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344B1 -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344B1
KR0164344B1 KR1019960036427A KR19960036427A KR0164344B1 KR 0164344 B1 KR0164344 B1 KR 0164344B1 KR 1019960036427 A KR1019960036427 A KR 1019960036427A KR 19960036427 A KR19960036427 A KR 19960036427A KR 0164344 B1 KR0164344 B1 KR 0164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armrest
cover
rear sea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43A (ko
Inventor
송재학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3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홀더가 설치 되어 있기는 하나 앞좌석의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만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뒷좌석의 승객들은 마땅히 보관할 만한 구조가 없어 손으로 계속해서 들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레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함체(110)의 전면판(112)내면 상단에는 걸림돌기(114)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받침부(116)가 형성 되도록 하며, 덮개(120)의 후단에는 선단에 걸림홈(132)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안착홈(134)이 천공된 홀더(130)를 경첩(140)에 의해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12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132)이 끼워져 걸릴수 있는 돌기(122)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이와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암레스트 고유의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컵을 보관할때에만 암레스트의 덮개를 열은후 홀더에 컵을 보관토록 하여 뒷좌석의 승객들이 일일이 컵을 들고 있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암레스트 110 : 함체
112 : 전면판 114 : 걸림돌기
116 : 받침부 120 : 덮개
122 : 돌기 130 : 홀더
132 : 걸림홈 134 : 안착홈
[발명의목적]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뒷좌석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에 컵홀더를 내장하여 암레스트를 평상시에는 팔을 기대거나 간단한 물건 등을 보관할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만 암레스트의 덮개를 열어준후 홀더를 펼쳐서 컵이나 캔 등을 간편하게 보관할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들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경우에는 탑승자가 장거리 여행을 하거나 정체로 인하여 장시간 차량에 탑승시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팔을 기대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설치되는데, 상기의 암레스트는 콘솔에 마련된 암레스트, 도어트림에 마련된 암레스트 그리고 뒷좌석 시트에 마련되는 암레스트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의 암레스트중 콘솔에 마련되는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에 마련된 암레스트는 고정형으로서 위치변환이 불가능 하나 뒷좌석 시트에 마련된 암레스트는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있어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상승되게 세워 등받이와 수평상태로 놓이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하강된 수평위치로 회동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에 마련된 암레스트는 단순히 팔을 올려놓고 휴식을 취하도록 된 것과 암레스트에 수납실을 만들어 오디오를 조정할수 있는 리모콘이나 간단한 메모를 할수 있는 메모지를 보관토록 한 것도 있다.
한편 자동차내에는 운행중에 운전자나 탑승자들이 갈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음료수가 든 캔이나 또는 일회용 컵을 사용하여 음료를 섭취하는데, 마시다 남은 음료수가 담긴 캔이나 컵은 마땅히 보관할 만한 장소가 없어 다 마실때까지 계속해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의 경우에는 한손으로 캔이나 컵을 들고있게 되면 핸들을 한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지장이 있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위나 콘솔박스의 뚜껑위에 올려놓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자동차는 항상 평탄한 도로만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평탄치 않은 도로를 주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때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박스 뚜껑위에 올려놓은 컵이나 캔이 쓰러져서 그안의 내용물이 쏟아져서 자동차의 실내를 오염시키거나 옷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의 컵이나 캔을 고정시켜 줄만한 고정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박스에 중앙에 원형 안착홈이 형성된 홀더를 설치하여 마시고 남은 음료가 담긴 캔이나 컵을 상기 홀더의 안착홈에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컵 홀더는 주로 앞좌석의 탑승자를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버스의 경우에는 시트의 뒷면에 체결 고정된 컵홀더 고정대에 철사로 된 컵 홀더링을 끼워 컵홀더로 사용하나 승용차의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않아 채택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승용차의 컵 홀더는 주로 실내 앞쪽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승객이 마시고 남은 음료수가 들어있는 캔이나 컵등은 홀더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가 있으나 뒷좌석의 승객은 보관할만한 마땅한 구조가 없어 다 마실때까지 일일이 들고 있어야 하거나 마시고 싶지 않을 경우에도 음료수가 담긴채 그대로 목적지에 도착하여 차에서 하차하여 버릴때까지 그대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들도 마시다 남은 음료수가 담긴 캔이나 컵을 쉽게 보관할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함체의 전면판 내면 상단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받침부가 형성 되도록 하며, 선단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안착홈이 천공된 홀더를 덮개(120)의 후단에 경첩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걸릴수 있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컵이나 캔 등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암레스트의 덮개를 열고 상기 덮개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컵홀더를 펼쳐서 홀더의 걸림홈이 함체의 걸림돌기에 걸리면서 받침부에 받쳐지도록 한후 안착홈에 컵을 삽입시켜 사용토록 하여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들도 마시고 남은 음료가 담긴 컵이나 캔 등을 일일이 들고 있지 않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발명의구성및작용]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함체(110)의 전면판(112)내면 상단에는 걸림돌기(114)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받침부(116)가 형성 되도록 하며, 선단에 걸림홈(132)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안착홈(134)이 천공된 홀더(130)를 덮개(120)의 후단에 경첩(140)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12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132)이 끼워져 걸릴수 있는 돌기(122)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홀더(130)에 천공되는 다수개의 안착홈(134)은 서로 구경이 다르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암레스트(100)를 팔을 기대거나 또는 암레스트(100)의 수납홈속에 오디오를 조정할수 있는 리모콘이나 메모지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음료수가 담긴 컵이나 캔을 보관할 경우에는 우선 암레스트(100)의 덮개(120)를 열어 상기 덮개(120)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홀더(130)를 이탈시켜 함체(110)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홀더(130)는 함체(110)의 전면판(112)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4)와 접면되는데, 상기 홀더(130)는 경첩(140)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 자유롭게 절첩될수 있는 것이다.
