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566B1 -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566B1
KR0166566B1 KR1019960003271A KR19960003271A KR0166566B1 KR 0166566 B1 KR0166566 B1 KR 0166566B1 KR 1019960003271 A KR1019960003271 A KR 1019960003271A KR 19960003271 A KR19960003271 A KR 19960003271A KR 0166566 B1 KR0166566 B1 KR 016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keyboard
telephon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128A (ko
Inventor
이의규
Original Assignee
이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규 filed Critical 이의규
Priority to KR101996000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566B1/ko
Publication of KR97006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유선 전화기와 음성응답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시스템과 그 방법은 음성응답 시스템장치(①)와, 전화 통신망(②)과, 전화기(③ 또는 ④)를 구비하여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사용해 한글 입력 초기화 작업단계(S100)와, 자판입력 대기 및 입력 단계(S200)와, 한글 자판 입력시 대응 한글 소리글자명 전달 단계(S300)와, 소리글자 선택시 해당 소리글자명 발음 및 보관 단계(S400)와, 입력 글자 확인시 해당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취소 처리시 최종 입력단위 한글 삭제 단계(S600)와, 전체글자 확인시 전체 입력 글자 발음전달 및 처리선택 입력 단계(S700)와, 전체글자 취소시 전체 입력 글자 취소처리 단계(S800)와, 최종적으로 전체 입력 글자 처리 단계(S9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해서 고도/고가의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비교적 접근/사용이 용이한 무선/유선 전화기로 입력 대상 한글 소리글자명과 완성된 글자내용을 들어가면서 자판을 선택하는 방식에 의해 필요로 하는 문자, 단어, 문장 등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전화기를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모든 처리가 음(소리)에 의한 확인/선택 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시력에 장애가 있거나, 안전유지 등의 이유로 시야를 돌릴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도 간단히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전화상에서의 음성응답 서비스 선택시 범위가 클 경우 다단계의 선택 방식으로 진행하거나, 복잡한 숫자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는 이를 항시 암기하거나 별도의 선택코드 책자 등을 휴대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했던 각종 코드들의 한글화가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원리로 쉽게 암기할 수 있는 자판상의 한글과 기능키를 배열하여 별도의 교육이나 연습이 없이 전화상의 간단한 안내 설명만으로도 쉽게 한글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도입, 교육·훈련 및 활용에 따르는 전체적인 비용측면이나 효율성면에서 기존의 어느 방식이나 시스템보다도 유리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Audio Response System)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용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 대응표.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성응답 시스템(ARS) 2 : 이동/전화 통신망
3 : 무선 전화기 4 : 유선 전화기
50 :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 60 : 음성처리 소프트웨어
70 : 자료관리 시스템 80 : 운영 시스템
