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053B1 -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053B1
KR0165053B1 KR1019940019504A KR19940019504A KR0165053B1 KR 0165053 B1 KR0165053 B1 KR 0165053B1 KR 1019940019504 A KR1019940019504 A KR 1019940019504A KR 19940019504 A KR19940019504 A KR 19940019504A KR 0165053 B1 KR0165053 B1 KR 0165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microprocessor
s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586A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4001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053B1/ko
Publication of KR96000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채널의 송, 수신이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레벨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전송되는 신호의 포화로 인해 발생되는 통신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성채널부내의 코덱에서 출력되는 직렬 PCM 데이터를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3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PCM 포화 코드값을 래치하는 래치부(40)와, 상기 래치부(40) 및 직렬-병렬 변환부(30)에서 각각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50)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70)를 구동시켜 전송신호의 포화레벨을 표시토록 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60)와, 상기 비교부(50)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분주하는 분주부(80)와, 상기 분주부(8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버퍼부(9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송출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분주부(80) 및 래치부(4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음성 송, 수신 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직렬-병렬 변환부 40 : 래치부
50 : 비교부 60 : 멀티바이브레이터
80 : 분주부 100 : 디코더
본 발명은 펄스 부호 변조(PCM)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채널의 송, 수신이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레벨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전송되는 신호의 포화로 인해 발생되는 통신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펄스부호 변조(PCM)장치에서 음성 송, 수신 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Tip), 링(Ring)라인에 연결되어 가입자와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와 음성레벨 조정부(12) 및 코덱(13)을 포함하는 음성채널부(10)와, 상기 음성채널부(10)로 음성신호를 시분할 다중방식(TDM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라인인터페이스부(20)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음성 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음성채널부(10)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인터페이스한 후 음성레벨 조정부(12)로 레벨을 조정하여 코델(13)에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코덱(13)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8KHz로 샘플링하여 8bit PCM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라인 인터페이스부(20)에 입력시킨다.
상기한 라인 인터페이스부(20)는 T1 프레임의 할당받은 타임-슬롯(Time-slot)으로 입력되는 8biT PCM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64Kbps 속도로 전송을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한 라인 인터페이스부(20)로 부터 얻어진 8bit PCM데이터는 상기한 코덱(13)에서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이후 레벨조정부(12)를 통해 레벨이 조정된다.
그 레벨 조정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상기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이때 상기한 레벨 조정부(12)는 음성채널에 연결된 가입자의 모뎀이나 전화기의 송, 수신 레벨에 맞게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성 송, 수신 장치는 레벨 조정부에서 초기에 레벨을 결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운용 중에 가입자 단말기의 레벨이 변화되거나 초기 레벨조정이 잘못되어 입력되는 신호가 과 증폭되어 포화가 될 경우에는 가입자 전화기에 음성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며, 모뎀일 경우에는 데이터가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채널의 수신 레벨을 너무 높게 설정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포화되어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운용 중에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포화신호가 검출되면 가시적인 경보를 표시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해당 음성채널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코덱에서 출력되는 직렬 PCM데이터를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수단과, 장치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PCM포화코드값을 래치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래치수단 및 직렬/병렬 변환수단에서 각각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켜 포화레벨을 표시토록 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분주하는 분주수단과, 상기 분주수단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버퍼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송출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디코더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블럭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팁(Tip), 링(Ring)라인에 연결되어 가입자와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와 음성레벨조정부(12) 및 코덱(13)을 포함하는 음성채널부(10)와, 상기 음성채널(10)로 음성신호를 시분할 다중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20)와, 상기 코덱(13)에서 출력되는 직렬 PCM 데이터를 병렬 PCM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30)와, 장치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에는 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PCM포화 코드값을 래치하는 래치부(40)와, 상기 래치부(40) 및 직렬/병렬 변화부(30)에서 각각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60)의 출력 신호에 다라 발광다이오드(70)를 구동시켜 포화레벨을 표시토록 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60)와 상기 비교부(50)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분주하는 분주부(80)와, 상기 분주부(8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버퍼부(9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송출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해당장치에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디코더(100)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음성채널부(10)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인터페이스한 후 레벨 조정부(12)로 레벨을 조정하여 코덱(13)에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코덱(13)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8KHz로 샘플링하여 8bit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상기한 코덱(13)으로부터 출력되는 8bit PCM 데이터를 라인 인터페이스부(20)는 T1 프레임의 할당받은 타임-슬롯(Time-slot)으로 그 입력되는 8bit PCM데이터를 다중화하여 64Kbps속도로 전송을 한다.
