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985B1 -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985B1
KR0164985B1 KR1019950047204A KR19950047204A KR0164985B1 KR 0164985 B1 KR0164985 B1 KR 0164985B1 KR 1019950047204 A KR1019950047204 A KR 1019950047204A KR 19950047204 A KR19950047204 A KR 19950047204A KR 0164985 B1 KR0164985 B1 KR 016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trunk lid
spring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575A (ko
Inventor
유창국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4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985B1/ko
Publication of KR97004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torsion bar
    • E05F1/1238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torsion bar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 개폐에 이용되는 한쌍의 힌지 어셈블리에 연결된 복수개의 밸런스-스프링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자체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에, 그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는 힌지암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과 너트가 형성된 수직판, 그 상단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힌지부에 작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스프링삽지홀이 형성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작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수평판 상부면에서 슬라이딩되는 밀착판, 그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판, 다시 경사판 상단에서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밀착판의 타단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직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판과 수직연결판 중심부에 동일축선상으로 대응되게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된 조절이동체와, 상기 일단부에 이송나선부가 구비되어 조절이동체의 경사판과 수직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을 통하여 지지체의 수직판에 구비된 너트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밸런스-스프링의 자체 소성변형으로 비틀림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떨어졌을 경우에 조절보울트의 간단한 조작으로 비틀림량을 증가시켜 탄성력을 복원할 수 있고, 트렁크 리드의 자중에 의한 처짐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사용상의 불편성을 제거하며, 밸런스-스프링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차량의 후부 트렁크 룸 상부 차체와 트렁크 리드 선단 하부사시에 밸런스-스프링이 연결된 힌지 어셈블리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밸런스-스프링과 힌지암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와 밸런스-스프링 및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힌지암에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가 취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제5도는 힌지암에 취부된 조절장치가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절장치 110 : 지지체
111 : 수평판 112 : 관통구멍
113 : 너트 114 : 수직판
115 : 힌지부 116 : 힌지축
120 : 작동체 121 : 스프링삽지홀
130 : 조절이동체 131 : 밀착판
132 : 경사판 133 : 수직연결판
134 : 삽입구멍 140 : 조절보울트
141 : 이송나선부 A : 힌지 어셈블리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 개폐에 이용되는 한쌍의 힌지 어셈블리에 연결된 복수개의 밸런스-스프링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자체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에, 그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 리드에 설치고정된 힌지암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밸런스-스프링(또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은 스프링 강으로 길고 곧은 금속봉으로 만들어져 한쪽은 차체에 고정하고, 반대쪽은 일정각도 비틀어서 힌지암에 각각 연결한 것으로, 봉(棒)을 비틀어 스프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원리적으로는 말려있지 않은 코링 스프링이다.
또한, 금속봉을 비틀었을 때 얻어지는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강한 탄성력이 요구되지 않는 곳에 사용되므로 큰 진동은 흡수하지 못하지만, 가볍고 간단한 구조이므로 효율좋은 스프링으로 소형차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많은 장소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 또는 공간활용 장소 등에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를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밸런스-스프링이 구비된 종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취부구조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의 선단과 차체사이에는 상부차체(10)의 양측내면에 한쌍의 힌지 어셈블리(A)가 각각 취부되어 있고, 제1, 제2힌지암(30)의 일단이 힌지 어셈블리(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트렁크 리드(20)의 선단 양측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트렁크의 상부 차체(10)의 고정부(11)와 트렁크 리드(20)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힌지암(30)은 대략 후크형상으로 반원부(31) 일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힌지 연결구멍(32)과 스프링 삽입구멍(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반원부(31)의 타단에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리드연결부(34)에 다수개의 체결구멍(35)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밸런스-스프링(40)은 일정길이 연장된 봉형상의 막대로 양측단이 마주보도록 직각으로 이단 절곡되어 각각의 일측단이 상기 제1, 제2힌지암(30)의 스프링 삽입구멍(33)에 삽지되고, 타측단을 비틀어서 트렁크 상부차체(10) 양측내면에 구비된 고정부(1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 취부구조는 트렁크 리드(20) 개폐시 승차실에 구비된 트렁크 오프너 레버(미도시)를 누르거나 또는 자동차 열쇠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20)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해제시키면 비틀려져 있던 복수개의 밸런스-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20)가 일정높이로 개방되고, 개방된 트렁크 리드(20)의 일면을 적은 힘으로 울리면 밸런스-스프링(40)에 잔존하던 탄성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20)가 부드럽게 상부로 이동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 취부구조는 오랜(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밸런스-스프링 자체에 소성변형이 발생하므로 비틀려져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트렁크 