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882B1 -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882B1
KR0164882B1 KR1019940022692A KR19940022692A KR0164882B1 KR 0164882 B1 KR0164882 B1 KR 0164882B1 KR 1019940022692 A KR1019940022692 A KR 1019940022692A KR 19940022692 A KR19940022692 A KR 19940022692A KR 0164882 B1 KR0164882 B1 KR 016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fuel ratio
diagnostic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086A (ko
Inventor
요우이찌 기시모또
Original Assignee
쯔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요시후미
Priority to KR101994002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882B1/ko
Publication of KR9600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93Details
    • F02D41/1495Detection of abnormalities in the air/fuel ratio feedback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1Plura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50/00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5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O2, e.g. lambda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촉매의 열화 진단을 외부 기온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도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촉매의 상류, 하류에, 상류측 O2센서와 하류측 O2센서를 구비하여, 주로 상류측 O2센서의 출력에 따라 공연비가 피드백 제어 되도록 한 것이다. 소정의 진단 조건(S1∼S7)이 성립하면, 열화 진단(S8)이 개시되어, 상류측 O2센서의 출력의 반전 주기와 하류측 O2센서의 출력의 반전 주기의 비교에 의해 촉매 열화가 진단된다. O2저장 능력이 낮은 경우에는,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켜(S15), 배기 온도를 높여 촉매를 가열한 후에 다시 열화 진단을 행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 열화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대용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
제3도는 촉매 열화 진단의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메인 플로우챠트.
제4도는 촉매 온도 포인트 P의 카운트용 서브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점화 시기의 보정 서브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6도는 촉매 온도 포인트 P의 가산 영역 및 감산 영역을 나타내는 특성도.
제7도는 상류측 O2센서 및 하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류측 공연비 센서 2 : 하류측 공연비 센서
3 : 진단 조건 판별 수단 4 : 진단 수단
5 : 점화 시기 제어 수단 6 : 지각(遲角)보정 수단
본 발명은 촉매 변환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 설치된 공연비 센서를 이용하여, 촉매의 열화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의 촉매 변환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공연비 센서 예를 들면 O2센서를 배치 설치하여, 상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를 주로 하여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양 센서의 출력 신호의 비교로부터 촉매의 열화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소) 63-97852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 공개(소) 63-20544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즉,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실행 중에는 주로 상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의사적인 비례 적분 제어에 의해 연료 공급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상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는 제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리치(rich), 린(lean)의 반전을 반복한다. 이것에 대하여, 촉매 변환기의 하류측에서, 촉매의 O2저장 능력에 의해 잔존 산소 농도의 변동이 대단히 완만하게 되므로, 하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는,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측 O2센서와 비교해 변동폭이 작고, 또한 주기가 길게 된다.
그러나, 촉매 변환기에서 촉매가 열화해버리면, O2저장 능력이 저하함으로써 촉매 변환기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산소 농도가 그다지 변하지 않게 되어, 그 결과, 하류측 O2센서의 출력신호는, 제7(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측 O2센서의 출력에 근사한 주기로 반전을 반복하게 되고, 또한 그 변동 폭도 커진다.
따라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상류측 O2센서의 리치, 린의 반전주기 TI 과 하류측 O2센서의 리치, 린의 반전 주기 T2와의 비(T1/T2)를 구해서, 이 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촉매가 열화된 것으로 판정하고 있다.
이러한 촉매의 열화 진단은 일반적으로 기관 회전수나 부하 등의 운전 조건이나 냉각 수온 등이 소정의 진단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한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O2 센서의 출력 신호는 상술한 촉매 열화 진단 외에, 상류측 O2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른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전체적인 공연비의 편차의 학습 보정 등에도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촉매의 O2저장 능력은, 촉매의 온도에 크게 좌우되는데, 특히 촉매 활성화 온도 이하의 저온 상태에서는, O2저장 능력이 대단히 낮다. 결국, 촉매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상술한 촉매 열화 진단이 실행되면, 촉매의 전화 성능이 잔존해도 열화 및 오판정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온 상태에서의 오판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속 고부하 운전이 어느 정도 기간 계속된다는 것 등을 조건으로 하여, 진단시에 촉매가 확실히 고온 상태로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촉매 열화 진단을 행하는 진단 조건을 엄격하게 설정하면, 실제로 진단 조건이 성립하는 빈도가 대단히 적어져, 예를 들면 일회의 주행간에 촉매 열화 진단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저하한다.
