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066B1 -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066B1
KR0167066B1 KR1019940035531A KR19940035531A KR0167066B1 KR 0167066 B1 KR0167066 B1 KR 0167066B1 KR 1019940035531 A KR1019940035531 A KR 1019940035531A KR 19940035531 A KR19940035531 A KR 19940035531A KR 0167066 B1 KR0167066 B1 KR 016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case
bobbin
phas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186A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4003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066B1/ko
Publication of KR96002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기포화소자에 의한 위상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보빈의 내주면에 페라이트 코어를 L자형으로 형성하여 삽입하고 이 페라이트 코어와 대향되는 로터 케이스의 외주면 상에 위상발생 마그네트를 복수개로 노출시킴으로써 모터의 토크특성을 향상시켜서 고출력을 얻을 수 있는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외주면에 위상 발생용 마그네트를 가지는 로터 케이스에 근접되도록 설치하되, 로터 케이스의 중심을 향하는 원형 보빈과, 상기한 원형 보빈의 외측에 권선된 구동 코일과, 상기한 원형 보빈의 중심에 일단이 삽입된 복수개의 L자형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마그네트가 노출된 로터 케이스 평면도.
(b) 및 (c)는 위상발생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마그네트가 노출된 로터 케이스 평면도.
(b)는 위상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로터 케이스 12,22 : FG 마그네트
13,23 : 보빈 14 : ㅁ자형 코어
15 : 구동코일 16 : 일자형 코어
26,27 : L자형 코어
이 발명은 자기포화소자에 의한 위상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로터 케이스의 근접된 위치에 위상 발생장치를 장착하여 위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되, 검출효율이 향상되도록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포화소자에 의한 위상 발생장치는 소프트 보빈의 내측에 페라이트 코어가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외측에 구동코일 권선된 구조로서, 로터 케이스에 근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장착된 위상 발생장치는 로터 케이스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자속을 페라이트 코어에 전달하고, 보빈에 권선된 구동코일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하여 모터 구동회로에 전달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속은 패러디 법칙에 의해 전류변화에 비례하며, 자속변화에 따라 위상제어에 필요한 기전력(PG 신호의 크기)의 증대가 필요하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단수의 마그네트가 노출된 로터 케이스 평면도이고, (b) 및 (c)는 위상발생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 (b)를 참조하면 상기 위상 발생장치(10)는, 보빈(13)의 내주면에 ㅁ자형 코어(14)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13)의 외주면에 구동코일(15)이 권선되어 단자에 본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 제1도 (c)를 참조하면 상기 위상 발생장치(10)는 원통형 보빈(13)의 내주면에 일자형 코어(16)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13)의 외주면에 구동코일(15)이 권선되어 단자에 본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상 발생장치(10)는 제1도 (a)에 도시된 로터 케이스(11)의 근접된 위치에 장착되어 FG 마그네트(12)와의 쇄교되는 자계에 의해 자속(Ø)이 발생되며 패러디 전자유도 법칙에 따라 구동코일(15)에 의해 기전력(PG 신호의 크기에 해당함)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위상 발생장치는 로터 케이스(11)로 부터 위상에 따른 하나의 펄스신호만 발생되므로, 제1도 (b)와 같은 경우에서는 쇄교되는 자속(Ø)량은 많으나 기전력이 약하고, 제1도 (c)와 같은 경우에서는 자속(Ø)량과 기전력이 모두 약해서 모터의 토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보빈의 내주면에 페라이트 코어를 L자형으로 형성하여 삽입하고 이 페라이트 코어와 대향되는 로터 케이스의 외주면 상에 위상발생 마그네트를 복수개로 노출시킴으로써 모터의 토크특성을 향상시켜서 고출력을 얻을 수 있는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외주면에 위상 발생용 마그네트를 가지는 로터 케이스에 근접되도록 설치하되, 로터 케이스의 중심을 향하는 원형 보빈과, 상기한 원형 보빈의 외측에 권선된 구동 코일과, 상기한 원형 보빈의 중심에 일단이 삽입된 복수개의 L자형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하는데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2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로터 케이스 평면도이고, (b)는 위상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제2도 (b)를 참조하면, 상기 위상 발생장치는 