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269B1 -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269B1
KR0164269B1 KR1019960012306A KR19960012306A KR0164269B1 KR 0164269 B1 KR0164269 B1 KR 0164269B1 KR 1019960012306 A KR1019960012306 A KR 1019960012306A KR 19960012306 A KR19960012306 A KR 19960012306A KR 0164269 B1 KR0164269 B1 KR 016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ensory
raspberry
carbon dioxide
bever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906A (ko
Inventor
맹일영
Original Assignee
진성주
평해광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주, 평해광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주
Priority to KR101996001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269B1/ko
Publication of KR97006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6.37% 내지 12.37%의 설탕, 0.01% 내지 4.75%의 크렌배리쥬스 농축액, 0.01% 내지 3.45%의 유화칼슘, 0.01% 내지 3.29%의 사과산, 0.01% 내지 3.27%의 구연산, 0.01% 내지 3.33%의 라즈베리 에센스오일, 0.01% 내지 3.33%의 탄산가스 및 보충량(1000 ml되게)의 물로 이루어진 관능 보상작용을 갖는 라즈베리향 관능활성 음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음료는 갈증해소, 기분전환, 스트레스 해소 및 음료기피 환자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본 발명은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 과즙이나 과립을 주원료로 하는 과실음료, 우유나 발효유와 같은 유성음료, 건강음료 및 기호음료의 대략 다섯가지로 분류된다.
세계적인 음료시장의 추세로 볼 때 자연식품, 천연식품의 중요성 및 필요성과 함께 건강음료에 대한 개발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건강음료는 크게 식이섬유, 올리고당,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철분강화 음료와 같은 기능성음료류와 운동전후 수분의 흡수를 도와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스포츠 드링크류로 대별될 수 있고, 최근에는 특수목적을 위한 기능성 음료의 개발에 편중되어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기존의 기능성 음료나 시중음료와는 전혀 개념이 다른 관능적으로 보상작용(Synergy)을 갖는 음료를 개발하기위해 연구한 결과, 음료의 기본 조성 이외에 관능 첨가물로서 체리향 에센스와 럼향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소비자가 관능활성 측면에서 최대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줌으로써 관능적으로 보상작용을 갖는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원 명세서에서 관능활성음료라는 용어는 맛, 향, 색 및 입맛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정상인에게는 갈증해소 및 기분전환과 스트레스 해소(예: 교통체증시 갈증해소용으로 사용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음료기피 환자에게는 이를 해소시켜 고른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환자치유에도 일조를 담당하는 음료를 의미한다.
관능활성음료의 기본 성분으로서는 천연향, 천영색소, 천연 에센스오일 및 입안만족을 위한 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향으로서는 라즈베리향을, 천연색소 및 천연 에센스 오일로서는 크렌베리쥬스 농축액을, 그리고 입안 만족도를 위하여는 탄산가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특한 향을 지닌 라즈베리 에센스 오일과 천연 크렌베리 쥬스 농축액을 주원료로 하고 일반적으로 음료의 기본배합으로서 사용되는 물, 설탕, 유화, 칼슘, 구연산, 사과산을 보조관능 첨가물로 하여 배합하고 여기에 탄산가스를 최적량 주입시켜 수 십차례의 관능검사를 통하여 최고 만족도를 갖는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능활성음료 성분의 혼합비를 다양하게 하여 시험한 결과 하기 표 1에 제시된 성분비를 갖는 음료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표 1에 나타낸 음료 성분은 -27.5% 에서 +3.25% 범위내에서 그 양을 달리할 수 있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면 관능활성 음료의 관능만족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는 독특한 향을 지닌 라즈베리 에센스 오일과 천연 크렌베리쥬스 농축액을 주원료로 하고 설탕, 유화칼슘, 구연산 및 사과산을 보조 관능 첨가물로 배합하고 탄산처리한 다음 충전하고 살균처리한 다음 포장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실시예 1]
91.2 g의 설탕, 15.0 g의 크렌베리쥬스 농축액(68Brix, 미국 IFF사 제조), 2.0 g의 유화칼슘, 0.4 g의 사과산, 0.2 g의 구연산 및 0.08 g의 라즈베리 에센스오일(1AA08110, 미국 IFF사 제조)를 배합하고 탄산가스를 0.08 % 주입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비교예 1]
라즈베리 에센스 오일과 탄산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양의 성분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비교예 2]
탄산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양의 성분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음료의 관능 적성평가를 위하여 다음 세가지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1]
히도닉 스케일 관능검사(Hedonic Scale-T)
개발된 음료의 관능 만족도를 채점하는 방법으로,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60명이 관능검사를 3회 실시한 검사결과를 평균치로 산출한 것이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위의 결과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시된 음료는 보상작용이 확실하며 크렌베리 농축액과 라즈베리 에센스 및 탄산가스의 배합이 월등한 관능성 기능을 갖는 음료임이 입증되었다.
