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472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472B1
KR0164472B1 KR1019960012610A KR19960012610A KR0164472B1 KR 0164472 B1 KR0164472 B1 KR 0164472B1 KR 1019960012610 A KR1019960012610 A KR 1019960012610A KR 19960012610 A KR19960012610 A KR 19960012610A KR 0164472 B1 KR0164472 B1 KR 016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or
suction
vacuum cleaner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984A (ko
Inventor
송정곤
조성로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6001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472B1/ko
Publication of KR97006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0)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체(30) 및 상기 흡입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청소하고자 하는 실내바닥면을 조명하는 조명기(40a)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기(40a)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50) 및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기(40a)를 소등시키는 조명기구동제어부(60)를 구비하여 조명기가 장시간 점등되어 과열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및 조명기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온도감지부 및 조명기구동제어부의 회로적구성을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흡입체 40 : 조명장치
40A : 조명기 41 : 설치홈
42 : 발열구멍 50 : 온도센서
60 : 조명기구동제어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하고자 하는 실내바닥면을 조명하도록 흡입체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모터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체에 의하여 먼지 및 부유물이 포함된 주위공기가 본체내로 흡입되고, 결과적으로 먼지 및 부유물을 집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본체(10)의 내부에는 미도시한 구동부인 모터와 임페리 및 공기가 함께 흡입된 먼지등의 부유물을 집진하는 집진부인 먼지봉투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흡입호스(23)가 연결설치되고, 이 흡입호스(23)의 타단은 손잡이(21)가 마련된 연장관(20)과 결합된다. 그리고 연장관(20)의 타단에는 본체(10)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는 흡입체(30)가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21)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조작부(22)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33은 흡입체(30)의 유동을 자유자재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이다.
본체(10)에는 구동부인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내부일측에는 집진부인 먼지봉튜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집진한다. 그리고 연장관(20)과 신축자재로 구성된 흡입호스(23)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로이고, 흡입체(30)는 바닥면에 흡입구(31)와 내부에 연장관(20)과 연통된 흡입류로(32)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청소면에서 최초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손잡이(21)에 마련된 조작부(22)를 조작하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 미도시된 임펠러가 작동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데, 이는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여 외부공기와 먼지등의 부유물이 흡입체(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흡입유로(32), 연장관(20), 흡입호스(23)을 통해 소정의 속도로 본체(10)내부로 흡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면의 먼지 및 부유물등의 이물질이 함께 흡입체(30)의 흡입구(31)로 흡입되어 본체(10)의 먼지봉투에 집진되고 공기는 배출됨으로써 실내바닥등의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이물질이 있는 곳으로 흡입체(3)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청소면의 미세한 먼지등이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아 청소가 잘되었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반복적으로 흡입체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흡입체의 전방에 청소면을 수평선상으로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청소면에 있는 이물질을 가시영역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의 점등시 발생되는 방사열을 감지하여 종명장치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10)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체(30) 및 상기 흡입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청소하고자 하는 실내바닥을 조명하는 조명기(40a)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기(40a)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50),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조명기(40a)를 소등시키는 조명기구동제어부(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체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흡입체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보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종래 진공청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본체(10)의 내부에는 미도시한 구동부인 모터와 임펠리 및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등의 부유물을 집진하는 집진부인 먼지봉투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흡입호스(23)가 연결설치되고, 이 흡입호스(23)의 타단은 손잡이(21)가 마련된 연장관(20)과 결합된다. 그리고 연장관(20)의 타단에는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면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는 흡입체(30)가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21)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조작부(22)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33은 흡입체의 유동을 자유자재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이다.