이후 약간의 힘을 가하여 홀더(130)를 눌러주면 상기 홀더(130)에 형성된 걸림홈(132)속으로 상기 걸림돌기(114)가 삽입되면서 홀더(130)가 고정되는데, 여기서 상기 홀더(130)를 계속해서 눌러주더라도 홀더(130)는 더 이상 하향으로 내려가지를 않는 것인데, 그 이유는 상기 걸림돌기(114)의 저면으로 받침부(116)가 형성 되어 있어 홀더(130)를 받침부(116)가 받쳐주기 때문에 하향으로 처지지 않는 것은 물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렇게 홀더(130)의 저면을 받침부(116)가 받쳐주므로써 상기 홀더(130)는 하향으로 처지지를 않아 함체(110)내에 들어있는 여러 가지 물건등과 접면되지 않는 것이며, 또한 홀더(130)의 걸림홈(132)이 걸림돌기(1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자동차가 도로가 평탄치 않은 곳을 주행하여 덜컹 거리더라도 홀더(130)가 유동될 우려가 없어 컵이나 캔에 담긴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홀더(130)를 설치한후 상기 홀더(130)에 천공 되어 있는 안착홈(134)에 컵이나 캔 등을 삽입시켜 보관하는데, 상기의 안착홈(134)은 각각 구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 하였기 때문에 여러 사이즈의 컵이나 캔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홀더(130)를 사용하고 난후 홀더(130)를 다시 원위치 시켜야 할 경우에는 홀더(130)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주면 홀더(130)의 걸림홈(132)에서 걸림돌기(114)가 이탈되면서 홀더(130)가 들어 올려지는 것이며, 이후 들어 올려진 홀더(130)를 덮개(120)에 밀착시키면 덮개(120)에 형성된 돌기(122)와 접면되고,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주면 홀더(130)에 형성된 걸림홈(132)속으로 돌기(122)가 삽입되면서 홀더(130)가 고정되어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여 홀더(130)를 잡아 당기기 전에는 절대로 홀더(130)가 이탈되지 않아 함체(110)내에 물건을 넣고 뺄때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발명의효과]
이에따라 본 발명은 뒷좌석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에 홀더를 장착하여 평상시에는 팔을 기대거나 간단한 물건 등을 보관할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만 암레스트의 덮개를 열어 홀더를 수평상태로 변환하여 고정시켜 준후 홀더의 안착홈에 컵이나 캔 등을 삽입시켜 보관 토록하면 자동차가 평탄치 않은 도로를 주행함에 따른 덜컹거림에도 음료수가 쏟아질 염려가 없어 뒷좌석의 탑승한 승객들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가 담긴 컵이나 캔 등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함체(110)의 전면판(112)내면 상단에는 걸림돌기(114)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받침부(116)가 형성 되도록 하며, 선단에 걸림홈(132)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안착홈(134)이 천공된 홀더(130)를 덮개(120)의 후단에 경첩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12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132)이 끼워져 걸릴수 있는 돌기(122)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30)에 천공되는 다수개의 안착홈(134)은 구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KR1019960036427A 1996-08-29 1996-08-29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KR0164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27A KR0164344B1 (ko) 1996-08-29 1996-08-29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27A KR0164344B1 (ko) 1996-08-29 1996-08-29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43A KR19980016743A (ko) 1998-06-05
KR0164344B1 true KR0164344B1 (ko) 1999-05-01

Family

ID=1947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427A KR0164344B1 (ko) 1996-08-29 1996-08-29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3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43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3510B1 (en) Automotive cup holder
US20070085363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KR0164344B1 (ko) 컵 홀더가 설치된 자동차용 뒷좌석 암레스트
JP2505368Y2 (ja) 車両用コンソ―ルボックス
KR0140658Y1 (ko)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259958B1 (ko) 컵홀더 어셈블리
KR200202514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293779Y1 (ko)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KR200272662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220001193U (ko)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는 컵홀더
KR20120055845A (ko) 컵홀더를 갖는 차량용 콘솔박스 구조
KR19990018478U (ko) 차량에 구비된 봉지걸이 겸용 컵홀더
KR200152927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홀더구조
KR100381232B1 (ko) 펜 홀더를 가지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JP3062958U (ja) 自動車ヘッドレストを利用したコップホルダ―兼テ―ブル
KR100259959B1 (ko) 컵홀더 어셈블리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JP2001197960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0116483Y1 (ko) 차량 문짝용 음료수캔 및 컵 거치대
KR1999004115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컵홀더
KR0129683Y1 (ko) 자동차의 도어에 형성된 컵 홀더
KR013960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90034972A (ko) 차량용 컵 홀더
JP2000006706A (ja) 物品載置装置
KR200142862Y1 (ko) 자동차에 취부되는 용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