한편, 직렬/병렬 변환부(30)는 상기한 코덱(13)으로부터 출력되는 8bit 직렬 PCM데이터를 그에 상응하는 8bit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비교부(50)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한 비교부(50)의 타입력단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얻어진 PCM 포화코드값이 래치부(40)를 통해 입력되어지며, 이에 따라 비교부(50)는 상기한 8bit 병렬 PCM데이터와 PCM 포화코드값을 8KHz를 주기로 비교를 하게 된다.
이 비교결과 상기산 8bit 병렬 PCM데이터와 PCM 포화코드값이 다를 경우 비교부(50)는 로우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멀티바이브레이터(60)의 구동이 오프되어 경보를 알리는 발광다이오드(70)는 오프된다.
아울러 분주부(80)도 상기한 로우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오프된다.
한편, 상기한 8bit 병렬 PCM데이터와 PCM 포화코드값이 동일할 경우 비교부(50)는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비교부(50)로부터 발생한 펄스신호에 의해 멀티바이브레이터(60)는 구동하여 일정시간동안 발광다이오드(70)를 발광시킴으로써 음성신호레벨이 포화되었음을 외부에 경보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비교부(50)로부터 발생한 펄스 신호에 의해 분주부(80)는 구동하여 카운트를 하나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분주부(80)의 탭(Tap)수를 16개 두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주기적으로 상기한 분주부(80)의 카운트수를 읽어서 현 음성채널의 포화 유무를 감시하게 된다.
한편, 디코더(100)는 전술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얻어진 어드레스(Address), 판독신호(RD), 기록신호(WR)를 디코딩하여 상기한 분주부(80)및 래치부(40)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채널의 송, 수신이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의 신호레벨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전송신호가 포화로 인해 발생되는 통신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성채널부내의 코덱에서 출력되는 직렬 PCM데이터를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3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PCM 포화코드값을 래치하는 래치부(40)와, 상기 래치부(40) 및 직렬-병렬 변환부(30)에서 각각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50)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70)를 구동시켜 전송신호의 포화레벨을 표시토록 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60)와, 상기 비교부(50)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분주하는 분주부(80)와, 상기 분주부(8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버퍼부(9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송출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분주부(80) 및 래치부(4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KR1019940019504A 1994-08-08 1994-08-08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KR0165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504A KR0165053B1 (ko) 1994-08-08 1994-08-08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504A KR0165053B1 (ko) 1994-08-08 1994-08-08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86A KR960008586A (ko) 1996-03-22
KR0165053B1 true KR0165053B1 (ko) 1999-01-15

Family

ID=1938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504A KR0165053B1 (ko) 1994-08-08 1994-08-08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0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86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479A (en) Telecommunication device for the deaf with interrupt and pseudo-duplex capability
US5930300A (en) Cooperative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a compensation system associated with a transmitter or codec
EP0082333B1 (en) Interleaved digital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5784405A (en) Noncooperative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a compensation system associated with a transmitter or CODEC
US5907296A (en) Rob bit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a transmitter or codec
AU711007B2 (en) Transmission of voice-frequency signals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20040220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over a voice channel
KR910003961A (ko) 허위 프레임 싱크에 둔감한 이동 통신 시스템
US4953195A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specific information transmitting function
KR100421152B1 (ko) 문자 입출력 서비스를 위한 통신시스템의 음향 반향 제거방법 및 장치
KR0165053B1 (ko) 음성 채널 포화레벨 검출장치
KR20020032894A (ko) 브이오아이피에서의 데이터 손실 방지 장치 및 방법
US4553250A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RU75119U1 (ru) Свет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внутрикорабельной связи
KR0141260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외부 음원 청취 방법
JP2002335196A (ja) 干渉検出システム
RU2361362C2 (ru) Свет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внутриобъектовой связи
KR0147325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시그날링 데이타 전송을 위한 다중화 장치
KR970006951B1 (ko) 에이디피씨엠 음성신호 압축전송장치
JPH0783344B2 (ja) ダイヤル信号伝送方式
KR910002619B1 (ko) 비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비상전화기 상태 표시회로
KR940005333B1 (ko) Pcm용 가청신호 유무 판정장치
JP2710495B2 (ja) Ais信号出力方式
JPH05145626A (ja) 光加入者信号伝送システム
KR940013042A (ko) 교환기의 아나로그 및 디지탈 가입자의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