이와 반대로, 촉매 열화 진단이 비교적 빈번히 실행되도록 진단 조건을 완만하게 설정하면, 외부 기온 등의 조건에 의해 촉매 온도가 충분한 온도로 되지 않아서 오판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즉, 단시간의 주행간에 촉매 열화 진단을 확실히 실행하는 것과 오판정을 방지하는 것의 양립을 도모하기가 곤란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촉매 열화 진단시에 내연 기관의 점화 시기를 지각시켜 배기 온도를 높여 촉매 온도를 확실히 활성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통로에 끼워 장치된 촉매 변환기의 상류측에 배치 설치된 상류측 공연비 센서(1)과, 촉매 변환기의 하류측에 배치 설치된 하류측 공연비 센서(2)와, 내연 기관의 여러 조건이 소정의 진단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단 조건 판별 수단(3)과, 이 진단 조건 성립시에, 상기 상류측 공연비 센서(1)의 출력 신호와 하류측 공연비 센서(2)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촉매의 열화를 진단하는 진단 수단(4)와, 내연 기관의 점화 시기를 기관 운전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점화 시기 제어 수단(5)와, 상기의 촉매 열화 진단시에 상기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키는 지각 보정 수단(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촉매 열화 진단을 행하지 않는 통상의 운전시에는, 내연 기관의 점화 시기는 점화 시기 제어 수단(5)에 의해 기관 운전 조건에 따른 최적정 값으로 제어된다.
기관 운전중에, 기관의 운전 영역이나 냉각 수온 등의 각종 조건이 소정의 진단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고 진단 조건 판별 수단(3)에 의해 판별되면, 진단 수단(4)에 의한 촉매 열화 진단이 실행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따르는 상류측 공연비 센서(1)의 출력 신호의 반전 주기와 하류측 공연비 센서(2)의 출력 신호의 반전 주기와의 비교 등에 의해 진단된다. 그리고, 이 촉매 열화 진단시에는 지각 보정 수단(6)에 의해 점화 시기가 최적 점화 시기보다도 강제적으로 지각 보정된다. 이 점화 시기의 지각에 따라 배기 온도가 상승하고, 촉매 변환기의 온도가 높게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인데, 도면 참조 번호(11)은 내연 기관, 도면 참조 번호(12)는 그 흡기 통로, 도면 참조 번호(13)은 배기 통로이다. 상기 흡기 통로(12)에는, 각 흡기 포트를 향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분사판(14)가 기통마다 배치 설치됨과 동시에, 상류측의 집합부에 트로틀판(throttle plate ; 15)가 끼워 장치되어 있고, 또한 그 상류측에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예를 들면 열선식의 에어플로우미터(airflowmeter, 16)의 배치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 통로(13)에는, 예를 들면 3원 촉매를 이용한 촉매 변환기(17)이 끼워 장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촉매 변환기(17)보다도 상류 위치의 상류측 O2센서(18)가, 하류 위치에 하류측 O2센서(19)가 각각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공연비 센서로서의 O2센서(18, 19)는 배기 중의 잔존 산소 농도에 따른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특히 이론 공연비를 경계로 하여 기전력이 스텝 형상으로 급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 도면 참조 번호(20)은 내연 기관(11)의 냉각 수온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 도면 참조 번호(21)은 기관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된 소정 크랭크(crank) 각 마다 펄스 신호를 내는 크랭크 각 센서, 도면 참조 번호(22)는 차속 센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각종 센서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 유니트(23)은, 이른바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것인데, O2센서(18, 19)에 따른 연료 분사판(14)의 분사량 제어 즉 피드백 제어 방식에 의한 공연비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도시 생략한 점화 플러그의 점화 시기를 기관 운전 조건에 따라 제어하고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촉매의 열화 진단을 행하여, 소정 레벨 이상의 열화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경고등(24)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연비 제어의 개략을 설명한다. 이 공연비 제어는, 에어플로우미터(16)이 검출한 흡인 공기량 Q와 크링크 각 센서(21)이 검출한 기관 회전수 N으로부터 기본 펄스폭 Tp(기본 분사량)을
(단 k는 정수)
로 연산하고, 또한 이것에 각종 증량 보정이나 피드백 보정을 가해 연료 분사판(14)의 구동 펄스폭 Ti(분사량)을 결정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식에 의해 펄스폭 Ti가 구해진다.