원통형 보빈(23)의 내주면에 L자형 코어(26),(27)가 양방향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23)의 외주면에 구동코일(25)이 권선되어 단자에 본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상 발생장치(20)는 제2도 (a)에 도시된 로터 케이스(21)의 근접된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로터 케이스(21)는 다극으로 착자된 FG 마그네트(22)가 노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 케이스(21)가 회전함에 따라 FG 마그네트(22)에서는 네가티브와 포지티브에서 각각 FG 펄스가 발생되며, 상기 FG 펄스는 보빈(23)의 내측에 삽입된 페라이트 코어(26),(27)에 자속(Ø)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자속(Ø)은 패러디 전자유도 법칙에 따라 구동코일(15)에 의해 기전력(PG 신호의 크기에 해당함)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모터 구동회로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개의 FG 신호에 의해 페라이트 코어에는 2배의 자속(Ø)량이 발생되며 결과적으로 2배의 기전력에 의해 위상발생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모터의 토크 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20)에 의하면, 로터 케이스 외주면 상에 노출되는 위상발생 마그네트와, 상기한 로터 케이스의 근접된 위치에서 마그네트와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며 원형 보빈의 내측에 삽입된 복수개의 L자형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삽입된 보빈의 외측에 권선된 구동코일로 구성된 위상 발생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모터의 토크 특성을 향상시켜서 고출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20)는 보빈의 내주면에 페라이트 코어를 L자형으로 형성하여 삽입하고 이 페라이트 코어가 로터 케이스의 외주면 상에 노출된 위상발생 마그네트에 의해 위상 발생용 신호의 크기를 크게하여 고출력을 얻음과 동시에 신호대 잡음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외주면에 위상 발생용 마그네트(22)를 가지는 로터 케이스(11)에 근접되도록 설치하되, 로터 케이스의 중심을 향하는 원형 보빈(23)과, 상기한 원형 보빈(23)의 외측에 권선된 구동 코일(25)과, 상기한 원형 보빈(23)의 중심에 일단이 삽입된 복수개의 L자형 페라이트 코어(26)(27)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KR1019940035531A 1994-12-21 1994-12-21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KR016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531A KR0167066B1 (ko) 1994-12-21 1994-12-21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531A KR0167066B1 (ko) 1994-12-21 1994-12-21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186A KR960027186A (ko) 1996-07-22
KR0167066B1 true KR0167066B1 (ko) 1999-04-15

Family

ID=1940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531A KR0167066B1 (ko) 1994-12-21 1994-12-21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0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186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0136A (en) Two-pulse permanent magnet brushless D-C motor
US4626727A (en) Flat, permanent magnet electric motor
US4547714A (en) Low magnetic leakage flux brushless pulse controlled d-c motor
EP0544310A2 (en) Permanent magnet type dynamoelectric machine rotor
GB2052883A (en) Two pulse permanent magnet brushless d-c motor
US4373148A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having a toroidal wound motor winding
US4412144A (en) Single-phase step motor
KR0167066B1 (ko) 모터용 위상 발생장치
US4472665A (en) Motor
JPS5928866A (ja) 着磁ヨ−ク
JPS5934061B2 (ja) 無刷子電動機の回転速度検出装置
JP3096463B2 (ja) パルス信号発生器付きモータ
JPS6260457A (ja) 偏平形電動機
SU1631671A1 (ru) Синхронна бесконтактна машина
SU1480047A1 (ru) Вентиль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KR940006442B1 (ko) 마그네트의 착자방법
KR200143097Y1 (ko) 공극형 모터의 영구자석 배치구조
JPH0428215Y2 (ko)
JPS63190544A (ja) アウタ−ロ−タ型dcブラシレスモ−タ
KR200143624Y1 (ko) 전동기의 회전자 위치 검출장치
JPS62262644A (ja) 偏平形電動機
JP2000023445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SU1601704A1 (ru) Магни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двигатель
JPS5928865A (ja) 着磁ヨ−ク
JPS61203854A (ja) 周波数発生器を備えたモ−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