개방시 트렁크 리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개방되어 상부에 위치된 트렁크 리드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오는 결점이 있으므로 밸런스-스프링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트렁크 룸 내에 화물 적재시 또는 하역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3-8716호에서는 나사봉으로 토션바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토션바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힌지아암과 이 토션바의 비틀림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봉의 위치가 크게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조절되므로 전체적으로 토션바가 불안정한 상태로 비틀림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기구 전체가 불안정해지고 토션바가 힌지아암으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되어 쉽게 자주 이탈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조절장치를 힌지암에 구비하여 슬라이딩 작동으로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 각도를 변화시켜 비틀림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는 힌지암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과 너트가 형성된 수직판, 그 상단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작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수평판 상부면에서 슬라이딩되는 밀착판, 그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판, 다시 경사판 상단에서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밀착판의 타단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직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판과 수직연결판 중심부에 동일축선상으로 대응되게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된 조절이동체와; 상기 일단부가 이송나선부가 구비되어 조절이동체의 경사판과 수직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을 통하여 지지체의 수직판에 구비된 너트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일단은 지지체의 수직판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밸런스-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삽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에서는 조절보울트를 돌리면 조절이동체가 슬라이딩되고, 조절이동체의 경사판과 밀착된 작동체가 미세하게 회동되어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 각도를 변형시켜 비틀림각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사용자가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 되어 탄성력이 조절된 상태에서도 항상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체 기구가 안정적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와 밸런스-스프링 및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 힌지암에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가 취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제5도는 힌지암에 취부된 조절장치가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의 선단 상부 차체(10) 양측내면에 한쌍의 힌지 어셈블리(A)가 각각 취부되고, 힌지 어셈블리(A)에 제1, 제2힌지암(30)의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트렁크 리드(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밸런스-스프링(40)의 일측단을 각각 제1, 제2힌지암(30)에 연결하고, 타측단을 비틀어서 트렁크 상부 차체 양측내면에 각각 고정시킴에 의해 트렁크의상부 차체와 트렁크 리드(20)가 상호 연결된다.
한편 비틀림 조절장치(100)에서 상기 힌지암(30) 선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체(110)는 직각으로 절곡되고, 작동체(120)는 상기 지지체(110)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에 스프링삽지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이동체(130)는 상기 지지체(110)의 수평판(111) 상부에서 전, 후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조절보울트(140)는 상기 조절이동체(130)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134)들을 통하여 지지체(110)에 구비된 너트(113)에 연결되어 회전작동에 의해 조절이 동체(130)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지지체(110)와 작동체(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체(110)는 힌지암(3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111)과, 상기 수평판(111)의 일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112)과 체결용 너트(113)가 형성된 수직판(114)과, 상기 수직판(114)의 상단에 힌지축(116)을 구비한 힌지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120)는 상기 지지체(110) 힌지부(115)의 힌지축(116)에 일단 중심부가 연결되고, 타단에 반원형상의 스프링삽지홀(121)이 형성되어 힌지축(11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형성하며, 밸런스-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삽지홀(121) 하단부 일면이 상기 조절이동체(130)의 경사판(132)에 밀착되어 있다.
조절이동체(130)는 상기 지지체(110)의 수평판(111) 상부면에서 위치되어 전, 후 슬라이딩되는 밀착판(131)과, 상기 밀착판(131)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경사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판(132)과, 상기 경사판(132) 상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경사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판(132)과, 상기 경사판(132) 상단에서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밀착판(131) 타단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직연결판(133)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132)과 수직연결판(133) 중심부에 동일축선상으로 대응되게 삽입구멍(1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보울트(140)는 상기 조절이동체(130)의 경사판(132)과 수직연결판(133)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삽입구멍(134)들을 통하여 상기 지지체(110)의수직판(114)에 구비된 너트(113)에 체결되는 이송나선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체(110)의 수평판(111) 상부면에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지지체(110)와 작동체(120)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조절보울트(140)의 각진 머리 형상을 대략 나비너트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구없이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켜 작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절장치(100)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힌지암(30)에 설치 고정할 수도 있고, 제1, 제2힌지암(30)에 한쌍의 조절장치(100)를 각각 고정 설치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동작된다.