여기서 COEF는 각종 증량 보정 계수이며, 예를 들면 수온에 따른 수온 증량 보정, 고속 고부하시의 공연비 보정 등으로 구성된다. Ts는 연료 분사판(14)의 무효 시간을 보상하도록 배터리 전압에 따라 부가되는 전압 보정 계수이다.
또, α는 주로 상류측 O2센서(18)의 검출 신호에 따라 연산되는 피드백 보정 계수이다. 즉, 상류측 O2센서(18)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이론 공연비에 대응한다)과 비교하고, 또한 그 린측 및 리치측으로의 반전에 따른 의사적인 비례 적분 제어에 의해 구해지는 값으로, 1 이상이면 리치측으로, 1 이하이면 린측으로 공연비가 제어된다. 따라서, 이 비례 적분 제어의 결과, 상류측 O2센서(18)의 출력 신호는 제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내지 2 Hz 정도의 주기에서 변화하게 된다.
한편, 하류측 O2센서(19)의 출력 신호는 후술하는 촉매의 열화 진단외에, 상류측 O2센서(18)에 의한 피드백 제어의 전체적인 편향의 보정을 위해 사용된다. 즉, 하류측 O2센서(19)의 출력 신호에 대해서도, 그 리치, 린의 반전에 따라 동일하게 의사적인 비례 적분 제어가 행해지고, 제2 보정 계수 αi가 구해진다. 그리고 이 제2 보정계수 αi를 이용하여, 전술한 피드백 보정 계수 α의 비례 적분 제어에 있어서의 비례분을 학습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결과, 하류측 O2센서(19)의 출력 신호는 촉매가 열화하지 않는 한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 주기에서 리치, 린의 반전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내연 기관(11)의 점화 시기는 기관 회전수 N과 기본 분사량 Tp를 파라미터로 하는 점화 진각값 맵에 따라 차례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3도∼제5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촉매의 열화 진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루틴은, 각각 소정 기간마다 반복 실행된다.
제3도는 촉매 열화 진단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메인 플로우차트로서, 먼저, 스탭1(도면에서 S1으로 약식 기입했다)에서는, 촉매 열화 진단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진단 종료 플래그에 따라 판정한다. 또한, 이 진단 종료 플래그는 내연 기관(11)의 운전 종료시, 즉 키 오프시에 리세트된다. 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진단 종료 플래그가 0이면, 스텝2 이하로 진행하여, 내연 기관(11)의 각종 조건이 소정의 진단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순차 판별한다. 진단 조건은 진단의 전제가 되는 조건을 규정한 진단 허가 조건과, 진단을 실행하는 운전 영역을 규정한 진단 영역 조건으로 크게 구별되는데, 스텝2∼스텝4가 진단 허가 조건에 해당하고, 스텝5∼스텝7이 진단 영역 조건에 각각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2)에서 각 센서, 즉 상류측 O2센서(18), 하류측 O2센서(19), 수온 센서(20), 크랭크 각 센서(21) 및 차속 센서(22) 모두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어서, 스텝3에서는 수온 센서(22)에서 검출된 수온 TW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4에서는 후출하는 촉매 온도 포인트 P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더욱이, 스텝5에서는 그때의 기관 회전수 N이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 스텝6에서는 부하(예를 들면 기본 분사량 Tp)가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 스텝7에서는 차속이 소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각각 판별한다. 이들의 각 조건이 어느 하나라도 아니오인 경우, 촉매 열화 진단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체의 조건이 만족한 경우에만 스텝8로 진행하여, 촉매 열화 진단을 실행한다.
상기 스텝4에서 촉매 온도 포인트 P는, 촉매 온도를 추정하기 위한 지표가 되는 것으로, 제4도에 도시하는 서브 루틴에 의해 차례로 구해진다.
