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240B1 -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240B1
KR0164240B1 KR1019940031723A KR19940031723A KR0164240B1 KR 0164240 B1 KR0164240 B1 KR 0164240B1 KR 1019940031723 A KR1019940031723 A KR 1019940031723A KR 19940031723 A KR19940031723 A KR 19940031723A KR 0164240 B1 KR0164240 B1 KR 016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late
moisture
blocking piec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094A (ko
Inventor
황영수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4003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240B1/ko
Publication of KR96001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마감층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이 내벽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벽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마감되는 내벽판재(20)와,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로 미장되어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를 매립시키는 바닥마감층(30)과,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내벽판재(20)와 바닥마감층(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그 상부가 트여지는 찬넬형의 차단편(40)을 부가시키며, 그 차단편(40)의 하부에는 일체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2)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마감층(30)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이 상기 내벽판재(20)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켜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제1도는 종래의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차단편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일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벽체 2 : 바닥슬라브
10 : 단열재 20 : 내벽판재
30 : 바닥마감층 40 : 차단편
41 : 고정구멍 42 : 연장부
50 : 방습재
본 발명은 바닥마감층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이 내벽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여 줌으로서 실내가 항시 청결케 하여주는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벽체(1)의 내벽면에 배치되는 단열재(10)와, 그 내측에 마감되는 내벽판재(20)와,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미장되어 상기 단열재와 내벽판재의 하단부를 매립시키는 시멘트몰탈로 타설되는 바닥마감층(30)으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로 타설되어 상기 단열재와 내벽판재의 하단부를 매립시키는 바닥마감층(30) 시공시 몰탈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단열재(10)와 내벽판재(20)에 스며들어가서 단열재(10)와 내벽판재(20)를 축축하게 적실 뿐만 아니라 공사가 완료된 후에 곰팡이가 생기고 악취가 나서 실내 분위기를 불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몰탈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단열재(10)와 내벽판재(20)에 스며들어가는 이유는 단열재는 암면 또는 유리섬유 등이 사용되는 데 이들은 단열성은 우수하지만,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흡수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굳이 암면 또는 유리섬유들이 단열재로 사용되는 것은 내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단열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내벽판재는 일반적으로 석고보오드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흡수성이 강한 재료이다. 그래서 몰탈의 수분이 석고보오드에 쉽게 스며들어가서 단열재(10)와 석고보오드를 축축하게 적실 뿐만 아니라 나중에 곰팡이가 피고 악취가 나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10)와 석고보오드에 수분이 스며드는 방지하기 위해 석고보오드의 내측면에 방수성 페인트인 유산동을 칠한 후에 바닥마감층(30)을 몰탈로 미장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공사비용을 증대하고 공사기간을 지연시킬 뿐 별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유산동은 단기적으로는 방수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벽지로 마감된 유산동이 녹아서 벽지의 색깔이 변해서 시각적을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성 페인트인 유산동이 석고보오드의 내측면에만 칠해지기 때문에 석고보오드의 하단면과 단열재에 스며드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마감층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이 내벽판재로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실내에 습기와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실내공기가 항시 건조하고 청결케 되도록 하여주는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를 제공하여 주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도 외벽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마감되는 내벽판재(20)와,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로 미장되어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를 매립시키는 바닥마감층(30)과,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내벽판재(20)와 바닥마감층(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적 개념과 별다를 바가 없다.