본 발명은 음성응답 시스템(ARS)의 음성응답 기능과 유선/무선 전화기에 부착되어 있는 자판의 선택간의 상호 선택/응답 과정에 따라 원하는 한글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과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전화기의 자판만으로의 한글 입력방법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전화기의 자판 한 개에 한글의 소리글자를 몇 개씩 연관시켜 선택하므로서 원하는 한글의 입력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한 개의 숫자판에 할당된 글자가 복수개가 있으므로 입력하는 글자의 부류는 알아낼 수 있지만 정확히 원하는 한글을 입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음성만에 의한 문자의 입력방법이 있다. 이는 전화기의 고유기능인 음성전달 기능을 이용하여 송화자가 원하는 글자의 한음절 또는 연속된 음절을 발음하므로서 수신처의 음성 인식장치의 기능에 의해 해당음을 분석한 후 시스템내에 기 보관하고 있는 음절별 분석정보와 비교/선택함으로서 해당 입력문자를 추론/추출해내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글입력 시스템은 음성을 분석/추출하는 과정에서 일정 비율의 오류가 수반되어 원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소수의 특정인들의 음성만을 입력대상으로 하거나, 입력과정을 반복하여 확인하거나, 고도의 음성인식 처리장비를 도입하거나, 하여 어느정도 오류 발생율을 감소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성응답 시스템이 지원하는 소리글자의 이름을 음성으로 들어가며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이용하여 자판별로 배정한 대응 기본 한글 소리글자(한글의 기본 소리글자인 닿소리 글자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14자와 홀소리 글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10자등 24자를 의미)를 원격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글 입력시스템은 음성응답 시스템장치(①)와, 전화 통신망(②)과, 전화기(③ 또는 ④)를 구비하여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사용해 한글 입력 초기화 작업단계(S100)와, 자판입력 대기 및 입력 단계(S200)와, 한글 자판 입력시 대응 기본 한글 소리글자명 전달 단계(S300)와, 소리글자 선택시 해당 소리글자명 발음 및 보관 단계(S400)와, 입력 글자 확인시 해당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취소 처리시 최종 입력단위 한글 삭제 단계(S600)와, 전체글자 확인시 전체 입력 글자 발음전달 및 처리선택 입력 단계(S700)와, 전체글자 취소시 전체 입력 글자 취소처리 단계(S800)와, 최종적으로 전체 입력 글자 처리 단계(S9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은 음성응답 시스템장치(①)와, 전화 통신망(②)과, 전화기(③ 또는 ④)를 구비하여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사용해 한글 입력 초기화 작업단계(S100)와, 자판입력 대기 및 입력 단계(S200)와, 한글 자판 입력시 대응 한글 소리글자명 전달 단계(S300)와, 소리글자 선택시 해당 소리글자명 발음 및 보관 단계(S400)와, 입력글자 확인시 해당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취소 처리시 최종 입력단위 한글 삭제 단계(S600)와, 전체글자 확인시 전체 입력 글자 발음전달 및 처리선택 입력 단계(S700)와, 전체글자 취소시 전체 입력 글자 취소처리 단계(S800)와, 최종적으로 전체 입력 글자 처리 단계(S9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용 무선/유선 전화기의 한글 대응 자판을 나타내는 도표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제1도에 있어서, 부호 ①은 음성응답시스템(ARS:Audio Response System)으로서 한글의 선택시 입력을 원하는 한글 소리글자의 이름을 들려주거나, 이미 선택한 글자에 해당하는 음절이나 문장을 들려주는 작용을 하며, 전화 통신망과 연결하여 음성/음신호 정보를 주고받으며, 부호 ②는 전화통신망으로서 음성응답 방식에 의한 한글입력시 눌려진 자판의 음신호를 음성응답시스템에 송신하거나, 음성응답시스템 장비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쪽의 무선전화 또는 유선전화에 해당 음성을 보내주며, 부호 ③과 ④는 통상의 버튼식 유선/무선 전화기로서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한 숫자판을 이용해 한글대응 해당음을 듣고 한글을 선택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부호 50은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 부호 60은 음성처리 소프트웨어, 부호 70은 자료관리 시스템(Data Management System), 부호 80은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각각 나타낸다.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50)는 음성처리 소프트웨어(60)의 처리흐름을 제어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전화기측의 사용자에게 매 단계별로 처리되고 있는 내용에 대한 안내나 선택내용 확인 등을 지시하고 동 소프트웨어에서 선택된 대응자판의 정보를 넘겨받는다. 또한 입력된 한글 대응자판 정보를 목적하는 표준 한글코드로 변환하여 자료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관/관리한다. 음성처리 소프트웨어(60)는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50)의 지시에 따라 안내음성이나 선택하는 한글의 소리글자 또는 음절의 음성자료를 자료관리 시스템을 통해 넘겨받아서 음성으로 변환시켜서 전화망을 통해 전화기 사용자측에 음성으로 전송한다. 