합홈(22)을 한정하는 내,외벽(22a,22b)에 탄성후크(15,16)가 끼워져 걸리면서 주몸체부(10)와 스크류 하우징부(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20)을 구성하는 결합홈(22)의 바닥면(22c)과 주몸체부(10)을 구성하는 양측벽(11)의 하단연부 사이에는 실링부재(28)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주몸체부(10)와 스크류 하우징부(20)는 서로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원료굳음방지수단(40)의 돌기휠(41)에 일체로 형성된 축(42)은 축받이홈(27)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서는 축받이홈(27)의 반원형부에 의하여, 상부에서는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 하단연부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돌기휠(41)이 임위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뚜껑(18)을 열고 원료를 장입한 강태에서 구매자에 의한 구매 조작에 의하여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후단부가 결합된 스크류(31)가 회전하면서 원료통내에 장입된 원료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료굳음방지수단(40)의 돌기휠(41)은 그 돌기(43)가 스크류(31)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기휠(41)의 돌기(43)에 접촉하고 있는 진동자(45)가 돌기(43)와의 접촉에 의하여 진동을 일으키면서 원료를 교반하여 원료가 굳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은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20)의 결합홈(22)과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 하단연부 사이에 실링부재(28)를 삽입하고 있으므로 주몸체부(10)와 스크류 하우징부(20)가 기밀 상태로 유지되어 원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몸체부(10)와 스크류 하우징부(20)를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주몸체부(10)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후크(15,16)와 스크류 하우징부(20)에 천공된 고정공(25,26)에 의하여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되며 부품수가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원료굳음방지수단(40)을 구성하는 돌기휠(41)을 축설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축핀을 사용하지 않고 돌기휠(41)에 일체로 형성된 축(42)을 스크류 하우징부(20)의 축받이홈(27)에 끼운 상태에서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 하단연부를 스크류 하우징부(20)의 양측벽(21)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돌기휠(41)이 축설되는 것이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되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주몸체부(10)의 양측벽(11)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봉과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양측벽(11)의 중간부에는 양측벽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몸체부(10)의 전면벽(13) 하단부에는 손가락 삽입공(17a)을 가지는 손잡이(17)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원료통을 꺼내거나 장착할 경우 이 손잡이(17)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를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며,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와 결합홈 바닥면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부의 양측벽 중간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부의 전면벽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4. 제1항에 있어서, 주몸체부의 전후벽 하단에는 탄성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의 전부벽 상단에는 상기 탄성후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을 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하우징부의 양측벽 중앙부에는 원료굳음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돌기휠에 일체로 형성된 축이 삽입지지되는 축받이홈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휠의 축은 상부에서는 상기 주몸체부의 양측벽 하단연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단에서는 축받이홈의 하단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의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1019960017022A 1996-05-20 1996-05-20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016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22A KR0167215B1 (ko) 1996-05-20 1996-05-20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22A KR0167215B1 (ko) 1996-05-20 1996-05-20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382A KR970076382A (ko) 1997-12-12
KR0167215B1 true KR0167215B1 (ko) 1999-03-20

Family

ID=1945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022A KR0167215B1 (ko) 1996-05-20 1996-05-20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2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382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2222B2 (en)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TW299376B (ko)
AU2003202813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KR2005011889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US20050274155A1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KR20040104674A (ko) 상부 세탁물 적재식 세탁기
PL335856A1 (en) Heating element c/w tank for a water filtering appliance
EP2425047B1 (en) Front-loading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ing or washing/drying machine
KR0167215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CN111839190B (zh) 水箱组件和烹饪电器
CN113633198B (zh) 食品加工机
CN114108261B (zh) 洗涤剂容器和衣物处理装置
KR20050045258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CN211446291U (zh) 洗衣机的洗涤腔结构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CN110904608A (zh) 洗衣机的洗涤腔结构
CN211006005U (zh) 洗衣桶
KR100296798B1 (ko) 세탁기
JP200022903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214804273U (zh) 食物洒落组件、料理杯组件及料理机
JP7270182B2 (ja) 縦型洗濯機
JP366758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218128039U (zh) 洗料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7565732U (zh) 洗料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7309845U (zh) 洗料仓组件、锅盖和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