먼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제2힌지암(30)의 선단 상부면에 한쌍의 조절장치(100)을 설치 고정하고, 제1, 제2힌지암(30)의 선단을 트렁크 상부의 양측내면 차체(10)에 취부된 힌지 어셈블리(A)에 각각 연결하며, 제1, 제2힌지암(30)의 후단을 트렁크 리드(20)에 각각 고정 설치한다.
따라서 밸런스-스프링(40)이 삽입되어 탄성력을 보유한 작동체(120)는 조절이동체(130)의 경사판(132) 일면에 밀착되고, 조절보울트(140)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송나선부(141)가 작동하여 조절이동체(130)를 지지체(110)의 수평판(111) 상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경사판(132)에 밀착된 작동체(120)가 경사판(132)의 경사곡면을 따라 작동되므로 밸런스-스프링(40)의 비틀림 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오랜 사용으로 밸런스-스프링(4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도 조절보울트(140)의 작동으로 탄성력이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밸런스-스프링의 자체 소성변형으로 비틀림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떨어졌을 경우에 조절보울트의 간단한 조작으로 비틀림량을 증가시켜 탄성력을 복원할 수 있고, 트렁크 리드의 자중에 의한 처짐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사용상의 불편성을 제거하며, 밸런스-스프링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되어 탄성력이 조절된 상태에서도 항상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체 기구가 안정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힌지암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과 너트가 형성된 수직판, 그 상단에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작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수평판 상부면에서 슬라이딩되는 밀착판, 그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판, 다시 경사판 상단에서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밀착판의 타단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직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판과 수직연결판 중심부에 동일축선상으로 대응되게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된 조절이동체와; 상기 일단부가 이송나선부가 구비되어 조절이동체의 경사판과 수직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을 통하여 지지체의 수직판에 구비된 너트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작동체의 일단은 지지체의 수직판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밸런스-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삽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KR1019950047204A 1995-12-06 1995-12-06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KR016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204A KR0164985B1 (ko) 1995-12-06 1995-12-06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204A KR0164985B1 (ko) 1995-12-06 1995-12-06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75A KR970041575A (ko) 1997-07-24
KR0164985B1 true KR0164985B1 (ko) 1999-01-15

Family

ID=1943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204A KR0164985B1 (ko) 1995-12-06 1995-12-06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4B1 (ko) * 2008-10-06 2010-05-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개폐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4B1 (ko) * 2008-10-06 2010-05-1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개폐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75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975A (en) Articulated arm with spring for counterbalancing
US5732996A (en) Tailgate step
JP2505458B2 (ja) ガス圧ばねを備えた高さ調節可能な回転椅子
US4266747A (en) Equipoised articulated support arm
US4101107A (en) Folding wall bracket
US2984517A (en) Torsion bar tailgate support
KR970065949A (ko) 컵보드의 상부패널에 수평선회축 주위에서 힌지연결된 플랩용 유지고정장치
JPH0577837B2 (ko)
GB2121101A (en) Combined adjustable door hinge pin socket and adjustable torque rod anchor device
US4013257A (en) Chair control
FI952441A (fi) Säätölaite ajoneuvon istuimen yhteydessä olevaa pystytasossa käännettävää tukielintä varten
KR0164985B1 (ko)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US2916763A (en) Torsion bar hinge assembly
US4067610A (en) Chair control mechanism
US3621509A (en) Vehicle body closure counterbalance
KR200190952Y1 (ko) 도어 클로우저용 자동 스토퍼
US3958301A (en) Gravity-actuator closure hardware
KR200150549Y1 (ko) 조작력이 향상된 힌지브라켓트를 구비한 아암레스트
CN219344409U (zh) 一种上翻门铰链装置
CN213015867U (zh) 一种对开式扶手箱锁紧装置
JP3354495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テンション付与方法とその機構
JPS60109478A (ja) ト−ションバ−の捩じれ調整装置
KR960008233Y1 (ko) 운전석 상부용 에어 가이드(air guide)
JPH09271112A (ja) 分電盤扉の蝶番装置
JP2002298640A (ja) 机及びこれに使用する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