상기 결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검증되었지만, 과연 이런 제품이 시중에 이미 나와 있는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소위 트라이앵글과 벤취마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2]
트라이앵글 관능검사
본 검사의 목적은 개발된 제품이 시중유사제품과 다른지를 알아보는 검사로서, 세개의 음료 샘플중 같은 것을 두 개 넣고 다른 것을 하나 넣어 60명의 관능검사 요원에게 같은 샘플 2개(또는 다른 샘플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표에서, 제품차별도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100: 완벽하게 다른 척도를 나타내튼 것으로 60명의 관능검사자중 한 명도 유사하다고 생각하지 않음.
80: 60명중 12명만 유사하다고 생각함.
50: 60명중 30명이 유사하다고 생각함.
(주): 시중음료 A:후루토피아, 코카콜라 제조.
시중음료 B: 스네플(라즈베리), 스네플 제조.
시중음료 C: 카로에프, 고려인삼수출산업 제조.
상기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개발된 음료들은 시중에 있는 음료들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음료임을 증명해 주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필요조건을 충족시켜 준다.
[시험예 3]
비교관능검사
다음은 개발된 제품과 시중제품을 비교하여 과연 개발된 제품이 다를 뿐만 아니라 관능기호도면에서도 월등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향, 색, 맛에 대한 비교검사를 실시하였다.
비교평가는 아래와 같은 정량 및 정성평가를 통해 제품개발 목적에 대한 충분 조건을 만족시키는데 두었으며 60명의 관능검사요원이 히도닉 스케일 검사와 같이 0 내지 10점 사이의 점수를 준 것을 평균하여 산출한 값이다.
상기 비교관능검사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음료는 기존의 기능성 음료보다 맛, 색, 향 및 전체 평가에서 월등하게 우위임이 검증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관능음료가 전혀 다른 음료로서 관능활성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관능활성음료는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자연첨가물만을 이용하고 또 특수층만을 위한 단순한 첨가물이나 비타민류의 배합이 아닌 보상작용을 이용하기 때문에 갈증해소,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음료기피 환자용으로도 유용하므로 다양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6.37% 내지 12.37%의 설탕, 0.01% 내지 4.75%의 크렌배리쥬스 농축액, 0.01% 내지 3.45%의 유화칼슘, 0.01% 내지 3.29%의 사과산, 0.01% 내지 3.27%의 구연산, 0.01% 내지 3.33%의 라즈베리 에센스오일, 0.01% 내지 3.33%의 탄산가스 및 보충량(1000 ml되게)의 물로 이루어진 관능 보상작용을 갖는 라즈베리향 관능활성 음료 조성물.
KR1019960012306A 1996-04-20 1996-04-20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KR016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306A KR0164269B1 (ko) 1996-04-20 1996-04-20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306A KR0164269B1 (ko) 1996-04-20 1996-04-20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906A KR970068906A (ko) 1997-11-07
KR0164269B1 true KR0164269B1 (ko) 1998-12-01

Family

ID=1945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306A KR0164269B1 (ko) 1996-04-20 1996-04-20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906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4214C2 (ru) Напитки на основе ней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сока и способ и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RU2658988C2 (ru) Получение и включение в напитки сопутствующих продуктов для улучшения обмена веществ и пищеварения
US20030157229A1 (en) Beverag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flavanols as sweetness cutting composition
AU730121B2 (en) Vitamin preparations for beverage applications
Nilugin et al. Preparation of ready-to-serve (RTS) beverage from palmyrah (Borassus flabellifer L.) fruit pulp
MX2008013562A (es) Composicion de bebida antioxidante de jugo espumante.
US6245373B1 (en) Acidified fruit and iced tea beverages incorporating high intensity sweetener blends
US6730342B2 (en) Powered composition for food and drink
KR0164269B1 (ko) 라즈베리향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JP7478207B2 (ja) リンゴ酸を含有するノンアルコール飲料
Belkacem et al. Partial substitution of sucrose by non-nutritive sweeteners in sour orange marmalade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ute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in healthy volunteers
KR0177892B1 (ko) 체리콜라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KR0177891B1 (ko) 체리럼 관능활성음료 조성물
CA2322832C (en) Beverag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a sweetness cutting composition
EP1041897B1 (en) Beverag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flavanols as sweetness cutting composition
Fellers et al. Quality of retail Florida‐packed frozen concentrated orange juice as determined by consumers and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Brenna Antioxidant capacity of soft drinks
JP6616649B2 (ja) 黄桃果汁入り飲食品の製造方法
RU2375928C2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виноградный напиток
JP2021185832A (ja) 柑橘風味飲料
Dransfield Legislation controlling production, labelling and marketing of fruit juices and fruit beverages
ASSMANN et al. FORTIFICATION WITH CALCIUM CITRATE MALATE MAY NOT INFLUENCE THE SENSORY PROPERTIES OF AN ORANGE FLAVORED BEVERAGE 1
Khatri et al. Additives used in soft drinks
Awasthi et al. Storage studies of biochemical and sensory parameters of Indian gooseberry enriched wood-apple drink
SU1729406A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Барвы Ко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