본체(10)에는 구동부인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내부일측에는 집진부인 먼지봉투(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집진한다. 그리고 연장관(20)과 신축자재로 구성된 흡입호스(23)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로이고, 흡입체(30)는 저면 중앙부위에 흡입구(31)와 내부에 연장관(20)과 연통된 흡입유로(32)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청소면에서 최초로 흡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로 흡입체(30)의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청소면을 조명하는 조명장치(40)가 설치되며, 이를 제4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흡입체(30)의 전방 테두리부분에는 가능하면 청소면과 밀접하고 평행하도록 흡입체(3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홈(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설치홈(41)은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조명기(4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이 조명기(40a)는 빛의 직진성이 강한 할로겐 조명기가 양호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체(30)를 청소하고자 하는 면에 위치시키면 흡입체(30)의 전방에 설치된 조명장치(40)의 조명기(40a)는 설치홈(41)의 개구부를 통해 청소면을 수평방향으로 비추게 됨으로써 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기(40a)가 설치된 설치홈(41)의 후방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체(30)내부의 흡입유로(32)와 연통된 다수개의 방열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홈(41)의 후방 일측에는 상기 조명기(40a)의 점등시 발생되는 방사열을 감지하도록 온도센서(50)로 구성된 온도감지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상기 방렬구멍(42)은 조명기(40a)가 오랜시간 연속적으로 점등됨으로써 발생되는 방사열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는 즉,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본체(10)에서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흡입체(30)의 흡입구(31)와 흡입유로(32)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데, 아울러 방열구멍(42)이 흡입유로(32)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기(40a)가 설치된 설치홈(41)의 개구부와 흡입유로(32)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기(40a)가 설치된 설치홈(41)의 개구부와 방열구멍(42)을 통해서도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설치홈(41) 내부에는 공기가 계속 유입되고 방열구멍(42)을 통해 흡입유로(32)로 흡입됨으로써 조명기(40a)가 냉각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열구멍(42)이 이물질등에 의하여 막히게 되거나 본체(10)내에 마련된 모터의 이상으로 방열홀 및 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어 조명기의 점등시 발생되는 방사열을 냉각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온도감지부에 의하여 조명기의 과열여부를 감지하고, 조명기의 구동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이는 제5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온도감지부 및 조명기구동제어부의 회로적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온도센서(50)와 직렬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반전단자에 입력받아 소정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OP)와, 상기 증폭기(OP)의 츨력신호를 비반전신호로 입력받아 반전단에 입력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와, 상기 비교기(COMP)의 출력신호를 베이스단의 구동신호로 입력받아 온오프되어 컬렉터단에 직렬연결된 코일을 도통시키는 트랜지스터(Tr1),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구동으로 도통되는 코일(C)에 의하여 접점이 절환되는 릴레이스위치(SW), 상기 릴레이스위치(SW) 및 상용교류전원(AC)이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릴레이스위치(SW) 및 상용교류전원(AC)과 직렬연결된 조명기(4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온도센서(50)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며, 이하 증폭기(OP), 비교기(Comp), 트랜지스터(Tr1) 및 릴레이스위치(SW)는 조명기구동제어부(60)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명기의 구동제어동작은 조명기(40a)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인 경우에는 온도센서(50)의 특성에 의하여 온도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므로 비교기(Comp)의 비반전단자의 전압은 증폭기(OP)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으므로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반전단자의 전압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한 결과 비교기(Comp)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도통되게 되고,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에 접속된 코일(C)이 전원이 차단되어 조명기(40a)는 소등되게 된다. 한편, 온도세선(50)의 저항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즉 조명기(40a)의 방사열이 소정온도 이하인 경우에 릴레이스위치(SW)는 항시 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조명기(40a)가 상용교류전원(AC)을 인가받아 점등되어 청소면을 조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연장관(20)이 손잡이(21)을 잡고 흡입체(30)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데 흡입체(30)의 전방에는 청소면을 수평에 가깝도록 조명하는 조명기(40a)가 설치되어 있어 청소하고자 하는 면에 있는 미세한 먼지 및 이물질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많이 있는 곳으로 흡입체(30)를 집중적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수행한다. 