즉, 기관 회전수 N이 소정값 N1 이상(스텝 21)이고, 또한 부하에 상당하는 기본 분사량 Tp가 소정값 Tp1 이상(스텝22)인 경우에는, 스텝 23으로 진행하여, 촉매 온도 포인트 P를 증가시킨다. 또 이외의 영역이면, 스텝24로 진행하여, 촉매 온도 포인트 P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배기의 유통에 의해 촉매 변환기(17)이 가열되는지 냉각되는지를 고려한 것으로,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에 의한 가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속 고부하 측의 영역을 촉매 온도 포인트 P의 가산 영역으로 하고, 반대로 배기의 유통에 의해 촉매 변환기(17)이 냉각될 가능성이 있는 저속측 영역 및 저부하측 영역을 촉매 온도 포인트 P의 감산 영역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촉매 온도 포인트 P의 가감산을 항상 반복함으로써, 그때의 촉매 온도를 대략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스텝8의 촉매 열화 진단으로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예를 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O2센서(18)의 출력 신호의 리치, 린의 반전 주기 T1과 하류측 O2센서(19)의 출력 신호의 리치, 린의 반전 주기 T2와의 비(T1/T2)를 적절한 기간 내에서 구하고, 이것을 O2저장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9에서 상술한 반전 주기의 비의 산출이 종료하면, 스텝10으로 진행하여, 검출된 O2저장 능력이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반전 주기의 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O2저장 능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스텝11로 진행하여 촉매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또한 스텝17에서 진단 종료 플래그를 세트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점화 시기 리타드 플래그를 크리어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10에서 O2저장 능력이 소정값보다 낮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12로 진행하여, 전회에 측정된 O2저장 능력의 값과 비교하여, 소정값 이상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13으로 진행하여 촉매가 열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경고등(24)을 점등한다.
스텝12에서, O2저장 능력의 값이 전회의 값과 비교하여 급격히 저하하고 있는 경우는, 경시적인 열화가 아니가 측정시의 촉매 온도가 충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스텝14, 15로 진행하여, 점화 시기 리타드 플래그를 세트한다. 그리고, 스텝16에서 전술한 촉매 온도 포인트 P를 크리어한 후 일련의 촉매 열화 진단을 다시 실행한다.
제5도는, 점화 시기 제어의 서브 루틴을 나타내는데, 스텝3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화 진각값 맵으로부터 기관 회전수 N 및 기본 분사량 Tp에 따른 점화 시기가 구해진다. 그리고, 점화 시기 리타드 플래그가 크리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텝31에서 구해진 점화 시기가 그대로 이용된다. 이것에 대하여, 점화 시기 리타드 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32로부터 스텝33으로 진행하고, 소정 크랭크 각 만큼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 보정한다.
따라서, 스텝15, 16을 거쳐 다시 촉매 열화 진단을 행할 때에는 점화 시기가 지각된 상태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배기 온도가 상승하고, 촉매 변환기(17)을 적극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특히, 스텝16에서 촉매 온도 포인트 P를 일단 크리어함으로써, 제4도에 도시하는 서브 루틴에 의해 다시 촉매 온도 포인트가 소정값에 달할 때까지 촉매 열화 진단의 실행을 대기하는 형태로 되지만, 제6도에 도시한 가산 영역 및 감산 영역이 동일해도 각 영역에서의 배기 온도가 점화 시기의 지각에 의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촉매 온도 포인트 P가 소정값에 도달한 단계(스텝 4)에서는 확실하게 촉매 활성화 온도 이상으로 된다.