또한 입력되는 전화기 음신호를 한글 대응자판 정보로 변환하여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50)에 넘겨준다. 자료관리 시스템(Data Management System)(70)은 한글 입력처리 소프트웨어(50)의 지시에 따라 표준 한글코드를 시스템 자체내에 보관 및 검색을 대행하여 준다. 또한 한글 입력관련 안내 음성이나 선택하는 한글의 소리글자 또는 음절의 음성자료를 관리하면서 음성처리 소프트웨어(60)의 지시에 따라 해당 음성데이타를 동 소프트웨어로 제공해준다.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80)은 상기 각 소프트웨어의 시스템내 기본 처리 환경을 감시 및 관리하여 준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용 무선/유선 전화기의 대응 자판을 나타내는 도표들로서 그중 1번 도표는 한글 대응자판의 구성을 표시하였으며 전화 숫자판 1부터 9까지의 각각에 한글 기본 소리글자를 2개 또는 3개씩을 배정하여 자판을 누르면 해당자판에 배정된 첫번째 한글 소리글자명을 안내하여 주며 동일 자판을 반복하여 누르면 동 자판에 공히 배정된 다음 한글 소리글자명을 하나씩 순서대로 안내하도록 하였다. 하나의 자판에 여러개의 소리글자를 배정할 경우 선택과정이 번거로운 점을 고려하여 최대 3개가지만을 배정하였으며 이중에서 3번째의 소리글자 배정이 없는 자판의 경우 2가지 소리글자만이 반복하여 안내되도록 하였고 문장의 입력등 중간에 공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해서 공백이라고 음성 안내가 되는 공백 문자를 준비하였다. 다음의 2번 도표는 기능키 배정표로서 안내된 한글을 선택하거나, 입력된 한글 글자 내용을 확인 청취하거나, 삭제 등의 처리를 위하여 자판의 일부를 배정하였다. 기능키에서의 자판배정은 동일 자판내 최대 2개의 기능에 한정하였으며 입력한 전체 내용에 대한 삭제처리는 입력 종료후 확인 과정에서 별도의 선택에 따라 수행되도록 하여 키 배정은 생략하였다. 다음의 3번 내용은 실제 입력할 한글 문장을 예시하고 그 한글에 해당하는 한글 대응 자판의 입력상태를 표시하였다. 또한 이 한글 대응 자판의 문자열은 전화기를 통한 통상의 정보전달에도 독립적으로 원용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응답식 한글 입력시스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이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먼저, 본 한글 입력 시스템에 대한 처리 시작시 시스템 가동 환경에 대한 변수와 입력되는 한글의 임시저장을 위한 준비 및 전화기 사용자에 대한 시작안내등 초기화 작업단계(S100)가 선행된 후, 전화기상의 응답 자판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기를 기다리는 단계(S200)를 거쳐, 전화기로부터 응답이 오면 해당 자판의 의미를 확인하여, 한글 대응 자판이 입력된 경우 해당 자판에 대응되는 한글 소리글자명을 찾아서 확인을 위해 해당음을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들려준다. 이때 직전에 눌려 졌던 자판과 동일한 한글 대응 자판인 경우 해당 자판에 공히 대응되어 있는 한글 소리글자명을 순서대로 하나씩 들려준다(S300). 이때 입력을 원하는 한글 소리글자인 경우 소리글자입력 선택자판을 눌러 해당소리글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 선택된 자판을 다시 발음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계속해서 취소 기능자판이 눌려 지지 않는 한 해당 소리글자명을 보관하여 글자를 조립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S400)와, 입력글자 확인시 입력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대응 한글소리글자에 대한 선택이나 입력된 내용(한글 1자)의 확인에 연이어 취소 처리를 선택한 경우 해당 최종 입력 및 확인 단위의 한글을 삭제처리 한다(S600). 그리고 지금까지 입력한 전체글자에 대한 확인 기능 자판이 눌려 졌을 경우 해당 전체 입력된 글자에 해당하는 발음을 전달한 후 처리 선택을 입력받는다(S700). 그리고 나서 S700의 처리 선택이 전체글자 취소인 경우 지금까지 입력된 전체글자에 대한 취소 처리를 한다(S800). S700의 처리 선택이 취소 처리가 아닌 경우, 지금까지 입력된 전체 한글 내용이 최종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므로 해당 입력 글자를 주(본)처리로 넘겨 해당 한글을 이용한 각종 처리에 활용한다(S9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첫째 고도/고가의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교적 접근/사용이 용이한 일반적인 전화기를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든 처리가 음(소리)에 의한 확인/선택 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시력에 장애가 있거나, 안전유지 등의 이유로 시야를 돌릴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도 간단히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존에 복잡한 숫자들의 나열에 의해서 구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를 항시 암기하거나 별도의 책자 등을 휴대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했던 각종 코드의 한글화가 가능하다.