한편, 진공청소극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조명기(40a)가 과열되게 되는데, 이때 설치홈(41)의 후방에 흡입유로(32)가 연통되어 형성된 방열구멍(42)에 의하여 조명기(40a)를 냉각시키게 되며,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체(30)의 흡입구(31)와 흡입유로(32)를 통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데, 전면이 개구되고 그 내부에 조명기(40a)가 설치된 설치홈(41)의 후방에는 흡입유로(32)와 연통된 방열홈(41)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설치홈(41)의 개구부를 통해 설치홈(41)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내부의 공기는 다시 방열구멍(42)을 통해 흡입유로(32)로 흡입된다. 즉, 설치홈(41)의 개구부와 방열구멍(42)을 통해서도 공기가 흡입유로(32)로 흡입되는데, 조명기(40a)는 공기의 순환유로중에 설치되어 작동중에 발생되는 열이 냉각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공청소기의 구동과 연동되어 온도감지부 및 조명기구동제어부(60)에 도 전원이 인가되게 되므로 온도감지부인 온도센서(50)는 조명기(40a)의 방사열을 감지하게 되며, 이때 방열구멍(42)이 막히게 되거나 모터의 이상으로 인하여 조명기의 방사열이 효과적으로 냉각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50)의 저항값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구동되게 되므로 릴레이스위치(SW)가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조명기(40a)가 소등되게 되어 조명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흡입체에 설치된 조명기가 점등됨으로써 청소면을 조명하여 이물질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인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기의 온도가 소정기준온도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조명기를 소등시킴으로써 과열로 인한 조명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본체(10)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먼지 를 흡입하는 흡입체(30) 및 상기 흡입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청소하고자 하는 실내바닥을 조명하는 조명기(40a)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기(40a)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50) 및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기(40a)를 소등시키는 조명기구동제어부(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동제어부(60)는, 상기 온도센서(50)에 감지된 온도에 상응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기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 상기 비교기(Comp)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되어 컬렉터단에 접속된 코일(C)을 도통시키는 트랜지스터(Tr1), 상기 코일(C)이 도통시 오프되어 상기 조명기(40a)에 인가되는 상용전류전원을 차단시키는 릴레이스위치(SW)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60012610A 1996-04-24 1996-04-24 진공청소기 KR016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610A KR0164472B1 (ko) 1996-04-24 1996-04-24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610A KR0164472B1 (ko) 1996-04-24 1996-04-24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984A KR970068984A (ko) 1997-11-17
KR0164472B1 true KR0164472B1 (ko) 1999-01-15

Family

ID=1945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610A KR0164472B1 (ko) 1996-04-24 1996-04-24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91B1 (ko) * 2000-01-28 2002-09-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91B1 (ko) * 2000-01-28 2002-09-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984A (ko) 199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618A (en) Vacuum cleaner
EP0372903B1 (en) Vacuum cleaner with function to adjust sensitivity of dust sensor
US7644469B2 (en) Vacuum electronics isolation method
CN1901831B (zh) 具有用于指示对过滤器维护的监测装置的真空吸尘器
US8266761B2 (en) Vacuum electronic switch detection system
JPH0838408A (ja) 電子掃除機制御システム
JP2002369778A (ja) ゴミ検出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H04116939U (ja) 真空掃除機
EP3051993B1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KR890006195A (ko) 전기 청소기
KR0164472B1 (ko) 진공청소기
KR0164471B1 (ko) 진공청소기
KR0164473B1 (ko) 진공청소기
KR0164470B1 (ko) 진공청소기
KR0164469B1 (ko) 진공청소기
JP3505919B2 (ja) 電気掃除機
JPH0548688B2 (ko)
KR0154298B1 (ko) 진공청소기
KR0137436Y1 (ko) 진공청소기의 세트 전도(顚倒) 감지장치
JPH0228865Y2 (ko)
KR200182561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JP2003169770A (ja) 電気掃除機
JPH11342096A (ja) 電気掃除機
JPS59144431A (ja) 電気掃除機
JP3285028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