따라서, 다시 실행되는 촉매 열화 진단에서는, 촉매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진단의 우려가 없고, 열화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촉매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 O2저장 능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얻어지면(스텝 10), 촉매는 열화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스텝11). 또, 이와 같이 촉매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도, O2저장 능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스텝12, 14를 거쳐 스텝13으로 진행하여, 촉매가 열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스텝17에서 점화 시기 리타드 플래그가 크리어됨으로써, 점화 시기의 강제적인 지각은 해체되어, 최적 점화 시기의 제어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최초의 진단시에 촉매 열화의 의문이 있는 경우에,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켜, 촉매 변환기(17)을 적극적으로 가열한 후에 진단을 다시 실행하므로, 오판정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 이 경우에도 촉매 온도 포인트 P자체는 통상의 조건에서 판별되기 때문에, 진단의 기회가 감소하지 않고, 통상의 주행 사이에 확실히 촉매 열화 진단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화 시기의 강제적인 지각을 동반하는 진단에 앞서 통상의 점화 시기 하에서 진단을 행하며, O2저장 능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진단을 확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점화 시기의 지각에 따른 연비의 악화 등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관한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에 의하면, 점화 시기의 지각에 따른 배기 온도의 상승에 의해 촉매 변환기를 적극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서, 촉매 온도가 저온인 상태에서의 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운전 영역 등의 진단 조건을 과도하게 엄격히 설정하지 않고 촉매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촉매 열화 진단의 기회, 빈도를 저감시키지 않고 열화 진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배기 통로에 설치된 촉매 변환기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류측 공연비 센서와, 상기 촉매 변환기의 하류측에 배치 설치된 하류측 공연비 센서와, 내연 기관의 각종 조건이 소정의 진단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단 조건 판별 수단과, 상기 진단 조건 성립시에, 상기 상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와 하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촉매의 열화를 진단하는 수단과, 내연 기관의 점화 시기를 기관 운전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점화 시기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촉매 열화 진단시에 상기 촉매 변환기 온도가 활성화온도를 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별 하고 나서, 활성화 온도가 미달시에는 상기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키는 지각 보정 수단과, 상기 지각 보정을 실시한 후에 상기 촉매 열화 진단을 다시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상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와 하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촉매 열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촉매 열화 파라미터를 구하고, 촉매 열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촉매의 열화를 진단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遲角) 보정 수단은,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가 소정의 속도보다 빠른 급격한 속도로 감소하는 경우에,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상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의 린(lean)측과 리치(rich)측간의 반전 주기와 하류측 공연비 센서의 출력 신호의 린측과 리치측간의 반전 주기의 비를 구해서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촉매는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의 증대 또는 감소의 변화량을 조사하고,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가 증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지만 그 감소량이 소정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촉매가 열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촉매 열화 파라미터가 감소하여 그 감소량이 상기 소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촉매 열화라고 판단하지 않고, 상기 지각 보정 수단에 점화 시기를 강제적으로 지각시킨 후 상기 진단 조건이 성립하면 재차 촉매의 열화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KR1019940022692A 1994-09-09 1994-09-09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KR016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92A KR0164882B1 (ko) 1994-09-09 1994-09-09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92A KR0164882B1 (ko) 1994-09-09 1994-09-09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86A KR960011086A (ko) 1996-04-20
KR0164882B1 true KR0164882B1 (ko) 1998-12-15

Family

ID=1939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692A KR0164882B1 (ko) 1994-09-09 1994-09-09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8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86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3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 diagnosi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068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temperature of an automotive catalytic converter
US55687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93404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16831B2 (ja) 空燃比制御装置の診断装置
US6931838B2 (en) Engine exhaust gas leak diagnosis
JP4320778B2 (ja) 空燃比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EP0569055A2 (en) 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32552A (en) Apparatus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an exhaust purifying catalyst
US6655357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intake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39868B2 (en) Deterioration diagnostic system of 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US5182907A (en) System for monitoring performance of HC senso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876544B2 (ja) 触媒温度センサ劣化検出装置
JP3227153B2 (ja) 内燃エンジンのhcセンサの劣化検出装置
US59569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terior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gas purifier
JP3149714B2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JPH08246853A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JP2006057523A (ja)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KR0164882B1 (ko) 내연 기관의 촉매 열화 진단 장치
JP2917725B2 (ja) エンジンの自己診断装置
JP3075001B2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JP3544228B2 (ja) 筒内圧センサの自己診断装置と内燃機関における筒内圧に基づく制御のフェールセーフ装置
US20230323804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atalyst Deterioration Diagnostic Method
JP2853554B2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診断装置
JPH09113481A (ja) 酸素センサの活性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