넷째, 간단한 원리로 쉽게 암기할 수 있는 자판상의 한글과 기능키를 배열하여 별도의 교육이나 연습이 없이 전화상의 간단한 안내 설명만으로도 쉽게 한글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도입, 교육·훈련 및 활용에 따르는 전반적인 과정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음성응답 시스템(ARS) 장치를 구비하여 유선/무선 전화기와 전화 통신망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응답 시스템장치(①)와, 전화 통신망(②)과, 전화기(③ 또는 ④)를 구비하여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사용해 한글 입력 초기화 작업단계(S100)와, 자판입력 대기 및 입력 단계(S200)와, 한글 자판 입력시 대응 한글 소리글자명 전달 단계(S300)와, 소리글자 선택시 해당 소리글자명 발음 및 보관 단계(S400)와, 입력글자 확인시 해당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취소 처리시 최종 입력단위 한글 삭제 단계(S600)와, 전체글자 확인시 전체 입력 글자 발음전달 및 처리선택 입력 단계(S700)와, 전체글자 취소시 전체 입력 글자 취소처리 단계(S800)와, 최종적으로 전체 입력 글자 처리 단계(S9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응답식 한글입력 시스템.
  2. 음성응답 시스템(ARS) 장치를 구비하여 유선/무선 전화기와 전화 통신망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응답 장치(①)와, 전화 통신망(②)과, 전화기(③ 또는 ④)를 구비하여 무선/유선 전화기의 자판을 사용해 한글 입력 초기화 작업단계(S100)와, 자판입력 대기 및 입력 단계(S200)와, 한글 자판 입력시 대응 한글 소리글자명 전달 단계(S300)와, 소리글자 선택시 해당 소리글자명 발음 및 보관 단계(S400)와, 입력글자 확인시 해당 글자 발음 및 보관 단계(S500)와, 취소 처리시 최종 입력단위 한글 삭제 단계(S600)와, 전체글자 확인시 전체 입력 글자 발음전달 및 처리선택 입력 단계(S700)와, 전체글자 취소시 전체 입력 글자 취소처리 단계(S800)와, 최종적으로 전체 입력 글자 처리 단계(S9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응답식 한글입력 방법.
KR1019960003271A 1996-02-12 1996-02-12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KR016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271A KR0166566B1 (ko) 1996-02-12 1996-02-12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271A KR0166566B1 (ko) 1996-02-12 1996-02-12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28A KR970064128A (ko) 1997-09-12
KR0166566B1 true KR0166566B1 (ko) 1999-02-01

Family

ID=1945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271A KR0166566B1 (ko) 1996-02-12 1996-02-12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913B2 (ja) 2000-07-24 2005-09-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陰極線管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28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425A (en) Automated directory assistance system using word recognition and phoneme processing method
US4754474A (en) Interpretive tone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400712B2 (en) Network provided information using text-to-speech and speech recognition and text or speech activated network control sequences for complimentary feature access
US4866759A (en) Packet network telecommunication system having access nodes with word guessing capability
JP2001166868A (ja) 数字キーパッドによる中国語ピンイン入力方法及び装置
US6674372B1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s and apparatus thereof
WO20000591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digit string for use by a portable phone
US20030048897A1 (en) Alphabetic telephone
US7907702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2008014740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lobal communications
KR0166566B1 (ko) 유선/무선 전화기의 자판과 음성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67593B1 (ko) 음성인식 키 입력 무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에서키입력 대신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EP139203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1015140A1 (en)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data entry
KR970055729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JP3221477B2 (ja) データベース照合型入力方法及び装置、データベース照合型日本語入力装置、並びに、電話番号案内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265582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JPH09266510A (ja) ページャへのメッセージ作成方式
JP3018759B2 (ja) 特定話者方式音声認識装置
Miyasato VOICE-AID: pushbutton-to-speech system for vocally handicapped people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2027125A (ja) 交換機における自動通話翻訳システム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KR20000021314A (ko) 전화기에서 문자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장치
KR2003003915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