단, 본 발명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그 상부가 트여지는 찬넬형의 차단편(40)을 부가시키며, 그 차단편(40)의 하부에는 일체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2)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마감층(30)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이 상기 내벽판재(20)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켜 실내에 습기와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편(40)은 방수성 재질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차단편(4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구멍(41)들이 뚫려진다. 이는 내벽판재(20)와 차단편(40)을 고정구멍(41)을 통하여 못 또는 스텝플 등으로 외부에서 견고히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상호 탈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차단편(40)의 하부에 일체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2)가 형성된다. 이는 연장부(42)의 외측에는 단열재(10)가 배치되고 내측에는 바닥마감층(30)이 미장되므로 바닥마감층(30)에서 유출되는 수분이 연장부에 의해서 차단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장부(42)는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단편(40)의 하부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나, 차단편의 하부 외측에 부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편(40)의 하부에 방습재(50)가 배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는 바닥마감층(30) 시공시 수분이 차단편(40)의 연장부(42)가 단열재(10)에 스며들어가는 방지하지만, 방습재를 배치하므로써 더욱 완벽하게 수분을 차단하여 주게 된다. 이러한 방습재는 스치로폴 등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방습재는 스치로폴을 직육면체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열재(10)와 차단편(40)의 하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차단편의 연장부(42)의 외측면이 스치로폴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여 수분이 외측으로 스며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슬라브(2)와 외벽체(1)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방습재(50)를 배치하고, 외벽체(1)의 내벽면에 암면 또는 유리섬유 등의 단열재(10)를 배치하고, 단열재의 내측에 석고보오드 등의 내벽판재(20)를 마감하되 내벽판재(20)의 하부에 차단편(40)을 끼워서 마감하고,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방습재(50)와 차단편의 연장부가 매립되도록 몰탈로 바닥마감층(30)을 미장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편(40)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은 걸레받이로 마감할 때 덮여지게 되며, 또 내벽판재의 내면에는 벽지 등으로 마감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몰탈로 미장되는 바닥마감층 시공시 몰탈에서 수분이 유출되어 단열재와 내벽판재인 석고보오드에 스며들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상부가 열려져서 그 열려지는 상부로 내벽판재의 하부가 끼워지는 찬넬형의 차단편을 부가시켜 주면서도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가 하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바닥마감층 미장시 수분이 내벽판재와 단열재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또한 단열재와 차단편의 하부에 방습재가 배치되어 차단편의 연장부의 외측이 방습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 열려지는 찬넬형의 차단편을 내벽판재의 하부에 끼워지고 그 하부에 연장부가 연장되므로 바닥마감층 미장시 수분이 내벽판재에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실내에 습기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외벽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마감되는 내벽판재(20)와, 바닥슬라브(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로 미장되어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를 매립시키는 바닥마감층(30)과,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내벽판재(20)와 바닥마감층(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벽판재(20)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그 상부가 트여지는 찬넬형의 차단편(40)을 부가시키며, 그 차단편(40)의 하부에는 일체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2)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마감층(30) 시공시 시멘트몰탈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이 상기 내벽판재(20)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켜 실내에 습기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KR1019940031723A 1994-11-29 1994-11-29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KR016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23A KR0164240B1 (ko) 1994-11-29 1994-11-29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23A KR0164240B1 (ko) 1994-11-29 1994-11-29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94A KR960018094A (ko) 1996-06-17
KR0164240B1 true KR0164240B1 (ko) 1999-02-18

Family

ID=193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723A KR0164240B1 (ko) 1994-11-29 1994-11-29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112A (ko) * 2001-06-30 2003-01-08 김동수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94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80593A3 (en) Exterior insulation and surface treatment system
CA2249922A1 (en) Water durable board for exterior wall assembly water management system
US2317926A (en) Building construction
KR0164240B1 (ko) 건축물의 내부방습구조
KR920008389B1 (ko) 건축물의 방습 공사방법
KR200157969Y1 (ko) 개량 흙벽돌
US6032429A (en) Damp-proof brick cover
KR200264716Y1 (ko) 결로방지벽
JPH0454243Y2 (ko)
JP2001227119A (ja) 木造家屋の屋上構築工法
JPH0642107A (ja) 組立型建築物用パネル
JPH0523697Y2 (ko)
JPH034654Y2 (ko)
PT824623E (pt) Elemento de construcao
JPH0227036A (ja) 防火目地構造
KR200158585Y1 (ko) 소음 및 진동차폐용 건식 공동주택바닥구조
KR920008905Y1 (ko) 건구용 문지방
KR920003578Y1 (ko) 빗물침투 방지 벽돌
PL73146Y1 (pl) Profil budowlany typu bonia schodkowa do boniowania płaszczyzny budowlanej
JPH024668Y2 (ko)
JPH028974Y2 (ko)
JPH0750511Y2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ド
JPH059383Y2 (ko)
JPH02140358A (ja) 建築物の外壁構造
JPH02343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